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은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이어진 라이베리아의 내전으로, 아메리카계 라이베리아인의 차별과 억압에 대한 불만이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80년 사무엘 도가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았지만 독재 정치와 부족 간 갈등으로 이어졌고, 1989년 찰스 테일러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의 봉기로 내전이 시작되었다. 내전은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사회·경제적 기반 파괴를 초래했으며, 국제사회의 개입과 평화 유지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7년 테일러의 집권으로 일단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990년 몬로비아에서 [[라이베리아 독립 국민애국전선|INPFL]] 민병대원
1990년 몬로비아의 대부분을 장악한 후의 INPFL 민병대원
분쟁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일부라이베리아 내전과 시에라리온 내전의 확산
기간1989년 12월 24일 – 1997년 8월 2일
장소라이베리아
결과NPFL의 승리
1990년 새뮤얼 케니언 도 정부 전복
1997년 찰스 테일러 대통령으로 선출
교전 세력
교전국 1라이베리아 정부
충성파 군대
ULIMO (1991–1994)
ULIMO-K (1994–1996)
ULIMO-J (1994–1996)
LPC (1993–1996)
LUDF (이후 ULIMO로 통합)
LDF (1993–1996)
지원 세력:
ECOMOG
(1990년부터)
(1990년부터)
(1990년부터)
(1990년부터)
(1990–1991년)
UNOMIL (1993년 9월 22일 – 1997년 9월 12일)
교전국 2반도 군대
NPFL
INPFL (1989–1992)
NPFL-CRC (1994–1996)
지원 세력:


[[파일:Sl RUF.png|border|22px]] RUF
지휘관
지휘관 1새뮤얼 케니언 도 (대통령)
헤제키아 보웬 (AFL 총사령관)
ULIMO:
알하지 크로마 (1994년부터 ULIMO-K)
루스벨트 존슨 (1994년부터 ULIMO-J)
랄레이 시키
제너럴 벗 네이키드 (1994년부터 ULIMO-J)
모하메드 자바테 (1994년부터 ULIMO-K)
LPC:
조지 볼리
LUDF:
앨버트 카르페
FDL:
프랑수아 마사코이
외국 지원:
사니 아바차
지휘관 2찰스 테일러
프린스 존슨
벤저민 예이튼
샘 도키
톰 워위유
[[파일:Sl RUF.png|22px]] 포데이 산코
무아마르 카다피
블레즈 콩파오레
병력
교전국 1450,000명
교전국 2350,000명
사상자
총 사망자~200,000명 (민간인 포함)

2. 역사적 배경

1982년, 미국 국방부 청사(펜타곤) 외부에서 캐스퍼 웨인버거 미 국방장관과 새뮤얼 도가 함께 찍은 사진.


1987년,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인 찰스 테일러는 새뮤얼 도의 독재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리비아에서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을 결성하고 게릴라전을 위한 군사 훈련을 받았다.

2. 1.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의 지배와 차별



라이베리아 정치는 오랫동안 미국 출신 흑인 노예 후손인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이 주도하는 휘그당이 지배해 왔으며, 라이베리아 원주민 부족들은 차별과 탄압을 받아왔다. 그러나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의 지배에 불만을 품은 크란족 출신의 사무엘 도 상사가 이끄는 원주민 부족들이 1980년에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인 윌리엄 R. 톨버트 대통령과 그의 정부 고위 관리들을 살해하고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의 정권을 무너뜨렸다.

2. 2. 1980년 쿠데타와 사무엘 도 정권

새뮤얼 도는 1980년 라이베리아 정부에 대한 대중 봉기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최초의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 출신이 아닌 라이베리아 대통령이 되었다. 도는 인민구원평의회라는 군사 정권을 수립했으며, 1847년 국가 건국 이후 권력에서 배제되었던 라이베리아 여러 민족 집단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도가 라이베리아의 통치 방식을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는 그가 쿠데타 시도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여 신속하게 반대파를 탄압하면서 사라졌다. 약속대로 도는 1985년 선거를 실시하여 결선 투표를 피할 만큼의 근소한 차이로 대통령직에 당선되었으나, 국제 감시단은 이 선거를 부정선거로 규탄했다.[4]

라이베리아의 정치는 오랫동안 미국 출신 흑인 노예 후손인 아메리코-리베리아인들이 주도하는 휘그당이 지배해 왔으며, 리베리아 원주민 부족들은 차별과 탄압을 받아왔다. 그러나 아메리코-리베리아인들의 지배에 불만을 품은 크란족 출신의 사무엘 도 상사가 이끄는 원주민 부족들이 1980년에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아메리코-리베리아인인 윌리엄 R. 톨버트 대통령과 그의 정부 고위 관리들을 살해하고 아메리코-리베리아인들의 정권을 무너뜨렸다.

도는 정권을 장악한 후 독재 정치를 시작하여 반대파를 체포하고 처형했다. 1985년 11월 12일에는 1980년 도의 쿠데타에 참여했던 기오족 출신의 토마스 콰이원파 장군이 이끄는 기오족과 마노족 구성원들이 도 정권에 반발하여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콰이원파를 비롯한 도에 반대한 기오족과 마노족 그룹들은 같은 달 15일에 처형되었다. 이후 도는 자신의 출신 부족인 크란족으로만 구성된 라이베리아군을 기오족과 마노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파병하여 보복으로 기오족과 마노족을 학살했다.

