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쇼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쇼는 일본 해군의 항공모함으로, 세계 최초로 항공모함으로 건조된 함선 중 하나이다. 1922년 완공 당시 근대 항공모함의 모습을 갖추었으나, 함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여러 차례 개조를 거쳤다. 일본 해군의 항공모함 운용 교리 개발에 기여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미드웨이 해전 이후 훈련용 항공모함으로 사용되었으며, 종전 후에는 복원 수송함으로 활용되어 약 4만 명의 장병과 민간인을 수송했다. 1947년 해체되었으며, 일본 해군은 호쇼를 통해 항공모함 운용 및 전술을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항공모함 - 다이호 (항공모함)
다이호는 일본 제국 해군 최초의 장갑 항공모함으로, 쇼카쿠급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비행갑판 장갑화, 대형화된 함교와 굴뚝 일체화 구조를 특징으로 하지만, 마리아나 해전에서 미군 잠수함의 어뢰 공격으로 폭발, 침몰했다. - 1921년 선박 - 가가 (항공모함)
가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항공모함으로, 원래 전함으로 건조되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미드웨이 해전에서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항공모함 - 소류 (항공모함)
소류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항공모함으로, 1937년 취역하여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여했으나 1942년 미 해군 공격으로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항공모함 - 가가 (항공모함)
가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항공모함으로, 원래 전함으로 건조되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미드웨이 해전에서 침몰했다.
호쇼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급 | 호쇼급 |
건조 | 아사노 조선소, 쓰루미구, 요코하마시 (진수까지) 요코스카 해군 공창 (의장) |
운용 국가 | 일본 제국 |
이전 함급 | 없음 |
이후 함급 | 쇼카쿠급 항공모함 |
이후 함급 (다른 계통) | 아카기 |
건조 기간 | 1920년–1922년 |
취역 기간 | 1922년–1946년 |
기공 기간 | 1922년–1945년 |
계획 함선 수 | 2척 |
완공 함선 수 | 1척 |
폐기 함선 수 | 1척 |
함명 | 호쇼 (鳳翔) |
함명 유래 | 봉황 |
함력 | |
국가 | 일본 제국 |
기 | 일본 제국 해군기 |
발주 | 다이쇼 7년도 (86함대 계획) |
기공 | 1920년 12월 16일 |
진수 | 1921년 11월 13일 |
취역 | 1922년 12월 27일 |
퇴역 | 해당 없음 |
제적 | 1945년 10월 5일 |
최후 | 복원 수송에 종사 1946년부터 1947년까지 해체 |
모항 (준공 시) | 요코스카 |
모항 (1937년 12월 1일부터) | 구레 |
건조 비용 | 불명 |
특징 (건조 당시) | |
함종 | 항공모함 |
배수량 (기준) | 7,470 영국 톤 |
배수량 (정상) | 9,494 영국 톤 |
길이 | 168.25m |
폭 | 17.98m |
흘수 (평균) | 6.17m |
동력 | 8 × 소형 관형 보일러 30,000 축마력 |
추진 | 2축 2 기어 증기 터빈 |
속력 | 25 노트 |
항속 거리 | 8,680 해리 (12 노트 시) |
승무원 | 512명 |
무장 | 4 × 단장 14cm 포 2 × 단장 8 cm (3인치) 대공포 |
탑재 항공기 | 15기 |
크기 (최종 시점) | |
배수량 (공시) | 10,500톤 |
전체 길이 | 179.5m (비행 갑판 포함) |
흘수 | 5.3m |
속력 | 24.7노트 |
항속 거리 | 10,000해리 (11노트 시) |
연료 | 중유 2,657.1영국 톤 |
보일러 | 대형 4기, 소형 4기 |
갑판 | |
비행 갑판 (준공 시) | 168.25m x 22.7m |
비행 갑판 (1944년) | 180.8m x 22.7m |
엘리베이터 | 2기 |
무장 (1938년 3월) | |
주포 | 14cm 단장포 4문 |
대공포 | 13mm 연장 기관총 6기 12정 |
예포 | 야마노우치 6cm 예포 4문 |
무장 (1944년 4월) | |
대공포 | 96식 25mm 3연장 기관총 2기 (출처 필요) |
탑재정 (1923년) | |
탑재정 수량 | 8척 |
탑재정 (1938년) | |
탑재정 수량 | 9척 |
탑재정 (1939년) | |
탑재정 종류 및 수량 | 11m 내화정 1척 9m 내화정 2척 12m 내화 런치 1척 8m 런치 1척 30ft 커터 1척 9m 커터 1척 |
탑재기 | |
탑재기 (준공 시) | 함상 전투기 6기, 함상 공격기 9기, 보충 6기 |
탑재기 (1941년 12월 정수) | 함상 전투기 8기, 보충 3기, 함상 공격기 6기, 보충 2기 |
탑재기 (1942년 8월 이후) | 정수 0 |
레이더 및 소나 (최종 시점) | |
레이더 | 전탐 1기 |
역탐지기 | 역탐 1기 |
