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개잡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개잡이는 인류가 해안에서 조개류를 채집해 온 행위를 의미하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조개잡이는 주로 갯벌에서 갈퀴나 삽 등을 사용하여 조개를 파내어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조개잡이는 식용을 목적으로 하거나, 조개 껍데기를 수집하기 위해 행해지며, 간조 시간에 맞춰 조석표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진행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조개잡이가 봄부터 여름까지의 풍물시로 여겨지며, 어업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개 - 나전칠기
    나전칠기는 조개껍데기를 옻칠한 바탕에 장식하는 공예품으로, 이집트 라덴 기법에서 시작하여 중국 뤄디안 기법을 거쳐 동아시아에서 발전, 고려 시대에 성행하고 조선 시대에 독특한 양식을 확립했으며, 일본을 거쳐 유럽에서도 인기를 얻었고 현대에는 전통과 현대 디자인이 융합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조개 - 우럭 (조개)
    우럭(조개)은 갯벌에 서식하며 얇은 껍질과 사이펀을 가진 조개로,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어 식용으로 이용되며, 바다 수달 등을 천적으로 둔다.
  • 어업 - 어업권
    어업권은 어업 활동을 할 수 있는 권리로, 대한민국, 서구, 일본 등 국가별로 구분되며, 공법상의 권리이지만 수산업법에 따라 민법상 물권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어업 - 어촌
    어촌은 어업을 주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로, 고립된 해안 지역에 자연 항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어획물 하역 및 어선 보관 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최근에는 관광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기도 했다.
조개잡이
조개잡이
조개잡이꾼
조개잡이꾼
개요
설명조개를 모으는 활동
방법
도구조개삽
조개 갈퀴
호미
장갑
양동이
기술구멍 찾기
모래 파기
조개 식별
조개 포획
지역별 정보
대한민국서해안
갯벌
조개구이
일본가가미가와 강
미국워싱턴 주
오리건 주
해안
기타뉴질랜드
캐나다
안전
주의사항썰물 시간 확인
날씨 확인
안전 장비 착용
음주 금지
해양 생물 주의
관련 정보
관련 활동갯벌 체험
해양 스포츠
관련 산업어업
관광 산업

2. 역사

인류는 오랫동안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해왔으며, 특히 해안에서의 조개류 채집은 손쉽게 할 수 있어 예로부터 많은 지역에서 이루어져 왔다.[10]

2. 1. 한국

2. 1. 1. 민주화 이후의 변화

(내용 없음)

2. 2. 일본

일본에서의 조개잡이 시즌은 봄부터 여름이 일반적이며, 골든 위크 무렵의 풍물시 중 하나로 전국 각지의 조개잡이 풍경이 각종 미디어에서 보도된다.[11]

조개잡이로 채취하는 조개는, 일본에서는 바지락이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대합, 가재미, 맛, 사람이나 지역에 따라서는 쏙 등도 채취된다. 요금을 징수하는 조개잡이장에서는, 사람의 손으로 조개를 뿌리는 곳도 있다.[11]

오키나와에서는 음력 3월 3일에 해안으로 내려가 음식을 먹고 조개잡이를 하는 행사가 있으며, 이를 하마우리라고 한다. 이것은 원래 여성의 축제였으며, 액막이의 의미가 있었다고 한다.[11]

일본에서는 해안에 들어가는 것 자체는 국유 재산이기 때문에 요금을 받을 수 없다.[11] 일본에서 조개잡이를 하려면 어업법 외에 도도부현의 조례로 정한 어업 조정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위반할 경우에는 밀어업으로 벌금형이 과해진다.[11] 이 때문에 사전에 어업권자 또는 어협의 대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다만, 고소가 없으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반대로, 어협에서는 입어권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 입어권을 갖지 않은 자는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어업협동조합 등이 요금을 징수하는 경우에는 고소하지 않기로 하고 있다. 또한, 하마나호처럼, 일정한 조건으로 고소하지 않는 조건을 명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12]

2. 3. 중국

중국어에서는 挖蛤(wā gé), 拾蛤(shí gé), 撈蛤(lāo gé) 등으로 표현한다.

2. 4. 서양

영어에서는 조개를 파낸다는 의미로 clam digging이라고 하며, 조개잡이를 하는 사람을 clam digger(s)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는 일본어의 조개잡이와는 달리, 오락으로서의 조개 채취와 함께 어업인에 의한 업으로서의 조개류 채취도 포함된다. 카프리 팬츠와 같은 캐주얼하고 밑단이 짧은 7~8부 길이의 바지를, 조개잡이를 할 때 착용하는 형태의 바지라는 의미로, 특히 미국 영어에서 clam diggers 또는 clamdiggers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롱아일랜드에서의 조개잡이(1957년)

