맨위로가기

젖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젖소는 낙농업에서 우유 생산을 위해 사육되는 소의 품종을 총칭한다. 주요 품종으로는 홀스타인, 저지, 건지, 에어셔, 브라운 스위스 등이 있으며, 홀스타인은 우유 생산량이 가장 많고, 저지종은 유지방 함량이 높은 우유를 생산하는 특징이 있다. 젖소는 송아지, 육성우, 착유우 단계를 거치며, 사양 관리와 동물 복지, 젖소의 질병, 광우병, 성장 호르몬 사용, 항생제 사용, 환경 오염 등과 관련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농업 - 윤영선 (1896년)
    윤영선은 오당(梧堂)이라는 호를 가진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며 동아일보 개성지국장, 대한방직 사장, 제5대 민의원 의원을 역임했다.
  • 낙농업 - 낙농체험
    낙농체험은 젖소와 우유를 중심으로 젖소 먹이 주기, 우유 짜기, 치즈 및 아이스크림 만들기 등의 활동을 통해 낙농 산업을 경험하고 농업, 생명, 음식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제공하며 생명 존중 의식과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기여하는 체험 프로그램이다.
  • 소 - 황소
    황소는 소의 수컷을 의미하며, 암소보다 근육질이며 뿔의 형태나 털의 특징 등 생물학적 특징을 갖고 번식, 노동, 스포츠, 문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 소 - 송아지
    송아지는 젖을 떼기 전 어린 소를 의미하며, 자연 번식 등으로 생산되어 약 9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태어나 귀표 부착 등의 관리를 받고, 설사 등 질병에 취약하며 고기, 가죽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젖소
기본 정보
홀스타인 암소
홀스타인 암소
학명Bos taurus
일반 명칭젖소
특징
용도우유 생산
수명약 4~6년 (상업적 생산), 최대 20년 이상 가능
무게400~600kg (품종에 따라 다름)
젖 생산량연간 6,000 ~ 10,000 kg (품종, 사육 환경에 따라 다름)
품종
주요 품종홀스타인
저지
건지
에어셔
브라운 스위스
사육 및 관리
사육 환경축사
방목
사료
건초
곡물 사료
사일리지
질병 관리정기적인 예방 접종
기생충 구제
유방염, 발굽 질환 등 관리
번식인공 수정
자연 교배
기타
참고 사항젖소의 생산성은 품종, 사육 환경, 사료, 건강 관리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

2. 품종

홀스타인종, 건지종, 저지종, 에어셔종, Brown Swiss cattle|브라운 스위스종영어, 초원홍우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2. 1. 홀스타인 (Holstein)

네덜란드가 원산지인 홀스타인종은 흑백 또는 적백의 얼룩무늬를 가진 대형 품종이다. 뛰어난 우유 생산 능력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육되는 품종이며, 대한민국에서도 가장 많이 사육된다.[52]

2. 2. 저지 (Jersey)

영국 해협의 저지 섬이 원산지인 저지종은 작고 온순한 성격의 품종이다. 저지종은 우유의 유지방 함량이 높아 고품질 유제품 생산에 적합하다.

2. 3. 건지 (Guernsey)

건지섬이 원산지인 건지종은 황금색 우유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지종은 풀을 먹고 고품질 우유를 생산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2. 4. 기타 품종


  • 홀스타인종
  • 건지종
  • 저지종
  • 에어셔종
  • 브라운 스위스종(Brown Swiss cattle)
  • 초원홍우

3. 젖소의 일생

젖소는 태어나서 송아지, 육성우, 착유우 단계를 거치며 성장한다. 젖소는 출산 후 약 300일 동안 젖을 생산하며, 이 기간을 착유 기간이라고 한다. 젖소는 지속적인 우유 생산을 위해 출산 후 약 2개월 뒤에 다시 인공수정을 거친다.

젖소의 수명은 약 20년이지만,[94] 경제적인 이유로 보통 5~6세에 도태된다.[95] 젖소의 젖 생산량은 3~4번째 출산 후에 가장 많으며, 이후 점차 감소한다.[93] 생산성이 떨어진 젖소는 도살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일본 젖소의 평균 제적(젖소로서의 사용이 종료되는 것) 산차는 3, 4산 정도로 감소하고 있다.[95] 제적 후에는 다른 농가에 팔려서 육질을 높이기 위해 「다시 기르기」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유폐우」가 되어 도살된다.[96]

한국의 젖소 사육 농가들은 젖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50년대부터 대부분의 낙농장에서 인공수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발정 동기화를 통해 젖소가 배란 중이며 수정이 가능한 시기를 파악한다. 또한, 배아 이식과 같은 기술을 통해 우수한 젖소의 자손을 늘리고 있다.

3. 1. 송아지

Calf영어는 출생 직후 어미 소와 분리되어 인공 포유를 통해 성장한다.[16][17] 암송아지는 젖소로, 수송아지는 육우 또는 번식용으로 사육된다.

대부분의 낙농장에서는 질병 전파를 줄이고 젖소 관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송아지를 출생 후 하루 이내에 어미로부터 분리한다.[16][17] 분리 후, 일부 어린 젖소 송아지는 건조 우유 분말을 기반으로 한 사료인 상업용 우유 대용품을 먹고 자란다. 우유 대용품은 전유를 먹이는 것보다 경제적인 대안이다.[18] 생후 하루 된 송아지는 하루에 약 5리터의 우유를 섭취한다.[18]

소는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송아지를 그룹으로 사육하는 것이 송아지의 전반적인 복지에 더 좋을 수 있다. 그룹으로 사육된 송아지가 개별 우리에 사육된 송아지보다 더 많은 사료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이는 송아지의 섭식 행동에 대한 사회적 촉진을 시사한다.

높은 유전적 잠재력을 가진 수송아지는 번식 목적으로 사육될 수 있다. 유제품 농장에서는 암소 떼에 대한 자연 번식을 제공하기 위해 숫소를 농장의 종모우로 두는 경우가 있다.

