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인민군 해군은 1946년 6월 5일에 창설된 북한의 해군이다. 1946년 황해 수상 경비대 창설을 시작으로, 1949년 8월 28일 정식 해군으로 발족했다. 한국 전쟁 당시 주문진 해전에서 미 해군과 교전을 벌였으며, 1968년에는 푸에블로호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냉전 종식 이후 함정 노후화와 훈련 중 사고가 발생했고, 2013년 이후에는 함정 현대화와 신형 함급 건조가 진행되었다. 2023년에는 전술핵을 해군 함정에 배치할 것을 시사했다. 현재 동해함대와 서해함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함정과 무장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해군 -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년 9월 15일 강릉 해안에 북한 상어급 잠수함이 좌초되어 3명의 특수정찰 작전팀이 상륙, 군사시설 정찰 및 김영삼 대통령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 발각되어 대규모 수색 작전과 교전이 발생,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준 북한의 대남도발 사건이다. - 조선인민군 해군 - 최정남·강연정 부부간첩 사건
최정남·강연정 부부간첩 사건은 최정남과 강연정 부부가 특수 무기를 소지하고 대한민국에 침투하여 간첩 활동을 벌이다가 체포된 사건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 함정 - 상어급 잠수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이 운용하는 소형 잠수함인 상어급 잠수함은 연안 초계 및 공작원 침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강릉 무장공비 침투 사건으로 나포된 함선이 전시되어 있고, 개량형인 상어-II도 개발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군 함정 - 프로젝트 183R형 미사일정
프로젝트 183R형 미사일정은 183형 어뢰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세계 최초의 미사일정으로, P-15 테르밋 함대함 미사일을 주 무장으로 하며, 에일라트 사건에서 대함 미사일의 실전 능력을 입증했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024형 미사일정으로 개발되기도 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군사 지휘 기관으로서, 인민무력성과 별도로 13개 직속국과 각종 사령부를 지휘하며, 국방 정책 기획, 군사 작전, 대남 공작 등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선인민군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창설일 | 1946년 6월 5일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속 | 조선인민군 |
병과 | 해군 |
종류 | 해군 |
규모 | 6만 명 (추정) |
상위 기관 | 국방성 |
주둔지 | 남포특별시 라선특별시 원산시 |
지휘부 | |
사령관 | 김명식 (함대 사령관) |
주요 지휘관 | 리용주 대장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참전 | 한국 전쟁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추문진 해전 해주 해전 푸에블로 호 납치 사건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속초 잠수정 침투사건 여수 반란사건 아마미오시마 해전 천안함 침몰 사건 |
장비 | |
함대 | 71척의 잠수함 500척 이상의 상륙정 3척의 프리깃함 8척의 초계함 30척의 기뢰 제거함 30척의 미사일정 114척 이상의 어뢰정 187척 이상의 경비정 |
관련 | |
관련 항목 | 역사 함선 목록 해군 기지 |
기타 | |
외부 링크 | 김명식 사령관 정보 (DPRK Today) |
2. 역사
조선인민군 해군은 1946년 6월 5일에 창설되었다.[3] 그해 황해 수상 경비대를 시작으로, 서해에는 황해도와 평안남도, 평안북도 지역에, 동해에는 수상 경비대가 각각 조직되었다.
1946년 9월경 수상 보안대로 개칭되었고, 산하에 동해 7개, 황해 8개의 수상 보안 지대가 설치되었다. 1947년 4월에는 수상 보안 대대로 승격되었다. 초기 지휘관 중 조선의용군 출신 3명(진국화, 장지복, 이철중)과 고려인 출신 1명(차윤도)이 있었다. 조선의용군 출신들은 해양 근무 경험은 없었지만, 중국 군관학교를 졸업하여 군사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1947년 7월 8일, 원산에 수상 보안 간부 학교가 창설되었다. 1948년 2월 8일 조선인민군 창설과 함께 청진으로 이전하여 해군 군관 학교로 발전했으며,[33] 초대 교장에 김광연 소장, 부교장에 김원무 총좌, 정치 부교장에 조정철 총좌가 취임했다.[33] 해군 군관 학교 내 기술 훈련소는 1949년 9월 1기생 250명, 1950년 5월 2기생 750명을 배출했다.[33]
1949년 8월 20일, 해안 경비대는 내무성에서 민족 보위국 관할로 변경되었고, 8월 28일 최초의 어뢰정대를 창설하며 정식 해군으로 발족했다.[34] 이후 청진에 제1위수사령부, 원산에 제2위수사령부, 진남포에 제3위수사령부가 설치되었다.