소나 | 영식 수중 청음기 1기 |
기타 | |
자이로스코프 안정기 | 수식 전륜 안정기 1기 |
2. 설계 및 특징
호쇼는 1918년 일본 정부의 "8·6함대 계획"에 따라 수상기 모함 건조 계획의 일환으로 설계되었다.[2] 초기에는 전방 비행 갑판을 갖춘 수상기 모함으로 설계되었으나,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설계를 참고하여 전장형 비행 갑판을 갖춘 항공모함으로 변경되었다.[5]
동맹국인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시점에서 해상 함정에서 육상기를 발진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더 나아가 발함과 착함을 가능하게 하는 비행 갑판을 갖춘 항공모함을 실용화하고 있었다. 일본 해군은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운용에 처음부터 많은 관심을 가졌지만, 자국 건조 시도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은 영국에 항공사절단의 파견을 신청했고, 영국은 1921년에 윌리엄 포브스-셈필을 단장으로 하는 군사 기술단(셈필 교육단)을 일본에 파견하여 일본 항공모함 건조의 핵심이 되는 항공모함 데크의 건조 기술을 지도했다. 동시에 해군은 미쓰비를 통해 영국 공군의 퇴역 장교 프레데릭 러틀랜드를 고용하여 항공모함 착함 기술을 일본 측 파일럿에게 전수했다.[82]
호쇼는 설계 단계부터 항공모함으로 계획된 함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완성된 함이다. 영국의 허미즈가 먼저 기공되었으나, 기술적 문제로 완공이 지연되어 호쇼가 먼저 완성되었다.[5] 호쇼의 설계 속도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의 경험을 바탕으로 25kn으로 감소했다.[6]
1919년 10월에 호쇼로 명명되었으며, 함명은 과거 포함 호쇼가 사용한 적이 있으며, 이 이름을 가진 일본 해군 함선으로는 2번째이다.
호쇼는 아사노 조선소에서 1920년 12월 16일에 기공했다.[49] 1921년 11월 13일에 진수되었으며,[50] 1922년 12월 27일에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준공했다.[97][51] 건조는 요코스카 해군 공창이 담당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불황에 따른 구제 정책의 일환으로, 1916년에 창업한 지 얼마 안 된 아사노 조선소에 위탁되었다.[98]
건조 초기에는 3개의 굴뚝이 우현에 장착되었고 비행 작전 중 수평으로 회전했다. 또한, 안정성 강화를 위해 당시의 신기술인 쟈이로·스태빌라이져를 채용하고 있었다.
2. 1. 구조

호쇼는 건조 당시부터 근대 항공모함의 양식을 갖추고 있었으나, 작은 함체 때문에 함교와 굴뚝이 운용에 방해가 되었다. 1924년(다이쇼 13년) 개장을 통해 굴뚝은 아래로 젖힌 상태로 고정되었고, 함교는 제거되어 갑판이 평평한 형태(플랫 데크)가 되었다.[19] 함교 제거 후, 항공모함의 비행 작전은 비행 갑판 측면에서 연장된 플랫폼에서 통제되었다.[20]
이후 선체 각 부분의 보강이 실시되었고, 항공기 착함 시 사용하는 제동 장치도 세로 방식에서 가로 방식으로 변경되었다.[84] 복원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각포를 철거하고 기관 방식을 변경하는 등, 세세한 개수가 이루어졌다.
1925년 3월 10일부터 7월 2일 사이에는 전방 엘리베이터 뒤에 착륙하는 항공기가 이륙을 준비하는 항공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을 장착했다. 이 장벽은 유압식으로 3초 만에 설치할 수 있었다.[21]
1936년에는 운용 실적이 좋지 않았던 기동식 굴뚝을 바깥쪽에서 해면을 향해 구부러지는 고정식 굴뚝으로 교체했다. 굴뚝 교체로 약 60톤의 중량을 줄일 수 있었다고 한다.[85]
2. 2. 착함 장치
鳳翔일본어가 취역할 당시 항공기 구속 장치는 영국에서 도입한 종색 제동 장치였다. 이 장치는 약 100m 길이의 제동색을 약 15cm 간격으로 펴서 착함하는 기체의 앞바퀴와 꼬리 썰매 부근에 설치한 여러 개의 갈고리와 마찰을 이용해 제동 거리를 줄이는 방식이었다.[86] 호쇼에서는 바퀴가 닿으면 넘어지는 전장 장치를 겸한 높이 약 45cm의 말뚝(허들)을 9곳에 설치하여 제동 거리를 더욱 줄였지만, 착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86] 이 종색 제동 장치를 사용한 착함은 "이점 착륙"이라 하여 앞바퀴를 먼저 착지시키는 육상 착륙 방법이었다.[87]이후 1928년경까지 각종 비행기를 이용하여 발착함 시험을 실시하고, 가야바 제작소가 "가야바식 제동 장치"를 고안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퓨식 횡색 제동 장치를 수입하여 가가에 설치했다. 호쇼, 아카기에 설치된 이후의 항공모함은 모두 횡색 제동 장치가 되었으며, 이후에는 구레 해군 공창제 구레식 제동 장치도 등장했다.[88]
횡색 방식을 채택한 후 착함에는 "삼점 착륙"이라는 방법을 사용했다.[89] 이는 제동색이 앞바퀴에 닿으면 전장 장치에서 벗어나 갑판에 쓸려 착함 후크가 제동색에 걸리지 않아 감속 불량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착륙 방법으로, 착륙 시 지상에 주기된 것과 같은 기체 자세를 취하여 세 개의 바퀴를 동시에 착지시키는 방식이다.
