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항공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항공전대는 1928년 일본 해군에 의해 창설된 항공모함 전대로, 아카기, 가가 등 주요 항공모함을 운용하며 훈련과 전술 개발에 기여했다.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등 주요 작전을 수행했으나, 미드웨이 해전 이후 전력 손실로 인해 여러 차례 재편성 및 해체를 반복했다. 1945년 4월 20일 해체될 때까지 야마토를 포함한 다양한 함선으로 구성되었으며, 나구모 주이치, 오자와 지사부로 등 유능한 지휘관들이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항공전대 - 제24항공전대
제24항공전대는 1940년 일본 해군에서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의 주요 전투와 지역에서 활동하다 1944년 콰잘레인 환초 전투에서 전대장 사망 후 해체된 부대이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부대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부대 - 지나 파견군
지나 파견군은 1939년 일본 제국이 중일 전쟁 수행을 위해 편성한 총군으로 난징에 사령부를 두고 중국 방면 작전을 수행했으며, 태평양 전쟁 초기 홍콩 공략전에 참여, 종전 후 해체되었고, 난징 대학살 등 전쟁 범죄 의혹과 역사 왜곡 시도로 한중일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제1항공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부대 정보 | |
| 부대 명칭 | 제1항공전대 |
| 원어 명칭 | 일본어: 第一航空戦隊 로마자 표기: Dai Ichi Kōkū sentai |
| 약칭 | 1항전 (一航戦, Ichikō-sen) |
| 활동 기간 | 1928년 4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1929년 4월 1일 ~ 1945년 4월 20일 |
| 국가 | 일본 제국 |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 역할 | 항공모함 지원 |
| 규모 | 평균 2~3개 항공모함, 2개의 항공전대 |
| 지휘 체계 | 제1함대 |
| 별칭 | 1항전 |
| 지휘관 | |
| 주요 지휘관 | 주이치 나구모 지사부로 오자와 |
| 전투 | |
| 주요 전투 | 진주만 공격 라바울 전투 다윈 공습 인도양 기습 미드웨이 해전 동부 솔로몬 해전 산타크루즈 해전 필리핀해 해전 |
| 이미지 | |
![]() | |
2. 역사
1928년 4월, 아카기, 호쇼, 제6구축함대 소속 구축함으로 제1항공전대가 편성되어 1929년부터 제1함대에 배속되었다. 아카기와 가가는 함재기 탑재 수가 적어 호쇼와 함께 3척 중 2척이 교대로 편성되었고, 1931년에는 노토로가 추가되었다. 이후 아카기와 가가가 개장되고 류조가 준공되면서 아카기, 가가, 호쇼, 류조 4척을 기반으로 2개 항공전대와 예비 잠수함을 교대로 편성할 수 있게 되었다.
제2차 상하이 사변과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제1항공전대는 아카기, 가가, 제7구축함대 소속 구축함 3척으로 구성되었다.
태평양 전쟁 초기에는 제1항공함대 사령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직접 지휘하며 진주만 공격, 라바울 공략, 포트 다윈 공습, 실론 해전,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가했다. 단, 실론 해전에는 가가가 투입되지 않았다.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아카기와 가가가 침몰하면서 제1항공전대는 해체되었다. 그러나 7월에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1943년 4월 이호작전과 11월 로고작전에는 함재기만 참가했으나, 큰 손실만 입고 사실상 괴멸되었다.
1944년 3월 다이호가 완성되어 제1항공전대에 합류하면서 즈이호는 제3항공전대로 이동했다. 그러나 6월 마리아나 해전에서 쇼카쿠와 다이호가 잠수함 공격으로 침몰하면서 다시 해체되었다. 이후 즈이카쿠는 제3항공전대 기함으로 레이테 만 전투에 참가했다.
1944년 8월, 운류와 아마기를 기반으로 제1항공전대가 다시 편성되었지만, 레이테 만 전투에는 참전하지 못했다.
