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경인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경인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1990년 착공하여 1994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 서해안고속도로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인천대교 구간이 개통되어 인천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2017년에는 성남시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2022년에는 과천시 인근 방음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일부 구간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의 도로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과천시의 도로 - 양재대로
    양재대로는 과천시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가로질러 구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9.36km의 주요 간선도로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서울 남부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하여 교통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 의왕시의 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의왕시의 도로 - 경수대로
    경수대로는 경기도 수원시에서 안양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경기대로와 직결되어 수도권 남부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에 수원종합운동장과 같은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광명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광명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제2경인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고속도로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110
다른 이름제2경인고속도로
로마자 표기Je I Gyeongin Gosok Doro
한자 표기第2京仁高速道路
개통일1994년 7월 7일 (능해 ~ 광명), 1995년 12월 28일 (광명 ~ 석수), 2001년 10월 18일 (광명 ~ 삼막), 2009년 10월 19일 (공항신도시 ~ 송도, 연수 ~ 학익), 2017년 9월 27일 (삼막 ~ 여수대로)
총 연장70.0 km
총 연장 (다른 값)67.8 km
건설 시작1994년
관할 기업인천대교 (인천대교 구간), 제2경인연결고속도로 (삼막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구간)
노선 정보
노선 방향동서
기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공항신도시 IC,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종점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석수 IC, 국도 1호선)
주요 경유지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경기도 성남시
접속 도로
주요 교차 도로서해안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국도 1호선
국도 3호선
국도 77호선
인터체인지 수15
기타
관련 도로경인로
경인고속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제2경인선

2. 역사

1990년 12월 19일 서창 분기점에서 삼막 나들목에 이르는 26.68km 전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4]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구간별로 개통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기존 서해안고속도로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이 제2경인고속도로에 편입되면서 기점과 종점이 인천과 안양으로 바뀌고, 노선 번호도 제110호로 변경되었다.[15]

2004년 11월 3일에는 인천대교 구간이 고속도로 노선으로 지정되었고,[18] 2005년 7월 1일 공항신도시 분기점 ~ 학익 분기점 19.96 km 구간이 착공되었다.[20] 2008년 1월 3일에는 종점이 경기도 안양시에서 성남시로 연장되었다.[23]

2010년 3월 19일, 안양 ~ 성남 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고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25] 2019년 9월 20일,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 ~ 성남 구간이 연장 개통됨에 따라 종점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에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으로 변경되고 총 연장이 46.75km로 변경 고시되었다.[36]

2019년 2월 19일, 서창1교 방음시설 전용 교량 신설을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22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35]

2. 1. 착공 및 초기 개통 (1990년 ~ 2001년)


  • 1990년 12월 19일 : 서창 분기점 ~ 삼막 나들목 (26.68 km) 전 구간 착공[4]
  • 1991년 7월 25일 :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5호선 제2경인고속도로(제2경인선)'''으로 지정[4]
  • 1991년 8월 3일 : 제2경인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 10.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92년 5월 23일 :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 ~ 광명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광명시 노온사동 4.7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1992년 8월 29일 : 시흥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 신천동 8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 1992년 12월 31일 : 일직 분기점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광명시 일직동 740m 구간 도로구역 결정[8]
  • 1994년 7월 7일 : 서창 분기점 ~ 광명 나들목 10.8km 구간 개통[9]
  • 1995년 4월 1일 : 1995년 12월까지 석수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505m 구간을 734m로 도로구역 변경[10]
  • 1995년 12월 28일 : 광명 나들목 ~ 석수 나들목 4.7km 구간 개통[11]
  • 1996년 7월 1일 : 종점을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으로 변경[12]
  • 1996년 12월 7일 : 1998년 12월까지 석수 나들목 직결램프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3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1997년 8월 9일 : 삼막 나들목 연결로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1.0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1999년 11월 26일 : 안현 분기점 개통
  • 2001년 8월 25일 : 기존 서해안고속도로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을 편입하고 기점과 종점을 각각 안양 → 인천에서 인천 → 안양으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15호에서 '''제110호'''로 변경.[15]