1942년 공기창은 "삼식 10형 착함 구속 장치"[92]를 개발했다. 이는 유압 제동 장치로, 4개의 제동색을 조작하고, 고속화 및 중량화가 진행된 최신예 함상기를 경항공모함에서 운용하는 데 필수적인 제동력을 강화한 장치였다.[94]
일본 항공모함은 9~13개의 제동색을 갖추고 있었으며, 선수 쪽으로 갈수록 제동색의 긴장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함상기 조종사들은 함미에서 3번째 제동색을 가장 선호했다.[95]
급속 수용 시에는 먼저 착함한 동료 기체와 충돌하거나 작동 중인 엘리베이터에 떨어지지 않도록 기동식 망상 활주 제지 장치(바리케이드)가 설치되어 있었다. 초기에는 유압으로 작동했지만 이후 공기창에서 개발한 삼형으로 개수되었다.[94]
착함 지도등은 여러 개의 적색과 녹색 등화로 적절한 진입 각도(약 6도)를 탑승원에게 알려주는 유도용 등화 장치였다.[94]
2. 3. 기관
호쇼는 파슨스 기어드 터빈 2기를 장착하여 총 30000shp의 출력을 냈으며, 2개의 프로펠러 축을 구동했다. 8기의 캄폰 B형 수관 보일러는 18.3kg/cm2의 작동 압력과 138°C의 온도로 터빈에 증기를 공급했다. 이 중 4기는 연료유를, 나머지 4기는 연료유와 석탄을 혼합하여 사용했다.[9] 이후 중유 전소 방식으로 변경되었다.설계 속도는 25노트였지만, 1922년 11월 30일 해상 시운전에서 31117shp의 출력으로 26.66kn의 속도를 기록했다. 호쇼는 약 2743326.90kg의 연료유와 약 955084.18kg의 석탄을 탑재했는데, 이는 작은 함선으로는 이례적인 양으로, 12kn의 속도로 항해 시 8680nmi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9]
2. 4. 무장
1922년 준공 당시 호쇼는 50 구경 14cm/50 3년식 함포 4문을 장착했는데, 각 측면에 2문씩 배치되었다. 함수에 위치한 2문의 함포는 정면을 포함하여 150°의 사격 범위를 가졌고, 함미의 함포는 양쪽으로 120°까지 사격이 가능했다.[14] 이 함포는 분당 6~10발의 속도로 의 포탄을 발사했으며, 포구 속도는 약 였다. 35°에서 최대 사거리는 였다.[15] 당시에는 항공모함 전술이 막 발전하는 단계였기 때문에 항공모함이 함포전을 벌이는 것이 비실용적이라는 점이 아직 인식되지 않아 호쇼에는 강력한 함포 무장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넓은 비행 갑판과 장갑 부족은 호쇼를 해상 전투에서 취약한 표적으로 만들었다.[16]40 구경 8cm/40 3년식 함포 2문이 인양식 마운트에 장착되어 호쇼의 대공 방어를 담당했다. 이 함포들은 비행 갑판의 후방 엘리베이터 바로 앞에 배치되었다. 이 함포는 의 포탄을 약 의 포구 속도로 발사했다. 45°에서 최대 사거리는 였으며, 75°의 고각에서 최대 사격 고도는 였다. 실질적인 발사 속도는 분당 13~20발이었다.[17]
3. 운용
''호쇼''는 일본 해군 항공모함 운용 교리 및 전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다양한 함재기 및 착함 장치 시험을 통해 얻은 경험은 이후 일본 항공모함 설계 및 운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22]
''호쇼''는 취역 이후 1924년 함교를 제거하고 비행 갑판을 평평하게 만드는 개조를 받았다. 1925년에는 전방 엘리베이터 뒤에 유압식 바리케이드 그물을 장착했다.[21] 1930년대에는 ''호쇼''에 세 가지 다른 유형의 횡방향 착함 장치가 시험용으로 장착되었다.[22][23]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 당시 ''호쇼''의 함재기는 일본 해군 최초의 공중전을 경험했다.[24] 1935년 제4함대 사건으로 비행 갑판이 손상되기도 했다.[26] 1937년 중일 전쟁에 참가하여 광저우 근처에서 작전을 수행했다.[29]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호쇼는 제3항공전대 소속으로 제1함대에 배속되었다.[33] 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는 주력 부대를 지원했으며, ''호쇼''의 함재기는 불타는 히류를 촬영하기도 했다.[38]
미드웨이 해전 이후 ''호쇼''는 주로 세토 내해에서 훈련 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다. 나카지마 B6N 및 요코스카 D4Y와 같은 신형 함재기 운용을 위해, 1944년 비행 갑판을 확장했지만, 안정성 문제로 작전 운용에 제한을 받았다.[41]
3. 1. 초기 활동
''호쇼''는 1920년 12월 16일 요코하마시 쓰루미구에 있는 아사노 조선소에서 기공되었다.[49] 1921년 11월 13일에 진수되었고,[50] 1922년 12월 27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취역했다.[97][51]1923년 2월, ''호쇼''는 세계 최초로 항공모함 착함 시험에 성공했다. 계약된 영국인 조종사 윌리엄 조던은 10식 함상 전투기를 몰고 착함에 성공했으며, 착함 보상으로 당시 화폐 가치로 500만 엔에서 6,666만 엔에 해당하는 1만 엔을 요구하여 받았다.[100] 같은 해 3월, 셈필 사절단에 의해 훈련된 일본인 조종사 기라 슌이치 대위도 10식 함상 전투기를 이용해 착함에 성공, 일본 해군 항공모함 운용 능력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00]
