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이/프시 중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이/프시 중간자는 1974년 버턴 릭터와 새뮤얼 차오 충 팅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된 맵시 쿼크와 반 맵시 쿼크로 이루어진 중성 입자이다. 이 발견은 맵시 쿼크의 존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11월 혁명'으로 불리며 197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계기가 되었다. 제이/프시 중간자는 쿼크 모형과 GIM 메커니즘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예측되었으며, 맵시 쿼크의 발견은 기본 입자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제이/프시 중간자는 0의 전하, 스핀 1, 아이소스핀 0, G-패리티 음수를 가지며, 붕괴 모드와 쿼크-글루온 플라즈마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늄 - 포지트로늄
    포지트로늄은 전자와 양전자가 결합된 가벼운 원자로, 스핀 방향에 따라 파라포지트로늄과 오르토포지트로늄으로 나뉘며 양자전기역학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자연적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 오늄 - 입실론 중간자
    입실론 중간자(Υ)는 바닥 쿼크(\mathrm{b})와 그 반입자(\mathrm{\overline{b}})로 이루어진 중성 하드론으로, 1977년 리언 레더먼에 의해 발견되어 3세대 쿼크의 존재 증명에 기여했으며, 입자 물리학 실험에서 B 중간자 연구에 활용된다.
  • 중간자 - 입실론 중간자
    입실론 중간자(Υ)는 바닥 쿼크(\mathrm{b})와 그 반입자(\mathrm{\overline{b}})로 이루어진 중성 하드론으로, 1977년 리언 레더먼에 의해 발견되어 3세대 쿼크의 존재 증명에 기여했으며, 입자 물리학 실험에서 B 중간자 연구에 활용된다.
  • 중간자 - 벡터 보손
    벡터 보손은 양자장론에서 스핀이 정수인 입자를 지칭하며, 질량을 가진 경우 세 가지 스핀 고유값을 갖고, W 보손과 Z 보손은 힉스 메커니즘으로 질량을 얻어 힉스 입자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핀이 1인 아원자 입자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스핀이 1인 아원자 입자 - 글루온
    글루온은 쿼크 사이의 색력을 전달하는 기본 입자로, 색전하를 지닌 벡터 보손이며, 양자색역학에 따라 8가지 종류가 존재하고, 쿼크와 상호작용하여 하드론을 형성하지만 색 가둠 현상으로 인해 자유롭게 관측되지는 않는다.
제이/프시 중간자
기본 정보
구성매력 쿼크 + 반매력 쿼크
종류중간자
통계보손적
상호작용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 중력
반입자자기 자신
발견SLAC: 버튼 리히터 외 (1974년)
BNL: 사무엘 팅 외 (1974년)
질량()
붕괴 입자3 또는 +2 또는
전하0 e
스핀1 ħ
아이소 스핀0
초전하0
패리티-1
C-패리티-1
명명법
영어 명칭J/ψ meson (제이/프시 중간자)
특성
질량 (MeV/c²)3096.9
폭 (keV)93.2 ± 2.1
C0
B0
T0
쿼크 구성c
붕괴
주요 붕괴 모드강한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
붕괴 생성물다양한 하드론, 광자
기타
관련 입자(ηc) - 질량:
의 수명:
역사적 맥락
노벨상 수상1976년 물리학상 수상 (버튼 리히터, 사무엘 팅)

2. 역사

1970년 미국의 셸던 글래쇼와 그리스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산마리노의 루치아노 마이아니는 맛깔을 바꾸는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당시 알려졌던 세 가지 쿼크(위 쿼크, 아래 쿼크, 기묘 쿼크) 외에 제4의 쿼크(맵시 쿼크)의 존재를 예측했다. (GIM 메커니즘) 1974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맵시 쿼크로만 이루어진 중간자의 존재가 예측되었다.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버턴 릭터[13][14]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새뮤얼 팅[15] 1974년에 독자적으로 J/ψ 중간자를 발견하였고, 그해 11월 11일에 공동으로 발표하였다. 팅은 이 입자를 "제이(J)"라고 이름붙였으며, 릭터는 "프시(ψ)"로 이름붙였다. 결국 두 독립적인 발견을 모두 인정하여 "제이/프시(J/ψ)"로 이름붙여졌다. 이 입자는 곧 예견된 맵시 쿼크로 이루어진 중간자임이 밝혀졌다. J/ψ의 발견은 맵시 쿼크의 존재를 증명하였고, 학계는 곧 관련된 많은 이론적·실험적 성과를 이뤘다. 이 사건을 독일11월 혁명에 빗대 '''11월 혁명'''(November Revolution영어)이라고 부른다. 이 공로로 릭터와 팅은 1976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ψ의 유래는 리히터 등이 실험에 사용한 가속기 SPEAR에 따라 그리스 문자 ψ는 발음 안에 S와 P가 모두 포함되어 있고, 스파크 챔버에서 발견되었을 때 입자의 궤적이 그리스 문자 ψ의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J의 유래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K 중간자의 바로 앞 알파벳인 J를 채택했다고도 하고, 팅의 성씨의 한자 표기 '丁'과 유사한 알파벳 J가 선택되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2. 1. 이론적 배경 (GIM 메커니즘)