2.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조국 해방 전쟁) 개전 당시 해군 총사령관은 한일무 중장이었고, 참모장은 김원무 총좌였다.[33] 한국 전쟁 중에는 거의 본격적인 해전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1950년 7월 2일 새벽에 벌어진 주문진 해전은 그 몇 안 되는 사례이다. 주문진 앞바다를 초계 중이던 미국 해군의 순양함 "주노"와 영국 해군의 경순양함 "자메이카", 및 블랙 스완이 소형 선박을 호송하던 인민군 해군 제2어뢰정대의 4척을 발견하고 포격을 가했는데, 제2어뢰정대는 3척을 잃었지만 1척은 원산항까지 도주에 성공했다.[35] 북한 측은 이 해전에서 미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1척을 격침시켰다고 주장하며 제2어뢰정대에 친위 칭호를 부여[36]하고, 격침시켰다고 주장하는 제21호 어뢰정을 조국 해방 전쟁 승리 기념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2. 2. 냉전 시기
1968년 1월 23일 푸에블로호 사건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은 미국 해군의 정보 수집함 푸에블로를 구축정으로 나포했다. 1973년에는 나진급 호위함이 건조되었고, 1976년에는 로미오급 잠수함의 국산화가 시작되는 등, 잠수함과 대형 함정을 보유한 해군으로 확대되었다.2. 3. 냉전 종식 이후
1990년대 이후 조선인민군 해군은 냉전 종식과 고난의 행군 등 북한 내부의 혼란으로 인해 함정 갱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료 부족으로 활동 역시 제한되었다.[14] 2010년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함정 갱신이 시작되어 아호급 초계함 건조 등이 이루어졌다.2013년 10월, 훈련 중이던 하이난급 잠수함 초계함 1척과 소형 초계정 1척이 동해에서 기동 중 침몰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4] 같은 해 10월 13일, 잠수함 추적함 233번이 정기 순찰 중 침몰하여 승무원 전원이 사망하고 '열사'로 명명되었다.[4] 김정은은 이들을 위한 해변 묘지를 방문했는데, 뉴욕 타임스는 이를 군인들을 돌보는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행보라고 평가했다.[5]
2013년 이후, 북한 해군은 여러 차례 함정 현대화 및 신형 함정 도입을 진행했다. 북한이 세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이러한 현대화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위성 사진 분석 및 추측에 의존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북한이 해상 침투 능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고속 파도 관통정(VSV)을 건조했다고 보도했다. 이 배는 고속으로 파도를 관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100km/h knot 이상의 속도로 소수의 특수부대를 수송할 수 있다. 초고속선은 국경 섬에 대한 특공대 침투 능력 때문에 조선인민군 해군에서 가장 위협적인 함정 중 하나로 간주된다.[15]
북한은 대잠수함전 능력 강화를 위해 2척의 헬기 호위함을 건조했다. 2006~2007년에 건조를 시작하여 2011~2012년에 진수되었지만, 실제로 취역하여 운용 중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호위함은 4문의 RBU 1200 대잠 로켓 발사기, 30mm CIWS, C-802 미사일, 밀 Mi-4 또는 밀 Mi-14 헬기 등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된다.[16]
2014년 6월, 북한은 새로 건조된 순찰 SES 선박 중 한 척이 Kh-35 대함 순항 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을 공개했다.[17] 이 미사일은 조선인민군 해군의 대함 미사일 능력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한다. 또한, SES 선박은 76mm 역추진 엔진 포를 장착하고 있다.[18][19] Kh-35 미사일은 2014년 동안 2척의 오래된 나진급 호위함 중 한 척에도 장착되었다.[20]
2014년 가을, 위성 사진을 통해 새로운 함급의 잠수함이 확인되었다. 이 잠수함은 길이 67미터로, 북한이 건조한 잠수함 중 가장 크며, 노후화된 로미오급 잠수함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21] 2015년 봄, 새로운 신포급 잠수함이 KN-11 미사일 시험과 함께 해상 시험 중 관찰되었다.[22]
2016년 3월 11일, CNN과 미국 해군 연구소 뉴스는 익명의 미국 관리들을 인용하여, 북한 잠수함 한 척이 동해에서 침몰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군은 해당 잠수함을 감시해 왔으며, 북한 해군이 수색을 시작하기 전 잠수함의 "움직임이 멈춘" 것을 확인했다.