1945년 1월, 제1항공전대는 제2함대에 편입되었고, 2월에는 야마토가 합류했다. 4월 보노미사키 해전에서 야마토가 침몰하면서 제1항공전대는 해체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28년 ~ 1941년)
1928년 4월 1일, 일본 해군은 항공모함 아카기와 호쇼, 구축함 우메와 쿠스노키로 제1항공전대를 편성했다.[4][5][6] 초대 제1항공전대 사령관은 다카하시 미요시 소장이었다.[121] 같은 해 12월 10일, 제1항공전대는 해체되었다.[65][122]1929년 4월 1일, 다카하시 미요시 소장을 사령관으로 하여 제1항공전대가 다시 편성되었다.[123] (항공모함 아카기, 호쇼, 제4구축대[67] (하카제, 시마카제, 아키카제, 나다카제))[66] 제1함대에 소속되었다. 당시 아카기와 가가는 함재기 탑재 수가 적어, 호쇼를 포함한 3척 중 2척이 교대로 편성되었다.
1931년에는 노토로가 제1항공전대에 합류했다. 1933년 5월 9일에는 류조가 준공되었다.
1932년 1월 28일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발하자, 일본 해군은 2월 2일 제3함대를 편성했다.[5] 당시 제1항공전대는 항공모함 가가, 호쇼와 제2구축대 (미네카제, 사와카제, 야카제, 오키카제)로 구성되어 있었다.[5] 제1항공전대는 처음으로 실전을 경험했다.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끝나고 제1항공전대는 제1함대로 복귀했다.
1933년 5월 20일, 연합함대가 상설되면서 제1항공전대와 제2항공전대는 정식 편성에 포함되었다.[7] 제2차 상하이 사변 이후에는 중일 전쟁에도 참가했다.
편성 초기부터 구축함이 항공전대에 포함되었다. 항공전대 소속 구축함은 함상기 조종사 구조, 훈련용 어뢰 회수, 소속 항공모함에 대한 뇌격 훈련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8] 구축함의 이런 활동은 "잠자리 낚시"(항공대 관계자 호칭)[9], "뒤 밀기"(구축함 승무원 호칭)라고 불렸다.[8][9]
2. 2. 태평양 전쟁 (1941년 ~ 1945년)
1941년 제1항공함대가 창설되면서 제1항공전대는 그 핵심 부대로 편입되었다. 제1항공함대 사령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제1항공전대 사령관을 겸임하며 진주만 공격, 라바울 공략, 실론 해전 등 주요 작전에 참가했다.[2][3] 가가는 실론 해전에는 투입되지 못했다.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 아카기와 가가를 잃는 큰 손실을 입었다.[42] 이후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를 중심으로 재편되어 제3함대에 소속되었다. 과달카날 섬 공방전에 따른 제2차 솔로몬 해전, 남태평양 해전에서 미국 해군 기동부대와 교전했으나, 모함 항공 병력을 크게 소모했다.
1943년 4월 이호 작전과 11월의 로호 작전에는 함재기만 참가했지만, 눈에 띄는 전과도 없이 큰 손해만 입은 채 사실상 괴멸되었다.
1944년 3월 다이호가 완성되어 제1항공전대에 합류했으나,[42] 마리아나 해전에서 쇼카쿠와 다이호를 잃고 다시 해체되었다. 이후 운류와 아마기를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나, 레이테 만 해전에는 참전하지 못하고 대기했다.
