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군단으로, 1969년 특수 제8군단으로 창설되어 1991년 제11군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017년에는 조선인민군 육군에서 분리되어 특수작전군에 소속되었다. 예하 부대로 경보병 부대, 저격 부대, 항공 육전 부대를 두고 있으며,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각 부대는 "번개", "우뢰", "벼락"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 - 서조선만
    황해 북부의 랴오둥반도와 한반도 서북부 사이에 있는 서조선만은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서한만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 유전 공동 개발 합의 주장이 있다.
  • 평안남도 - 관서팔경
    관서팔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 지방의 아름다운 여덟 곳으로, 인풍루, 통군정, 동림폭포, 백상루, 연광정, 강선루, 세검정, 약산동대가 있으며 역사적 의미와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명소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 -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0년 김일성의 지휘 아래 창설되어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현재는 강원도 금강군 일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 - 제2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2군단은 1950년 6월 15일에 창설되어 한국 전쟁 당시 강원도로 진격했으며 현재는 서부전선의 한 축을 담당하며 개성시를 관할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이다.
  • 2017년 폐지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2017년 폐지 -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보 통신, 방송 통신 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과학기술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출범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1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소속조선인민군
종류보병
창설일1969년 1월
해체일2017년 4월 15일
존속 기간1969년 1월 – 현재
별칭폭풍 군단
제8 특수 군단
경보 교도 지도국
제465 군부대
제630 연합대 부대
주둔지덕천시
규모
규모기밀
지휘부
현재 지휘관미확인
주요 지휘관김영복
기타
관련 정보한국 전쟁 참전

2. 역사

1969년 1월, 민족보위성 정찰총국 소속 제124군부대와 제283군부대를 병합하여 특수 제8군단이 창설되었다.[5] 제124군부대는 1967년 10월 초순, 제283군부대는 1967년 5월 16일에 각각 창설되었다.[5] 1983년 7월 총참모부 예속 경보교도지도국으로 변경되었다가,[5] 1991년 제11군단으로 재편성되었다.[5]

2011년 12월 14일, 세종연구소의 정성장 수석연구위원은 최경성 상장이 군단장이라는 정보를 정보통을 통해 알아냈다고 발표하였다.[6][7]

2017년 4월 15일, 기존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에서 제5번째 독립군종인 특수작전군으로 독립되었다. 2020년에는 병력의 일부가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양강도 혜산시에 전면 배치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폭풍군단과 북한의 국경 수비대 간 총격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8]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예하 소속 경보, 항공 육전, 저격여단을 "번개", "우뢰", "벼락"으로 부르고 있다.

2. 1. 창설 배경

1955년4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김일성 위원장은 "모든 힘을 조국의 통일 독립과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라는 제목의 발표를 했다. 이는 한국 전쟁 이전에 채택되었던 군에 의한 남침 통일 노선을 전환하는 것으로, 주민들이 스스로 혁명을 일으키기 위한 공작을 목적으로 했으며, 이후 레닌의 '4월 테제'를 따라 ''4월 테제''로 알려지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측에서는 1960년4·19 혁명으로 성립된 제2공화국 체제 하에서 북한과의 융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세를 우려한 한국군 일부 간부들에 의한 1961년의 5·16 군사 정변 성공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한 군사 정권 하에서는 오히려 반공주의로의 경향이 강해졌고, 뒤이은 제3공화국에서도 이는 답습되었다.

이러한 정세 변화에 따라, 1966년5월, 조선인민군은 대남 공작을 전문으로 하는 부대를 총참모부 정찰국 내에 설립하였다.