1960년대에 기본 입자 물리학에 대한 최초의 쿼크 모형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양성자, 중성자, 그리고 다른 모든 중입자 및 모든 중간자가 세 종류의 분수 전하 입자인 "쿼크"로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이 세 가지는 ''업'', ''다운'', ''스트레인지''였다.[3] 당시 쿼크 모형은 "기본 입자 동물원"에 질서를 부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더 심오한 물리적 이유의 단순한 산물인 일종의 수학적 허구로 여겨졌다.[3]

1970년에 미국의 셸던 글래쇼와 그리스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산마리노의 루치아노 마이아니는 맛깔을 바꾸는 붕괴를 설명하기 위하여 당시에 알려졌던 세 가지 쿼크(위 쿼크, 아래 쿼크, 기묘 쿼크) 외에 제4의 쿼크, 맵시 쿼크의 존재를 예측하였다(이를 "GIM 메커니즘"이라고 부른다). GIM 메커니즘은 스트레인지 쿼크에 상응하는 네 번째 쿼크인 맵시 쿼크가 있다면 맛깔을 바꾸는 붕괴가 억제될 것임을 보여주었다. 1974년 여름까지 이 연구는 맵시 쿼크와 반(反)맵시 쿼크로 이루어진 중간자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이론적 예측으로 이어졌다.

2. 2. 실험적 발견 (11월 혁명)

1974년,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의 버턴 릭터 그룹과[13][14]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BNL)의 새뮤얼 팅 그룹은[15] 각각 독립적으로 J/ψ 중간자를 발견하였다. 릭터는 이 입자를 '프시(ψ)'로, 팅은 '제이(J)'로 명명하였으며, 이후 두 발견을 모두 인정하여 'J/ψ'로 불리게 되었다.

J/ψ 중간자의 발견은 맵시 쿼크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증명한 사건이다. 이는 독일11월 혁명에 빗대어 '''11월 혁명'''(November Revolution영어)이라 불리며, 입자 물리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릭터와 팅은 이 공로로 1976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3. J/ψ 입자의 특성

OZI 규칙에 의해 강입자 붕괴 모드가 강하게 억제되어, 의 매우 좁은 붕괴 폭을 갖는다. 이러한 억제 때문에 전자기적 붕괴가 강입자 붕괴와 경쟁하며, 렙톤으로의 분기비가 상당하다.[5]

전하는 0, 스핀은 1, 아이소스핀은 0, G-패리티는 음수이다. 질량은 3096.9 MeV, 붕괴 폭은 0.093 MeV이다. 붕괴 채널은 약 88%가 두 개 또는 세 개의 하드론으로, 약 6%가 양전자-전자 쌍으로, 약 6%가 반뮤온-뮤온 쌍으로 붕괴한다.[12]

J/ψ 입자
입자명입자
기호
반입자
기호
쿼크
조성
불변 질량 (MeV/c2)IGJPCSCB'수명 (s)붕괴 과정
(>5% of decays)
J/ψ 입자[12]자신01−−000


3. 1. 기본 특성

OZI 규칙에 의해 강입자 붕괴 모드가 강하게 억제되어, 의 매우 좁은 붕괴 폭을 갖는다. 이러한 억제 때문에 전자기적 붕괴가 강입자 붕괴와 경쟁하며, 렙톤으로의 분기비가 상당하다.[5]

전하는 0, 스핀은 1, 아이소스핀은 0, G-패리티는 음수이다. 질량은 MeV/c2이며, 붕괴 폭은 이다. 붕괴 채널은 약 88%가 두 개 또는 세 개의 하드론으로, 약 6%가 e+e-, 약 6%가 μ+μ-이다.[12]

J/ψ 입자의 주요 붕괴 모드[5]
붕괴 모드분기비 (%)
→ 3
→ + 2
~
→ hadrons
→ +
→ +


3. 2. 붕괴 모드

OZI 규칙에 의해 J/ψ 중간자의 강입자 붕괴가 억제되어, 수명이 길고 붕괴 폭이 좁다.[5] 이러한 억제 효과로 인해 전자기적 붕괴가 강입자 붕괴와 경쟁하며, 렙톤 쌍(전자-양전자, 뮤온-반뮤온) 생성으로 붕괴하는 비율이 상당하다.

