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군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8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8년 11월에 창설되어, 여러 차례 재편성과 해산을 거친 미국의 군단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전간기,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라인란트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1945년 12월에 활동이 중단되었고, 이후 여러 번의 재소집과 해산을 반복하다가 1968년 4월 1일 최종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7군단 (미국)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걸프 전쟁까지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서독 방어, 이라크군 격파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냉전 종식 후 해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7군단 (미국)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걸프 전쟁까지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서독 방어, 이라크군 격파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냉전 종식 후 해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 1968년 폐지 - 대한민국 공보부
대한민국 공보부는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정부 정책 홍보, 언론 통제, 문화 검열, 해외 홍보, 방송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정 홍보에 기여한 정부 부처였다. - 1968년 폐지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 제8군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부대 정보 | |
![]() | |
| 별칭 | 해당 없음 |
| 복무 기간 | 1918년–1919년 1922년–1945년 1957년–1968년 |
| 소속 국가 | 미국 |
| 군 종류 | 미국 육군 |
| 규모 | 군단 |
| 역할 | 해당 없음 |
| 사령부 구조 | 해당 없음 |
| 현재 지휘관 | 해당 없음 |
| 주둔지 | 해당 없음 |
| 명예로운 지휘관 | 해당 없음 |
| 군가 | 해당 없음 |
| 기념일 | 해당 없음 |
| 전투 및 작전 | |
| 주요 전투 | 노르망디 헤지로우 전투 노르망디 돌파 작전 브레스트 전투 아르덴 대공세 코블렌츠 전투 |
| 주요 지휘관 | |
| 주요 지휘관 | 에드워드 맨 루이스 트로이 H. 미들턴 월터 크루거 |
2. 제1차 세계 대전
제8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인 1918년 11월에 처음 창설되었다. 헨리 T. 앨런 소장이 11월 18일에 초대 사령관으로 지명되었고, 11월 26일에 지휘권을 인수했으며, 11월 30일에 군단 조직이 확정되었다. 군단은 미국 원정군 보급부의 지휘 아래, 뫼즈-아르곤 공세에 참여했던 사단들이 사용한 훈련 구역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후 1919년 4월 20일, 프랑스 몽티니-쉬르-오브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해산되면서 본부 인원과 군단 병력의 통제권은 보급부 및 다른 조직으로 넘어갔으며, 당시 군단에 배속되어 있던 제6사단과 제81사단은 제9군단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21년 7월 29일, 조직 예비군 소속으로 재편성되어 제8군단 관할 구역에 배정되었고, 제3군에 배속되었다. 제8군단과 제9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군단을 직접 계승한 유이한 부대였다. 군단 본부는 1922년 7월 18일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의 매버릭 빌딩에서 현역 육군 및 조직 예비군 인력으로 활성화되었으며, 본부 중대도 동시에 편성되었다.
1941년,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준비하면서 제8군단도 본격적인 훈련에 돌입했다. 특히 루이지애나에서 실시된 대규모 기동훈련에 참가하여 실전 대비 태세를 갖추었다. 이후 유럽 전선에 투입되어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시작으로 브르타뉴 전투, 벌지 전투, 라인란트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나치 독일이 항복할 때까지 활약했다.
3. 전간기 (1919년 ~ 1939년)
초기 군단 본부는 제8군단 관할 구역 내 야전 및 해안 포병을 제외한 육군, 군단, 기타 비사단 예비 부대의 행정, 조직, 보급, 훈련 계획 및 제공을 담당했다. 1925년 11월 3일, 본부는 현역 임무에서 해제되었고, 소속 현역 인원은 새로 조직된 제8군단 관할 구역 본부, 야전 포병 그룹, 비사단 그룹 본부 등으로 재배치되어 기존 제8군단의 책임을 상당 부분 이관받았다. 본부와 본부 중대는 조직 예비군 소속으로 활동을 계속했다.