2. 2. 창설과 발전

1969년 1월, 민족보위성 정찰총국 소속 제124군부대와 제283군부대를 병합하여 특수 제8군단이 창설되었다.[5] 제124군부대는 1967년 10월 초순, 제283군부대는 1967년 5월 16일에 각각 창설되었다.[5] 1983년 7월 총참모부 예속 경보교도지도국으로 변경되었다가,[5] 1991년 제11군단으로 재편성되었다.[5]

1966년 5월, 조선인민군은 대남 공작을 전문으로 하는 제283부대를 총참모부 정찰국 내에 설립했다. 1967년 8월 12일, 내부 숙청으로 인해 제283부대는 제124부대로 개편되었다. 제124부대는 1968년 1월 21일 청와대 습격 작전, 같은 해 11월 1일 강원도 삼척·경상북도 울진에서 주민 교란 작전을 실행했지만, 모두 실패로 끝났다. 1969년 1월의 인민군 대회에서 두 차례의 실패를 추궁당한 대남 공작 담당자가 해임되고, 군 지도부도 숙청되었다.

2017년 4월 15일, 기존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에서 제5번째 독립군종인 특수작전군으로 독립되었다.[6][7] 2011년 12월 14일, 세종연구소의 정성장 수석연구위원은 최경성 상장이 군단장이라는 정보를 정보통을 통해 알아냈다고 발표하였다. 2020년에는 병력의 일부가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양강도 혜산시에 전면 배치되었다고 한다.[8]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예하 소속 경보, 항공 육전, 저격여단을 "번개", "우뢰", "벼락"으로 부르고 있다.

2. 3. 주요 사건

3. 편제

TUGB조선인민군의 모든 특수 작전 부대(SOF)의 전력 제공자이며, 각종 특수 작전 자산을 전선의 각 부대에 제공한다. 또한 동시에 총참모부 직속의 전력 사용자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그 예하에는 총 9만 명에서 12만 명의 병력이 있다고 하며, 다음과 같은 부대가 편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3]

; 경보병 부대

퐁계(번개, 벼락의 의미)로 통칭된다. 주력 부대의 작전 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중대·소대 규모의 코만도 작전을 주임무로 하며, 군단의 선견 부대로서 긴요 지형이나 중요 시설 확보, 후방 교란 임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군단의 기동 예비 부대가 된다. 작전 지역은 대한민국의 전방 군단의 작전 지역 경계선 이내(30~70km)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보다 더 깊숙이 침투하는 작전은 후술할 저격 부대나 항공 육전 부대가 담당한다.

몇 개 부대가 편성되어 있는지는 여러 설이 있으며, TUGB 직할에 3개 여단, 전선의 각 군단에 총 11개 여단(총 38,500명)이 배속되어 있다고도 한다. 또한, 전선 군단 배속 부대의 일부는 더 세분화되어 사단에 배속되어 있다. 직할의 3개 여단은 다음과 같다고 알려져 있다.



; 저격 부대

벼락(벼락, 천둥의 의미)으로 통칭된다. 기본적으로 경보병 부대와 유사하지만, 더 소부대로, 더 특수 작전・비정규전적인 작전을 주임무로 한다. 3개 저격 여단, 3개 공군 저격 여단, 2개 해상 저격 여단이 편성되어 있으며, 공군 저격 여단은 공군, 해상 저격 여단은 해군의 지휘 하에 배속되어 각각 적의 항공·항만 시설에 대한 파괴 공작을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저격 여단은 TUGB의 직할로 배치되어 최정예 부대로서 최심부에서 전략 목표에 대한 정보·파괴 공작을 담당한다. 저격 여단에 대해서는 정찰국 소속이라는 추측도 있다.

  • 저격 여단×3개(총 10,500명)
  • 해군 저격 여단×2개(총 7,000명)
  • 공군 저격 여단×3개(총 10,500명)


; 항공 육전 부대

우뢰(우뢰, 뇌성의 의미)로 통칭된다. 기본적으로, 타국의 공수부대와 유사한 부대이며, 3개 항공 육전 여단(총 10,500명)이 편성되어 있다.

An-2 소형 수송기 등의 항공기에 의한 공중 강습 작전 등을 주임무로 한다. An-2는 프로펠러나 수평 꼬리 날개는 목재, 주 날개의 일부는 캔버스 천으로 덮여 있으며, 기체 자체가 작기 때문에 레이더 단면적(RCS)이 작고 저피탐성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3. 1. 경보병 부대

퐁계(번개)로 통칭된다. 주력 부대의 작전 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중대·소대 규모의 코만도 작전을 주임무로 하며, 군단의 선견 부대로서 긴요 지형이나 중요 시설 확보, 후방 교란 임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군단의 기동 예비 부대가 된다. 작전 지역은 대한민국의 전방 군단의 작전 지역 경계선 이내(30~70km)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보다 더 깊숙이 침투하는 작전은 저격 부대나 항공 육전 부대가 담당한다.

