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1기동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8월 27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동사단이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금성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이후 동해안 지역 대간첩 작전에 투입되었다. 2004년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었고, 2019년 제20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 202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포병여단, 그리고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초대 사단장은 최덕신이며, 거창 양민 학살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홍천군 소재의 관공서 - 홍천소방서
    홍천소방서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을 관할하는 소방서로, 소방행정과, 방호구조과, 현장대응과로 구성되어 4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으며, 2012년 인제소방서가 분리 신설되었다.
  • 홍천군 소재의 관공서 - 홍천우체국
    홍천우체국은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에 위치하며, 1905년 홍천임시우체소 설치를 시작으로 1953년 홍천읍 신장대리에 주사국으로 개국하여, 현재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할하며 여러 부서로 조직되어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11기동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11기동사단 휘장
11기동사단 휘장
명칭11기동사단
로마자 표기Sipil Gidong Sadan
한자 표기十一機動師團
별칭화랑부대
영어 명칭11th Maneuver Division
군사 정보
소속대한민국 육군
종류기계화보병
역할공세, 기동전
규모사단
군단제7기동군단
주둔지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장비K1 전차
K1A1 전차
K-21
K2 전차
K-9 자주포
지휘관
현재 사단장[[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박후성
주요 지휘관임부택
김종오
역사
창설일1950년 8월 27일
참전한국 전쟁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주요 전투설악산 전투
향로봉 전투
기타
군가11사단가

2. 역사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8월 27일 경북 영천에서 창설된 11사단은 2004년 12월 기계화보병사단 개편을 통해 동부전선 최강의 전력을 가진 사단으로 다시 탄생했다. 전 예하부대가 장갑차, 전차, 자주포 등 압도적인 화력과 기동력을 가진 기계화 장비로 편성되어 일반 보병사단보다 3배 이상의 전투력을 보유하고 있다. 연간유지비는 9.655조으로 일반 보병부대의 3310억의 3배가 넘는다.[6]

1951년 4월 16일 양양으로 이동하여 설악산, 대관령, 건봉산, 월비산 등에서 전투를 치렀다. 특히 건봉산 전투에서는 적 1개 사단을 격퇴했다. 1952년에는 351고지, 월비산, 간성 등에서 전투를 치렀고, 1953년 7월 금성 전투에서 승리한 직후 휴전을 맞이했다. 1953년 8월 27일 적 3개 사단을 괴멸시킨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1967년 6월 동해안지역 대간첩작전에 참여했고, 1968년 11월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당시 무장공비 56명을 사살했다. 1996년 9월 18일 ~ 11월 5일 강릉지역 대간첩작전에 주력 부대로 투입되어 공비 2명을 사살했다.

2013년 10월 1일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훈 (부대창설 이후 6회차) 하였다.

2019년 12월 1일 육군본부 명령에 의거 11사단과 20사단이 통합 개편되었다. (예하 제20여단 독립 및 20사단의 제61여단 편입) 2021년 1월 1일 제11기동사단으로 개칭되었다.

2. 1. 창설과 한국 전쟁

1950년 8월 27일, 한국 전쟁 중 경상북도 영천에서 제9연대(대구), 제13연대(진해), 제20연대(삼랑진)를 주축으로 창설되었다.[1] 창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화랑의 후예로서 남북 통일의 주역이 되라"는 의미로 부대 애칭을 하사했다.

사단은 창설 직후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북진하여 설악산, 향로봉 등 동부 전선에서 주요 전투를 수행했다.[1] 1950년 10월 14일부터 1951년 3월 30일까지 지리산 지역에서 북한군 패잔병 소탕 작전을 전개했다. 1951년 4월 16일, 강원도 양양으로 이동하여 제1군단에 배속되었다. 이후 설악산지구 전투, 대관령지구 전투, 건봉산지구 전투, 1차 월비산지구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특히 건봉산지구 전투에서는 적 1개 사단을 격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51년 2월에는 사단장 최덕신의 명령으로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을 자행했다.[2] 이 사건으로 최덕신은 사단장직에서 해임되었다.

1952년에는 351고지 전투, 2차 월비산지구 전투, 간성지구 전투 등에 참여했다. 1953년 7월에는 금성 전투에서 북한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승리했고, 휴전을 맞이했다.[6] 같은 해 8월 27일, 도합 적 3개 사단을 괴멸시킨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다음은 11사단의 한국전쟁 주요 참전 기록이다.

기간작전명비고
1950년 10월 14일 ~ 1951년 3월 30일지리산 지역 북한군 패잔병 소탕 작전
1951년 4월 29일양양-주문진으로 후퇴중공군의 1차 춘계 공세(4월 공세)
1951년 5월 7일 ~ 17일설악산 지역 전투제1군단 우익 사단
1951년 5월 19일 ~ 22일설악산-38선-강릉으로 후퇴중공군의 2차 춘계 공세(5월 공세)
1951년 5월 26일 ~ 6월 10일강릉-간성대(양양)-향로봉-건봉산으로 진격
1951년 6월 11일건봉산 주저항선 전방 정찰전
1951년 8월884고지 전투
1951년 9월 ~ 11월건봉산 지역 방어수도사단 제1연대 진지 인계
1951년 11월 16일동해안 27km 전선 방어수도사단 작전 지역 인계
1951년 11월 18일 ~ 24일월비산 전투
1952년 1월부대 정비 및 교육 훈련육군본부 직할, 양양 이동
1952년 3월 31일제1군단 좌익 전선 담당육군본부 직할에서 제1군단으로 배속 변경
1953년 6월 10일제2군단으로 배속 변경제21사단에 작전 지역 인계
1953년 7월금성 전투 참가