1945년 1월 1일, 제1항공전대는 제2함대에 편입되었다.[51] 2월 10일, 야마토가 제1항공전대에 편입되었다.[53] 4월 7일 보노미사키 해전에서 야마토가 침몰하면서[58] 제1항공전대는 4월 20일에 해체되었다.[59]
3. 편제
1928년 4월, 아카기, 호쇼, 제6구축함대 소속 구축함 우메, 쿠스노키로 제1항공전대가 편성되어 1929년 4월부터 제1함대에 배속되었다. 당시 아카기, 가가는 함재기 탑재 수가 적어 '호쇼'를 포함한 3척 중 2척이 교대로 편성되었으나, 1931년에는 수상기 모함 노토로가 추가되었다. 아카기, 가가 개조 후 류조가 준공되면서, 아카기, 가가, 호쇼, 류조 4척으로 2개 항공전대와 예비 잠수함을 교대로 편성할 수 있게 되었다.
편성 초기에는 구식 구축함이 포함되었는데, 이들은 착륙 실패 함상 조종사 구조 작업(‘잠자리 낚시’)을 담당했다. 그러나 태평양 작전은 원거리였기에 구식 구축함으로는 한계가 있어 진주만 공격 전 제외되었다. 이후 항속력이 뛰어난 신형 구축함으로 수뢰 전대를 구성하여 기동 부대 전체 호위, 잠자리 낚시를 담당했다. 제3함대 제10전대가 대표적이다.
제2차 상해사변, 중일 전쟁에 참가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제1항공전대는 아카기, 가가, 제7구축함대 구축함 3척으로 구성되었다.
태평양 전쟁 초기 지휘는 제1항공함대 사령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직접 맡아 진주만 공격, 라바울 공략, 포트 다윈 공습, 실론 해전,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가했다. 실론 해전에는 가가가 제외되었다.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아카기, 가가가 침몰하여 해체되었으나, 7월에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로 재편되었다.
1943년 4월 이호 작전, 11월 로호 작전에는 함재기만 참가했으나 큰 손실만 입고 괴멸되었다. 전력 재건은 지지부진했고, 정원조차 채우지 못했다.
1944년 3월 다이호 완성으로 제1항공전대에 편입, 즈이호는 제3항공전대로 이동했다. 그러나 6월 마리아나 해전에서 쇼카쿠, 다이호가 잠수함 공격으로 침몰하며 해체되었다. 즈이카쿠는 제3항공전대 기함으로 레이테 만 전투에 참가했다.
1944년 8월 운류, 아마기로 제1항공전대가 재편되었으나, 601 항공대는 마리아나 해전 이후 재편, 모함 수리로 작전 투입은 44년 말로 예정되었다.
10월 포르모사 공중전에서 601항공대는 장비, 승무원 소모, 모함 미훈련으로 레이테 만 전투에 불참하거나 대기했다.
11월 레이테 만 전투 이후 해체된 두 항공전대 잔존함 준요, 류호, 신규 완성된 가쓰라기, 시나노가 제1항공전대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시나노는 완성 직후 침몰, 준요, 류호, 운류는 남방 수송 임무 중 준요 대파, 운류 침몰로 제외되었다. 아마기, 가쓰라기 2척과 601 항공대는 세토 내해에서 훈련했다.
1945년 1월 제1항공전대 훈련 중, 2월 야마토 편입, 함정 연료 부족으로 류호, 아마기, 가쓰라기 임무 해제, 601항공대 기지 항공대 개편으로 항공모함 활동을 종료했다. 제1항공전대는 야마토 침몰 후 4월 20일 해체되었다.