몇 개 부대가 편성되어 있는지는 여러 설이 있으며, TUGB 직할에 3개 여단, 전선의 각 군단에 총 11개 여단(총 38,500명)이 배속되어 있다고도 한다. 또한, 전선 군단 배속 부대의 일부는 더 세분화되어 사단에 배속되어 있다. 직할의 3개 여단은 다음과 같다고 알려져 있다.

3. 2. 항공 육전 부대

우뢰(우뢰, 뇌성의 의미)로 통칭된다. 타국의 공수부대와 유사한 부대이며, 3개 항공 육전 여단(총 10,500명)이 편성되어 있다. An-2 소형 수송기 등의 항공기에 의한 공중 강습 작전 등을 주임무로 한다. An-2는 프로펠러나 수평 꼬리 날개는 목재, 주 날개의 일부는 캔버스 천으로 덮여 있으며, 기체 자체가 작기 때문에 레이더 단면적(RCS)이 작고 저피탐성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3. 3. 저격 부대

벼락(벼락, 천둥의 의미)으로 통칭된다. 기본적으로 경보병 부대와 유사하지만, 더 소규모 부대로, 더 특수 작전・비정규전적인 작전을 주임무로 한다.[3] 3개 저격 여단, 3개 공군 저격 여단, 2개 해상 저격 여단이 편성되어 있으며, 공군 저격 여단은 공군, 해상 저격 여단은 해군의 지휘 하에 배속되어 각각 적의 항공·항만 시설에 대한 파괴 공작을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3] 한편, 저격 여단은 TUGB의 직할로 배치되어 최정예 부대로서 최심부에서 전략 목표에 대한 정보·파괴 공작을 담당한다. 저격 여단에 대해서는 정찰국 소속이라는 추측도 있다.[3]

  • 저격 여단×3개(총 10,500명)[3]
  • 해군 저격 여단×2개(총 7,000명)[3]
  • 공군 저격 여단×3개(총 10,500명)[3]

4. 역대 군단장

초대 군단장은 불명이다.[9] 최경성 상장이 군단장을 역임했다.[9] 김영복도 군단장을 역임했다.[9]

5. 계보

1969년 1월, 특수 제8군단이 창설되었다. 1983년 7월, 경보교도지도국(라이트 인펀트리 가이드 뷰로/Light Infantry Guide Bureau영어)으로 변경되었다. 1991년, 제11군단이 창설되었다. 2017년 4월 15일,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창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국방 사건사 http://www.imhc.mil.[...] 2022-03-06
[2] 웹사이트 "[단독] 김정은 오른팔?… 北 폭풍군단장(최정예 특수부대 11군단) 베일 벗다" http://news.chosun.c[...] 2020-07-31
[3] 웹사이트 North Korea Sends Special Forces to Ryanggang Province Border With China https://www.rfa.org/[...] Radio Free Asia 2020-08-03
[4] 웹사이트 北朝鮮派兵「暴風軍団」、韓国居住の米国人15万人人質担当部隊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4-10-22
[5] 저널 국방사건사 1집 http://www.imhc.mil.[...]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04-29
[6] 뉴스 김정은 오른팔?… 北 폭풍군단장(최정예 특수부대 11군단) 베일 벗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12-14
[7] 웹인용 "[단독] 김정은 오른팔?… 北 폭풍군단장(최정예 특수부대 11군단) 베일 벗다" https://www.chosun.c[...] 2023-09-11
[8] 웹인용 "[단독] 북한군끼리 총쐈다...폭풍군단, 국경 경비대 총격사건" https://www.chosun.c[...] 2023-09-11
[9] 웹인용 북한 특수작전군 신임 사령관, 김영복 전 11군단장 https://www.yna.co.k[...] 2023-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