1986년 선거에서 도는 대규모 부정을 저지르고 대통령이 되었다.

2. 3. 1985년 쿠데타 시도와 기오족, 마노족 탄압

1980년 라이베리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사무엘 도는 반대파를 탄압하며 독재 정치를 펼쳤다. 1985년에는 도의 쿠데타에 참여했던 기오족 출신의 토마스 퀴원크파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5] 퀴원크파는 처형되었고, 그의 시신은 몬로비아의 대통령궁 앞에 공개 전시되었다.[6]

이후 도는 기오족과 마노족을 반역자로 몰아 탄압했다. 도는 자신의 부족인 크란족을 우대하고 기오족과 마노족을 차별했으며, 이들에 대한 학살을 자행했다. 이러한 부족 간의 갈등은 라이베리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3.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1989년 ~ 1997년)

1989년부터 1996년까지 라이베리아에서는 사뮤엘 도우 정권의 붕괴와 찰스 테일러의 대통령 당선으로 이어진 격렬한 내전이 발생했다. 이 내전은 라이베리아 군,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 라이베리아 독립 국민 애국 전선(INPFL) 등 여러 무장 세력 간의 복잡한 갈등이었다.

리비아에서 군사 훈련을 받은 찰스 테일러는 크란족 출신 사뮤엘 도우 대통령의 독재에 반발하여 기오족, 마노족과 연합하여 봉기했다. 1989년 12월 24일, 테일러가 이끄는 NPFL은 코트디부아르 국경을 넘어 님바 주 부투오 마을을 공격, 라이베리아군과 충돌하며 내전이 시작되었다.[7] 1990년, 라이베리아 전역으로 분쟁이 확산되었다. 사무엘 도 정권에 비판적이었던 로버트 필립스가 반역죄로 기소되어 고문을 당했고, 님바 주에서는 라이베리아군에 의해 기오족과 마노족 주민 500명이 학살당했다. NPFL 역시 부투오 마을에서 200명을 학살하는 등 양측의 잔혹 행위가 이어졌다.

1990년 2월, 프린스 존슨은 테일러의 친 리비아 정책에 반발, NPFL에서 이탈하여 INPFL을 결성했다. 테일러는 존슨을 반역죄로 처형하겠다고 위협했다.

수도 몬로비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정부군 통제력이 약화되자, 미국은 도우 정권 붕괴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해리 모니바 부통령 등 정권 내부에서도 도우에게 사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5월, 미 해병대는 샤프 에지 작전을 통해 라이베리아 주재 미국 대사관 직원과 미국인들을 구출했다. 6월 14일, 몬로비아 기독교 단체들은 미국 대사관 앞에서 내전 종식을 위한 미군 개입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도우는 미군 호위 하에 고향으로 안전하게 돌아갈 수 있다면 사임하겠다고 제안하고 미국 망명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미국은 도우 정권을 지원했지만, 내전의 원인이 도우의 독재에 있다고 판단하고 친미 성향의 존슨에게 기대를 걸었다.

1996년,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의 감시하에 치러진 선거에서 테일러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내전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테일러는 시에라리온 반군에게 무기를 지원하고 다이아몬드를 밀수출하여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를 받았고, 국가 재건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3. 1. 찰스 테일러의 봉기와 내전 발발

1989년 12월 24일, 찰스 테일러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이 코트디부아르 국경을 넘어 라이베리아 님바주 부투오 마을을 침공, 라이베리아군과 충돌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다.[7] NPFL은 사무엘 도 정권에 의해 탄압받던 기오족과 마노족의 지지를 받으며 세력을 확장했다.

프린스 존슨은 NPFL에서 활동했으나, 이후 기오족 중심의 게릴라전 세력인 라이베리아 독립민족애국전선(INPFL)을 결성하였다. 이는 테일러가 리비아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었다.

라이베리아군은 님바 주 주민 전체에 보복하며, 특히 만딩고족 민간인들을 공격하고 마을을 불태웠다. 많은 사람들이 기니와 코트디부아르로 피신했지만, 도에 대한 반대는 더욱 거세졌다.