낙농에서는 출산 직후에 송아지와 어미 소를 분리한다. 이는 생우유를 빠르게 생산 라인에 투입하여 우유 판매의 유리성을 확보하고, 모자 유대 형성 후의 모자 분리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목적 등이 있다.[81] (송아지와의 분리 참조). 태어난 송아지가 암컷이라면 젖소로 사육되고, 수컷인 경우에는 육우로 비육하기 위해 비육 농가 등에 판매되거나, 인공수정용으로 사육된다. 드물게 송아지 고기용으로 사육되는 경우도 있다.

자연 포유에 의한 기존 사육법에서는 송아지가 자연스럽게 이유하는 시기는 5~6개월령 또는 6~8개월이라고 알려져 있다.[113][114] 그러나 현대 낙농업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송아지가 태어나자마자 어미 소로부터 강제로 떼어놓기 때문에 어미와 새끼 모두에게 큰 스트레스가 된다. 따라서 근대에는 동물복지의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81]

3. 2. 육성우

이유(離乳)부터 첫 출산까지의 기간 동안의 암소를 육성우(育成牛)라고 부른다. 소는 보통 생후 3년 정도에 성우(成牛)가 되지만[87], 축산업(酪農)에서는 생후 14~16개월 정도에 인공수정을 한다.[88] 임신 후 약 9개월 만에 분만(分娩)한다. 축사(牛舎)에서 사육되는 소는 운동량이 적기 때문에 스스로 출산하는 것이 어렵고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추운 지역에서는 사람이 돌보지 않는 사이 자연 분만으로 태어난 송아지가 얼어 죽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89]

3. 3. 착유우

젖소는 일생 동안 많은 양의 우유를 생산한다. 분만 후 약 40~60일 경에 생산량이 최고조에 달하며, 이후 약 10개월 후 착유가 중단될 때까지 꾸준히 감소한다.[22][23][24] 다음 분만 전 약 60일 동안은 착유를 중단한다. 12~14개월의 분만 간격 주기에서 착유 기간은 약 305일 (10개월)이다.[22][23][24] 젖소는 출산 후 약 1년 동안 젖을 계속 생산하지만, 다음 출산 전 약 60일 동안 착유를 중단하는 건유가 이루어진다. 건유란 착유를 중단하는 것이다.

젖소가 젖을 생산하기 시작하려면 먼저 임신을 해야 한다. 수정은 인공적으로 수행된다.


출산을 하지 않으면 젖이 나오지 않으므로, 항상 착유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출산 후 2개월 정도 후에 다음 인공수정이 실시된다.[90] 1950년대부터 대부분의 낙농장에서는 인공수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낙농장에는 수소를 사육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인공수정은 발정 동기화를 사용하여 젖소가 배란 중이며 수정이 가능한 시기를 나타낸다. 인공수정의 장점으로는 수소를 사육하는 것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쉬우며, 많은 수의 수소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낙농업계의 질병을 없애고, 유전학을 개선하고, 동물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젖소는 다배란성으로, 일년 내내 지속적으로 발정주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21일의 발정 주기를 갖는다. 그러나 관리 목적으로 일부 농장에서는 합성 호르몬을 사용하여 젖소 또는 송아지의 발정 주기를 동기화하여 이상적인 시기에 번식하고 분만하도록 한다.

젖의 유즙량은 3~4번째 출산 후가 최대이며, 그 후 점차 유즙량이 감소하고, 번식력도 떨어진다.[93] 생산성이 떨어지면 도살된다. 소의 수명은 20년 정도이지만,[94] 젖소로 축산 이용되는 경우는 5~6년으로 짧다.

4. 사양 관리와 동물 복지

젖소는 낙농업을 통해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사육된다. 전 세계적으로 목장 규모는 다양한데, 미국은 평균 120마리, 영국은 약 100마리, 뉴질랜드는 375마리 이상, 호주는 약 220마리를 사육한다.[2][3][4][5]

낙농업은 집약적 관리 시스템과 광범위한 관리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9] 집약적 시스템은 소 한 마리당 최대 생산량을 목표로 하며, 사료 배합과 제한된 시스템에서 소를 사육한다. 광범위한 시스템에서는 소가 대부분 목초지에서 야외 사육되며, 우유 생산량은 낮은 편이다.

수유를 유지하려면 젖소는 번식하여 송아지를 낳아야 한다.[10] 암송아지는 낙농 목장의 대체 소로 사육될 수 있으며, 수송아지는 송아지 고기 또는 쇠고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젖소의 임신 기간은 약 9개월이며,[12] 신생 송아지는 어미와의 유대감이 강해 분리 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13] 젖소는 20년 이상 생존할 수 있지만,[12] 보통 6세경에 육류용으로 판매된다.[14]

동물 복지는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와 주변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모두 의미한다. 양호한 동물 복지는 질병 예방, 적절한 보호소, 관리, 영양, 인도적인 취급을 필요로 한다.[70] 최근에는 젖소 사육에 있어서 동물 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4. 1. 사양 관리

2019년 일본의 낙농장 스탠션을 이용한 묶어 기르기


2019년 일본의 낙농장 스탠션을 이용한 묶어 기르기2


한국에서 젖소 사육은 묶어 기르는 방식(계류 사육)이 가장 일반적이다.[91] 젖소를 스톨에 묶어 개별 관리하는 방식으로, 일본에서도 72.9%의 농가에서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91] 소를 운동장 등에 방목하지 않는 농가는 72.5%에 달하며, 자연 방목은 1% 정도에 불과하다.[91]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은 소가 앞뒤 좌우로 몇 발짝밖에 움직일 수 없어 동물복지 문제가 제기된다.[98] 국제수의학사무국(OIE)은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이 동물복지상 위험이 높다고 명시하고 있다.[98] 약 700kg의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에는 운동이 필수적이며, 묶어 기르는 사육은 파행, 비절 주위염, 유방염[99], 난산 등의 위험을 높인다.[100]