2. 2. 인천대교 구간 개통 및 노선 연장 (2002년 ~ 2017년)

2. 3. 화재 사고 및 복구 (2022년 ~ 현재)

2022년 12월 29일, 제2경인고속도로 화재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석수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사고로 5명이 사망하고 37명이 부상을 입었다.[1][2] 과천시 인근 방음터널에서 발생한 화재는 6명의 사망자를 냈다.[3]

2023년 1월 2일에는 북의왕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고, 1월 3일에는 석수 나들목 ~ 삼막 나들목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37] 3월 1일부터 4월 16일까지는 삼막 나들목 ~ 북의왕 나들목 구간에서 안전진단 및 복구공사가 진행되었으며,[38] 4월 16일에 해당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3. 구성

제2경인고속도로는 전 구간 최고 속도 100km/h, 최저 속도 50km/h로 제한된다.

3. 1. 차로 수


3. 2.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1]

3. 3. 터널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연도비고
옥련터널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36m2009년
광명터널경기도 광명시 소하동888m1995년성남 방향
912m인천 방향
삼막터널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60m2001년
삼성산터널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2017년, 2023년
청계산1터널경기도 의왕시 청계동2017년, 2023년
청계산2터널경기도 의왕시 청계동2017년, 2023년
청계산3터널경기도 의왕시 청계동2017년, 2023년
청계산4터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2017년, 2023년


4. 나들목 · 분기점

번호시설명연결 노선기점부터
(km)비고소재지1공항신도시 분기점 (JCT)고속국도 130호선,
영종해안북로 1050번길0.0인천광역시 중구2영종 나들목 (IC)인천광역시도 64호 (하늘대로·영종해안남로)1.8인천광역시 중구TG인천대교 요금소2.7본선 요금소인천광역시 중구4연수 분기점 (JCT)16.4인천광역시 연수구-송도 나들목 (IC)국도 77호선, 지방도 84호선, 지방도 98호선 (아암대로)17.4지선상 (본선상이 아님)인천광역시 연수구5옥련 나들목 (IC)국도 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98호선 (아암대로)18.2인천 방면 진입과 성남 방면 진출만 가능인천광역시 연수구6학익 분기점 (JCT)제2경인고속도로 지선 (릉해-학익)20.0인천광역시 미추홀구7문학 나들목 (IC)인천광역시도 13호선 (미추홀대로),
인천광역시도 14호선 (매소홀로)22.0성남 방면 진입과 인천 방면 진출만 가능인천광역시 미추홀구8남동 나들목 (IC)인천광역시도 47호선 (남동대로),
인천광역시도 12호선 (비류대로)25.6인천광역시 남동구9서창 분기점 (JCT)고속국도 50호선 영동선,
무네미로28.0인천광역시 남동구TG남인천 요금소30.3본선 요금소인천광역시 남동구10신천 나들목 (IC)서해안로,
서창방산로31.8경기도 시흥시11안현 분기점 (JCT)고속국도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선35.2경기도 시흥시12광명 나들목 (IC)광명로38.2경기도 광명시13일직 분기점 (JCT)고속국도 15호선 서해안선42.6경기도 광명시14석수 나들목 (IC)국도 1호선 (경수대로),
안양로43.6경기도 안양시15삼막 나들목 (IC)삼막로,
호암로44.8경기도 안양시TG안양과천 요금소50.7본선 요금소
인천 방면만경기도 과천시16북의왕 나들목 (IC)성고개로52.2경기도 의왕시17북청계 나들목 (IC)국가지원지방도 57호선 (안양판교로)54.1인천 방면 진입과 성남 방면 진출만 가능경기도 의왕시TG북판교 요금소60.6본선 요금소
성남 방면만경기도 성남시19동판교 나들목 (IC)분당내곡 도시고속화도로63.4인천 방면 진입과 성남 방면 진출만 가능경기도 성남시-여수대로 나들목 (IC)여수대로,
국도 3호선 (성남이천로·성남대로)65.0경기도 성남시



