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줄은 감비아 강 하구의 세인트 메리 섬에 위치한 감비아의 수도이다. 1651년 쿠를란트 공국에 의해 임대된 후, 1816년 영국에 양도되어 노예 무역 억압을 위한 기지로 개발되었다.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이 모여 살았으며, 1889년 감비아 보호령의 수도로 선언되었다. 1973년 반줄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1994년 쿠데타가 일어난 장소이기도 하다. 반줄은 감비아의 경제 및 행정 중심지이며, 땅콩 가공, 수출이 주요 산업이다. 교통으로는 도로, 페리, 반줄 국제공항이 있으며, 감비아 국립 박물관 등 문화 시설과 감비아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반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반줄 |
다른 명칭 | 만딩카어: ߓߊ߲߬ߖߎߟ (Banjul) 풀라어: 𞤄𞤢𞤲𞥆𞤶𞤵𞤤𞤵 (Bannjulu) |
별칭 | 없음 |
위치 | 감비아 |
수도 여부 | 수도 |
옛 이름 | 바서스트 (Bathurst) |
건립 | 1816년 4월 23일 (바서스트) |
시장 | 로헤이 말리크 로에베 |
면적 | 12km² |
도시 면적 | 93km² |
인구 (2013년) | 31,301명 |
도시 인구 | 413,397명 |
시간대 | GMT |
UTC 오프셋 | ±00:00 |
지리 | |
위도 경도 (시청) | 13°27′29″N 16°34′43″W |
해발 고도 | 0m |
경제 지표 | |
HDI (2017년) | 0.552 (중간)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www.banjulcity.gm |
2. 역사
1651년,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국의 야코프 케틀러 공작이 콤보 왕으로부터 반줄을 임대하여 쿠를란트 식민지의 일부가 되었다.[26]
1816년 4월 23일, 콤보의 왕 투마니 보장은 연간 103개의 철 막대 대가로 반줄 섬을 영국 사령관 알렉산더 그랜트 (영국 육군 장교)에게 양도했다. 찰스 매카시 (영국 육군 장교)의 명령을 받은 그랜트는 75명의 군인을 이끌고 섬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랜트는 감비아 강어귀를 통제하고 노예 무역을 억제하기 위해 주택과 막사를 건설하여 반줄을 교역소이자 기지로 삼았다. 영국은 섬 이름을 세인트 메리 섬으로, 마을 이름을 당시 전쟁 및 식민지 담당 국무장관이었던 제3대 배서스트 백작의 이름을 따서 배서스트로 변경했다.[26] 거리는 수정된 격자 패턴으로 배치되었으며 워털루 전투에서 연합군 장군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마을은 감비아 식민지 및 보호령에서 영국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설립 후 몇 년 동안, 배서스트는 이주민들을 끌어들였다. 인구는 월로프족, 만딩고족, 졸라족, 풀라족, 세레족 등 다양한 아프리카인, 레반트인(시리아인, 레바논인), 유럽인(영국인, 프랑스인, 포르투갈인)으로 구성되었다. 인구 대다수는 무슬림이었지만 아쿠 거주민을 포함한 상당한 기독교 소수도 있었다. 월로프족 인구는 1881년 829명에서 1901년 3,666명으로 증가한 후 1944년에는 10,130명으로 증가했다. ''다라''라고 불리는 이슬람 학교가 배서스트에서 초창기부터 설립되었으며, 1905년에는 더욱 정교해진 영국 법적 체계 외에 최초의 무슬림 법원 설립을 가져왔다.
배서스트는 1889년 공식적으로 감비아 보호령의 수도로 선언되어 인구가 증가했다. 20세기에는 영국 식민 활동으로 인한 일자리 증가와 사회 활동 등으로 인구가 더욱 증가했다. 시골 마을의 젊은이들은 1922년에 설립된 공공사업부나 부두에서 일하기 위해 배서스트로 이주했다. 이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중요한 연합 해군 및 공군 기지였으며, 1931년 14,370명에서 1944년 21,154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독립 후, 1973년에 마을 이름이 반줄로 변경되었다. 1994년 무혈 쿠데타로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이 전복되고 야히아 자메가 대통령이 되었다.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아치 22가 수도 입구에 건설되었다. 문은 높이가 35미터이며 열린 광장의 중앙에 서 있고, 섬유 박물관이 있다.