2. 4. 핵무장
2023년8월 27일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는 해군이 "국가 핵 억제력의 구성 부분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해군 함정에 전술핵 배치를 시사했다.[37] 같은 해 9월 6일에는 새로운 전술핵 공격 잠수함 "김군옥 영웅함"을 진수했다고 발표했지만,[38] 한국 당국은 이 잠수함이 기존 로미오급 잠수함의 함교 부분에 잠수함발사 탄도 미사일(SLBM) 수직 발사관을 추가한 것으로,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모습은 아니다"라고 분석하고 있다.[39]3. 조직
조선인민군의 해상 전력을 담당하는 조선인민군 해군은 육해공 3군 중 가장 규모가 작다.[30] 2023년 해군절을 맞아 장비 현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30]
조선인민군 해군은 크게 동해와 서해의 2개 함대로 나뉜다.[30] 동해함대는 10개 전대, 서해함대는 6개 전대로 구성되어 총 16개 전대를 보유하고 있다.[40] 이들 함대 산하에는 해안포 부대, 지대함 미사일 부대, 그리고 2개 해상 저격 여단(해병대)이 배치되어 있다.[40] 각 전대는 로켓함(유도 미사일함) 편대, 어뢰정 편대, 전차포 편대, 방사포(다연장로켓포) 편대, 고속정 편대 등 다양한 함종으로 구성된 여러 편대를 보유하고 있다.[40]
국방정보국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해군은 주로 연안 해군으로 활동하며, 함대 간 상호 지원은 거의 불가능하여 함정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9] 해병대나 해군 항공 능력은 갖추고 있지 않으며, 상륙 작전은 특수 작전 부대가 수행한다.[9]
1999년 대한민국 국정원 자료와 2014년 미국 국방부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해군의 병력 규모와 함정 수는 다소 차이가 있다.
구분 | 1999년 (국정원)[10] | 2014년 (미 국방부)[12] |
---|---|---|
병력 | 14만 8천 명 | 6만 명 |
잠수함 | 100척 | 70척 |
전투함 | 약 630척 | 420척 |
상륙정 | 340척 (공기부양정 포함) | 260척 |
기타 | - | 기뢰전함 30척, 지원함 30척 |
2009년 ''더 타임스''는 총 함정 수를 420척의 군함과 60척의 잠수함으로 보도했다.[11]
경제난으로 인해 연료 부족 문제를 겪고 있어 원해 활동은 저조하며, 함정 노후화도 심각한 상황이다.[30] 2013년 10월에는 훈련 중 여러 척의 함정이 침몰하여 10여 명이 사망하기도 했다.[32]
3. 1. 지휘부
- 사령관: 김명식 대장[49]
- 야전지휘소: 평양시 형제산구역 서포2리 봉수산 지하 (표고 166m)
- 부사령관
- 정치부사령관: 안전부, 조직부, 선전선동부, 사로청지도부
- 항해부사령관: 수로부, 기상부, 해도편집부
- 기술부사령관: 조직계획부, 기술부, 선박건조지도부, 기재공급부
- 후방부사령관: 조직계획부, 선구부, 연유부, 양식부, 피복부, 운수부, 건설부, 군의부, 부업부
- 해군참모장: 작전부, 정찰부, 훈련부, 통신부, 전탐부, 포병부, 해안포부, 간부부, 대열부, 재정부, 화학부, 기요부, 변신부
3. 2. 동해 함대
조선인민군 해군의 동해함대는 8개의 작전 사령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경남도 낙원군 퇴조리에 사령부를 두고 있다.[9] 주요 기지로는 나진, 김책, 어랑, 신포, 원산 등이 있다.[9] 동해함대는 잠수함과 호위함을 주력으로 하며, 7개 전대와 22개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동해함대 사령부는 낙원군 낙원읍에 있으며, 통칭 제597연합부대로 불린다.[40]동해함대 예하 전대는 다음과 같다.