취역 후, ''호쇼''는 비행대원들의 요청에 따라 1924년 6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함교, 삼각 마스트, 항공기 크레인을 제거하는 개조를 받았다. 이는 비행 갑판을 부분적으로 가리고 조종사의 시야를 방해했기 때문이다.[19] 함교 제거 후, 비행 작전은 비행 갑판 측면에서 연장된 플랫폼에서 통제되었다.[20] 1924년 11월 15일, ''호쇼''는 제1함대에 배속되었다.[19]
1925년 3월 10일부터 7월 2일 사이에는 전방 엘리베이터 뒤에 착륙하는 항공기가 이륙 준비 중인 항공기와 충돌하거나 열린 엘리베이터 구덩이로 추락하는 것을 막기 위한 유압식 바리케이드 그물을 장착했다.[21]
''호쇼''는 일본 해군에 항공모함 공중 작전에 대한 귀중한 경험과 통찰력을 제공, 항공기 및 장비, 특히 다양한 유형의 착함 장치 및 시각 착륙 보조 장치를 시험하는 데 사용되었다.[22] 1928년 4월 1일, 아카기와 함께 제1항공전대에 배속되었다.[23]
3. 2. 상하이 사변
1932년 2월, 제1차 상하이 사변에 참전하였다. 가가와 함께 제1 항공모함 전대에 배속되어 중국으로 파견되었다. 제3함대와 함께 작전하며, 양쯔 강 하구에 도착한 ''호쇼''의 함재기는 2월 5일 일본 해군 최초의 공중전을 경험했다. 공격기 2기를 호위하던 전투기 3기가 상하이 상공에서 중국 전투기 9기와 교전했으며, 중국 전투기 1대가 손상되었지만 일본 조종사들은 격추를 주장하지 않았다.[24] 이틀 후, 두 항공모함은 일부 항공기를 쿤다 비행장으로 보내 일본 제국 육군을 지원하기 위한 지상 공격 임무를 수행했다. 2월 23일부터 26일 사이에, ''가가''와 ''호쇼''의 폭격기들은 항저우와 쑤저우에 있는 중국 비행장을 공격하여 지상에 있던 다수의 중국 항공기를 파괴했다. 2월 26일, ''호쇼''에서 출격한 전투기 6기는 ''가가''의 공격기 9기를 호위하면서, 교전한 중국 전투기 5대 중 3대를 격추했다.[25] 제1 항공모함 전대는 3월 3일에 휴전이 선언된 후 3월 20일에 연합 함대에 합류했다.
3. 3. 제4함대 사건
1935년 9월, 태풍으로 인해 함수의 비행 갑판이 손상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은 제4함대 사건으로 불린다.[26] 1934년의 도모즈루 사건과 더불어,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 제국 해군은 함선 안정성 문제를 인식하고, ''호쇼''를 포함한 여러 함선에 대한 설계 변경을 진행했다.[27]3. 4. 중일 전쟁
1937년 7월, 제2차 상하이 사변이 발생하여, 중일 전쟁이 시작되었다. 호쇼는 8월에 중일 전쟁에 참가했다.[31] 제3함대에 재합류하여 류조와 함께 중국 중부에서 육군의 지상 작전을 지원했으며, 이후 가가가 합류했다.[28] 이 세 척의 항공모함은 중국에서 총 90대의 항공기를 투입했는데, 그 중 ''호쇼''가 15대, ''류조''가 27대, 나머지는 ''가가''에서 출격했다.[28] ''호쇼'' 항공기의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7월 25일, 이 함선에 탑재된 나카지마 A2N 전투기 3대가 마틴 B-10 폭격기 1대를 격추했다.[28]9월 1일, 연료 보급을 위해 일본으로 돌아갔다가 ''류조''와 함께 남중국 해안으로 출항하여 9월 21일, 현재 광저우인 광저우 근처의 중국군을 상대로 작전을 시작했다.[29] 그날, ''호쇼''는 비행장을 공격하는 폭격기를 호위하기 위해 6대의 전투기를 투입했고, 이 연합군은 7대의 커티스 호크 III 전투기와 교전하여 자군의 피해 없이 전투기 2대와 관측기 2대를 격추했다.[29] 일본 전투기 5대는 귀환 비행 중 연료가 떨어져 바다에 수상 착륙해야 했지만, 조종사들은 구조되었다.[30] 그날 오후에 있었던 추가 공습은 남아 있던 5대의 호크 전투기의 공격을 받았지만, 일본군 측에서 1대를 잃었다. 일본 조종사들은 이 날의 전투에서 적 항공기 16대를 격추했고, 추가로 격추 가능성 1대를 기록했다고 주장했다.[30] 10월 3일, ''호쇼''와 ''류조''는 상하이 지역으로 돌아갔고, ''호쇼''의 항공기는 지상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쿤다 비행장으로 임시 이동되었다.[31] 10월 17일, 모든 항공기를 ''류조''로 이전했고, 12월 1일에 예비 상태로 전환된 일본으로 돌아갔다.[31]

3. 5. 태평양 전쟁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호쇼는 제3항공전대 소속으로 제1함대에 배속되어 있었다. 다카스 시로 제독의 지휘 아래, 즈이호와 함께 주력 전함 부대의 대잠 초계 임무를 맡았다.[33] 당시 호쇼는 복엽으로 발착이 용이한 96식 함상 공격기를 탑재하고 있었으며, 승무원들의 숙련도 역시 뛰어났다.12월 8일, 나구모 주이치가 이끄는 항공모함 부대가 진주만 공격을 감행할 때, 호쇼는 세토 내해에서 출항하여 주력 부대와 함께 원거리 엄호를 제공했다. 그러나 무선 침묵 규정 때문에 12월 10일 주력 부대와 분리되었고, 이후 연락이 두절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호쇼는 12월 13일 구레 항구로 귀환했다.[34]
1942년 2월 상순, 미 기동 부대가 마셜 제도를 습격하자, 일본 제국 해군은 미 기동 부대의 본토 내습에 대비하여 경계 부대를 편성했다. 호쇼는 즈이호 등과 함께 경계 부대에 포함되어 오가사와라 제도 방면으로 진출했으나, 특별한 교전은 없었다.