유럽에서는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스웨덴의 대기업은 묶어 기르는 축사용 제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은 축소되는 추세이다.[102] 영국에서는 묶여 있는 소를 하루에 한 번 이상 풀어주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104], 스위스, 스웨덴에서는 일정 기간 방목이 법률 등으로 정해져 있다. 덴마크에서는 2027년부터 묶어 기르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이 시행될 예정이다.[105][106] 캐나다는 2027년 4월 1일부터 소를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을 금지한다.[85] 하지만 한국 축산업계는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 규제에 반대하는 입장이다.[101]

젖소의 건강과 우유 생산량을 위해 균형 잡힌 영양 공급이 중요하다. 젖소는 건물질 섭취, 반추, 누워 있기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우유를 생산한다.[34] 건강한 반추위를 가진 젖소는 영양소 소화가 잘 되어 수익성이 높다.[32] 젖소가 반추하는 시간이 늘어나면 건강과 우유 생산량이 증가한다.[32] 착유 후 먹이 섭취 시 서 있는 행위는 유방 건강을 향상시킨다.[36]

젖소는 누워 있으려는 동기가 매우 강하며, 식사 후 최소 5~6시간 동안 누워 있어야 반추를 잘 할 수 있다.[34] 누워 있을 때 유선으로의 혈류량이 증가하여 우유 생산량이 늘어난다.[37] 축사는 젖소가 편안하게 눕고 일어설 수 있도록 고무 매트와 깔짚을 갖추어야 한다.[38] 건조된 분뇨, 아몬드 껍질, 짚, 모래, 워터베드 등이 깔짚으로 사용된다.[39]

정기적인 건강 검진, 예방 접종, 질병 치료 등을 통해 젖소의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4. 2. 동물 복지 문제



젖소 사육에는 여러 동물 복지 문제가 존재한다.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묶어 기르기: 일본 축산 농가의 60~70%가 스탠션, 체인, 끈 등으로 젖소를 묶어 기르는 방식을 사용한다.[117][97] 이는 젖소가 앞뒤 좌우로 몇 발짝밖에 움직일 수 없게 하는 사육 방식으로, 국제수역사무국(OIE)의 젖소 동물복지 기준은 이러한 사육 방식이 동물복지상 문제 위험이 높다고 명시한다.[98] 약 700kg의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에는 운동이 필수적이며, 묶어 기르는 사육은 파행, 비절 주위염, 유방염[99], 난산 등의 위험을 높인다.[100] 유럽에서는 묶어 기르기에 대한 규제가 진행 중이며, 스웨덴의 대기업은 관련 제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축소 추세이다.[102] 호주 최대 소매업체인 울워스(Woolworths)는 젖소를 묶어 기르는 것을 연간 120일, 하루 6시간 이상 방목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2022/2023년 달성률 95%).[103] 영국, 오스트리아,[104] 스위스, 스웨덴에서는 일정 기간 방목이 법으로 정해져 있다. 덴마크는 2027년에 묶어 기르기를 금지할 예정이며, 그때까지 여름철 방목이 의무화된다.[105][106] 캐나다는 2027년 4월 1일부터 묶어 기르기를 금지한다.[85] 독일 최대 축산 협동조합 및 유업체인 DMKde는 2025년까지 묶어 기르는 방식을 폐지할 목표를 세웠다.[108]

  • 어미와 송아지 분리: 현대 낙농업에서는 출산 직후 어미와 송아지를 분리한다.[81] 이는 어미와 송아지 모두에게 큰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동물복지 문제로 여겨진다.[81] 송아지는 빨기 행동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는데, 분리되면 울타리 돌출부나 다른 송아지의 귀, 포피를 빠는 비정상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어미 소와 함께 지낸 송아지는 비정상 행동이 예방되고, 설사 발작이 줄고 소화 기능이 개선되며, 사회 행동 발달이 좋아지고, 증체가 잘 되며, 이후 유생산성도 높아진다.[81]

  • 뿔 제거 (제각): 대한민국 낙농업에서도 뿔 제거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다.[117] 생후 3개월 이상에서의 뿔 제거가 40%를 넘지만,[91] 동물복지 관점에서는 생후 2개월 이내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18] 뿔 제거된 송아지의 고통은 3주간 지속되어 큰 스트레스가 되므로,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는 마취제와 진정제 사용을 강력히 권장한다.[119] 대한민국 동물복지 지침에도 마취제 또는 진통제 투여를 권고하지만, 법적 규제가 아니어서 마취 없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91]

  • 꼬리 자르기 (단미): 위생 등의 이유로 고무 링[121]을 이용해 꼬리 혈류를 차단하여 꼬리를 떨어뜨리는 단미가 일부 행해진다. 꼬리 절단은 젖소의 생활에 지장을 주고(쇠파리 등을 쫓을 수 없게 된다)[122] 유량 감소, 만성 통증, 신경종 형성, 수술 후 감염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2015년 조사에서 7.5%의 농가가 단미를 실시했다.[91] 미국 4개 주에서는 일상적인 젖소 단미가 주법으로 금지되어 있다.[123]

  • 혀 내밀기: 혀를 내밀고 빙빙 돌리는 비정상적인 행동은 현대 집약 축산 환경에서 풀을 뜯는 본래 섭식 행동 욕구를 충족할 수 없거나, 묶여서 운동을 할 수 없는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124][125]

  • 도축: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지는 젖소는 도축장으로 출하된다. 도축 과정에서 꼬리를 비틀거나 전기충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126]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소의 음수 설비가 없는 도축장이 50.4%에 달해[127] 국제수역사무국(OIE) 동물복지 지침[128]에 위배된다.