3. 2. 내전의 전개와 잔혹 행위

라이베리아 국군(AFL)은 매우 잔혹한 초토화 작전을 펼쳐 현지 주민들의 반감을 샀다.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민간인이 학살당했고, 수십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피난했다. 특히 1990년 7월 29일, 모로비아 세인트 피터 루터 교회에서 약 30명의 크란족 정부군이 600명의 민간인을 학살한 사건은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에서 가장 끔찍한 단일 학살 사건으로 기록되었다.[11][12]

1990년 7월, 프린스 요르미 존슨은 찰스 테일러로부터 분리되어 라이베리아 독립 국민 애국 전선(INPFL)을 결성했다. INPFL과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은 도우 정권의 AFL이 방어하는 몬로비아에 대한 포위 공격을 계속했다. 당시 모로비아는 반군의 도시 진격으로 공황과 무정부 상태가 만연했으며, 라이베리아 군인들은 상점을 약탈하고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살해하는 등 "굶주린 사람들과 썩어가는 시체로 가득한 유령 도시"와 같았다고 한다.[14] 기아와 질병 또한 빠르게 확산되었다.[14]

사뮤엘 도우 사후, 만딩고족의 알하지 크로마(G. V. Kromah)가 이끄는 무슬림 계열 조직 라이베리아 민주 통일 해방 운동(ULIMO)(United Liberation Movement of Liberia for Democracy)의 "군사파"가 무장 봉기를 일으켰다. 1992년, 라이베리아는 에이모스 소여(Amos Sawyer)를 임시 대통령으로 하는 파벌, 테일러파, 존슨파 등으로 나뉘었고, 여기에 ULIMO에서 분리된 루즈벨트 존슨(Roosevelt Johnson)의 ULIMO 존슨파(ULIMO-J), ULIMO 크로마파(ULIMO-K) 등의 무장 세력도 가세하여 전투가 악화되었다. NPFL에는 5세 이상의 "차일드 솔저 유닛"이라고 불리는 소년병 부대가 있었지만, 다른 무장 세력에도 마찬가지로 소년병이 있었다.

3. 3. 사무엘 도의 체포와 처형 (1990년 9월)

1990년 9월 9일, 도는 마허 자유항에 있는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감시단(ECOMOG) 본부를 방문했다. 스티븐 엘리스에 따르면,[16] 도의 방문 목적은 ECOMOG 사령관이 국가원수인 자신에게 방문하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도가 자유항을 방문하게 된 정확한 경위는 불분명하며, 라이베리아 외부로 망명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었다. 도가 도착한 후, 프린스 존슨의 라이베리아 독립 국민 애국 전선(INPFL)이 이끄는 대규모 반군 부대가 도착하여 도의 일행을 공격했다. 도는 체포되어 INPFL의 콜드웰 기지로 끌려갔으며, 잔혹하게 고문을 당한 후 살해되고 시체가 훼손되었다. 그의 고문과 처형은 납치범들에 의해 비디오로 촬영되었다.[17][18]

사실상 미국에 버려진 도는 대통령 관저에 틀어박혀 있었지만, 마지막 희망으로 나이지리아이브라힘 바방기다 장군에게 ECOMOG의 중재로 INPFL과 동맹 협의를 하고 싶다고 요청했다. 도는 대통령 관저에서 몬로비아 ECOMOG 본부로 경호원 90명을 데리고 이동했다. 이 사실은 몬로비아에 주둔하던 INPFL의 존슨에게 전달되었고, 존슨은 도를 기습 체포하기 위해 ECOMOG 측에 협의 의사를 밝혔다. 존슨을 신뢰한 도는 ECOMOG 본부에서 존슨을 기다렸다.

존슨은 도를 체포하기 위해 지프에 무기를 숨기고 (ECOMOG 본부에는 규정상 무기를 가지고 들어갈 수 없었기에, 도의 경호병 90명도 ECOMOG 본부 앞에 무기를 두었다) 부하 20명을 ECOMOG 본부로 향하게 했다. ECOMOG 본부에 들어온 INPFL 병사들은 참모 본부에 있던 무장 해제된 경호병 90명을 전원 살해하고, 도가 기다리는 참모 본부 2층에 침입했다. 가나인 ECOMOG 사령관 아놀드 쿠아이노는 저항을 포기하고 도를 INPFL에 쉽게 넘겨주었다. 도는 존슨이 기다리는 INPFL 진영으로 끌려가 린치를 당했다. 사무엘 도는 필사적으로 협상하려 했지만, 존슨은 도의 말을 듣지 않고 부하들에게 명령하여 도의 귀와 손가락, 코를 자르는 등 잔혹한 고문을 가한 후, 도를 총살했고, 도 정권은 붕괴되었다.

3. 4.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의 개입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1990년 8월, 16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경제 공동체 감시단(ECOMOG)을 나이지리아의 지휘하에 라이베리아에 파병하기로 합의했다.[15] 이후 우간다와 탄자니아 등 ECOWAS 비회원국 군대도 ECOMOG 임무에 참여했다. ECOMOG는 휴전을 강제하고, 라이베리아 국민들이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임시 정부를 수립하도록 지원하며, 무고한 민간인의 희생을 막고, 외국인의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5]

ECOMOG는 또한 라이베리아와 복잡한 국가, 경제, 민족언어적 관계를 공유하는 이웃 국가들로 내전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자 했다.[15] ECOWAS는 사뮤엘 도우에게 사임 후 망명을 설득하려 했으나, 그는 자신의 약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했다. 1990년 8월 24일, 나이지리아와 가나 선박에서 내린 ECOWAS 개입군 ECOMOG는 몬로비아 자유항에 도착했다.[15]