4월 1일, 제3항공전대가 해산되면서 호쇼는 제1함대 부속으로 변경되었다. 4월 18일 둘리틀 공습 당시에는 미 해군 기동 부대를 포착하기 위해 출격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호쇼는 미드웨이 해전에 참가하였으나, 직접적인 교전은 없었다. 이후 신형 함재기 운용을 위해 비행 갑판과 엘리베이터를 확장했지만, 안정성 문제로 인해 외양 항해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결국 호쇼는 주로 세토 내해에서 훈련용 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다.
3. 5. 1. 미드웨이 해전
1942년 5월 29일,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하기 위해 일본에서 출항했다. 호쇼는 야마토, 나가토, 무츠로 구성된 주력 부대에 약간의 항공 방어, 정찰 및 대잠수함 지원을 제공했다.[35] 이 작전을 위해 8대의 요코스카 B4Y 어뢰 폭격기를 탑재했다.[36]주력 부대가 나구모 주이치의 항공모함 타격대 뒤 300nmi 떨어진 상태에서 호쇼는 6월 4일 미군 항공모함 항공기에 의해 나구모의 함대 항공모함 4척이 큰 피해를 입은 전투를 놓쳤다. 다음 날, 호쇼의 함재기는 나구모 부대의 잔여 병력이 주력과 만나는 것을 도왔고, 센다이를 포함한 다른 일본 군함들이 전투 중 및 이후에 만나는 것을 도왔다. 거의 같은 시기에 호쇼의 함재기 중 하나가 불타는 히류를 발견했다. 버려진 항공모함의 사진은 "태평양 전쟁 중 가장 극적인 사진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38] 함재기에 탑승한 관찰자는 히류에 남겨진 생존자를 보고했고, 타니카제가 파괴된 항공모함을 찾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실패했다.[38][39] 일본 해군은 전투에서 패배했고, 호쇼는 나머지 함대와 함께 일본으로 돌아와 6월 14일 하시라지마에 도착했다.[40]

3. 5. 2. 훈련 항공모함
''호쇼''는 미드웨이 해전 이후 주로 세토 내해에서 훈련 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다. 1943년 1월 15일, 항공모함 승무원 훈련을 위해 제50항공전대가 창설되었고, ''호쇼''와 ''류호''는 이 부대에 배속되어 항공모함 착륙 훈련 및 어뢰 훈련 표적함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 1월, ''호쇼''는 제12항공함대로 재배치된 후 연합 함대에 배속되었지만, 세토 내해에서 훈련 함대 항공모함 조종사들을 계속 훈련시켰다.
나카지마 B6N "질" 뇌격기 및 요코스카 D4Y "주디" 급강하 폭격기와 같은 신형 함재기 운용을 위해, 1944년 3월 27일부터 4월 26일까지 비행 갑판을 양쪽 끝에서 6m 확장하여 총 길이를 180.8m로 만들었다.[41] 또한 새로운 착륙 장치와 충돌 방지 장치를 설치했다.[41] 그러나 선체 상부 무게 증가로 안정성에 문제가 생겨, 기상 악화 시 전복 위험 때문에 작전 운용에 제한을 받았다.[41]
개조 후에도 ''호쇼''는 세토 내해에서 해군 조종사 훈련과 어뢰 훈련 표적함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43]
1942년 6월 초 미드웨이 해전 후, 연습 항공모함이 되었다.
1943년 1월 15일 - 제50항공전대 신편.
1944년 1월 1일 - 제50항공전대 해산, 제51항공전대에 편입.