  • 고농축 사료 과다 급여: 생산성 향상을 위해 탄수화물을 많이 함유한 고농축 사료를 과다 급여하면 구제역, 젖소 대사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3. 국제적 동향

유럽 연합(EU) 등에서는 동물 복지 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묶어 기르기 제한 등 동물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86] 영국에서는 묶여 있는 소는 최소 하루에 한 번은 묶인 상태에서 해방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103] 오스트리아,[104] 스위스, 스웨덴에서는 일정 기간 방목이 법률이나 조례 등으로 정해져 있다. 덴마크에서는 2027년에 묶어 기르기를 금지하는 법령이 시행될 예정이며, 그때까지는 묶어 기르는 소떼는 여름철 방목이 의무화되어 있다.[105][106] 캐나다의 축산 농가가 준수해야 하는 규제인 「젖소의 보살핌과 취급에 관한 시행 규범」에서는 2027년 4월 1일부터 소를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을 금지한다.[85] 덴마크는 소를 묶어 기르는 것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107]

EU 최대의 축산 국가인 독일에서 최대 축산 협동조합 및 유업체인 DMK Deutsches Milchkontor|DMKde는 2025년까지 묶어 기르는 사육 방식을 폐지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108] 또한 독일에서는 축산업계의 자주 기준(ITW)에서 젖소의 상시 계류를 금지하고, 연간 120일 이상의 운동을 요구하고 있다.[109][110]

5. 질병

젖소는 여러 질병에 취약하며, 이는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젖소가 걸릴 수 있는 주요 질병은 다음과 같다:


  • '''불임''': 임신 실패와 우유 생산량 감소를 유발한다. 건강 문제, 태반 배출 실패, 낭종, 자궁내막염 등이 원인이다.[22]
  • '''유방염''': 유선에 생기는 염증으로, 체세포 수 증가와 생산량 감소를 일으킨다. 심각한 경우 젖소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22]
  • '''파행''': 발 감염이나 다리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불임과 생산량 감소를 유발한다. 고탄수화물 사료 섭취, 반추위 산성 상태, 열악한 사육 환경 등이 원인이다.[22]


이 외에도, 젖소는 제4위 변위, 루멘산증 등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고생산성 젖소는 2년 간격으로 번식시키기 어려워, 많은 농가에서 24개월 또는 36개월 주기를 선택한다.[28][29] 이론적으로 10회 젖 분비 주기가 가능하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미국 홀스타인의 평균 사육 기간은 3회 미만이다.[22]

젖소의 수명은 생산량과 관련이 있는데,[31] 생산량이 적은 젖소는 수명이 길지만 수익성이 낮을 수 있다. 더 이상 우유 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젖소는 도축되어 가공육 등으로 사용된다.[31]

젖소의 건강과 생산성은 스트레스와도 관련이 있다. 영국 레스터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진정 효과가 있는 음악은 젖소의 스트레스를 줄여 우유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31]

인공수정(AI)은 현대 낙농업에서 널리 사용되며, 비용 절감, 질병 예방, 유전학 개선, 동물 복지 향상 등의 장점이 있다.[48] 젖소는 다배란성이며, 발정 주기를 조절하기 위해 합성 호르몬을 사용하기도 한다.[49] 배아 이식 기술은 우수 젖소의 자손을 늘리는 데 활용된다.

미국 농무부(USDA)와 낙농 농가의 협력으로 젖소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미국은 세계 최대 낙농 수소 정액 공급국이 되었다.[51]

일본에서는 젖소의 72.9%가 묶여 사육되며, 자연 방목은 1% 정도이다.[91] 젖소는 출산 후 약 1년 동안 젖을 생산하며, 다음 출산 전 약 60일 동안 착유를 중단하는 건유 기간을 갖는다.[92] 젖소의 유량은 3~4번째 출산 후 최고조에 달하며, 이후 점차 감소한다.[93] 생산성이 떨어진 젖소는 도살된다.[94] 최근 일본 젖소의 평균 제적(젖소로서의 사용 종료) 산차는 3, 4산 정도로 감소하고 있다.[95]

젖소의 건강 상태는 유전적 개량으로 인한 泌乳能力(포유능력) 향상과 고온에 대한 내성 저하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133][134] 2011년 홋카이도 NOSAI 통계에 따르면, 성우의 질병 발생률은 95%로 매우 높다.[135]

5. 1. 파행

다리 통증으로 인해 보행이 어려워지는 파행(跛行)은 젖소에게 장기적인 고통과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중요한 동물복지 문제로 여겨진다.[91] 파행은 동물복지 문제일 뿐만 아니라 농장의 순수익을 최대 17%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91]

일본장삭제협회의 예비 조사에 따르면 젖소의 35%에서 어떤 형태로든 제병(蹄病, 발굽 질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한다.[91] 여러 나라의 젖소 파행률은 영국 36.8%, 스위스 14.8%, 미국 북동부 54.8%로 알려져 있다.[91]

제병의 원인으로는 콘크리트 바닥 사육이 지적된다. 소는 원래 부드러운 목초지를 걷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목초지에 나갈 기회가 없으면 파행이 증가한다.[91] 축사 내 과밀 사육 또한 원인이 된다. 좁은 축사에서 오래 서 있으면 발굽 내부의 제골(蹄骨)을 둘러싼 엽상층과 진피층에 염증이 생겨 충혈과 통증을 유발한다.[91]

젖소의 우유 생산량(유량) 증가를 위한 육종도 파행의 원인으로 여겨진다.[91] 우유 생산량이 많은 젖소는 출산 후 에너지 부족을 겪기 쉬워 농후사료를 많이 섭취하게 되는데, 이는 지피부염(趾皮膚炎)을 증가시키고, 결국 파행으로 이어진다.[91]

5. 2. 비절 주위염 (관절염)

묶어 기르는 젖소에서 흔히 발생하며, 불편한 자세로 눕고 일어나는 과정에서 피부 찰과상 및 세균 감염이 발생한다.[146] 악화되면 궤양이 생기거나 농양을 형성한다. 비절주위염의 통증으로 소는 파행을 보이며 점차 여위게 된다.