3. 5. 평화 협상 시도와 실패

1990년대 초반, 지역 수도에서 여러 차례 평화 회담이 열렸다. 1990년 11월 바마코, 1991년 1월 로메, 1991년 6월~10월 야무수크로에서 회담이 열렸으나, 야무수크로 I-IV 과정을 포함한 최초 7차 평화 회담은 모두 실패했다.[1] 1990년 11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라이베리아 주요 당사자들을 감비아 반줄에 초청하여 국가 통합 정부를 구성하도록 했다.[1] 협상 결과, 라이베리아 인민당(LPP) 지도자 아모스 소여가 이끄는 국가 통합 과도 정부(IGNU)가 수립되었고, 라이베리아 교회 협의회의 로널드 디그스 주교가 부통령이 되었다.[1] 그러나 찰스 테일러의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은 회담 참석을 거부했고, 며칠 만에 다시 적대 행위가 재개되었다.[1]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감시단(ECOMOG)는 과도 정부를 보호하기 위해 증강되었다.[1] 소여는 몬로비아 대부분 지역에서 권위를 확립했지만, 라이베리아의 나머지 지역은 NPFL의 여러 파벌이나 지역 갱단의 손에 있었다.[1]

3. 6. 라이베리아 민주 통일 해방 운동(ULIMO)의 등장

라이베리아 민주주의를 위한 통합 해방 운동(ULIMO)은 1991년 6월 새뮤얼 K. 도 대통령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라이베리아 국군(AFL)에서 탈영하여 기니시에라리온으로 피신한 전투원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이 운동은 도 정부의 재무부 차관이었던 롤리 섹키가 이끌었다.[1]

시에라리온 군과 함께 시에라리온 혁명 통합 전선(RUF) 반군과 싸운 후, ULIMO 부대는 1991년 9월 라이베리아 서부에 진입했다. 이들은 테일러의 라이베리아 국가 애국 전선(NPFL)이 장악하고 있던 지역, 특히 로파와 보미 주의 다이아몬드 광산 지역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1]

ULIMO는 초창기부터 내분에 시달렸고, 1994년에는 사실상 두 개의 별개 민병대로 분열되었다. 장군 루즈벨트 존슨이 이끄는 크라hn 계열의 ULIMO-J와 알하지 G.V. 크로마가 이끄는 만딩고 계열의 ULIMO-K가 그것이다.[1]

이 단체는 해체 전후로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 행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았다.[1]

3. 7. 1997년 선거와 찰스 테일러 집권

1995년 9월 초, 라이베리아의 3대 주요 군벌인 찰스 테일러, 조지 볼리, 알라지 크로마는 몬로비아에 극적인 등장을 했다. 민간인 윌턴 G. S. 산카울로 하에 6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통치 평의회가 국가를 통제하며 1996년으로 예정되었던 선거를 준비했다. 그러나 1996년 4월에 다시 격렬한 전투가 벌어져 대부분의 국제 비정부기구들이 철수하고 몬로비아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21] 1996년 8월, 아부자 협정에 따라 이러한 전투는 종식되었고, 1997년까지의 군축복원과 그해 7월의 선거에 합의하였다.

1997년 7월, 마침내 대통령 및 국회 선거가 동시에 실시되었다. 자유로운 이동과 신변 안전이 거의 보장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찰스 테일러와 그의 국가 애국당은 12명의 후보를 제치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광범위한 위협 속에서 테일러는 대통령 선거에서 75%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다른 후보는 10% 이상을 득표하지 못했다), 국가 애국당은 양원 의석의 비슷한 비율을 차지했다. 1997년 8월 2일, 루스 페리는 당선된 대통령 찰스 테일러에게 권력을 이양했다.

4.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1999년 ~ 2003년)

LURD 민병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1999년부터 2003년까지 라이베리아에서 일어난 내전이다.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의 개입으로 반군의 몬로비아 포위가 종식되고 찰스 테일러가 나이지리아로 망명하면서 끝났다. 테일러는 2006년 체포되어 헤이그로 이송, 재판을 받고 50년형을 선고받았다. 내전으로 25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100만 명 가까운 난민이 발생했으며, 2005년 민주적 대통령 선거 당시에도 난민의 절반은 귀환하지 못했다.

2006년 1월, 찰스 테일러를 지지했던 엘렌 존슨 설리프 대통령 취임으로 라이베리아 과도 정부는 권력을 잃었다.

유엔 리베리아 임무단(UNMIL)은 휴전 협정 검증, 무장 해제, 사회 복귀 지원, 인권 옹호, 치안 회복, 평화 협정 추진 등을 지원하며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테일러는 군대를 해체하고 6,000명 규모로 재편성했지만, 제2차 내전에서 정규군 역할은 크지 않았다. 정부군 주력은 NPFL 출신 전투원과 소년병 등 민병이었다.

테일러 정권 요인 경호와 반란 진압 작전에는 다음과 같은 불규칙 부대도 참여했다.

  • 특수 작전 부대(SOD): 리베리아 국가 경찰 특수 부대
  • 특별 보안 기관(SSS): 리베리아 국가 경찰 요인 경호 부대
  • 대테러 부대(ATU): 테일러 직속 정예 부대 (주로 외국인 병사로 구성)


이들 부대는 약탈과 민간인 살해를 자행했으며, 특히 ATU는 '악마의 부대'로 불리며 공포의 대상이었다. 전후 특별 법정에서 많은 대원이 체포, 처벌받았다.