4. 종전 및 해체
태평양 전쟁에서 큰 손상 없이 종전을 맞이한 유일한 일본 항공모함이었다.[44] 종전 후 복원 수송함으로 지정되어 해외 주둔 일본군 및 민간인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1945년 10월과 11월, 순양함 가시마와 함께 워제 환초에서 700명, 잘루이트 환초에서 311명, 에니웨토크 환초에서 미상의 인원을 우라가로 수송했다. 1945년 12월, ''호쇼''의 선수에 튀어나온 비행 갑판을 잘라 함교의 시야를 개선하고, 격납고를 개조하여 더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했다. 그 후, 1946년 1월 5일 웨왁으로의 임무를 시작으로 중국으로 여러 차례 귀환 임무를 수행했다.[44][46]
1946년 8월까지 내지와 남방 간을 9번 왕복하여 대략 4만 명의 장병과 민간인을 수송했다.[44][46] 1946년 8월 31일부터 1947년 5월 1일까지 오사카의 히타치 조선 사쿠라지마 공장에서 해체되어 생을 마감했다. 사쿠라지마 공장에서는 카츠라기도 해체되어, 최초로 항공모함으로 기공되어 완성된 최초의 함선과 마지막 함선이 공교롭게도 같은 공장에서 해체되었다.
5. 평가 및 유산
영국 해군의 하미즈보다 기공은 1년 늦었지만, 기술적 문제로 하미즈의 완공이 지연되면서 호쇼는 세계 최초로 항공모함으로 기공되어 완성된 함선이 되었다. 건조 당시에는 근대 항공모함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으나, 작은 함체로 인해 함교와 굴뚝이 운용에 방해가 되어 1924년 개장 때 제거되었다.[1] 일본 제국 해군이 함재기용 비행기 사출기를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최신 함재기를 운용하는 것은 불가능했다.[2]
1932년 상하이 사변에 출격하여 일본 항공기 최초 격추를 기록했고,[3] 1935년 제4함대 사건으로 함수 비행 갑판이 손상되기도 했다.[4] 1937년 중일 전쟁에 참가했고,[5] 1942년 미드웨이 해전에서는 96식 함상 공격기 6기를 탑재했지만 교전은 없었다.[6] 이후 비행 갑판과 엘리베이터를 확대했지만, 외양 항해에 지장이 생겨 훈련용 항공모함으로 근해에서 운용되었다.[7]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일본 해군에 재적했던 함정 중 상처 없이 종전을 맞이한 유일한 함선이었다.[8] 전후에는 복원 수송함으로 사용되어 1946년까지 약 4만 명의 장병과 민간인을 수송했다.[9] 1946년부터 1947년까지 오사카의 히타치 조선 사쿠라지마 공장에서 해체되었는데, 이곳에서 카츠라기도 해체되어, 처음부터 항공모함으로 기공되어 완성된 최초의 함선과 마지막 함선이 같은 곳에서 해체되는 기이한 인연을 맺었다.[10]
6. 함장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기장원장 | 도요시마 지로 대좌 | 1921년 9월 17일[131] - 1922년 9월 20일[132] |
함장 | 도요시마 지로 대좌 | 1922년 9월 20일[132] - 1923년 4월 1일[133] |
후쿠요 헤이자부로 대좌 | 1923년 4월 1일 - 1923년 12월 1일[134] | |
카이즈 료타로 대좌 | 1923년 12월 1일 - 1925년 4월 15일[134] | |
코바야시 쇼자부로 대좌 | 1925년 4월 15일 - 1926년 11월 1일[134] | |
카와무라 기이치로 대좌 | 1926년 11월 1일 - 1927년 12월 1일[134] | |
키타가와 키요시 대좌 | 1927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134] | |
하라 고로 대좌 | 1928년 12월 10일 - 1929년 11월 30일[134] | |
와다 히데호 대좌 | 1929년 11월 30일 - 1930년 12월 1일[134] | |
곤도 에이지로 대좌 | 1930년 12월 1일 - 1931년 11월 14일[134] | |
호리에 로쿠로 대좌 | 1931년 11월 14일 - 1932년 12월 1일[134] | |
미나미 사다조 대좌 | 1932년 12월 1일 - 1933년 10월 20일[134] | |
타케다 로쿠키치 대좌 | 1933년 10월 20일 - 1934년 11월 15일[134] | |
야마가타 마사사토 대좌 | 1934년 11월 15일 - 1935년 6월 12일[135] | |
테라다 코키치 대좌 | 1935년 6월 12일 - 1935년 11월 15일[134] | |
사카마키 무네타카 대좌 | 1935년 11월 15일 - 1936년 11월 16일[134] | |
쿠사카 류노스케 대좌 | 1936년 11월 16일 - 1937년 10월 16일[134] | |
조지마 타카지 대좌 | 1937년 10월 16일 - 1939년 11월 15일[136] | |
하라다 사토루 대좌 | 1939년 11월 15일 - 1940년 8월 20일[134] | |
스기모토 우시이에 대좌 (겸임) | 1940년 8월 20일 - 1940년 11월 1일[134](본직:류조 함장) | |
키쿠치 아사조 대좌 | 1940년 11월 1일 - 1941년 9월 15일[134] | |
우메타니 카오루 대좌 | 1941년 9월 15일 - 1942년 8월 1일[134] | |
야마구치 분지로 대좌 | 1942년 8월 1일 - 1942년 11월 25일[134] | |
핫토리 카츠지 대좌 | 1942년 11월 25일 - 1943년 7월 5일[134] | |
카이즈카 타케오 대좌 | 1943년 7월 5일 - 1943년 12월 18일[134] | |
마츠우라 요시 대좌 | 1943년 12월 18일 -[134] | |
코후다 키요시 대좌 | 1944년 3월 1일 -[134] | |
무로타 유지로 대좌 | 1944년 7월 6일 -[134] | |