이 시기 제8군단 본부, 본부 중대, 특별 부대 본부에 배속된 모든 예비군 인원은 제90사단의 조직, 행정, 통제 하에 들어갔다. 군단 본부에 배속된 예비군 인원은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여름 훈련에 참가했다. 주요 훈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날짜 장소 참가 부대/인원 훈련 내용 1925년 8월 1일~15일 포트 샘 휴스턴 군단 참모, 제2사단 본부 참모 훈련 1926년 1월 5일~19일 포트 샘 휴스턴 군단 참모, 제2사단 본부 참모 훈련 1927년 7월 3일~17일 포트 샘 휴스턴 군단 참모, 제2사단 본부 참모 훈련 1930년 7월 20일~8월 2일 포트 샘 휴스턴 본부 중대, 제2사단 본부 중대 본부 중대 훈련
1933년 10월 1일, 군단 본부와 본부 중대는 조직 예비군에서 철수하여 현역 육군에 배정되었다. 동시에 군단 본부는 포트 샘 휴스턴에서 제8군단 관할 구역 본부의 현역 인력과 예비군 인력으로 부분 활성화되었다. 1933년부터 1939년까지 제8군단은 공식적으로 '현역 육군 비활성' 상태였으며, 배정된 예비역 장교와 제8군단 관할 구역 본부의 참모 장교를 통해 단기간 임시로 조직되어 훈련에 참여했다. 이 기간 동안 참여한 주요 훈련으로는 1930년대의 여러 제3군 지휘소 연습(CPX)과 1938년 8월 텍사스주 캠프 불리스에서 열린 제3군 기동 등이 있다.
4. 제2차 세계 대전
4. 1. 노르망디 상륙 작전 (1944년 6월 ~ 7월)

소장 트로이 H. 미들턴의 지휘 아래 제8군단은 1944년 6월 15일 노르망디에서 작전을 시작했다. 미국 제1군 소속으로 코탕탱 반도의 카랑탕 서쪽 지역 방어 임무를 맡았다.
7월 초부터 공세로 전환하여, 제8군단은 보카주 지형을 돌파하며 라아예뒤푸이트와 몽트 카스트레(Mont Castre|몽 카스트레프랑스어, 카스트레 숲)를 점령했다. 아이 강(Ay|아이프랑스어)과 세베 강(Sèves|세베프랑스어) 인근까지 진격한 후, 제8군단은 1944년 7월 26일 연합군의 코브라 작전에 참여하여 노르망디 돌파에 기여했다. 7월 28일에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인 코탕스를 점령했으며, 이틀 뒤인 7월 30일에는 아브랑슈를 해방시켰다.
4. 2. 브르타뉴 전투 (1944년 8월 ~ 9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초기 계획에 차질이 생기자, 미국 제12군집단 사령관 오마 브래들리 중장은 1944년 8월 1일 제8군단에게 서쪽 브르타뉴로 진격하여 연합군이 사용할 항구를 확보하라고 명령했다. 이 결정은 군단 소속의 두 기갑 사단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는데, 이 사단들은 프랑스 동부로 빠르게 진격하는 데 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1944년 8월 7일, 군단은 생말로 항구를 점령했다. 이후 약 6주 동안 시가전과 요새 공격을 거쳐, 1944년 9월 19일 제8군단은 브레스트를 해방했다 (브레스트 전투 참조). 하지만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이 항만 시설을 철저히 파괴했기 때문에 해방된 브르타뉴의 항구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용할 수 없었다.
4. 3. 벌지 전투 (1944년 12월 ~ 1945년 1월)
브르타뉴 작전 이후 재편성된 제8군단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독일 국경을 따라 다른 연합군 부대와 합류했다. 1944년 10월, 당시 제9군 소속이었던 제8군단은 아르덴 지역의 우르강과 슈네이펠 산을 따라 형성된 전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비교적 조용한 전선이었기 때문에, 제8군단은 새로 도착한 미군 사단의 적응 훈련이나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은 부대의 휴식 및 재정비를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러한 상황은 1944년 12월 16일, 독일군이 20개가 넘는 사단을 동원하여 제8군단을 공격하면서 급변했다. 이는 벌지 전투로 알려진 독일의 대규모 공세의 시작이었다. 압도적인 독일군의 공세에 직면한 제8군단의 북쪽 부대, 즉 미군 제14기병단과 제106보병사단은 후퇴하거나 독일군에게 포위되었다. 특히 슈네이펠 산에서는 경험이 부족했던 약 6,700명의 미군 병사들이 독일군의 포로가 되는 큰 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남쪽의 다른 제8군단 부대들은 끈질기게 저항하며 철수 작전을 펼쳐 독일군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지연시켰다. 이는 연합군이 아르덴 지역으로 증원군을 급파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특히 중요한 도로 교차점인 바스토뉴에서는 미군 제101공수사단이 5일간 독일군의 맹렬한 포위 공격을 막아냈다. 1944년 12월 26일, 남쪽에서 진격해 온 미 제3군단의 기갑 부대가 포위를 돌파하면서 바스토뉴는 구출되었다.