2. 1. 명칭 유래
전통적인 역사에 따르면 바라핀의 아들 반주고가 수마오로 칸테의 만딩가 지역 공격을 피해 섬으로 왔다. 그의 이름이 섬에 붙어 '반줄루'로 바뀌었다.[8]또 다른 설에 따르면 반줄은 만딘카어로 섬에서 만딩카족이 수집한 밧줄 섬유를 뜻하는 '방 줄로'에서 유래되었다.
3. 지리
반줄은 감비아 강 하구의 세인트 메리 섬(반줄 섬)에 위치하며, 지리적 좌표는 북위 13도 28분, 서경 16도 39분이다. 감비아는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감비아 강을 따라 폭 20~45km의 동서로 긴 나라이며, 반줄은 그 하구에 자리 잡고 있다.
3. 1. 행정 구역
반줄은 반줄 구역과 카니핑 구역으로 나뉜다.구역 |
---|
반줄 |
카니핑 |
4. 기후
반줄은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몬순 기후(Aw) 또는 사바나 기후(Aw)를 보인다. 11월부터 5월까지는 건기이고, 나머지 기간은 우기이다. 8월은 가장 강우량이 많은 달로 평균 353.6mm의 비가 내린다. 연평균 기온은 약 27.1°C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909mm ~ 1295mm이다.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도시가 물에 잠길 위험에 처해 있다.[14] 2019년 PLOS One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100년까지 지구 온난화가 약 2.5°C~3°C에 도달하는 "중간" 시나리오인 대표 농도 경로 4.5 하에서, 2050년 반줄의 기후는 현재 말리의 바마코의 기후와 가장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평균 기온은 2°C 상승하고, 가장 더운 달의 기온은 3.3°C 상승하는 반면, 가장 추운 달의 기온은 실제로 1.2°C 하락할 것이다.[17][18] 기후 변화 추적기(Climate Action Tracker)에 따르면, 현재의 온난화 궤적은 2.7°C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RCP 4.5와 거의 일치한다.[19]
5. 경제
반줄은 감비아의 경제 및 행정 중심지이며, 감비아 중앙은행이 위치하고 있다. 땅콩 가공은 감비아의 주요 산업이며, 밀랍, 야자나무, 팜유, 가죽 및 피혁도 반줄 항구에서 수출된다.[20]
감비아 기술 훈련 연구소(GTTI)는 반줄에 있으며, 비영리 단체인 파워 업 감비아와 협력하여 태양 에너지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품목 | 설명 |
---|---|
땅콩 | 감비아의 주요 산업, 가공품 포함, 전체 수출액의 45% 차지. |
밀랍 | 반줄 항구를 통해 수출 |
야자나무 | 반줄 항구를 통해 수출 |
팜유 | 반줄 항구를 통해 수출, 팜유를 가공한 비누도 수출 |
가죽 및 피혁 | 반줄 항구를 통해 수출 |
라피아 | 반줄 항구를 통해 수출 |
6. 교통
육상으로 접근하는 주된 방법은 도로이며, 세레쿤다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덴턴 다리를 지난다. 반줄과 바라를 잇는 페리가 정기적으로 운행된다.[21][22] 반줄 국제공항이 시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줄은 범서아프리카 해안 고속도로에 위치하여 다카르와 비사우 등과 연결된다.
7. 문화
반줄에는 감비아 국립 박물관, 앨버트 마켓, 반줄 대통령궁, 반줄 법원, 아프리카 문화 유산 박물관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1994년 쿠데타를 기념하는 아치 22가 도시 입구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섬유 박물관이 있다. 플리머스-반줄 챌린지(자선 로드 랠리)의 목적지이기도 하다.
북쪽에 있는 바라 섬으로 가는 페리가 운행되고 있으며, 반줄 국제공항도 가깝다. 좋은 해수욕장이 있어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가 높지만, 최근에는 외국인 관광객을 노린 소매치기 등이 늘어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7. 1. 종교
예배 장소는 주로 무슬림 사원이다. 또한 기독교 교회도 있는데, 반줄 로마 가톨릭 교구(가톨릭교회), 서아프리카 관구 교회(성공회), 하나님의 성회 등이 있다.[25]7. 2. 교육
감비아 대학교는 1999년에 설립되었다.그레이터 반줄 지역의 국제 학교는 다음과 같다.