| 날짜 | 함선 |
|---|---|
| 1928년 4월 1일 (초기) | 아카기, 호쇼, 우메, 쿠스노키 |
| 1931년 12월 1일 | 가가, 노토로, 미네카제, 오키카제, 야카제, 사와카제 |
| 1934년 11월 15일 | 류조, 호쇼, 아사카제, 하루카제, 마쓰카제, 하타카제 |
| 1937년 12월 1일 | 가가, 오이테, 하야테, 아사나기, 유나기 |
| 1939년 11월 15일 | 아카기, 이소나미, 우라나미, 아야나미, 시키나미 |
| 1941년 4월 10일 | 아카기, 가가, 아케보노, 우시오 |
| 1942년 7월 14일 |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
| 1944년 4월 1일 | 다이호, 쇼카쿠, 즈이카쿠 |
| 1944년 8월 15일 | 운류, 아마기 |
| 1944년 12월 15일 | 아마기, 운류, 가쓰라기, 준요, 류호 |
| 1945년 4월 10일 | 해산 |
3. 1. 주요 편제 변화
| 날짜 | 주요 함선 |
|---|---|
| 1928년 4월 1일 (창설) | 아카기, 호쇼, 우메, 쿠스노키 |
| 1931년 12월 1일 | 가가, 노토로, 미네카제, 오키카제, 야카제, 사와카제 |
| 1941년 4월 10일 (제1항공함대 편입) | 아카기, 가가 |
| 1942년 7월 14일 (미드웨이 해전 이후) |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
| 1944년 4월 1일 | 다이호, 쇼카쿠, 즈이카쿠 |
| 1944년 8월 15일 | 운류, 아마기 |
| 1945년 4월 10일 (최종) | 야마토, 가쓰라기, 아마기, 준요, 류호 |
1928년 4월 1일, 아카기와 호쇼, 그리고 우메와 쿠스노키로 제1항공전대가 처음 편성되었다.[6] 1931년에는 가가와 노토로, 미네카제, 오키카제, 야카제, 사와카제가 제1항공전대에 포함되었다.
1941년 4월 10일, 제1항공함대가 창설되면서 제1항공전대는 아카기와 가가로 구성되어 제1항공함대에 편입되었다.[3] 제1항공함대 사령관은 제1항공전대 사령관을 겸임했다.
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 아카기와 가가가 침몰한 후, 7월 14일에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를 중심으로 제1항공전대가 재편성되었다.
1944년 3월, 다이호가 완성되어 제1항공전대에 포함되었고, 즈이호는 제3항공전대로 이동했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마리아나 해전에서 쇼카쿠와 다이호가 침몰하면서 제1항공전대는 다시 해체되었다. 이후 즈이카쿠는 제3항공전대에 편입되어 레이테 만 전투에 참가했다.
1944년 8월, 운류와 아마기로 다시 제1항공전대가 편성되었지만, 마리아나 해전 이후 재편된 제601항공대는 장비와 승무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45년 4월 10일, 제1항공전대는 야마토, 가쓰라기, 아마기, 준요, 류호로 최종 편성을 갖추었으나, 4월 20일에 해체되었다.[59][60]
3. 2. 역대 지휘관
| 계급 | 이름 | 임명일 | |
|---|---|---|---|
| 1 | 소장 | 다카하시 산키치 | 1928년 4월 1일 |
| x | 해산 | 1928년 12월 10일 | |
| 2 | 소장 | 다카하시 산키치 | 1929년 4월 1일 |
| 3 | 소장 | 에다하라 유리카즈 | 1929년 11월 30일 |
| 4 | 소장 | 가토 다카요시 | 1930년 12월 1일 |
| 5 | 소장 | 오이카와 고시로 | 1932년 11월 15일 |
| 6 | 소장 | 야마모토 이소로쿠 | 1933년 10월 3일 |
| 7 | 소장 | 와다 히데호 | 1934년 6월 1일 |
| 8 | 소장 | 사토 사부로 | 1935년 11월 15일 |
| 9 | 소장 | 다카스 시로 | 1936년 12월 1일 |
| 10 | 소장 | 구사카 진이치 | 1937년 12월 1일 |
| 11 | 소장 | 호소야 보시로 | 1938년 4월 25일 |
| 12 | 소장 | 오자와 지사부로 | 1939년 11월 15일 |
| 13 | 소장 | 도츠카 미치타로 | 1940년 11월 1일 |
| 14 | 중장 | 나구모 주이치 | 1941년 4월 10일 |
| 15 | 중장 | 오자와 지사부로 | 1942년 11월 11일 |
| 16 | 소장 | 고무라 게이조 | 1944년 10월 1일 |
| 17 | 소장 | 오바야시 스에오 | 1944년 12월 10일 |
| x | 보직 해제 | 1945년 2월 10일 | |
| x | 해체 | 1945년 4월 20일 |
4. 평가 및 영향
제1항공전대는 일본 해군 항공력의 핵심 부대로, 태평양 전쟁 초기 일본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진주만 공격, 라바울 공략, 실론 해전 등 주요 작전에 참가하여 연합군의 함선과 기지를 공격, 일본군의 진격을 지원했다.[3]
하지만 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 주력 항공모함 아카기와 가가를 잃은 것은 일본 해군 항공력 쇠퇴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42] 이후 쇼카쿠, 즈이카쿠를 중심으로 재건되었으나, 마리아나 해전에서 다이호와 쇼카쿠마저 잃으면서 사실상 괴멸되었다.