- 제1전대
- 제2전대
- 제3전대: 낙원군 주둔, 잠수함 부대
- 제4전대: 신포시 마양도 주둔, 잠수함 부대. 지상 부대로 여자 고사총 1개 중대와 해안포 2개 중대를 보유.[41]
- 제5전대
- 제6전대
- 제7전대
- 제13전대: 문천시 및 원산시 주둔, 잠수함 부대. 제291부대(호버크라프트 부대)를 보유.[42]
3. 3. 서해 함대
서해함대는 587연합군부대로 불리며, 남포시에 사령부를 두고 있다.[9] 주요 기지로는 남포시, 옹진군 사곶, 과일군 비파곶, 초도 등이 있다.[9][43] 함대들은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상호 지원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함정을 교환하지 않는다.[9]대한민국 당국의 조사나 탈북자 출신 전 해군 관계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서해함대는 다음과 같은 전대로 구성되어 있다.[40]
3. 4. 해병대 (해상 저격 여단)
조선인민군 해군에는 해병대 역할을 하는 해상 저격 여단이 있다. 이들은 동해와 서해에 각각 1개 여단씩 배치되어 있으며,[40] 특수 작전 및 상륙 작전을 수행한다.[9]3. 5. 기타
조선인민군 해군은 동해와 서해에 각각 함대를 두고 있으며, 총 14만 8천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10] 함정의 60%가 군사 분계선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10]1999년 대한민국 국정원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해군은 약 630척의 전투함, 100척의 잠수함, 340척의 지원함(상륙정, 공기부양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0] 또한, 특수 부대를 수송하고 갯벌과 같은 험난한 지형에서 작전할 수 있는 공기 부양정을 최대 130척 보유하고 있다.[10]
2009년 ''더 타임스''는 총 함정 수를 420척의 군함과 60척의 잠수함으로 보도했다.[11] 2014년 미국 국방부 보고서는 조선인민군 해군이 6만 명의 병력, 70척의 잠수함, 420척의 전투함, 260척의 상륙정, 30척의 기뢰전함, 30척의 지원함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했다.[12]
4. 기지
제공된 소스에는 조선인민군 해군의 기지에 대한 정보가 없다.