5. 3. 유방염

젖소의 유방염은 젖꼭지에 세균이 들어가, 이 세균을 제거하려는 방어 반응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세균의 종류와 소의 건강 상태에 따라 경증부터 중증까지 증상은 다양하다. 대장균성 유방염에 걸린 경우 발열, 탈수, 식욕 저하 등의 전신 증상을 보이며, 감염된 유방은 심한 통증과 열감을 동반하여 붓는다.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젖 분비 중단, 기립 불능이 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147]

유방염은 젖소의 흔한 질병 중 하나이며, 2016년도 유용 성우의 질병 및 사고 통계에서 유방 질환은 45%로 가장 많았고, 그 대부분이 유방염이다. 폐사 사고에서는 유방염이 심부전, 탈구 및 근 손상에 이어 약 10%를 차지한다.[148]

사육 환경이 불결하거나 소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꼽히며, 젖이 많이 나오는(과유(過乳)) 환경에 민감한 젖소일수록 유방염에 걸릴 확률이 높다.[149][150][151]

예방책으로는 매일 착유하는 것이다.[152] 포괄적 건유우 요법(유방염을 예방하기 위해 유방에 항생제를 정기적으로 주입하는 조치를, 다음 출산을 위해 젖 분비를 멈추고 있는 2~3개월 동안 사육되고 있는 모든 젖소가 받는 것)은 일부 유기농가를 제외하고 유럽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젖소는 1년에 2회 이 조치를 받는다.[153] 그러나 항생제의 빈번한 사용은 내성균 발생 확률을 높인다.

5. 4. 루멘산증

루멘산증은 제1위(루멘)의 산성도가 상승하는 질병으로, 제1위 과산증이라고도 한다. 소가 원래 섭취하는 조사료가 부족하고 사료첨가제가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이 원인이다. 고유량의 젖소일수록 분만 후 에너지 부족에 빠지기 쉽고, 급격한 사료첨가제의 급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루멘산증에 걸리기 쉽다. 루멘산증은 만병의 근원이라고도 하며, 제4위 변위, 번식 장애, 파행 등 다양한 질병을 초래한다.[154]

5. 5. 제4위 변위

제4위 변위는 가스가 차서 팽창한 제4위가 제1위와 복벽 사이로 이동하는 질병이다. 고능력 젖소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발생률은 3~15%에 이른다.[155] 제4위 변위의 원인으로는 사육 환경 악화, 분만 스트레스 등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소가 원래 섭취하는 조사료가 아닌 사료를 과다하게 급여하는 것도 원인으로 여겨지며, 해마다 증가하는 사료 급여량에 비례하여 제4위 변위가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156]

6. 젖소와 관련된 논란 및 안전성

젖소 사육은 환경 오염, 항생제 사용, 성장 호르몬 사용 등 여러 가지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젖소의 수명은 생산량과 관련이 있는데,[31] 생산량이 적은 젖소는 수명이 길지만 수익성이 낮을 수 있다. 더 이상 우유 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젖소는 도축되어 가공육으로 사용된다.

젖소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는 스트레스이다. 레스터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젖소에게 진정 효과가 있는 음악을 들려주면 스트레스가 감소하여 우유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한다.

6. 1. 광우병 (BSE)

소해면상뇌증(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은 흔히 광우병으로 불리는 질병이다. BSE 프리온이라는 병원체에 소가 감염되면 뇌 조직이 스펀지처럼 변하며, 이상 행동, 운동 실조 등을 보이다가 결국 사망한다. BSE에 감염된 소의 뇌와 척수 등을 원료로 한 사료가 다른 소에게 먹이로 주어진 것이 감염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영국을 중심으로 BSE 감염이 확산되었으며, 일본에서도 2001년 9월부터 2009년 1월까지 36마리의 감염 소가 발견되었다.[157]

6. 2. 성장 호르몬 (rBST) 사용

유전자 재조합 소 성장 호르몬(rBST영어)은 젖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지만, 젖소의 건강을 해치는 부작용이 있다. rBST영어를 사용하여 생산된 우유는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을 수 없다. 현재 일본에서는 rBST영어 사용이 승인되지 않았지만, rBST영어 사용이 승인된 국가에서 생산된 치즈나 원유의 수입은 규제되지 않는다.[31]

6. 3. 항생제 사용

일본에서 육우(肉用牛)로 사용된 젖소가 광우병(BSE)에 걸린 문제로 인해, 풀이나 곡물 외에 육골분(肉骨粉) 등도 사료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어떤 사료로 키워졌는지 등 식품 안전과 관련된 추적관리가 확립되었다.

유전자 재조합 소 성장 호르몬(rBST, bovine somatotropin|보바인 소마토트로핀영어)은 젖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지만, 암소의 건강을 해치는 부작용이 있다. rBST를 사용하여 생산된 우유는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을 수 없다. 현재 rBST는 일본에서는 사용 승인되지 않았지만, rBST 사용이 승인된 국가에서 생산된 치즈나 원유의 수입은 규제되지 않는다.

