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63년 11월 21일에 치러졌으며, 이케다 하야토 내각 시기에 소득배증정책과 도쿄 올림픽 개최를 앞둔 시점에서 진행되었다. 선거는 중선거구제와 소선거구제를 혼합하여 실시되었으며, 자유민주당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지만, 의석수는 소폭 감소했다. 사회당은 거의 현상 유지를 했고, 민사당과 공산당은 의석수를 늘렸다. 투표율은 71.14%로, 이전 선거보다 감소했다. 선거 결과는 이케다 내각의 소득배증정책 지속과 도쿄 올림픽 성공으로 이어졌으며, 자민당의 장기 집권 체제를 공고히 했지만, 야당의 견제와 국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직면하게 했다.
1963년 11월 21일 일본에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1] 이케다 하야토 내각은 소득배증정책과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국민의 신임을 묻기 위해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가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를 단행한 것이다.
2. 선거 배경
선거 운동 기간 중인 11월 9일, 국철 요코스카선 쓰루미 사고(가나가와현)와 미쓰이 미이케 미카와 탄광 탄진 폭발 사고(후쿠오카현)라는 두 건의 대형 재해가 동일본과 서일본에서 동시에 발생하여, 이케다 내각은 선거 운동과 함께 이 두 건의 사고에 대응해야 했다.[3]
투표일은 11월 21일 목요일(평일)이었는데, 이후 2024년 현재까지 국정선거가 평일에 실시된 예는 없으며, 현재로서는 마지막 평일 선거이다. 투표 시간이 2시간 연장되었지만, 투표율은 예상보다 오르지 않고 이전보다 낮은 71%에 그쳤다. 투표 시간 연장으로 인해 다음 날 개표가 된 지역이 많아 당락 판명이 전국적으로 상당히 늦어졌다.[3]
히고 쇼 등 이른바 거품 후보들이 대량으로 출마했지만, 제대로 선거 운동을 하지 않았고, 야당 후보는 물론 자민당 내에서도 라이벌 후보에 대한 방해에 이용되었다. 그 결과 선거 후 적발되어 사회 문제가 되었다.
2. 1. 정치적 상황
이케다 하야토 내각은 소득배증정책을 추진하며 경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1]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있어, 국제 사회에 일본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1]
자유민주당(이하 자민당)은 장기 집권으로 인해 당내 파벌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지만, 이케다 총리의 리더십 아래 결속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일본사회당(이하 사회당)은 자민당의 장기 집권과 경제 정책의 불평등 심화를 비판하며 지지층 결집을 시도했다.[1] 민사당은 사회당에서 분리된 중도 정당으로서, 사회당보다 온건한 노선을 추구하며 독자적인 세력 확장을 모색했다.[2]
정당 | 대표 | 주요 직책 |
---|---|---|
자민당 | 이케다 하야토 | 총재, 부총재, 간사장, 총무회장, 정무조사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의원회장 |
일본사회당 | 가와카미 조타로 | 위원장, 부위원장, 서기장, 정책심의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의원회장 |
민사당 | 니시오 마츠히로 | 위원장, 서기장, 정책심의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의원회장, 상임고문 |
일본공산당 | 노사카 산조 | 의장, 서기장, 간부회 위원 |
2. 2. 주요 쟁점
이케다 내각의 소득배증정책의 성과와 지속 가능성이 주요 쟁점이었다.[1]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1] 자민당 장기 집권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고 정치 개혁을 이루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3. 선거 제도
선거 제도 |
---|
중선거구제 (3인 선거구 40개, 4인 선거구 39개, 5인 선거구 38개), 소선거구제 (1인 선거구 1개) |
투표 방법 |
비밀투표, 단기투표, 1표제 |
선거권 |
만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 |
피선거권 |
만 25세 이상의 일본 국민 |
유권자 수 |
58,281,678명 |
4. 선거 운동
선거 운동 기간 중인 11월 9일, 국철 요코스카선 쓰루미 사고(가나가와현)와 미쓰이 미이케 미카와 탄광 탄진 폭발 사고(후쿠오카현)라는 두 건의 대형 재해 사고가 각각 동일본과 서일본에서 동시에 발생하면서, 이케다 내각은 선거 운동과 함께 이 두 대형 재해 사고에 대응해야 했다.[3]
자민당은 이케다 총리의 리더십과 소득배증정책 등의 경제 성과를 강조하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약속했다. 사회당은 자민당의 장기 집권과 경제 정책으로 인한 불평등 심화를 비판하며, 사회 복지 확대와 노동자 권익 보호를 주장했다. 민사당은 사회당보다 온건한 노선을 추구하며,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을 제시했다. 일본공산당(공산당)은 미일안보조약 폐기와 평화 헌법 수호를 주장하며 진보적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히고 쇼 등 이른바 거품 후보가 대량으로 출마했으나, 히고 등은 제대로 선거 운동을 하지 않았다. 이들은 야당 후보는 물론 자민당 내에서도 라이벌 후보에 대한 방해에 이용되었고, 결국 선거 후 적발되어 사회 문제가 되었다.