5. 장비
조선인민군 해군은 주로 연안 방어와 특수 작전을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주요 장비로는 소형 초계정, 어뢰정, 잠수함, 그리고 특수부대 침투용 호버크래프트 등이 있다.[30]
해군 함정 대부분은 연안에서 50해리(NM) 이상 운용할 수 없지만, 소형 초계정 규모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해를 감시할 수 있다. 해군은 다수의 상륙정과 소형 잠수함을 통해 특수작전부대(SOF)를 대한민국에 은밀히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해안 방어 포대와 미사일 기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122mm, 130mm, 152mm 포병 시스템과 KS-1 코멧, 실크웜 (HY-1 및 HY-2) 등의 지상 기반 해안 방어 미사일이 포함된다.[9]
조선인민군 해군의 가장 강력한 무기 체계는 약 43척의 유도 미사일 고속정으로, P-15 테르밋 대함 미사일(또는 중국 버전인 실크웜 (SY-1))을 장착하고 있다. 이들은 작전 범위가 연안과 잔잔한 바다로 제한되지만, 연합군 함선이 해안에 접근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오사급 미사일정 12척, 소주급(오사-1형 자체 제작 버전) 10척, 기타 고속 공격 미사일정 19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사급과 소주급은 4기의 실크웜 (SY-1) 미사일 발사기를 갖추고 있다.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는 25nmi이며, 레이더 또는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9]
소형 전투함으로는 어뢰정, 초계정, 순찰정, 고속 공격정, 소형 상륙정 등이 있다. 약 200척의 어뢰정 중 절반가량이 자체 건조되었으며, 대부분 25mm~37mm 함포로 무장하고 있다. 차호급 화력 지원 초계정은 갑판 중앙에 다연장 로켓 발사기를 갖추고 있어 지상군 화력 지원이나 수상함 공격이 가능하다.[9]
조선인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자체적으로 200척 이상의 병력 상륙정을 생산했다. 여기에는 구 소련 P-6 어뢰정 선체를 기반으로 한 약 100척의 남포급 병력 상륙정이 포함된다. 남포정은 최대 속도 40kn이며, 28kn에서 335nmi의 항해 거리를 갖는다. 각 함선은 최대 30명의 병력을 기본 전투 장비와 함께 수송할 수 있다. 다른 상륙정으로는 3~4대의 경전차를 수송할 수 있는 8척의 한태급 중형 상륙함과 약 125척의 공방급 상륙정(호버크래프트)이 있다.[9]
조선인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신뢰할 만한 기뢰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해군과 민간 부문 모두에서 기뢰를 투하할 수 있는 다수의 소형 수상함이 존재한다. 방어 기뢰밭은 해안 관측팀과 레이더에 의해 감시되며, 잘 배치된 포병 및 미사일 포대의 지원을 받을 것이다. 조선인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구형 기술의 기뢰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기뢰 사용에 대한 상당한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9]
2018년 대한민국 국방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해군은 전투함 430척, 상륙정 250척, 기뢰 부설함 20척, 지원함 40척, 잠수함 70척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3]
부사관 및 병의 계급장은 다음과 같다.
계급 그룹 | 선임 부사관 | 주니어 부사관 | 병 | |||||||||||||||||||||||||||||||
---|---|---|---|---|---|---|---|---|---|---|---|---|---|---|---|---|---|---|---|---|---|---|---|---|---|---|---|---|---|---|---|---|---|---|
조선인민군 해군[28] | ||||||||||||||||||||||||||||||||||
특무상사|T'ŭkmu-sangsa한국어 | 상사|Sangsa한국어 | 중사|Chungsa한국어 | 하사|Hasa한국어 | 상급병사|Sanggŭp-pyŏngsa한국어 | 중급병사|Chungŭp-pyŏngsa한국어 | 하급병사|Hagŭp-pyŏngsa한국어 | 전사|Chŏnsa한국어 |
5. 1. 함정