7. 한국 낙농업의 미래

한국 낙농업은 생산성 향상과 함께 동물 복지, 환경 문제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지속 가능한 낙농업 발전을 위해 정부, 농가, 소비자의 협력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Mammals of Wisconsin http://www4.uwsp.edu[...] 2012-03-29
[2] 보고서 Profits, Costs, and the Changing Structure of Dairy Farming https://www.e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7-09-04
[3] 웹사이트 Milk and Milk Products, UK Dairy Industry http://www.defra.gov[...]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10-09-03
[4] 웹사이트 New Zealand Dairy Statistics 2009–2010 http://www.lic.co.nz[...] Dairy NZ 2010
[5] 웹사이트 Industry Statistics http://www.dairyaust[...] Dairy Australia 2011-01-05
[6] 웹사이트 Milk Cows and Production Estimates 2003–2007 http://usda.mannlib.[...] 2009-03
[7] 웹사이트 The Changing Landscape of U.S. Milk Production http://www.ers.usda.[...] Statistical Bulletin Number 978,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2-06
[8] 웹사이트 Dairy Animal Registrations – Canadian Dairy Information Centre (CDIC) http://www.dairyinfo[...]
[9] 논문 Intensive dairy farming systems from Holland and Brazil http://www.scielo.br[...] 2016-12
[10] 웹사이트 About dairy cows https://www.ciwf.com[...]
[11] 웹사이트 Cattle Teaching and Research Center http://www.ans.msu.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0-11-04
[12] 웹사이트 Bos taurus http://animaldiversi[...] 2011-01-13
[13] 웹사이트 Calf Housing and Environments Series http://vetextension.[...] Veterinary Medicine Extension 2010-12
[14] 웹사이트 Market Cows: A Potential Profit Center http://www.livestock[...] University of Illinois Extension 2002-03-13
[15] 웹사이트 Livestock Slaughter Annual Summary http://usda.mannlib.[...] 2015-04
[16] 논문 Effects of early separation on the dairy cow and calf 2001-01
[17] 논문 Response of dairy cows and calves to early separation: Effect of calf age and visual and auditory contact after separation 2008-03
[18] 웹사이트 Feeding the Newborn Dairy Calf https://extension.ps[...]
[19] 논문 Effect of feeding strategy and social housing on behaviour at weaning in dairy calves 2015-07
[20] 논문 The effects of social contact and milk allowance on responses to handling, play, and social behavior in young dairy calves 2012-11
[21] 웹사이트 Code of Practice for the Care and Handling of Beef Cattle https://www.nfacc.ca[...]
[22] 웹사이트 Managing the Transition Cow http://www.livestock[...] University of Illinois Extension 1999-02-24
[23] 웹사이트 Life Cycle and Lactation Cycle of Dairy Cows: Life Cycle of Typical Milk Producing Dairy Cow http://vetstudentres[...]
[24] 웹사이트 Managing Cow Lactation Cycles http://www.thecattle[...] 2015-05-18
[25] 웹사이트 What Causes a Cow to Stop Producing Milk / 8 Videos – Farm Animal Report https://www.farmanim[...] 2020-07-17
[26] 웹사이트 Holstein http://www.austrex.c[...] 2016-10-30
[27] 웹사이트 12,000 liters milk per cow! http://www.mb.com.ph[...] 2009
[28] 웹사이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indigenous cattle breeds in Zambia – which way forward? – Stories, NAFA http://www-naweb.iae[...]
[29] 웹사이트 Farm structures ... – Ch10 Animal housing: Cattle housing http://www.fao.org/3[...]
[30] 웹사이트 Benzene https://pubchem.ncbi[...]
[31] 논문 Dairy cows trapped between performance demands and adaptability 2009-05
[32] 논문 Monitoring cow comfort and rumen health indices in a cubicle-housed herd with an automatic milking system: a repeated measures approach 2015-12
[33] 웹사이트 Heat Detection and Timing of Insemination for Cattle https://extension.ps[...] 2016-05-17
[34] 논문 Two- or Four-Hour Lying Deprivation on the Behavior of Lactating Dairy Cows 2007-03
[35] 논문 Effect of feeding duration and rumen fill on behaviour in dairy cows 2000-12
[36] 논문 Time of Feed Delivery Affects the Feeding and Lying Patterns of Dairy Cows 2005-02-01
[37] 논문 Assessing cow comfort: effects of two floor types and two tie stall designs on the behaviour of lactating dairy cows 2001-02-01
[38] 문서 Dairy Cow Comfort – Free-stall Dimensions 2024-08-01
[39] 뉴스 Water Beds for Cattle? These Cows Milk It for All It's Worth https://www.latimes.[...] 2021-05-26
[40] 웹사이트 Types of Dairy Barns – Canadian Dairy Information Centre (CDIC) http://dairyinfo.gc.[...] 2018-01-29
[41] 논문 Photoperiodic Effects on Dairy Cattle: A Review 2000-04-01
[42] 논문 Effects of a Long Daily Photoperiod on Milk Yield and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1 1997-11-01
[43] 논문 Effects of Photoperiodic Manipulation During the Dry Period of Dairy Cows 2000-05-01
[44] 웹사이트 Milk Microbiology | MilkFacts.info http://www.milkfacts[...]
[45] 웹사이트 Dairy Facts and Figures – Canadian Dairy Information Centre (CDIC) http://dairyinfo.gc.[...] 2018-01-29
[46] 논문 Whey protein 2011-01-01
[47] 웹사이트 FAQs DPAC-ATLC http://www.dpac-atlc[...] 2018-04-03