5. 선거 결과
1963년 11월 21일에 실시된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투표율은 71.14%였다. 총 41,458,946표 중 유효표는 41,016,540표, 무효표는 442,406표였다.
당선된 의원 467명 중 남성은 460명, 여성은 7명이었다. 정당별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 | 합계 | 내역 | 남성 | 여성 | ||
---|---|---|---|---|---|---|
전 | 전직 | 신 | ||||
자유민주당 | 283 | 224 | 26 | 33 | 281 | 2 |
일본사회당 | 144 | 110 | 14 | 20 | 140 | 4 |
민주사회당 | 23 | 11 | 8 | 4 | 22 | 1 |
일본공산당 | 5 | 3 | 1 | 1 | 5 | 0 |
무소속 | 12 | 3 | 2 | 7 | 12 | 0 |
합계 | 467 | 351 | 51 | 65 | 460 | 7 |
5.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정당 | 의석 | 득표수 | 득표율 |
---|---|---|---|
자유민주당 | 283석 | 22,972,892 | 56% |
일본사회당 | 144석 | 11,906,766 | 29% |
민주사회당 | 23석 | 3,023,302 | 7.4% |
일본공산당 | 5석 | 1,646,477 | 4% |
기타 | 0석 | 59,765 | 0.1% |
무소속 | 12석 | 1,407,339 | 3.4% |
합계 | 467석 | 41,458,946 | 100% |
자민당은 과반수 의석을 유지하며 승리했지만, 의석수는 다소 감소했다. 일본사회당은 거의 현상 유지를 했지만, 민주사회당은 의석수를 늘리며 약진했다. 일본공산당도 의석수를 소폭 늘렸다. 무소속 후보들의 당선도 눈에 띄었다.