조선인민군 해군은 다양한 종류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로 연안 방어 및 특수 작전 수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함종 | 함명 및 수량 | 비고 |
---|---|---|
잠수함 | 로미오급 (20여 척) | 533mm 어뢰발사관 6기, 1970년대 도입 추정[9] |
상어급 (20여 척) | 어뢰발사관 4기, 1990년대 도입[9] | |
신포급 (1척 이상) | 533mm 어뢰발사관 추정 | |
유고급 (불명) | ||
연어급 (불명) | ||
골프2급 (3척) | 533mm 어뢰발사관 4기, 수직미사일 발사관 3기, 러시아에서 구매 | |
위스키급 (4척) | 533mm 어뢰발사관 6기, 어뢰 12발 탑재, 1960년대 도입[9] | |
김군옥 영웅함 | 2023년 9월 6일 진수, 전술핵 공격 잠수함, 로미오급 개량 추정[38][39] | |
잠수정 | 중·소형 잠수정 (70~80여 척) | [31] |
호위함 | 나진급 (1척) | 1973년 건조 |
초계함/경비정 | 사리원급 (4척) | 실제 운항 가능 2척[9] |
청진급 (52척) | ||
신포급 (2척) | ||
대청급 (12척) | ||
미사일 고속정 | 오사급 (12척) | P-15 테르밋 대함 미사일 (또는 실크웜 (SY-1)) 장착[9] |
소주급 (15척) | 오사-1형 자체 제작, 실크웜 (SY-1) 미사일 발사기 4기 장착[9] | |
어뢰정 | 신흥급 | |
공기부양정 | 공방급 (130~140척) | 특수부대 침투용[30] |
상륙정 | 남포급 (26척) | 최대 30명 병력 수송[9] |
기타 | 기뢰전함, 지원함 |
2018년 대한민국 국방부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인민군 해군은 전투함 430척, 상륙정 250척, 기뢰 부설함 20척, 지원함 40척, 잠수함 70척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3] 2023년에는 해군절을 맞아 장비 현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해군 함정에 전술핵을 배치할 것을 시사했다.[30][37]
5. 2. 무장
조선인민군 해군은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과 함포, 대잠 헬기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무장은 다음과 같다.종류 | 명칭 | 비고 |
---|---|---|
대함 미사일 | KN-01 실크웜 지대함 미사일 | 사정거리 180~300km, 기존 실크웜 지대함 미사일 엔진을 터보제트 엔진으로 개량 |
대함 미사일 | AG-1 | 사정거리 160km, 중국제 Silkworm, HY-2 개량형 |
대함 미사일 | 샘렛 지대함 미사일 | 사정거리 200km |
대함 미사일 | Kh-35U/금성-3 | 사정거리 240km[50] |
대함 미사일 | P-15 터밋 | |
함포 | 122 mm포 M1931/37 (A-19) | |
함포 | SM-4-1 | |
함포 | M-1992 130mm 자체 추진포 | |
함포 | 152 mm 곡사포 M1937 (ML-20) | |
대잠 헬기 | Mi-14 | 8대 보유 |
조선인민군 해군은 해안 방어를 위해 122mm, 130mm, 152mm 포병 시스템과 KS-1 코멧, 실크웜 (HY-1 및 HY-2) 등의 지상 기반 해안 방어 미사일을 운용하고 있다.[9]
조선인민군 해군의 주력 미사일 고속정은 P-15 테르밋 대함 미사일(또는 중국 버전인 실크웜 (SY-1))을 장착하고 있다. 이들은 연안 경비와 연합군 함선의 해안 접근에 대한 신속 대응 능력을 제공한다. 오사급 미사일정 12척, 소주급(오사-1형의 자체 제작 버전) 10척, 기타 고속 공격 미사일정 19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사급과 소주급은 4기의 실크웜 (SY-1) 미사일 발사기를 갖추고 있다.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는 25Nm이며, 레이더 또는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9]
소형 전투함으로는 어뢰정, 초계정, 순찰정, 고속 공격정, 소형 상륙정 등이 있다. 약 200척의 어뢰정 중 절반가량이 자체 건조되었으며, 대부분 25mm~37mm 함포로 무장하고 있다. 차호급 화력 지원 초계정은 갑판 중앙에 다연장 로켓 발사기를 갖추고 있어 지상군 화력 지원이나 수상함 공격이 가능하다.[9]
6. 계급
조선인민군 군 계급 문서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28]
조선인민군 해군의 부사관 및 병 계급은 다음과 같다.