바스토뉴 구출 4일 후, 제8군단은 우팔리즈 마을을 목표로 반격을 개시했다. 1945년 1월 16일, 제8군단은 우팔리즈 근처에서 북쪽에서 남하하던 미 제1군과 합류했다. 이로써 독일군의 공세로 인해 연합군 전선에 형성되었던 돌출부, 즉 '벌지'의 서쪽 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이후 제8군단은 공세를 계속하여 1945년 1월 22일 룩셈부르크 시에 다시 입성했고, 6일 뒤인 1월 28일에는 다시 우르강에 도달했다.
4. 4. 라인란트 전투 (1945년 2월 ~ 3월)
1945년 2월 첫째 주, 제8군단은 슈니 아이펠을 다시 점령하고 지크프리트 선을 돌파했다. 군단은 1945년 2월 12일 프륌을 점령했으며, 남은 2월 동안 군단 지역 내 지크프리트 선의 요새들을 정리했다. 1945년 3월 6일에는 킬 강을 건넜고, 1945년 3월 9일 안데르나흐에서 라인강변에 도달했다. 3월 16일, 제8군단은 디블리히 인근에서 모젤강 도하 공격을 시작하여 3일간의 전투 끝에 1945년 3월 19일 코블렌츠를 점령했다. 독일군의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군단은 보파르트에서 라인강을 건너 독일 중부로 진격했다.
4. 5. 독일 본토 진격 및 종전 (1945년 4월 ~ 5월)
1945년 3월 31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북쪽으로 이동한 제8군단은 4월 초 뢴 산맥으로 진격했다. 4월 첫 2주 동안 군단은 튀링겐 숲을 정리하고 게라강, 잘레강, 바이세엘스터강, 물데강을 빠르게 건넜다. 제1군의 명령에 따라 제8군단은 1945년 4월 24일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근처의 물데강 서쪽으로 물러났으며, 1945년 5월 8일 독일이 항복했을 때까지 그 지역에 주둔했다.
5. 해산
제8군단은 노르망디,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전역에 참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8군단 본부는 1945년 12월 15일 오클라호마주 캠프 그루버에서 활동이 중단되었다. 이후 군단은 여러 차례 재소집과 해산을 반복했으며, 마지막 해산은 1968년 4월 1일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이루어졌다.
6. 주요 지휘관
| 이름 | 계급 | 재임 기간 |
|---|---|---|
| 에드워드 만 루이스 | 소장 | 1922년 12월 – 1924년 1월 |
| 허버트 J. 브리스 | 중장 | 1936년 10월 1일 – 1940년 9월 30일 |
| 월터 크루거 | 중장 | 1940년 10월 1일 – 1941년 5월 |
| Jay Leland Benedict|제이 릴랜드 베네딕트eng | 준장 | 1940년 11월 – 1941년 9월 |
| 조지 비지 스트롱 | 소장 | 1941년 5월 – 1942년 |
| 다니엘 아이솜 술탄 | 중장 | 1942년 – 1943년 12월 |
| Cyrus H. Searcy|사이러스 H. 시어시eng | 준장 | 1943년 – 1945년 |
| John E. McMahon, Jr.|존 E. 맥마흔 주니어eng | 준장 | 1943년 – 1945년 |
| 에밀 F. 라인하르트 | 소장 | 1943년 12월 – 1944년 3월 14일 |
| 트로이 H. 미들턴 | 중장 | 1944년 3월 15일 – 1945년 8월 10일 |
| James F. Brittingham|제임스 F. 브리팅햄eng | 준장 | 1945년 6월 – 1945년 12월 |
| 아이라 T. 와이치 | 소장 | 1945년 8월 10일 – 1945년 12월 15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