현(Prefecture) | 총 의석 수 (Total seats) | 획득 의석 수 (Seats won) | ||||
---|---|---|---|---|---|---|
자민당 | 일본사회당 | 민사당 | 일본공산당 | 무소속 | ||
style="background:#3CA324;" | | style="background:#87cefa;" | | style="background:#FF5050;" | | style="background:#DB001C;" | | style="background:lightgrey;" | | ||
아이치 현 | 19 | 11 | 6 | 1 | 1 | |
아키타 현 | 8 | 4 | 3 | 1 | ||
아오모리 현 | 7 | 3 | 3 | 1 | ||
지바 현 | 13 | 10 | 2 | 1 | ||
에히메 현 | 9 | 5 | 3 | 1 | ||
후쿠이 현 | 4 | 3 | 1 | |||
후쿠오카 현 | 19 | 10 | 7 | 2 | ||
후쿠시마 현 | 12 | 9 | 3 | |||
기후 현 | 9 | 6 | 3 | |||
군마 현 | 10 | 7 | 3 | |||
히로시마 현 | 12 | 9 | 2 | 1 | ||
홋카이도 | 22 | 10 | 9 | 1 | 2 | |
효고 현 | 18 | 8 | 6 | 3 | 1 | |
이바라키 현 | 12 | 8 | 3 | 1 | ||
이시카와 현 | 6 | 4 | 1 | 1 | ||
이와테 현 | 8 | 6 | 2 | |||
가가와 현 | 6 | 4 | 1 | 1 | ||
가고시마 현 | 11 | 6 | 4 | 1 | ||
가나가와 현 | 13 | 7 | 5 | 1 | ||
고치 현 | 5 | 4 | 1 | |||
구마모토 현 | 10 | 8 | 2 | |||
교토 부 | 10 | 4 | 3 | 2 | 1 | |
미에 현 | 9 | 6 | 2 | 1 | ||
미야기 현 | 9 | 5 | 3 | 1 | ||
미야자키 현 | 6 | 4 | 2 | |||
나가노 현 | 13 | 8 | 4 | 1 | ||
나가사키 현 | 9 | 6 | 2 | 1 | ||
나라 현 | 5 | 3 | 2 | |||
니가타 현 | 15 | 9 | 5 | 1 | ||
오이타 현 | 7 | 5 | 2 | |||
오카야마 현 | 10 | 6 | 4 | |||
오사카 부 | 19 | 8 | 6 | 3 | 2 | |
사가 현 | 5 | 3 | 2 | |||
사이타마 현 | 13 | 8 | 5 | |||
시가 현 | 5 | 3 | 2 | |||
시마네 현 | 5 | 4 | 1 | |||
시즈오카 현 | 14 | 9 | 4 | 1 | ||
도치기 현 | 10 | 7 | 3 | |||
도쿠시마 현 | 5 | 4 | 1 | |||
도쿄 도 | 27 | 13 | 12 | 2 | ||
돗토리 현 | 4 | 3 | 1 | |||
도야마 현 | 6 | 5 | 1 | |||
와카야마 현 | 6 | 4 | 2 | |||
야마가타 현 | 8 | 6 | 2 | |||
야마구치 현 | 9 | 4 | 3 | 2 | ||
야마나시 현 | 5 | 4 | 1 | |||
합계 | 467 | 283 | 144 | 23 | 5 | 12 |
정당 | 합계 | 내역 | 남성 | 여성 | ||
---|---|---|---|---|---|---|
전 | 전직 | 신 | ||||
자유민주당 | 283 | 224 | 26 | 33 | 281 | 2 |
일본사회당 | 144 | 110 | 14 | 20 | 140 | 4 |
민주사회당 | 23 | 11 | 8 | 4 | 22 | 1 |
일본공산당 | 5 | 3 | 1 | 1 | 5 | 0 |
무소속 | 12 | 3 | 2 | 7 | 12 | 0 |
합계 | 467 | 351 | 51 | 65 | 460 | 7 |
5. 2. 투표율
第30回衆議院議員総選挙일본어의 유권자 수는 '''58,281,678'''명 (남성: 27,884,141명, 여성: 30,397,537명)이었다.6. 선거 이후
이케다 하야토 총리는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에 따라 제3차 이케다 내각을 구성하고 소득배증정책을 이어갔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자유민주당은 장기 집권 체제를 유지했으나, 야당의 견제와 다양한 국민적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6. 1. 정치적 영향
이케다 하야토 총리는 선거 결과에 따라 제3차 이케다 내각을 구성하고, 소득배증정책을 계속 추진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자유민주당은 장기 집권 체제를 유지했지만, 야당의 견제와 국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직면했다.참조
[1]
웹사이트
統計局ホームページ/第27章 公務員・選挙
http://www.stat.go.j[...]
2012-12-19
[2]
논문
Japan at Election Time
https://online.ucpre[...]
1964-01-01
[3]
간행물
朝日年鑑
朝日新聞
1964
[4]
Youtube
衆院〝ムード解散?!〟No.510_1
https://www.youtube.[...]
中日映画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