- 반줄 미국 대사관 학교
- 바카우의 반줄 프랑스 학교[24]
- 마아리프 국제 학교
- 마리나 국제 학교
- SBEC 국제 학교
- 영국 국제 학교 감비아
8. 자매 도시
9. 기타
1994년 7월 22일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를 기념하여, 아치 22라고 불리는 문이 마을 입구에 세워졌다. 게이트의 높이는 35m이며, 사각형 문이 있다. 아치 22의 내부에는 섬유 박물관이 있다.[26]
반줄의 볼거리는 감비아 국립 박물관, 앨버트 광장, 반줄 주 의사당, 반줄 법원, 2개의 대성당, 여러 개의 큰 모스크가 있다.
북쪽에 있는 바라 섬으로 가는 페리가 운행되고 있다. 반줄 국제공항도 가깝다. 좋은 해수욕장이 있어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가 있다. 서아프리카의 도시 중에서는 치안이 좋은 도시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외국인 관광객을 노린 소매치기 등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1981년 6월 27일에 아프리카 통일 기구 수뇌 회의에서 채택되어, 1986년 10월 21일 발효된 "인권 및 인민 권리에 관한 아프리카 헌장"이, 해당 회의의 개최지인 반줄의 이름을 따서, ''반줄 헌장''이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Banjul
https://web.archive.[...]
HarperCollins
2019-04-12
[3]
웹사이트
Banjul
https://en.oxforddic[...]
[4]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Banjul
2019-04-12
[5]
Merriam-Webster
Banjul
2019-04-12
[6]
웹사이트
The Gambia 201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eliminary Results
https://web.archive.[...]
Gambia Bureau of Statistics
2017-12-07
[7]
뉴스
Gambia: The Post-Colonial Period, Part III
https://www.gambia.c[...]
Gambia
2022-12-11
[8]
서적
Bipolarisation du Senegal du XVIe - XVIIe siecle
HGS Editions
2021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Gambia
Scarecrow Press
[10]
서적
Contours of Change: Muslim Courts, Women, and Islamic Society in Colonial Bathurst, the Gambia, 1905-1965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18
[11]
웹사이트
History of Banjul
http://www.accessgam[...]
Accessgambia.com
2012-10-29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Gambia
Scarecrow Press
[13]
Factbook
CIA World Fact: Gambia
https://www.cia.gov/[...]
2024-04-13
[14]
Citation
Gambia: Banjul Risks Sinking As Sea Level Rises
http://allafrica.com[...]
2012-08-13
[1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Banjul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4
[16]
웹사이트
Klimatafel von Banjul-Yundum (Flugh.) / Gamb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22-09-12
[17]
간행물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from a global analysis of city analogues
2019-07-10
[18]
웹사이트
Cities of the future: visualizing climate change to inspire action
https://crowtherlab.[...]
2023-01-08
[19]
웹사이트
The CAT Thermometer
https://climateactio[...]
2023-01-08
[20]
웹사이트
Gambia, The
https://2009-2017.st[...]
State.gov
2012-07-03
[21]
웹사이트
Denton Bridge bridge, Banjul, Gambia
http://gm.geoview.in[...]
2018-02-12
[22]
웹사이트
Virtual Tourist, The Gambia Transportation
https://web.archive.[...]
2014-05-18
[23]
웹사이트
Banjul Trave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9-06-14
[24]
웹사이트
École française de Banjul
https://www.aefe.fr/[...]
2023-06-11
[25]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6]
웹사이트
History of Banjul
http://www.accessgam[...]
2010-12-05
[27]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Banjul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06-10
[28]
웹사이트
Klimatafel von Banjul-Yundum (Flugh.) / Gamb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6-10
[29]
웹인용
The Gambia 201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eliminary Results
http://www.gbos.gov.[...]
Gambia Bureau of Statistics
2017-12-07
[30]
웹인용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Banjul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06-10
[31]
웹인용
Klimatafel von Banjul-Yundum (Flugh.) / Gamb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