4. 1. 찰스 테일러의 독재와 반정부 세력의 등장

찰스 테일러는 독재 정치를 펼치며 주변국 내전에 개입하고 다이아몬드를 밀거래하는 등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1999년, 세쿠 코네가 이끄는 리베리아 화해 민주 연합(LURD)과 토마스 니멜리가 이끄는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 등 반정부 세력이 봉기하여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이 시작되었다.

반테일러 공세의 중심이 된 것은 리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이다. LURD는 기니, 시에라리온, 미국의 지원을 받았으며, 기니와 시에라리온의 국경 지역을 거점으로 삼고 있었다.

LURD는 지속적인 게릴라 활동으로 정부 측의 지배하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지역을 차례로 공격했고, 2003년 3월에는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은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도 전선에 참여했다. 같은 해에는 라이베리아 전역의 테일러 정권 지배 지역을 3분의 1까지 축소하는 데 성공했다.

4. 2. 내전의 전개와 찰스 테일러의 몰락

1999년경부터 세쿠 코네Sekou Conneh영어가 이끄는 반(反)테일러 무장 세력 리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Liberians United for Reconciliation and Democracy영어와 토마스 니멜리Thomas Nimely영어가 이끄는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Movement for Democracy in Liberia영어이 봉기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2003년에는 수도 몬로비아로 진격하여, 이미 권력이 약화된 테일러는 6월 17일 정부와 휴전 협정을 맺었다. 이후 미국 등의 압력과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평화유지군, 미국 육군 800여 명의 도착으로 테일러는 나이지리아로 망명했고, 정부와 반정부 세력 간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휴전에 이르렀다.

5. 내전의 영향과 후유증

1997년 라이베리아 총선에서 찰스 테일러가 수도 모노비아에 무력으로 진입한 후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라이베리아 국민들은 테일러가 유혈 사태를 종식시킬 것이라는 희망으로 그에게 투표했지만, 유혈 사태는 완전히 끝나지 않고 규칙적으로 발생했다. 테일러는 이웃 국가 게릴라들을 지원하고, 자신이 지원하는 반군에게 무기를 구입하는 데 다이아몬드 자금을 사용하고 사치품을 구입했다는 비난을 받았다.[3] 1990년대 후반, 국가 경제는 급격히 침체되었고 소형 무기와 교환하여 다이아몬드와 목재를 판매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테일러 대통령 당선 이후, 라이베리아는 평화를 되찾아 난민들이 귀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다른 지도자들은 국가를 떠나야 했고, 일부 ULIMO 부대는 라이베리아 화해 및 민주주의 연합(LURD)으로 재편성되었다. LURD는 정부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지역 다이아몬드 광산을 장악하기 위해 로파 주에서 전투를 시작했고, 이는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이어졌다.

5. 1.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라이베리아 내전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참혹한 전쟁 중 하나였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20만 명이 넘는 라이베리아인이 목숨을 잃었고, 100만 명 이상이 이웃 국가의 난민 캠프로 피난했다.[3] 내전 기간 동안 아동병사들이 동원되었다.[3]

이 내전으로 라이베리아 인구 17명 중 1명이 사망했고, 대다수는 삶의 터전을 잃었으며, 한때 번성했던 경제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다.[4] 이 분쟁은 라이베리아 주변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대 초 서아프리카의 민주화를 지연시키고, 이미 세계에서 가장 불안정한 지역 중 하나였던 곳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었다.[4]

2020년 라이베리아 인구 피라미드. 23세에서 31세 사이의 뚜렷한 '좁아짐'은 내전 기간에 태어난 세대를 나타낸다. 46세 이하 여성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내전으로 인해 젊은 남성과 소년들이 사망했기 때문이다.

5. 2. 사회, 경제적 피해

라이베리아 내전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참혹한 전쟁 중 하나였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20만 명이 넘는 라이베리아인이 목숨을 잃었고, 100만 명 이상이 이웃 국가의 난민 캠프로 피난했다. 내전 기간 동안 아동병사들이 징집되었다.[11]

이 내전으로 라이베리아 인구 17명 중 1명이 사망했고, 대다수가 삶의 터전을 잃었으며, 한때 번성했던 경제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다. 이 분쟁은 라이베리아의 이웃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쳐, 1990년대 초 서아프리카의 민주화를 지연시키고, 이미 세계에서 가장 불안정한 지역 중 하나였던 이 지역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었다.[12]

5. 3. 국제사회의 개입과 평화 유지 노력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1990년 8월, 16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공동 군사 개입군인 ECOMOG를 나이지리아 지휘 하에 배치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우간다, 탄자니아 등 비회원국 군대도 참여했다. ECOMOG는 휴전 강제, 임시 정부 수립 지원, 민간인 살해 중단, 외국인 대피 보장, 그리고 분쟁의 주변국 확산 방지를 목표로 했다.[15]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도(Doe)에게 사임 및 망명을 설득하려 했으나, 그는 거부했다. ECOMOG는 1990년 8월 24일 나이지리아와 가나 선박에서 내려 모로비아 자유항에 도착했다.[15]

1993년,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베냉 코토누에서 평화 협정을 중재했다. 1993년 9월 2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코토누 평화 협정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라이베리아 유엔 관찰단(UNOMIL)을 설립하여 ECOMOG를 지원했다. UNOMIL은 1994년 초 368명의 군사 관찰원과 민간 직원으로 구성되어 코토누 평화 협정 이행을 감시했다.