제1항공전대의 역사는 항공모함 중심의 해전 양상이 변화함에 따라, 항공모함 운용 전략과 전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미드웨이 해전에서의 패배는 함재기 운용과 피해 복구 능력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참조
[1]
서적
Aircraft Carriers: A History of Carrier Aviation and Its Influence on World Events, 1946-2006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2008-01-24
[2]
문서
年度戦時編制 ― 第一・第十一航空艦隊登場
[3]
문서
聯合艦隊編制推移表(昭和十四年十一月十五日~十六年十二月十日)
[4]
문서
昭和3年四、一 當分ノ間聯合艦隊附属艦船ノ一部ヲ以テ第一航空戰隊ヲ編成セラル(内令八四)
[5]
문서
昭和六年度 ― 満州・上海事変と第三艦隊新編
[6]
간행물
昭和3年6月5日(火)海軍公報 第424号 p.19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
문서
艦隊平時編制標準改定と聯合艦隊の常設 ― 昭和八年
[8]
문서
志賀博(旧姓保坂)は昭和17年4月から昭和18年5月まで駆逐艦夕風水雷長。当時の夕風は、空母鳳翔の追躡駆逐艦。
[9]
문서
魚雷艇の二人
[10]
문서
自昭和十六年五月一日至同年五月三十一日 第一航空艦隊ニ編入艦隊作業ニ從事
[11]
문서
戦時編制の改定(抜粋)(昭和一六.一二.一〇付)
[12]
문서
戦艦主兵思想と航空の発達
[13]
문서
第三艦隊・第一航空艦隊・海南警備府新編
[14]
간행물
昭和16年4月10日(発令4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614号 p.29南雲補職・戸塚免職、p.31源田補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
간행물
昭和16年4月15日(発令4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620号 p.1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
문서
呉|第十一驅逐隊|吹雪、白雪、初雪|(戦時編制ニ依ル所属)第一航空戦隊
[17]
문서
呉|第五十一驅逐隊|薄雲、白雲|(戦時編制ニ依ル所属)第五航空戦隊
[18]
문서
艦隊|第一航空艦隊|第一航空戦隊/翔鶴、瑞鶴、第十一驅逐隊|第二航空戦隊/蒼龍・飛龍・第十二驅逐隊|第四航空戦隊/龍驤、《飛鷹》、《隼鷹》、第三驅逐隊|第五航空戦隊/赤城、加賀、第五十一驅逐隊|第六航空戦隊/《第三十一驅逐隊》/特設航空母艦三
[19]
문서
南洋部隊、空母二隻の増派要請
[20]
간행물
昭和17年4月10日(発令4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41号 p.14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
문서
聨合艦隊戦時編制の改定
[22]
문서
聨合艦隊戦時編制表(昭和一七.四.一〇付)
[23]
간행물
昭和17年7月14日(発令7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99号 p.5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
문서
8日2230/機動部隊電令作第4号 一.第一航空戦隊(瑞鳳ヲ除キ竜驤ヲ一時三番艦トス)ハ第三艦隊機密第251番電ノ整備完了セバ飛行機ヲ収容基地撤収16日中ニ出動準備ヲ完了スベシ(中略)四.第二航空戦隊(竜驤ヲ除キ瑞鳳ヲ一時三番艦トス)ハ第三艦隊機密第251番電ノ整備速ニ司令官所定ニ依リ訓練整備(機材充実)ニ従事シツツ後令ヲ待テ
[25]
간행물
昭和17年11月11日(発令11月1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85号 p.47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6]
간행물
昭和19年3月1日(発令3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52号 pp.39-4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
문서
三.一(略)第三艦隊軍隊区分ヲ左ノ通改ム 1sf(翔鶴、瑞鶴、六〇一空)/2sf(飛鷹、龍鳳、隼鷹)/3sf(六五三空、千歳、千代田、瑞鳳)/10S(矢矧、10dg、4dg、16dg、17dg、阿賀野)/附属最上