[48] 웹사이트 Livestock:: Cattle:: Artificial InseminationAnimal Husbandry :: Home https://agritech.tna[...] 2021-05-22
[49] 웹사이트 Estrus Synchronization of Dairy Cattle https://extension.ms[...] 2018-03-28
[50] 웹사이트 Heat Detection and Timing of Insemination for Cattle https://web.archive.[...] 2018-04-03
[51] 웹사이트 How big data created the modern dairy cow https://worksinprogr[...] 2024-12-06
[52] 웹사이트 Dairy 2007 Part II: Changes in the U.S. Dairy Cattle Industry, 1991–2007 https://web.archive.[...]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2010-01-27
[53] 논문 Update on human health concerns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use in dairy cows 2014-04-01
[54] 웹사이트 Recombinant Bovine Growth Hormone https://www.cancer.o[...] 2024-05-21
[55] 논문 The regulation of rbST: the European case 2000-01-01
[56] 웹사이트 Why is the artificial growth hormone rbST banned in Canada? Canadian Goodness https://dairyfarmers[...] 2024-05-21
[57] 웹사이트 rBGH: What the Research Shows https://www.foodandw[...] 2024-05-21
[58] 웹사이트 Report on Public Health Aspects of the Use of Bovine Somatotrophin https://food.ec.euro[...] 2024-05-21
[59] 웹사이트 https://www.fda.gov/[...] 2022-03-01
[60] 웹사이트 National Drug Residue Milk Monitoring Program https://www.fda.gov/[...] FDA 2020-04-08
[61] 웹사이트 Formulating dairy cow rations https://extension.um[...]
[62] 웹사이트 Feeding Barley to Dairy Cattle http://www.ag.ndsu.e[...] 2010-06-02
[63] 웹사이트 Feeding Dairy Cattle for Proper Body Condition Score https://web.archive.[...] 2010-06-02
[64] 웹사이트 Fats Defined https://web.archive.[...] 2010-06-02
[65] 웹사이트 Purebred Dairy Cattle Association http://www.purebredd[...] 2014-09-17
[66] 웹사이트 Facts about Holstein Cattle http://www.holsteinu[...] Holstein Association USA
[67] 웹사이트 Breeds – Brown Swiss http://www.thecattle[...] 2016-02-09
[68] 웹사이트 Breeds – Ayrshire http://www.thecattle[...] 2016-02-09
[69] 웹사이트 Breeds – Guernsey http://www.thecattle[...] 2016-02-09
[70] 서적 Cow Talk http://www.publish.c[...] CSIRO Publishing
[71] 웹사이트 Dairy Cattle management I Mshindo media https://www.mshindov[...] 2021-05-23
[72] 논문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animal interactions on cattle flow and worker safety on Minnesota dairy farms 2014-07
[73] 웹사이트 Beef Quality Assurance – BQA – Online Certifications https://www.bqa.org/[...] 2021-05-22
[74] 논문 Behaviour, performance and health indicators of welfare for dairy cows housed in strawyard or cubicle systems 2001-03
[75] 논문 Invited Review: Bovine Studies on Optimal Lengths of Dry Periods 2003-10
[76] 백과사전 Moral Vegetarian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5-22
[77] 웹사이트 2.酪農経営関連の基礎的データ https://www.j-milk.j[...] 一般社団法人Jミルク
[78] 문서 高泌乳牛の参加ストレスを取り除け https://www.thms.jp/[...] 株式会社トータルハードマネジメントサービス
[79] 웹사이트 令和2年度(2020 年度) 普及に移す農業技術(第2回) https://www.agries-n[...] 2023-07-14
[80] 웹사이트 Size matters: Halting the trend towards bigger dairy cows https://www.dairyglo[...] 2022-11-29
[81] 서적 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を学ぶ 動物行動学の視座から 東京大学出版会 2024-08-05
[82] 웹사이트 乳用牛の移行期(誕生・離乳・分娩)飼養管理 〜健全性と生産性のジレンマ〜 http://www.kachikuka[...] 2023-03-30
[83] 웹사이트 乳用子牛の育成 - 特に哺育期の飼養についての留意点 https://www.snowseed[...] 2024-06-24
[84] 웹사이트 平成 26 年度国産畜産物安心確保等支援事業(快適性に配慮した家畜の飼養管理推進事業)乳用牛の飼養実態アンケート調査報告書 http://jlta.lin.gr.j[...] 2022-03-05
[85] 웹사이트 New regulations for Canadian dairy farmers https://www.dairyglo[...] 2023-04-11
[86] 웹사이트 COUNCIL DIRECTIVE 2008/119/EC of 18 December 2008 laying down minimum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calves https://eur-lex.euro[...] 2023-04-11
[87] 웹사이트 The life of: dairy cows https://www.ciwf.org[...] 2022-12-17
[88] 문서 1950年に家畜改良増殖法が制定され、人工授精普及の基盤が確立し、今日では日本の牛の繁殖はほとんど全てが人工授精によってなされている。
[89] 서적 子牛の科学 緑書房 2009-11-20
[90] 서적 ライフステージで見る牛の管理 緑書房 2017-07-20
[91] 웹사이트 乳用牛の飼養実態アンケート調査報告書 http://jlta.lin.gr.j[...] 平成26年度国産畜産物安心確保等支援事業、社団法人・畜産技術協会
[92] 서적 最新農業技術 畜産vol8 一般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2015-10-31
[93] 웹사이트 乳廃牛 ことば辞典 http://www.dairy.co.[...] 一般社団法人 中央酪農会議
[94] 뉴스 クローン牛、静かな最期 「畜産に貢献しない」と言われ https://digital.asah[...] 2024-04-14
[95] 논문 広大農場乳牛における除籍状況からみた牛群管理の方向性 https://doi.org/10.1[...] 2017-10
[96] 문서 牛が牛舎から出て行った理由がわかりますか?~検定成績表の除籍理由を活用しよう! http://hiroraku.saku[...] 『酪農だよりひろしま』No.221 2012-08
[97] 웹사이트 乳用牛の飼養実態アンケート調査報告書 https://jlta.jp/test[...] 2024-07-29
[98] 웹사이트 Access online: OIE -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https://www.oie.int/[...] 2020-10-06
[99] 논문 Comparison of ketosis, clinical mastitis, somatic cell count,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between free stall and tie stall barns in Norwegian dairy herds with automatic feeding https://pubmed.ncbi.[...] 1997
[100] 논문 The Effect of the Housing System on the Welfare Quality of Dairy Cows https://doi.org/10.4[...] 2014-01-01