1994년 5월 무장 충돌이 재개되어 7월과 8월에 격화되었다. ECOMOG와 UNOMIL 대원들이 일부 무장 세력에 의해 인질로 억류되기도 했다. 1994년 중반, 180만 명의 라이베리아인이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등 인도적 상황은 악화되었다.

1994년 9월, 여러 세력 지도자들은 코토누 협정을 보완하는 아코솜보 협정에 합의했다. 그러나 라이베리아의 치안 상황은 좋지 않았다. 1994년 10월, ECOMOG의 자금 부족과 라이베리아 전투원들의 전쟁 종식 의지 부족으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UNOMIL 관찰원 수를 약 90명으로 줄였다. UNOMIL의 임무는 1997년 9월까지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

1994년 12월, 여러 세력과 당사자들은 아코솜보 협정을 보완하는 아크라 협정에 서명했지만, 의견 차이와 전투는 계속되었다.

6. 관련 인물


  • 사무엘 도: 1980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라이베리아 최초의 원주민 출신 대통령이다. 초기에는 여러 부족의 지지를 받았으나, 반대파 탄압과 부족 편향 정책으로 긴장을 악화시켰다. 1985년 부정선거로 재집권했고, 토마스 퀴원크파의 쿠데타 시도를 진압한 후 기오족과 마노족을 박해했다. 1990년 프린스 존슨에게 체포되어 잔혹하게 살해되었다.
  • 찰스 테일러: 사무엘 도 정권의 횡령 혐의로 인해 코트디부아르에서 라이베리아 민족애국전선(NPFL)을 결성, 1989년 님바 주를 침공하여 내전을 일으켰다. 1997년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이웃 국가 게릴라 지원 및 다이아몬드 자금 유용으로 국제적 비난을 받았다. 1990년대 후반, 경제 침체와 소형 무기-다이아몬드 교환 현상으로 국가 불안이 심화되었다. 1999년부터 세쿠 코네가 이끄는 리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과 토마스 니멜리가 이끄는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 등 반군 세력의 공격을 받다가, 2003년 나이지리아로 망명했다.
  • 프린스 존슨: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에서 독립하여 라이베리아 독립민족애국전선(INPFL)을 결성했다. 1990년 사무엘 도를 체포, 고문 후 살해했으며, 이 과정은 비디오로 촬영되었다. 이후 존슨의 INPFL은 찰스 테일러의 NPFL과 몬로비아 통제권을 두고 충돌했다.
  • 토마스 퀴원크파: 사무엘 도에게 강등 및 망명을 강요당한 후 시에라리온에서 도 정권 전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몬로비아의 대통령궁 앞에 공개 전시되었다.[5][6]
  • 세쿠 코네: 1999년경부터 반테일러 무장 세력 리베리아 민주 화해 연합(LURD)을 이끌었다. LURD는 실질적으로 ULIMO-K를 재결성한 조직이며, 크란족과 만딩고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니, 시에라리온,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기니와 시에라리온 국경 지역을 거점으로 활동했다.
  • 토마스 니멜리: 리베리아 민주 운동(MODEL)을 이끌었으며, MODEL은 2003년 3월 코트디부아르의 지원을 받아 리베리아 내전에 참전했다.

6. 1. 사무엘 도

새뮤얼 도는 1980년 쿠데타를 통해 라이베리아 최초의 비(非)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 출신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인민구원평의회라는 군사 정권을 수립하여, 1847년 건국 이후 권력에서 소외되었던 여러 부족의 지지를 받았다.[4]

그러나 도는 쿠데타 시도에 대한 불안감으로 반대파를 탄압하면서, 라이베리아 통치 방식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는 사라졌다. 1985년 선거에서 도는 근소한 차이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국제 감시단은 이 선거를 부정선거로 규정했다.[4]

과거 도가 강등시키고 망명을 강요했던 토마스 퀴원크파(Thomas Quiwonkpa)는 시에라리온에서 도의 정권을 전복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모로비아의 대통령궁 앞에서 공개 전시되었다.[5][6]

도 정권은 기오족과 마노족을 반역 혐의로 박해하고, 도의 부족인 크란족보다 열등하다고 여겼다. 이러한 부족 편향적인 정책은 라이베리아의 긴장을 더욱 악화시켰다.

오랫동안 라이베리아 정치는 미국 출신 흑인 노예 후손인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들이 주도해 왔고, 원주민 부족들은 차별받았다. 그러나 크란족 출신 사무엘 도 상사가 1980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윌리엄 R. 톨버트 대통령과 정부 고위 관리들을 살해하고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 정권을 무너뜨렸다.