계급 그룹 | 선임 부사관 | 주니어 부사관 | 병 | |||||
---|---|---|---|---|---|---|---|---|
조선인민군 해군 | 특무상사|T'ŭkmu-sangsa한국어 | 상사|Sangsa한국어 | 중사|Chungsa한국어 | 하사|Hasa한국어 | 상급병사|Sanggŭp-pyŏngsa한국어 | 중급병사|Chungŭp-pyŏngsa한국어 | 하급병사|Hagŭp-pyŏngsa한국어 | 전사|Chŏnsa한국어 |
7. 제복
조선인민군 해군 장교는 검은색 재킷과 바지에 파란색 셔츠와 어두운 넥타이를 착용한다. 이들의 각모는 소련 시대의 것이다. 하계 정복에는 흰색 재킷을 착용한다.[1]
하사관 및 수병은 흰색 셔츠(하계) 또는 해군 색상의 파란색 셔츠(동계)에 검은색/흰색 재킷과 바지(여성은 치마)를 착용하고 수병 모자를 착용한다.[1]
모든 계급은 어깨 및 깃 칼 표지를 착용하며, 모든 장교와 제독은 근무복인 해군 청색 제복에 소매 표지를 착용한다.[1]
8. 기념일
1993년 북한 당국은 1946년 6월 5일 "해상경비대"가 조직되었다는 점을 들어 해군절을 6월 5일로 변경했다.[1]
9. 주요 인물
성명 | 재임 기간 | 전직 | 후임 | 비고 | ||
---|---|---|---|---|---|---|
한일무 | 1950.6.10 - 1954 | 1952년부터 공군사령관 겸임 | ||||
리영호 | 1954 - 1957.6 | 인민무력성 부상 | 주중국 대사 | |||
유창권 | 1957.6 - ? | |||||
최창환 | 1970? | |||||
김승국 | 1972.1 - 1972.12 | |||||
김일철 | 1982.6 - 1997.6 | 해군 부사령관 |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 | 1985년 상장, 1992년 대장 | ||
김윤심 | 1997.6 - 2007.12 | 서해함대 사령관 | 상장, 2002년 대장 | |||
정명도 | 2007.12 - 2012.7? | 상장, 2010년 대장 | ||||
김명식 | 2012.7? - 2015.4? | 동해함대 사령관 | 조선인민군 부총참모장 | 2014년 상장 | ||
리용주 | 2015.4? - 2017? | 조선인민군 부총참모장 | 2015년 4월 상장, 2015년 8월 대장 | |||
김명식 | 2017? - 2021.2 | 조선인민군 부총참모장 | 상장, 2019년 대장 | |||
김성길 | 2021.2 - | 중장 |
참조
[1]
Bare URL
https://dprktoday.co[...]
2024-08
[2]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防衛省ウェブサイトのHttpsへの切り替えのお知らせ
https://web.archive.[...]
2021-07-02
[3]
웹사이트
The People's Army in the Making
http://fas.org/irp/w[...]
2007-09-16
[4]
AV media
생이란 무엇인가
https://web.archive.[...]
2021-07
[5]
뉴스
North Korean Sailors Reported Killed in October Sinking; South Says There Was No Clash
https://www.nytimes.[...]
2022-03-23
[6]
AV media
룡등땅에 이어지는 사랑의 전설
https://dprktoday.co[...]
Korean Central Television
2019-10-13
[7]
뉴스
First on CNN: U.S. says North Korean submarine missing
https://www.cnn.com/[...]
[8]
뉴스
U.S. Official: North Korean Submarine is Missing, Presumed Sunk
https://news.usni.or[...]
[9]
간행물
NORTH KOREA COUNTRY HANDBOOK (PDF Format)
http://www.dia.mil/p[...]
Defense Intelligence Agency Official Website
2012-08-23
[10]
웹사이트
The KPA: Troops & Equipment
https://fas.org/irp/[...]
2007-09-16
[11]
뉴스
Extravagant monuments cannot hide the grim reality of North Korea
https://web.archive.[...]
Timesonline.co.uk
2012-04-27
[12]
웹사이트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3
https://web.archive.[...]
2014-03-07
[13]
웹사이트
Defense White Paper
https://web.archive.[...]
2018
[14]
뉴스
Chosun Ilbo
Chosun Ilbo
2013-11-04
[15]
뉴스
N. Korea builds new high-speed infiltration boat
https://www.koreatim[...]
Koreatimes.co.kr
2014-03-23
[16]
웹사이트
New North Korean Helicopter Frigates Spotted
http://38north.org/2[...]
2014-05-15
[17]
뉴스
The Korean People's Army Naval Force Tests New Anti-ship Cruise Missile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5-05-19
[18]
웹사이트
When A Cruise Missile Is Just A Cruise Missile
http://38north.org/2[...]
2014-12-24
[19]
웹사이트
Translating a Noun into a Verb Pyongyang Style: The Case of North Korea's New Cruise Missile
http://38north.org/2[...]