[101] 웹사이트 令和6年度第1回国際獣疫事務局(WOAH)連絡協議会 議事概要 https://www.maff.go.[...] 2024-09-19
[102] 뉴스 メーカー世界大手 つなぎ牛舎製品販売終了 AW規制、需要縮小が影響 https://www.agrinews[...] 2023-12-11
[103] 웹사이트 海外情報 豪州 畜産の情報 2024年11月号 豪州における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の現状と今後の見通し https://www.alic.go.[...] 2024-10-29
[104] 논문 Preliminary merged aeromagnetic map of Southwest Washington https://doi.org/10.3[...] 1995
[105] 웹사이트 Welfare of dairy cows EFSA Panel on Animal Health and Animal Welfare (AHAW) https://efsa.onlinel[...] 2024-03-09
[106] 웹사이트 Denmark launches first animal welfare agreement https://www.eurogrou[...] 2024-03-09
[107] 웹사이트 Denmark launches first animal welfare agreement https://www.eurogrou[...] 2024-12-19
[108] 웹사이트 海外情報 畜産の情報 2022年9月号 酪農大国ドイツにおける持続可能性への取り組み https://www.alic.go.[...] 2022-08-25
[109] 웹사이트 酪農大国ドイツにおける持続可能性への取り組み https://www.alic.go.[...] 2022-12-08
[110] 웹사이트 畜産の情報2022年9月号 酪農大国ドイツにおける持続可能性への取り組み https://www.alic.go.[...] 2022-12-08
[111] 웹사이트 根室農業改良普及センター技術情報 牛をきれいに飼うカウトレーナーの活用 | 根室振興局産業振興部根室農業改良普及センター http://www.nemuro.pr[...] 2020-10-01
[112] 웹사이트 AWと乳用牛生産システムのOIEコード改正第2案に対して意見提出 https://animals-peac[...] 2022-09-06
[113] 웹사이트 哺乳育成期子牛の栄養管理が発育に及ぼす影響 http://www.kachikuka[...] 2022-03-05
[114] 웹사이트 Information sheet 6 www.compassioninfoodbusiness.com Page 1 Dairy Cow-Calf Separation and Natural Weaning https://www.compassi[...] 2022-03-05
[115] 웹사이트 How much saleable milk is lost in a cow-calf contact system? https://www.dairyglo[...] 2023-10-30
[116] 서적 黒い牛乳 : 自然を目指す酪農 幻冬舎メディアコンサルティング 2009
[117] 웹사이트 「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に関する飼養管理指針」に関する 生産現場における取組状況について (令和5年度に実施した試行調査の結果) ~乳用牛~ https://www.maff.go.[...] 2024-07-29
[118] 웹사이트 乳用牛の飼養管理に関する技術的な指針 https://www.maff.go.[...] 2024-05-01
[119] 웹사이트 陸生動物衛生規約の動物福祉コードの「動物福祉と乳用牛の生産システム」の章 http://www.oie.int/i[...]
[120] 웹사이트 Calf disbudding – animal welfare considerations https://www.tandfonl[...] 2024-05-01
[121] 웹사이트 イラストレーター用ゴムリング https://item.rakuten[...] 2020-09-29
[122] 논문 搾乳牛の断尾に対する農家の意識 https://agriknowledg[...] 信州大学農学部附属アルプス圏フィールド科学教育研究センター 2007-03
[123] 웹사이트 海外情報 米国 畜産の情報 2022年8月号 米国畜産業における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へ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alic.go.[...] 2022-07-28
[124] 논문 ウシの舌遊び行動に関する研究―誘発要因,個体差ならびに機能―
[125] 서적 ウシの科学 朝倉書店 2013-11-25
[126] 웹사이트 と畜場での残酷な行為を廃止してください https://www.change.o[...] 2022-01-06
[127] 논문 と畜場の繋留所における家畜の飲用水設備の設置状況 https://agriknowledg[...] 日本獣医師会 2013
[128] 웹사이트 CHAPTER 7.5. SLAUGHTER OF ANIMALS https://www.oie.int/[...] OIE 2022-01-26
[129] 웹사이트 と畜場の施設及び設備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 https://hanaki-eng.c[...] 2020-10-02
[130] 웹사이트 牛の一般疾病 {{!}} 十勝NOSAI https://www.tokachi-[...] 2020-10-01
[131] 웹사이트 牛コラム(38ページ目) https://blog.goo.ne.[...] 2020-09-29
[132] 서적 最新農業技術 畜産vol11 一般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2018-11-05
[133] 서적 最新農業技術 畜産vol12 一般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2020-03-30
[134] 서적 最新農業技術 畜産vol10 一般社団法人農山漁村文化協会 2017-09-05
[135] 서적 ウシの科学 朝倉書店 2013-11-25
[136] 서적 農業技術Vol13 一般社団法人農村漁村文化協会 2021-02-10
[137] 간행물 蹄病(ルーメンアシドーシス) http://www.nissangos[...] 日産合成工業株式会社 2010-07
[138] 웹사이트 How cow lameness hits dairy farm profitabilit https://www.dairyglo[...] 2022-12-08
[139] 뉴스 日本装削蹄協会の蹄病調査中間報告 日本農業新聞 2017-04-16
[140] 웹사이트 The role of cow claw trimming in welfare and profitability https://www.dairyglo[...] 2022-09-13
[141] 논문 カウコンフォートを考える3―乳牛の跛行 http://home.hiroshim[...] 2007
[142] 웹사이트 Why Is the Grass the Best Surface to Prevent Lameness? Integrative Analysis of Functional Ranges as a Key for Dairy Cows' Welfare https://pubmed.ncbi.[...] 2022-09-06
[143] 웹사이트 What is the best surface to prevent lameness in dairy cows? https://www.dairyglo[...] 2023-06-26
[144] 논문 乳牛の跛行 https://agriknowledg[...] 養賢堂 2009-06
[144] 논문 乳牛の管理と蹄病 https://obihiro.repo[...] 日本家畜臨床学会・大動物臨床研究会 2017-11
[145] 웹사이트 Maintaining hoof health through nutrition https://www.dairyglo[...] 2023-08-16
[146] 웹사이트 家畜診療所だより79 http://hyougo.lin.gr[...] 2020-10-01
[147] 웹사이트 牛の大腸菌性乳房炎全身症状を伴う乳房炎 http://www.naro.affr[...] 2015
[148] 웹사이트 新たな乳房炎対策としての乳房炎ワクチン http://www.tokachi-n[...] 十勝農業共済組合
[149] 웹사이트 搾乳関連機器-点検のポイント http://www.orionkika[...] オリオン機械
[150] 논문 高泌乳牛の周産期病の発生要因と栄養管理によるその予防 https://agriknowledg[...] 養賢堂 2012-02
[151] 웹사이트 乳牛の大腸菌性乳房炎における初診時非抗生物質療法の検討 http://www.hiro-vet.[...] 2022-07-28
[152] 웹사이트 今日の「なつぞら」畜産部解説: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01-14
[153] 서적 ファーマゲドン 日経BP社 2020-01-22
[154] 웹사이트 糞の状態で牛群の健康チェック http://thms.jp/thms2[...] 株式会社トータルハードマネジメントサービス
[155] 웹사이트 恐ろしい乳牛の産後疾病(3) http://www.nissangos[...] 日産合成工業株式会社 学術・開発部
[156] 웹사이트 「第四胃について学ぼう 出産時の味噌汁が効果的 低カル血症や採食低下が四変の原因に」 http://www.rakunou.o[...] 一般社団法人全国酪農協会 2007
[157] 웹사이트 牛海綿状脳症(BSE)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