도는 정권 장악 후 독재 정치를 시작하여 반대파를 체포하고 처형했다. 1985년 11월 12일, 토마스 퀴원크파(Thomas Quiwonkpa) 장군이 이끄는 기오족과 마노족 구성원들이 도 정권에 반발하여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이후 도는 자신의 부족인 크란족으로만 구성된 군대를 기오족과 마노족 거주 지역에 파병하여 보복 학살을 자행했다.

1986년 선거에서 도는 대규모 부정을 저지르고 대통령이 되었다. 1987년, 찰스 테일러는 도의 독재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리비아에서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을 결성하고 게릴라전을 위한 군사 훈련을 받았다.

6. 2. 찰스 테일러

찰스 테일러는 횡령 혐의로 도 정부를 떠난 후, 코트디부아르에서 주로 도에게 박해받는 기오족과 마노족으로 구성된 반군 집단인 라이베리아 민족애국전선(NPFL)을 결성했다.[7] 1989년 12월 24일, NPFL은 님바주를 침공하여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을 일으켰다.

프린스 존슨은 NPFL에서 독립하여 라이베리아 독립민족애국전선(INPFL)을 결성했다.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 테일러는 7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7] 그의 국가 애국당은 양원 의석의 비슷한 비율을 차지했다. 1997년 8월 2일, 루스 페리는 테일러에게 권력을 이양했다.

테일러는 이웃 국가의 게릴라들을 지원하고, 다이아몬드 자금을 무기 구입과 사치품에 사용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1990년대 후반, 국가 경제 침체와 소형 무기-다이아몬드 교환 현상은 불안을 야기했다.

테일러 집권 이후, 난민들이 귀환하기 시작했지만, 다른 지도자들은 국가를 떠나야 했다. 일부 ULIMO 부대는 라이베리아 화해 및 민주주의 연합(LURD)으로 재편성되어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을 일으켰다.

1999년경부터 LURD와 토마스 니멜리가 이끄는 라이베리아 민주 운동(MODEL)이 봉기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2003년에는 수도 몬로비아로 진격했고, 테일러는 나이지리아로 망명했다.

6. 3. 프린스 존슨

1990년 9월 9일, 사무엘 도는 마허 자유항에 새로 설립된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감시단(ECOMOG) 본부를 방문했다. 스티븐 엘리스에 따르면,[16] 도의 방문 목적은 ECOMOG 사령관이 국가원수인 자신에게 예방 방문을 하지 않았다는 불만을 제기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정확한 경위는 불분명하다. 도가 도착한 후, 프린스 존슨이 이끄는 라이베리아 독립 국민 애국 전선(INPFL)의 대규모 반군 부대가 도착하여 도의 일행을 공격했다. 도는 체포되어 INPFL의 콜드웰 기지로 끌려갔으며, 잔혹하게 고문을 당한 후 살해되고 시체가 훼손되었다. 그의 고문과 처형은 납치범들에 의해 비디오로 촬영되었다.[17][18]

이후 존슨의 INPFL과 찰스 테일러의 라이베리아 국민 애국 전선(NPFL)은 몇 달 동안 몬로비아의 통제권을 놓고 다투었다.

7. 관련 단체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과 관련된 주요 단체는 다음과 같다.


  •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 찰스 테일러가 코트디부아르에서 조직한 반군 단체로, 주로 기오족과 마노족으로 구성되었다. 1989년 라이베리아에 진입하여 내전을 일으켰다.
  • 라이베리아 독립국민애국전선(INPFL): 1990년 프린스 요르미 존슨이 NPFL에서 분리 독립하여 결성한 단체이다. INPFL은 NPFL, 라이베리아 국군(AFL)과 함께 몬로비아를 포위 공격했다.
  • 라이베리아 민주 통일 해방 운동(ULIMO): 1991년 새뮤얼 K. 도 대통령 지지자들과 AFL 탈영병들이 기니시에라리온에서 결성한 단체이다. ULIMO는 NPFL 점령 지역에서 성과를 거두었으나, 이후 내분으로 ULIMO-J와 ULIMO-K로 분열되었다.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감시단(ECOMOG):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가 1990년 8월에 창설한 나이지리아 중심의 군사 개입군이다. ECOMOG는 휴전 강제, 임시 정부 수립 지원, 민간인 보호, 외국인 대피를 목표로 활동했다.

7. 1.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

찰스 테일러는 횡령 혐의로 도망친 후, 코트디부아르에서 주로 기오족과 마노족으로 구성된 반군 집단을 결성했는데, 이들은 나중에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NPFL은 1985년 쿠데타 시도 이후 사뮤엘 도의 격렬한 분노를 가장 많이 겪었던 님바 카운티 내에서 많은 지지를 받았다. 1989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테일러와 그의 100명의 반군이 라이베리아로 재진입하자 수천 명의 기오족과 마노족이 합류했다.[7][8][9][10]

1990년 6월, 테일러의 부대는 모로비아를 포위했다. 1990년 7월, 프린스 요르미 존슨은 테일러로부터 분리되어 라이베리아 독립국민애국전선(INPFL)을 결성했다. INPFL과 NPFL은 라이베리아 국군(AFL)이 방어하는 모로비아에 대한 포위 공격을 계속했다.