오스카 히데카즈 대좌 | 1945년 3월 5일 - 1945년 5월 1일[137], 이후 1945년 5월 5일까지 함장을 두지 않음. | |
오스카 히데카즈 대좌 (겸임) | 1945년 5월 5일[138] - 1945년 5월 18일[139] (본직:카이요 함장) | |
후루야 케이지 대좌 (겸임) | 1945년 5월 18일[139] - 1945년 9월 20일[140] (본직:구레 해군 항무부 부원) | |
카나오카 쿠니조 대좌/제2복원관 | 1945년 9월 20일 - 1946년 3월 8일[141] | |
요시다 마사요시 제2복원관 | 1946년 3월 8일[141] - | |
사쿠마 히데치카 제2복원 사무관/복원 사무관 (임시) | 1946년 6월 4일[142] - 1946년 7월 18일[143] |
참조
[1]
서적
Milanovich
[2]
서적
Milanovich
[2]
서적
Evans and Peattie
[3]
서적
Watts
[4]
서적
Gardner and Gray
[4]
서적
Jentschura, Jung and Dieter
[4]
서적
Milanovich
[5]
서적
Evans and Peattie
[6]
서적
Milanovich
[7]
서적
Milanovich
[8]
서적
Evans and Peattie
[9]
서적
Milanovich
[10]
서적
Milanovich
[11]
서적
Evans and Peattie
[12]
서적
Milanovich
[13]
서적
Hata, Izawa and Shores
[14]
서적
Milanovich
[15]
서적
Campbell
[16]
서적
Peattie
[17]
서적
Campbell
[18]
서적
Milanovich
[19]
서적
Milanovich
[20]
서적
Peattie
[21]
서적
Milanovich
[21]
서적
Peattie
[22]
서적
Milanovich
[23]
서적
Watts
[23]
서적
Evans and Peattie
[23]
서적
Parshall and Tully
[23]
서적
Peattie
[24]
서적
Hata, Izawa and Shores
[25]
서적
Peattie
[26]
서적
Evans and Peattie
[27]
서적
Milanovich
[28]
서적
Hata, Izawa and Shores
[28]
서적
Gustavsson
[29]
서적
Gustavsson
[30]
서적
Hata, Izawa and Shores
[31]
서적
Gustavsson
[32]
서적
Parshall and Tully
[33]
서적
Goldstein
[33]
서적
Tully
[33]
서적
Evans and Peattie
[33]
서적
Hata and Izawa
[34]
서적
Tully
[34]
서적
Ugaki
[35]
서적
Parshall and Tully
[35]
서적
Ugaki
[35]
서적
Willmott
[36]
서적
Parshall and Tully, p. 453
[37]
서적
Ugaki, p. 144; Wilmott, p. 458
[38]
서적
Parshall and Tully, pp. 270, 355–356, 358–359
[39]
서적
Willmott, p. 496
[40]
서적
Parshall and Tully, pp. 385–393; Tully
[41]
서적
Milanovich, pp. 21–23
[42]
서적
Campbell, p. 200
[43]
서적
Tully
[44]
서적
Milanovich, p. 22
[45]
문서
[46]
서적
Watts, p. 171
[47]
문서
付表第二その一 「大正十二年三月調艦艇要目等一覧表 その一 軍艦」
[48]
문서
p.8
[49]
문서
画像28による。横廠工第一五號ノ一一七「特○○起工ノ件 株式会社○○○○○ヘ委託製造中ノ特務○鳳翔ハ左記時日ニ於テ龍骨据付○了セリ 大正九年十二月十六日午後三時半 右報告ス」。 ただし画像2では「大正8-12-16」となっている。
[50]
문서
画像10
[51]
문서
画像44
[52]
문서
p.27、落合康夫「航空母艦『鳳翔』行動年表」
[53]
문서
p.126、多賀一史「終戦時の日本空母」
[54]
문서
画像1
[55]
문서
p.230
[56]
문서
付表第四その一 「昭和十三年三月調艦艇要目等一覧表 その一 軍艦、駆逐艦」
[57]
문서
[58]
문서
運輸省海運総局掃海管船部管船課「日本海軍終戦時残存(内地)艦艇処分状況(1948年3月20日現在)」p.20、巻末資料2
[59]
문서
画像1
[60]
문서
p.8
[61]
문서
p.134
[62]
문서
p.1678
[63]
문서
[64]
문서
画像2
[65]
문서
p.17
[66]
문서
pp.442-443
[67]
문서
pp.657-658。大正十一年一月二十三日(内令二〇)、航空母艦定員表 其一の合計。ただし備考六に「本表ノ外必要ニ応シ航空部附トシテ兵科尉官四人ヲ増加スルコトヲ得」とある。
[68]
문서
p.231
[69]
문서
p.11
[70]
문서
p.302
[71]
문서
海軍艦艇公式図面集
[72]
문서
海軍艦艇史3
[73]
문서
日本海軍の航空母艦
[74]
문서
日本の航空母艦パーフェクトガイド
[75]
문서
鳳翔引渡目録
[76]
문서
鳳翔引渡目録
[77]
문서
海軍造船技術概要
[78]
간행물
大正8年10月21日付 達第174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9]
문서
大内、幻|幻の航空母艦
[80]
서적
別冊歴史読本永久保存版空母機動部隊
新人物往来社
[81]
간행물
大正8年10月21日付 達第174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2]
문서
라트랜드는 전시중에 스파이 용의로 구속되어, 1949년에 자살체로 발견되었다. 센필 경은 후에 일본에 대한 군사 비밀 누설의 용의로 취조를 받고, 또한 영미 수뇌회담의 정보를 일본에 누설했다고 윈스턴 처칠에게 탄핵되어 해군 본부 직도 쫓겨나고 있지만 어느 것도 불소추로 결정되었다. 센필 경의 사적의 대부분은 유실 또는 봉인되었지만, 근년의 정보 개시에 의해 센필 미션과 일본 항공모함 건설의 단서가 알려지게 되었다.