2014-12-24
[20]
웹사이트
KPA Navy flagship undergoing radical modernization
http://www.nknews.or[...]
2014-12-24
[21]
웹사이트
The North Korean Navy Acquires a New Submarine
http://38north.org/2[...]
2014-12-24
[22]
웹사이트
404: OK
http://www.hisutton.[...]
[23]
웹사이트
Naval Bases - North Korea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6-18
[24]
웹사이트
KPA Journal Volume 2, No.12
https://web.archive.[...]
2014-06-19
[25]
웹사이트
Imgur
https://m.imgur.com/[...]
[26]
웹사이트
North Korea's New KN19 Coastal Defense Cruise Missile: More Than Meets the Eye – The Diplomat
https://thediplomat.[...]
[27]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28]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29]
웹사이트
(ミリタリーバランス2014推定値)北朝鮮基礎データ,外務省
https://www.mofa.go.[...]
[30]
간행물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3 (アメリカ国防総省議会報告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軍事及び安全保障 2013年)
http://www.defense.g[...]
[31]
웹사이트
2013年版防衛白書 第I部わが国を取り巻く安全保障環境
http://www.mod.go.jp[...]
防衛省
[32]
간행물
海外艦艇ニュース 北朝鮮の軍艦沈没
海人社
2014-02
[33]
웹사이트
6⋅25전쟁사2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전투
http://medcmd.mil.kr[...]
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8-08-05
[34]
웹사이트
北韓百科-形成過程
http://nk.joins.com/[...]
2017-09-07
[35]
서적
미국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Ⅲ (米国所在韓国史資料調査報告Ⅲ)
http://db.history.go[...]
2019-05-12
[36]
웹사이트
주문진해전
http://www.naenara.c[...]
ネナラ
2019-05-12
[37]
웹사이트
北朝鮮が海軍への戦術核配備を予告 「核抑止力の構成部分に」と金正恩氏 日米韓に対抗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8-29
[38]
웹사이트
北朝鮮、「戦術核攻撃潜水艦」を進水 式典で正恩氏が演説
https://www.cnn.co.j[...]
CNN
2023-09-08
[39]
웹사이트
北朝鮮「水中核攻撃が可能な潜水艦、初めて進水」…金正恩委員長が訪露前に海軍力誇示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3-09-09
[40]
뉴스
延坪海戦当時8戦隊軍人初の脱北者... 当局「陳述信憑性高い」( 연평해전 당시 8전대 군인 중 첫 탈북자… 당국 "진술 신빙성 높아" )
http://news.chosun.c[...]
2012-06-25
[41]
뉴스
北、海軍東海最大の潜水艦基地「馬養島」公開…戦闘力は?( 北, 해군 동해 최대 잠수함 기지 '마양도' 공개…전투력은? )
http://www.nocutnews[...]
2016-06-23
[42]
뉴스
北、ホバークラフト基地拡張・再建( 북 공기부양정 기지 확장·재건 )
http://www.rfa.org/k[...]
2015-08-24
[43]
뉴스
西海NLL近く北韓軍の衛星写真(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
http://shindonga.don[...]
2010-02-01
[44]
뉴스
北朝鮮 鄭明都海軍司令官 最近退陣か
http://dailynk.jp/ar[...]
2012-08-05
[45]
뉴스
北朝鮮海軍司令官が交代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5-04-04
[46]
뉴스
北リ・ヨンジュ海軍司令官、4か月で大将に”超スピード昇格”
http://www.wowkorea.[...]
ワウコリア
2015-08-17
[47]
뉴스
리용주 北 해군사령관, 5개월만에 공개석상에 등장(종합)
http://www.yonhapnew[...]
2016-09-21
[48]
웹인용
Brown Water Navy
http://public1.nhhca[...]
2023-08-26
[49]
웹인용
북한 해군사령관에 김명식 다시 임명한 듯…5개월만에 복귀
https://www.yna.co.k[...]
2021-07-30
[50]
문서
https://missilethr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