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경인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경인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1990년 착공하여 1994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 서해안고속도로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인천대교 구간이 개통되어 인천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2017년에는 성남시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2022년에는 과천시 인근 방음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일부 구간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의 도로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과천시의 도로 - 양재대로
양재대로는 과천시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가로질러 구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9.36km의 주요 간선도로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서울 남부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하여 교통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 의왕시의 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의왕시의 도로 - 경수대로
경수대로는 경기도 수원시에서 안양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경기대로와 직결되어 수도권 남부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에 수원종합운동장과 같은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광명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광명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제2경인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고속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110 |
다른 이름 | 제2경인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Je I Gyeongin Gosok Doro |
한자 표기 | 第2京仁高速道路 |
개통일 | 1994년 7월 7일 (능해 ~ 광명), 1995년 12월 28일 (광명 ~ 석수), 2001년 10월 18일 (광명 ~ 삼막), 2009년 10월 19일 (공항신도시 ~ 송도, 연수 ~ 학익), 2017년 9월 27일 (삼막 ~ 여수대로) |
총 연장 | 70.0 km |
총 연장 (다른 값) | 67.8 km |
건설 시작 | 1994년 |
관할 기업 | 인천대교 (인천대교 구간), 제2경인연결고속도로 (삼막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구간) |
노선 정보 | |
노선 방향 | 동서 |
기점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공항신도시 IC,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석수 IC, 국도 1호선) |
주요 경유지 |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경기도 성남시 |
접속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국도 1호선 국도 3호선 국도 77호선 |
인터체인지 수 | 15 |
기타 | |
관련 도로 | 경인로 경인고속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제2경인선 |
2. 역사
1990년 12월 19일 서창 분기점에서 삼막 나들목에 이르는 26.68km 전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4]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구간별로 개통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기존 서해안고속도로의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이 제2경인고속도로에 편입되면서 기점과 종점이 인천과 안양으로 바뀌고, 노선 번호도 제110호로 변경되었다.[15]
2004년 11월 3일에는 인천대교 구간이 고속도로 노선으로 지정되었고,[18] 2005년 7월 1일 공항신도시 분기점 ~ 학익 분기점 19.96 km 구간이 착공되었다.[20] 2008년 1월 3일에는 종점이 경기도 안양시에서 성남시로 연장되었다.[23]
2010년 3월 19일, 안양 ~ 성남 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고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25] 2019년 9월 20일,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 ~ 성남 구간이 연장 개통됨에 따라 종점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에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으로 변경되고 총 연장이 46.75km로 변경 고시되었다.[36]
2019년 2월 19일, 서창1교 방음시설 전용 교량 신설을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22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35]
2. 1. 착공 및 초기 개통 (1990년 ~ 2001년)
- 1990년 12월 19일 : 서창 분기점 ~ 삼막 나들목 (26.68 km) 전 구간 착공[4]
- 1991년 7월 25일 :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5호선 제2경인고속도로(제2경인선)'''으로 지정[4]
- 1991년 8월 3일 : 제2경인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 ~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 10.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92년 5월 23일 :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 ~ 광명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광명시 노온사동 4.7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1992년 8월 29일 : 시흥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 신천동 8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 1992년 12월 31일 : 일직 분기점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 광명시 일직동 740m 구간 도로구역 결정[8]
- 1994년 7월 7일 : 서창 분기점 ~ 광명 나들목 10.8km 구간 개통[9]
- 1995년 4월 1일 : 1995년 12월까지 석수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505m 구간을 734m로 도로구역 변경[10]
- 1995년 12월 28일 : 광명 나들목 ~ 석수 나들목 4.7km 구간 개통[11]
- 1996년 7월 1일 : 종점을 '인천직할시 남동구 서창동'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으로 변경[12]
- 1996년 12월 7일 : 1998년 12월까지 석수 나들목 직결램프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3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1997년 8월 9일 : 삼막 나들목 연결로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1.0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1999년 11월 26일 : 안현 분기점 개통
- 2001년 8월 25일 : 기존 서해안고속도로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을 편입하고 기점과 종점을 각각 안양 → 인천에서 인천 → 안양으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15호에서 '''제110호'''로 변경.[15]
2. 2. 인천대교 구간 개통 및 노선 연장 (2002년 ~ 2017년)
- 2001년 10월 18일: 석수 나들목 ~ 삼막 나들목 1.08km 구간 왕복 6차로 및 4차로 개통.[16]
- 2002년 3월 15일: 문학터널과 문학 나들목 개통.[17]
- 2009년 10월 19일: 인천대교 구간(공항신도시 분기점 ~ 학익 분기점) 19.96 km 개통.[24]
- 2010년 7월 3일: 인천대교 구간 영종 나들목 부근에서 시외버스 추락 사고 발생.[26]
- 2012년 5월 31일: 삼막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21.9 km 구간 착공.
- 2017년 8월 15일: 인천대교 구간 통행료 인하(소형 기준 6200KRW → 5500KRW).[33]
- 2017년 9월 27일: 삼막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21.92km 구간 개통.[34]
2. 3. 화재 사고 및 복구 (2022년 ~ 현재)
2022년 12월 29일, 제2경인고속도로 화재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석수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사고로 5명이 사망하고 37명이 부상을 입었다.[1][2] 과천시 인근 방음터널에서 발생한 화재는 6명의 사망자를 냈다.[3]2023년 1월 2일에는 북의왕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고, 1월 3일에는 석수 나들목 ~ 삼막 나들목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37] 3월 1일부터 4월 16일까지는 삼막 나들목 ~ 북의왕 나들목 구간에서 안전진단 및 복구공사가 진행되었으며,[38] 4월 16일에 해당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3. 구성
제2경인고속도로는 전 구간 최고 속도 100km/h, 최저 속도 50km/h로 제한된다.
3. 1. 차로 수
구간 | 차로 수 |
---|---|
옥련 나들목 ~ 학익 분기점 | 왕복 2차로 |
연수 분기점 ~ 옥련 나들목, 연수 분기점 ~ 송도 나들목, 북청계 나들목 ~ 여수대로 나들목 | 왕복 4차로 |
공항신도시 분기점 ~ 영종 나들목, 인천대교 요금소 ~ 연수 분기점, 능해 나들목 ~ 남동 나들목, 서창 분기점 ~ 북청계 나들목 | 왕복 6차로 |
남동 나들목 ~ 서창 분기점 | 인천 방면 편도 5차로, 안양 방면 편도 4차로 |
영종 나들목 ~ 인천대교 요금소 | 왕복 10차로 |
3. 2.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1]3. 3.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연도 | 비고 |
---|---|---|---|---|
옥련터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 36m | 2009년 | |
광명터널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 888m | 1995년 | 성남 방향 |
912m | 인천 방향 | |||
삼막터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 60m | 2001년 | |
삼성산터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 2017년, 2023년 | ||
청계산1터널 |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 2017년, 2023년 | ||
청계산2터널 |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 2017년, 2023년 | ||
청계산3터널 |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 2017년, 2023년 | ||
청계산4터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 2017년, 2023년 |
4. 나들목 · 분기점
번호
(km)
영종해안북로 1050번길
인천광역시도 14호선 (매소홀로)
인천광역시도 12호선 (비류대로)
무네미로
서창방산로
안양로
호암로
인천 방면만
성남 방면만
국도 3호선 (성남이천로·성남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