[28]
문서
(ハ)◎大鳳 1sfへ 3/7
[29]
문서
三.三月一〇日大鳳ヲ1sfニ編入
[30]
문서
龍鳳 2sf-1sf/隼鷹 2sf-4sf/飛鷹 2sf-3F/601 3F-1sf}7/10
[31]
문서
三.七月十日第三艦隊軍隊区分ヲ左ノ通改ム 1sf(瑞鶴、龍鳳、大鳳、翔鶴、六〇一空)/3sf(六五三空、千歳、千代田、瑞鳳)/4sf(日向、伊勢、隼鷹、六三四空)、10S(矢矧、4dg、17dg、61dg、霜月)/附属最上、飛鷹/四.七月十五日10Sニ41dgヲ編入/五.八月六日1sfニ雲龍ヲ編入
[32]
문서
◎雲龍 1sf/◎天城 1sf/大鳳 翔鶴 1sf→3F/龍鳳 1sf→4sf/瑞鶴 1sf→3sf}8/10
[33]
문서
二.八月十日第三艦隊軍隊區分ヲ左ノ通改ム 1sf(天城、雲龍、六〇一空)/3sf(瑞鶴、瑞鳳、千歳、千代田、六五三空)/4sf(日向、伊勢、隼鷹、龍鳳、六三四空)、10S(矢矧、41dg、4dg、17dg)/附属最上、大鳳、翔鶴
[34]
간행물
昭和19年10月6日(発令10月1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612号 p.27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5]
간행물
昭和19年10月4日 海軍公報第4817号 p.15 ○事務開始 第一航空戰隊司令部ハ十月一日開隊松山航空基地ニ於テ事務ヲ開始セリ ○残務整理 第三航空戰隊司令部残務整理ハ第一航空戰隊司令部ニ於テ之ヲ行フ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6]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9年10月13日 海軍公報第4825号 p.29
1944-10-13
[37]
戦時日誌
第1機動艦隊戦時日誌
[38]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39]
戦史叢書
大本営海軍部の水上兵力整頓の基本方針
[40]
戦時日誌
第1機動艦隊戦時日誌
[41]
戦史叢書
空母航空部隊の再建
[42]
戦史叢書
第一機動艦隊、第三艦隊の解隊(十一月十五日)
[43]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44]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45]
戦史叢書
軍令部の水上兵力使用の基本方針
[46]
戦史叢書
神武特別攻撃隊の比島進出
[47]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9年12月13日(発令12月10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667号 p.49
1944-12-13
[48]
戦史叢書
櫻花の緊急比島輸送成らず・「雲龍」の沈没
[49]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50]
戦史叢書
「龍鳳」、櫻花の台湾輸送任務に成功
[51]
戦史叢書
第二艦隊の改編
[52]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53]
戦史叢書
機動部隊の再建を断念す
[54]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55]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56]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20年2月15日(発令2月10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722号 p.36
1945-02-15
[57]
戦史叢書
海上特攻隊の編制と出撃準備
[58]
戦史叢書
海上特攻隊、突入に失敗
[59]
戦史叢書
第二艦隊、第二水雷戦隊の解隊
[60]
編制
海軍航空部隊編制
[61]
秘海軍公報
内令第三三八號
1945-04-20
[62]
秘海軍公報
内令第六一六號
1945-07-10
[63]
海軍制度沿革
昭和三年 聯合艦隊
1933
[64]
海軍制度沿革
昭和二年、十二月一日(内令三八五)
1932-12-01
[65]
海軍制度沿革
昭和三年 聯合艦隊
1933-12-10
[66]
海軍制度沿革
昭和四年 聯合艦隊
1934-04-01
[67]
海軍制度沿革
昭和三年、十二月十日(内令三五〇)
1933-12-10
[68]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4年4月5日(金)海軍公報 第666号 p.17
1934-04-05
[69]
海軍制度沿革