IC
번호
시설명연결 노선기점부터
(km)
비고
-능해 나들목 (IC)국도 77호선, 지방도 84호선, 지방도 98호선 (아암대로),
축항대로
0.0
6학익 분기점 (JCT)제2경인고속도로 본선1.8


4. 1. 인천대교 구간

거리 (km)누적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영종해안북로1050번길과 직결1공항신도시 분기점Airport New Town JC-0.00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영종해안북로1050번길인천광역시 중구인천기점
나들목 기능 병행2영종Yeongjong1.791.79하늘대로, 영종해안남로TG인천대교 요금소Incheon Bridge TG---본선요금소4연수 분기점Yeonsu JC14.5816.37연수 ~ 송도 구간인천광역시 연수구인천방향의 경우 연수 ~ 송도 구간(송도방향) 진출 불가능
성남방향 직진 시 연수 ~ 송도 구간과 직결5옥련Ongnyeon1.8018.17아암대로(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인천방향 진입과 성남방향 진출만 가능6학익 분기점Hagik JC1.7919.96제2경인고속도로 본선 구간인천광역시 미추홀구성남방향의 경우 본선 구간(인천방향) 진출 불가능제2경인고속도로 본선 구간 직결


4. 2. 본선

거리 (km)누적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축항대로 직결능해Neunghae-0.00아암대로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축항대로인천광역시미추홀구본선 구간 기점6학익 분기점Hagik JC1.801.80
(19.96)인천대교 구간성남 방향 인천대교 구간(인천 방향) 진출 불가7문학Munhak2.284.08
(22.24)미추홀대로성남 방향 진입, 인천 방향 진출만 가능8남동Namdong3.427.50
(25.66)남동대로
비류대로남동구9서창 분기점Seochang JC2.339.83
(27.99)50호선 영동고속도로
국도 제39호선 (수인로·호현로)
국도 제42호선 (백범로·수인로)
인주대로·무네미로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나들목 기능 병행
영동고속도로 인천 방향 진출 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간접 연결TG남인천 요금소S.Incheon TG본선요금소10신천Sincheon3.8013.63
(31.79)국도 제42호선 (수인로)
서해안로
서창방산로경기도시흥시11안현 분기점Anhyeon JC3.4117.04
(35.20)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12광명Gwangmyeong3.0320.07
(38.23)광명로광명시13일직 분기점Iljik JC4.3724.44
(42.60)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인천 방향 서해안고속도로(서울 방향) 진출 불가14석수Seoksu1.0225.46
(43.62)국도 제1호선 (경수대로)
안양로안양시성남 방향 진입 불가15삼막Sammak1.2226.68
(44.84)삼막로·호암로TG안양과천 요금소Anyang-Gwacheon TG과천시본선요금소
인천 방향 차량만 요금 지불16북의왕N.Uiwang지방도 제309호선의왕시17북청계N.Cheonggye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안양판교로)인천 방향 진입, 성남 방향 진출만 가능TG북판교 요금소N.Pangyo TG성남시본선요금소
성남 방향 차량만 요금 지불18금토동Geumto-dong공사 중19동판교E.Pangyo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인천 방향 진입, 성남 방향 진출만 가능여수대로Yeosudaero국도 제3호선 (성남이천로·성남대로)여수대로 직결


4. 3. 연수 ~ 송도 구간

인천대교에서 이어져 연수 분기점을 통해 인천대교로 진입할 수 있다. 연수 분기점에서는 인천대교(성남방향) 진출은 불가능하다.[1] 송도 나들목에서는 아암대로(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지방도 제330호선)로 진출할 수 있다.[1]

번호이름접속 노선소재지
4연수 분기점인천대교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 나들목아암대로(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30호선)


5. 주요 통과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 연수구 (송도동 - 옥련동) - 미추홀구 (학익동 - 문학동) - 연수구 선학동 - 남동구 (남촌동 - 수산동 - 서창동 - 운연동)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 방산동 - 신천동 - 미산동 - 신천동 - 은행동 - 안현동 - 과림동) - 광명시 (노온사동 - 소하동 - 일직동) -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관양동) - 과천시 갈현동 - 의왕시 (포일동 - 청계동) -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 시흥동)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6. 교통량

2010년의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39].