7. 2. 라이베리아 독립국민애국전선(INPFL)

1990년 7월, 프린스 요르미 존슨은 찰스 테일러로부터 분리되어 라이베리아 독립국민애국전선(INPFL)을 결성했다.[14] INPFL과 라이베리아 국민애국전선(NPFL)은 라이베리아 국군(AFL)이 방어하는 몬로비아에 대한 포위 공격을 계속했다.[14] 존슨은 몬로비아 일부 지역을 신속하게 장악하여 미국 해군의 8월에 외국인과 외교관의 긴급 대피를 초래했다.[14]

7. 3. 라이베리아 민주 통일 해방 운동(ULIMO)

라이베리아 민주주의를 위한 통합 해방 운동(ULIMO)은 1991년 6월 새뮤얼 K. 도 대통령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라이베리아 국군(AFL)에서 탈영하여 기니시에라리온으로 피신한 전투원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이 운동은 도 정부의 재무부 차관이었던 롤리 섹키가 이끌었다.[1]

시에라리온 군과 함께 시에라리온 혁명 통합 전선(RUF) 반군과 싸운 후, ULIMO 부대는 1991년 9월 라이베리아 서부에 진입했다. 이들은 테일러의 라이베리아 국가 애국 전선(NPFL)이 장악하고 있던 지역, 특히 로파와 보미 주의 다이아몬드 광산 지역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1]

ULIMO는 초창기부터 내분에 시달렸고, 1994년에는 사실상 두 개의 별개 민병대로 분열되었다. 장군 루즈벨트 존슨이 이끄는 크란 계열의 ULIMO-J와 알하지 G.V. 크로마가 이끄는 만딩고 계열의 ULIMO-K가 그것이다.[1]

이 단체는 해체 전후로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 행위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받았다.[1]

7. 4.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감시단(ECOMOG)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1990년 8월, 16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공동 군사 개입군인 ECOMOG를 나이지리아의 지휘하에 배치하기로 합의했다.[15] 이후 임무에는 우간다탄자니아를 포함한 ECOWAS 비회원국 군대도 참여했다. ECOMOG의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휴전을 강제한다.
  •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라이베리아인들이 임시 정부를 수립하도록 지원한다.
  • 무고한 민간인의 살해를 중단시킨다.
  • 외국인의 안전한 대피를 보장한다.


ECOMOG는 또한 라이베리아와 복잡한 국가, 경제, 민족언어적 사회 관계를 공유하는 이웃 국가들로의 갈등 확산을 막고자 했다.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새뮤얼 도에게 사임하고 망명할 것을 설득하려 했지만, 저택에 포위된 그의 약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그는 거부했다. ECOWAS 개입군인 ECOMOG는 1990년 8월 24일 나이지리아와 가나 선박에서 내려 몬로비아 자유항에 도착했다.[15]

참조

[1] 웹사이트 First Liberian Civil War (1989-1996) • https://www.blackpas[...] 2016-07-25
[2] 뉴스 Opinion {{!}} Now, Cut Off Aid to Liberia https://www.nytimes.[...] 2024-07-04
[3] 웹사이트 15 years later, we remember the long hunt for Charles Taylor https://www.theafric[...] 2024-07-04
[4] 뉴스 Fraud charged in Liberia's first one-man, one-vote election https://www.csmonito[...] 2017-10-17
[5] 서적 The World Today Series: Africa 2012 https://archive.org/[...] Stryker-Post Publications
[6] 뉴스 How Quiwonkpa Was Killed Daily Star 1985-11-18
[7] 서적 The Mask of Anarchy Hurst & Company
[8] 간행물 Flight from Terror HRW 1990-05
[9] 간행물 Peacekeeping in Liberia: ECOMOG and the Struggle for Order Liberian Studies Journal
[10] 서적 The Liberian Civil War
[11] 뉴스 Liberian church massacre survivors seek US justice https://www.bbc.com/[...] 2018-12-14
[12] 뉴스 Liberia Troops Accused Of Massacre in Church https://www.nytimes.[...] 2018-12-14
[13] 서적
[14] 서적 Freedom in the World: Political Rights & Civil Liberties 1990-1991 https://freedomhous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5] 서적
[16] 서적 The Mask of Anarchy
[17] 웹사이트 Liberia: Chronology https://web.archive.[...] 2007-02-26
[18] 서적 The Mask of Anarchy: The Destruction of Liberia and the Religious Dimension of African Civil War https://archive.org/[...] Hurst & Company
[19] 서적 Mask of Anarchy
[20] 서적 Ambiguous Order
[21] 웹사이트 Operation Assured Response https://www.globalse[...] 2023-08-16
[22] 웹사이트 Uppsala Conflict Data Program http://www.ucdp.uu.s[...]
[23] 뉴스 Wayétu Moore Escapes a Civil War in Liberia. In America, She Encounters a New Kind of Danger. https://www.nytimes.[...] 2021-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