昭和四年 聯合艦隊
1934-11-30
[70]
海軍制度沿革
昭和四、十一、三十日(内令二七六)
1934-11-30
[7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4年12月1日(水)海軍公報 第871号 p.49
1929-12-01
[72]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5年2月19日(水)海軍公報 第923号 p.12
1930-02-19
[7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5年10月31日(金)海軍公報 第1132号 p.19
1930-10-31
[74]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5年12月1日(月)海軍公報 第1157号 p.2
1930-12-01
[75]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五年 聯合艦隊 一二、一(内令二三二)赤城、第二驅逐隊(一空戰) - 昭和五年 聯合艦隊 一二、一(内令二三二)加賀、第一驅逐隊(一空戰)、第一掃海隊
[76]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五、一二、一(内令二二九)|横須賀鎭守府|第二驅逐隊|峯風、澤風、沖風、矢風
[77]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六年 聯合艦隊 二、一(内令一八)鶴見/一二、一(内令二一七)加賀(一空戰)、能登呂 - 昭和六年 聯合艦隊 五、一五(内令八九)鶴見/一〇、一(内令一七一)能登呂/一二、一(内令二一七)赤城(一空戰)
[78]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七年、二、二(内令二六)(略)第一航空戰隊 加賀、鳳翔、第二驅逐隊 - 二、二 今次事變中當分ノ間第三艦隊ヲ編制セラル 第一遣外艦隊、第三戰隊及第一水雷戰隊ハ現ニ編成中ノ艦隊編制ノモノヲ以テ、第一航空戰隊ハ現ニ編成中ノモノヲ以テ各之ニ充ツ
[79]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七年、第三艦隊 三、二〇(内令九五)第三戰隊、第一水雷戰隊、第一航空戰隊
[80]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八年、五、二〇(内令一八二)|聯合艦隊|第一艦隊|第一航空戰隊 加賀、鳳翔、第二驅逐隊
[8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8年10月4日(水)海軍公報第1994号 p.11
1933-10-04
[82]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8年10月21日(土)海軍公報第2008号 p.17
1933-10-21
[83]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八年 第一艦隊 一〇、二〇(内令三三四)赤城、龍驤(一空戰)-昭和八年 第一艦隊 一〇、二〇(内令三三四)加賀、鳳翔(一空戰)
[84]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八年 八、一一、一五(内令三五一)|聯合艦隊|第一艦隊|第一航空戰隊 赤城、龍驤、第二驅逐隊
[85]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9年2月19日(月)海軍公報第2100号 p.24
1934-02-19
[86]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9年3月17日(土)海軍公報第2123号 p.2
1934-03-17
[87]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9年11月20日(火)海軍公報第2326号 p.13
1934-11-20
[88]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九年 一一、一五(内令四七六)|聯合艦隊|第一艦隊|第一航空戰隊 鳳翔、龍驤、第五驅逐隊 - 聯合艦隊|第二艦隊|第二航空戰隊 赤城、第二驅逐隊
[89]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九、一一、一五(内令四七七)|横須賀鎭守府|第五驅逐隊|朝風、春風、松風、旗風
[90]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一〇年 一一、一五(内令四五八)|聯合艦隊|第一艦隊|第一航空戰隊 鳳翔、龍驤、第五驅逐隊