주요 붕괴 모드는 다음과 같다.[5]

붕괴 모드비율
→ 3
→ + 2
~
hadrons
→ +
→ +


4. J/ψ 용융 (J/ψ melting)

고온의 QCD 매질에서 온도가 하게도른 온도를 훨씬 넘어서면, J/ψ와 그 여기 상태가 녹을 것으로 예상된다.[6] 이는 쿼크-글루온 플라즈마 형성의 예측 신호 중 하나이다. CERN의 초 양성자 싱크로트론과 BNL의 상대론적 중이온 충돌기에서 수행된 중이온 실험은 2009년까지 결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이 현상을 연구했다. 이는 J/ψ 중간자의 소멸이 모든 참 쿼크를 포함하는 소립자의 총 생성량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며, 일부 J/ψ가 QGP 해드론화 시점에 생성 및/또는 파괴될 것으로 널리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 충돌 시의 지배적인 조건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실제로, 억제 대신에 J/ψ의 생성 증가는 LHC에서의 중이온 실험에서 예상되며,[7] 여기서 쿼크 재결합 생성 메커니즘이 QGP 내 참 쿼크가 풍부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지배적일 것이다. J/ψ 외에도, 참 B 중간자는 해드론화 시에 쿼크가 자유롭게 움직이고 마음대로 결합하여 해드론을 형성한다는 신호를 제공한다.[8][9]

5. 이름의 유래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버턴 릭터[13][14]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새뮤얼 팅[15] 1974년에 독자적으로 발견하여 그해 11월 11일에 공동으로 발표하였다. 팅은 이 입자를 "제이"(J영어)라고 이름붙였으며, 릭터는 "프시"(ψel)로 이름붙였다. 결국 두 독립적인 발견을 모두 인정하여 "제이/프시"(J/ψ영어)로 이름붙여졌다.

대부분의 과학계는 두 발견자 중 한 명에게 우선권을 주는 것이 부당하다고 여겼다.

J/ψ의 첫 번째 들뜬 상태는 ψ′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양자 상태를 나타내는 ψ(2S)라고 불린다. 다음 들뜬 상태는 ψ″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질량을 나타내는 ψ(3770)이라고 불린다. 다른 벡터 중간자 charm-반 charm 상태는 ψ와 (알려진 경우) 양자 상태 또는 질량으로 유사하게 표시된다.[11] 릭터의 그룹만 처음으로 들뜬 상태를 발견했기 때문에 "J"는 사용되지 않는다.

''차모늄''(charmonium)이라는 이름은 및 기타 charm-반 charm 결합 상태에 사용된다.

5. 1. ψ (프시)

ψel (프시)라는 명칭은 버턴 리히터가 주도한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 그룹이 붙였다. 리히터는 SLAC에서 사용된 SPEAR 가속기의 이름을 따서 "SP"로 명명하려 했으나, 동료들의 반대로 그리스 문자인 ψel를 선택했다. ψel는 발음 안에 S와 P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스파크 체임버에서 발견되었을 때 입자의 궤적이 ψel 모양과 유사했기 때문이다.[10]

5. 2. J (제이)

팅은 이 입자에 'J'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J'의 유래는 명확히 기록되지 않았으나, K 중간자 바로 앞 알파벳인 J를 채택했다는 설과 팅의 성씨의 한자 표기 '丁'과 유사한 알파벳 J를 선택했다는 설이 있다.[4]

참조

[1] 서적 Quark-Gluon Plasma: Theoretical Foundations: An Annotated Reprin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2014-09-25
[2] 간행물 Shared Physics prize for elementary particle https://www.nobelpri[...]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1976-10-18
[3] 서적 Constructing Quark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문서 'We discussed the name of the new particle for some time. Someone pointed out to me that the really exciting stable particles are designated by Roman characters – like the postulated W0, the intermediate vector boson, the Z0, etc. – whereas the “classical” particles have Greek designations like ρ, ω etc. This, combined with the fact that our work in the last decade had been concentrated on the electromagnetic current j_\mu (x) gave us the idea to call this particle the J particle.' https://www.nobelpri[...]
[5] 논문 J/ψ(1S) https://pdg.lbl.gov/[...] Lawrence Berkeley Laboratory
[6] 논문 J/ψ suppression by quark–gluon plasma formation
[7] 논문 Enhanced J/ψ production in deconfined quark matter
[8] 논문 Bc-meson production in ultrarelativistic nuclear collisions
[9] arXiv Bc mesons as a signal of deconfinement
[10] 웹사이트 Physics Folklore http://ed.fnal.gov/s[...] QuarkNet 2006-08-08
[11] 웹사이트 Naming schemes for hadrons http://pdg.lbl.gov/2[...]
[12] 문서 PDG
[13] 저널 Discovery of a Narrow Resonance in e+e− Annihilation
[14] 웹사이트 프시 입자 발견에 대한 내용을 적은 SLAC 연구진 연구 노트 http://www.symmetrym[...]
[15] 저널 Experimental Observation of a Heavy Particle 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