구간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24시간
공항신도시JC ~ 학익JC21.420,46226,895
서창JC ~ 안현JC7.263,54189,567
안현JC ~ 석수IC9.661,19189,750



최고 통행량 지점은 남동 나들목부터 서창 분기점까지의 2.3km 구간으로, 24시간에 115,621대(8개 차선, 차선당 14,453대)가 통과한다. 차선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신천 나들목부터 안현 분기점까지의 3.4km 구간으로, 차선당 17,434대(6개 차선, 총 104,606대)가 통과한다.

7. 사건 · 사고

참조

[1] 뉴스 Fire after highway crash in South Korea kills 5, injures 37 https://apnews.com/a[...] 2022-12-29
[2] 뉴스 Fire on South Korean highway kills five, injures dozens https://www.reuters.[...] 2022-12-29
[3] 뉴스 防音トンネル内部が炎に包まれる…第2京仁道路で火災、6人死亡=韓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2-12-29
[4] 간행물 대통령령 제1343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1-07-25
[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24호 http://theme.archive[...] 1991-08-03
[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246호 http://theme.archive[...] 1992-05-23
[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473호 http://theme.archive[...] 1992-08-29
[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758호 http://theme.archive[...] 1992-12-31
[9]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994-168호 http://theme.archive[...] 1994-07-06
[1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05호 http://theme.archive[...] 1995-04-01
[1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400호 http://theme.archive[...] 1995-12-28
[12]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0호 http://theme.archive[...] 1996-12-07
[1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72호 http://theme.archive[...] 1997-08-09
[15] 간행물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16]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89호 http://gwanbo.mois.g[...] 2001-10-18
[17] 뉴스 인천 문학터널 15일 개통 https://news.naver.c[...] 2002-03-12
[18] 간행물 대통령령 제1857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4-11-03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6호 http://gwanbo.mois.g[...] 2005-02-01
[2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467호 http://gwanbo.mois.g[...] 2005-12-28
[2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345호 http://gwanbo.mois.g[...] 2006-08-30
[2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535호 http://gwanbo.mois.g[...] 2006-12-14
[23] 간행물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24]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899호 http://gwanbo.mois.g[...] 2009-10-16
[25]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51호 http://gwanbo.mois.g[...] 2010-03-19
[26] 뉴스 인천대교 개통후 첫 대형사고… 안전대책 도마에 http://biz.heraldm.c[...] 2010-07-03
[27]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2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84호 http://gwanbo.mois.g[...] 2013-10-07
[2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731호 http://gwanbo.mois.g[...] 2014-12-02
[3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3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589호 http://gwanbo.mois.g[...] 2016-09-02
[3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789호 http://gwanbo.mois.g[...] 2017-06-07
[33]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206호 http://gwanbo.mois.g[...] 2017-08-14
[34]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393호 http://gwanbo.mois.g[...] 2017-09-27
[3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78호 http://gwanbo.mois.g[...] 2019-02-19
[36]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9-78호 http://gwanbo.mois.g[...] 2019-09-23
[37] 뉴스 화재로 통제됐던 제2경인고속도로 삼막~석수IC 구간 통행 재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38] 뉴스 제2경인로 화재 여파에 강남순환도로 체증..7월 통행 정상화 https://n.news.naver[...] 파이낸셜뉴스
[39] 웹사이트 2010년 통계 연보 PDF http://www.road.re.k[...] 2011-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