[9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9年11月16日(金)海軍公報 第2323号 p.2
1934-11-16
[92]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0年1月22日(金)海軍公報 第2371号 p.11
1935-01-22
[93]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一一、一二、一(内令四七一)|佐世保鎭守府|第三十驅逐隊|睦月、如月、彌生、卯月
[94]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2年11月27日(土)海軍公報(部内限)第2775号 p.30, pp.32-33
1937-11-27
[95]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2年12月3日(金)海軍公報(部内限)第2780号 p.30
1937-12-03
[96]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2年12月4日(土)海軍公報(部内限)第2781号 p.39
1937-12-04
[97]
海軍制度沿革四巻(1939)
昭和一二、一二、一|佐世保鎭守府|第二十九驅逐隊|追風、疾風
[98]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3年12月17日(土)海軍公報(部内限)第3089号 p.41
1938-12-17
[99]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4年5月9日(火)海軍公報(部内限)第3202号 p.10
1939-05-09
[100]
戦史叢書
昭和十五年度艦隊編制(抜粋)(昭和一四.一一.一五付)
[101]
戦史叢書
三コ遣支艦隊の新編と第四艦隊の独立 ― 昭和十四年十一月十五日
[102]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昭和15年5月21日(火)海軍公報(部内限)3507号 p.47 p.48
1940-05-21
[103]
戦史叢書
昭和十六年度艦隊編制(外戦部隊)(昭和一五.一一.一五付)
[104]
支那事変第9回功績(3駆)
第一航空艦隊司令長官南雲忠一
[105]
第34駆逐隊支那事変第9回功績
自昭和十六年四月十日至昭和十六年四月三十日|第一航空艦隊第一航空戦隊ニ属シ教育訓練竝ニ沿岸防備ニ従事對支那事變内地待機
[106]
문서
内令昭和16年4月(3)
[107]
문서
第34駆逐隊支那事変第9回功績
[108]
문서
支那事変第9回功績(17駆)
[109]
문서
支那事変第9回功績(17駆)
[110]
문서
支那事変第9回功績(17駆)
[111]
문서
支那事変第10回功績(17駆)
[112]
문서
支那事変第10回功績(17駆)
[113]
문서
支那事変第10回功績(7駆)
[114]
문서
昭和16年9~10月 内令3巻(防衛省防衛研究所)昭和16年9月(1)
[115]
문서
支那事変第10回功績(朧)
[116]
문서
支那事変第10回功績(朧)
[117]
문서
支那事変第10回功績(漣)
[118]
문서
昭和16年9~10月 内令3巻(防衛省防衛研究所)昭和16年9月(4)
[119]
문서
戦史叢書93巻
[120]
문서
戦史叢書93巻
[121]
간행물
昭和3年4月2日(月)官報第376号
[122]
간행물
昭和3年12月11日(火)官報第587号
[123]
간행물
昭和4年4月2日(火)官報第675号
[124]
간행물
昭和4年12月2日(月)官報第878号
[125]
간행물
昭和5年12月2日(火)官報第1179号
[126]
간행물
昭和7年11月16日(水)官報第1765号
[127]
간행물
昭和8年10月4日(水)官報第2029号
[128]
간행물
昭和9年6月2日(土)官報第2224号
[129]
간행물
昭和10年11月16日(土)官報第2663号
[130]
간행물
昭和11年12月2日(水)官報第2976号
[131]
간행물
昭和12年12月1日(発令12月1日付)海軍辞令公報(号外)第99号
[132]
간행물
昭和13年4月25日(発令4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号外第173号
[133]
간행물
昭和14年11月15日(発令11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402号
[134]
간행물
昭和15年11月1日(発令11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55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