[83]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2年12月1日)
[84]
서적
軍艦メカ3 日本の空母
[85]
서적
軍艦メカ3 日本の空母
[86]
문서
航空母艦(朝日1942)
[87]
문서
航空母艦(朝日1942)
[88]
문서
海軍航空史話
[89]
문서
航空戦の技術
[90]
문서
航空戦の技術
[91]
문서
われレパルスに投弾命中せり ある陸攻操縦員の生還
[92]
문서
최대 비행기 무게 6,000kg
[93]
문서
최대 비행기 무게 4,000kg이므로, "유성"(자중 3,614 kg+현가 장치 약 50kg+(탑승원&장비품 3명분×80kg=)240kg+후부 기총 약 10kg=3,914kg)은 연료와 탄약을 다 써버리고 간신히, "열풍"(자중 3,267kg+탑승원&장비품 80kg=3,347kg)에서도 연료를 절반 이상 소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어, 오식(吳式)을 채용하고 있는 항공모함에서는 최신예기를 운용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94]
문서
日本の航空母艦軍艦メカニズム図鑑
[95]
문서
海軍航空母艦戦闘記録
[96]
문서
航空母艦(朝日1942)
[97]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2年12月1日)
[98]
간행물
思い出の日本軍艦 進水式当日の航空母艦「鳳翔」
海人社
2022-12
[99]
문서
海軍航空史話
[100]
문서
海軍航空隊(永松 著)
[101]
간행물
大正12年11月19日付 達第224号、達225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2]
간행물
大正12年11月19日付 達第226号、達227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3]
문서
横須賀海軍工廠史4
[104]
서적
一海軍士官の半生記
[105]
간행물
昭和16年9月20日(土)海軍公報(部内限)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1-09-20
[106]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駆逐隊他
[107]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
[108]
서적
戦藻録(1968)
[109]
문서
S1612呉防備戦隊日誌(1)
[110]
문서
S1612呉防備戦隊日誌(1)
[110]
문서
S1612呉鎮日誌(1)
[111]
문서
S1706三水戦日誌
[111]
문서
ミッドウエー海戦日誌(1)
[112]
서적
戦藻録(1968)
[113]
서적
戦藻録(1968)
[114]
서적
戦藻録(1968)
[115]
문서
S1801五十航戦日誌経過
[116]
문서
S1803五十航戦日誌経過
[117]
문서
S1805五十航戦日誌経過
[118]
문서
昭和20年7月龍鳳日誌
[119]
문서
昭和20年7月龍鳳日誌
[120]
서적
日立造船百年史
[121]
간행물
海外の艦船切手から・・・
海人社
2014-08
[122]
간행물
海外の艦船切手から・・・
海人社
2020-03
[12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大正9年4月1日付 達第39号および同第40号
[12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大正10年10月13日付 達第193号
[12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大正10年10月13日付 達第194号
[12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大正10年10月13日付 達第195号
[12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4月20日付 内令第338号
[12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6月1日付 内令第499号
[12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12月1日付 第二復員省 内令第6号
[130]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1年8月31日付 復員庁第二復員局 復二第208号
[131]
관보
官報
1921-09-19
[132]
관보
官報
1922-09-21
[133]
관보
官報
1923-04-02
[134]
서적
艦長たちの軍艦史
[134]
서적
日本海軍史
[135]
관보
官報
1935-06-13
[13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402号 昭和14年11月15日
[13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5月14日付 秘海軍辞令公報 甲 第1799号
[13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5月17日付 秘海軍辞令公報 甲 第1802号
[13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6月2日付 秘海軍辞令公報 甲 第1816号
[140]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20年10月1日付 海軍辞令公報 甲 第1936号
[141]
간행물
昭和21年3月30日付 第二復員省辞令公報 甲 第96号
C130721588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2]
간행물
昭和21年6月10日付 第二復員省辞令公報 甲 第154号
C130721593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3]
간행물
昭和21年7月31日付 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 甲 第36号
C130721594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