2. 2. 냉전 시기

1960년대에 11사단은 동해안 지역 대간첩 작전에 참여하였다.[6] 1968년 11월에는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당시 대간첩작전에 참여하여 무장공비 56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6]

1996년에는 강릉지역 대간첩작전에 주력 부대로 투입되었다.[6] 강릉 잠수함 침투사건 당시 11사단은 제2보병사단과 함께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11사단 소속 병사 1명이 전사하였다.[1] 11사단은 이 작전에서 공비 2명을 사살하였다.[6]

2. 3. 현대

1950년 8월 27일 한국 전쟁 중 경상북도 영천에서 창설된 제11사단은 2004년 12월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되어 동부전선 최강의 전력을 갖춘 사단으로 재탄생했다.[6] 예하 부대가 장갑차, 전차, 자주포 등 강력한 화력과 기동력을 가진 기계화 장비로 편성되어 일반 보병사단보다 3배 이상, 유지비는 9.655조에 달하는 전투력을 보유하게 되었다.[6]

2013년 10월 1일에는 부대 창설 이후 6번째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2019년 12월 1일,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제20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 개편되었다. 기존 20사단의 제61여단이 11사단으로 편입되었고, 11사단의 제20여단은 독립 여단이 되었다.

2021년 1월 1일, 제11기동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부대 구조

제11기동사단은 사단본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포병여단 및 여러 직할대로 구성된다.


  • 사단본부
  • 포병여단 "용포"
  • 제55포병대대 "청룡"
  • 제78포병대대 "승리"
  • 제91포병대대 "백호"
  • 제955포병대대 "흑룡"
  • 다연장로켓포대대 (K239 천무)
  • 직할대
  • 공병대대
  • 군수지원대대
  • 정보대대
  • 정보통신대대
  • 기갑수색대대
  • 화생방대대
  • 방공대대
  • 의무근무대
  • 군사경찰대
  • 보충중대
  • 본부대

3. 1. 예하 부대


  • 제9기계화보병여단 "투호"
  • * 제56전차대대 "백호"
  • * 제127기계화보병대대 "돌격"
  • * 제128기계화보병대대 "투호"
  • * 제9여단 군수지원대대
  • 제13기계화보병여단 "사자"
  • * 제36전차대대 "천마"
  • * 제112기계화보병대대 "진격"
  • * 제129기계화보병대대 "충무"
  • * 제13여단 군수지원대대
  • 제61기계화보병여단 "결전"
  • * 제12전차대대 "질풍"
  • * 제108기계화보병대대 "철마"
  • * 제111기계화보병대대 "무적번개"
  • * 제61여단 군수지원대대
  • 포병여단 "용포"
  • * 제55포병대대 "청룡"
  • * 제78포병대대 "승리"
  • * 제91포병대대 "백호"
  • * 제955포병대대 "흑룡"

3. 2. 직할 부대


  • 공병대대
  • 군수지원대대
  • 정보대대
  • 정보통신대대
  • 기갑수색대대
  • 화생방대대
  • 방공대대
  • 의무근무대
  • 군사경찰대
  • 보충중대
  • 본부대

4. 주요 인물

제11기동사단을 거쳐 간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4. 1. 역대 사단장

성명임기출신학교·기수전임후임비고
1최덕신1950. 9. 25 ~ ?중앙군관학교 10기
경사 3기
고급부관예비사관학교장거창 양민 학살 사건 당시 지휘관으로, 이 사건으로 인해 사단장직에서 해임되었다.[1]
2오덕준1951. 5. 28[2]군영인사국장제1훈련소장
3임부택1952. 8. 29[3]경사 1기제5사단 부사단장국방부 제1국장
?유흥수1954. 9 ~ ?군영감찰감제6관구 사령관
?최우근1963년[5]육사 3기제30사단장제3군단 부군단장
?이세규1968년 ~ 1969년육사 7기합참본부 비서실 차장육본 인사참모부 차장
?김정일2000. 5 ~ 2002. 4육사 28기국방부 조달본부 기획관리과장육군교육사령부 교의발전부장


4. 2. 기타 인물

5. 논란 및 사건 사고

제11기동사단은 한국 전쟁 중 거창 양민 학살 사건 등 여러 논란과 사건 사고에 연루되었다.

5. 1. 거창 양민 학살 사건

1951년 2월, 제11기동사단 9연대 3대대는 거창군 신원면에서 민간인 719명을 학살했다.[2] 이 사건으로 당시 사단장이었던 최덕신은 사단장직에서 해임되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부대마크] '천하제일' 화랑의 후예, 육군 제11기계화보병사단 화랑부대 https://blog.naver.c[...]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7-01-18
[2] 웹사이트 육군 제11사단 9연대 3대대 http://geochang.gran[...] Central Institute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이철재의 밀담] 북·중·일에 적수 없다··그런 동북아 최강 7군단의 아킬레스건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2020-03-08
[4] 웹사이트 육군 최정예 20기계화보병사단 역사 속으로 http://weekly.chosun[...] Chosun Ilbo 2019-03-01
[5] 서적 한국·북조선인명사전 세계정경조사회
[6] 뉴스 '11월 11일 11시'…11사단 기계화 개편 11주년 행사 연합뉴스 2015-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