3. 방법



일반적으로 간조 시에 물이 빠진 갯벌에서 갈퀴 등을 사용하여 모래 속에 숨어있는 조개를 파내어 바구니나 엮은 자루 등의 용기에 모은다.[10] 조개잡이는 모래사장에 쪼그리고 앉아 조개를 파거나 긁어모으는 자세를 유지해야 하므로, 조수의 간만과 맞춰서 하는 것이 좋다.[10] 구체적으로는 물이 빠지는 시간에 맞춰 서서히 갯벌이 되는 모래사장을 바다 방향으로 따라가고, 만조 시간에 맞춰 육지로 돌아온다.[10] 간만의 시간대는 지역에 따라 약간 다르므로 조석표·물때표나 신문 등으로 미리 조사하여 출발 시각을 도착 시각에서 역산하여 행동하면, 장시간 안심하고 조개잡이를 즐길 수 있다.[10] 장소에 따라서는 미리 모래사장이 나타나는 곳까지 배를 타고 가서 조개잡이를 시작하고, 갯벌이 나오는 장소를 이용하기도 한다.[10]

조개 채취는 주로 식용을 목적으로 행해진다.[10] 잡은 조개는 체내에 모래를 흡수하고 있어, 모래를 뱉어낼 필요가 있으므로, 가져가서 요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0] 또한, 조개 채취는 조개 껍데기를 수집할 목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식용에 국한되지 않고 배로 해저에서 조개를 채취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개잡이에 국한되지 않는다.[10]

3. 1. 일반적인 방법

일반적으로 간조 시에 물이 빠진 갯벌에서 갈퀴 등을 사용하여 모래 속에 숨어있는 조개를 파내어 바구니나 엮은 자루 등의 용기에 모은다.[10] 조개잡이는 모래사장에 쪼그리고 앉아 조개를 파거나 긁어모으는 자세를 유지해야 하므로, 조수의 간만과 맞춰서 하는 것이 좋다.[10] 구체적으로는 물이 빠지는 시간에 맞춰 서서히 갯벌이 되는 모래사장을 바다 방향으로 따라가고, 만조 시간에 맞춰 육지로 돌아온다.[10] 간만의 시간대는 지역에 따라 약간 다르므로 조석표·물때표나 신문 등으로 미리 조사하여 출발 시각을 도착 시각에서 역산하여 행동하면, 장시간 안심하고 조개잡이를 즐길 수 있다.[10] 장소에 따라서는 미리 모래사장이 나타나는 곳까지 배를 타고 가서 조개잡이를 시작하고, 갯벌이 나오는 장소를 이용하기도 한다.[10]

조개 채취는 주로 식용을 목적으로 행해진다.[10] 잡은 조개는 체내에 모래를 흡수하고 있어, 모래를 뱉어낼 필요가 있으므로, 가져가서 요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0] 또한, 조개 채취는 조개 껍데기를 수집할 목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식용에 국한되지 않고 배로 해저에서 조개를 채취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개잡이에 국한되지 않는다.[10]

3. 2. 종류별 채취 방법

이매패류의 종류에 따라 수관을 내는 구멍의 모양이 다르므로, 이것을 관찰하여 목표로 하는 것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락은 호흡을 위해 모래 속에서 입수관과 흡수관을 내놓는데, "바지락의 눈"이라고 불리는 작은 구멍이 보이므로 위치를 파악하는 지표가 된다.[9] 맛조개의 포획에는 독특한 방법이 사용된다. 큰 이나 괭이로 모래를 파면 작은 구멍이 열리고,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맛조개가 서식하는 구멍이라면, 소금을 한 꼬집 넣으면 조개가 쑥 튀어나온다. 이 찰나를 포착하여 손가락으로 뽑아내는 것이다. 이는 구멍 속에서 수관 등을 드러내고 호흡하고 있는 맛조개가 고농도의 염분에 놀라 패주를 급격하게 수축시키는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 굳이 흙을 파지 않고 채취할 수 있는 독특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4. 도구

5. 주의사항

간만의 시간을 신경 쓰지 않으면 밀려오는 바닷물에 옷이 젖거나, 높아지는 수위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파도에 휩쓸려 사고를 당할 수 있다.

갯벌은 그늘이 없어 맑은 날에는 햇볕이 강하므로 장시간 작업 시 열사병의 위험이 있다. 갯벌에서의 반사열이나 일광 화상을 막기 위해 통기성이 좋은 밀짚모자를 쓰고, 수분 보충을 하는 것이 좋다. 추운 날에는 바닷바람으로 인해 육상보다 춥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여벌 옷이 필요하다. 깨진 조개 껍질이나 굴, 유리 조각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장화나 캔버스화를 신는 것이 좋으며, 비치 샌들이나 고무 짚신 등은 노출이 많고 미끄러워 부상의 위험이 크다.

6. 한국의 조개잡이 명소

7. 관련 문화

참조

[1] 서적 Random House Webster's college dictionary Random House 1997
[2] 웹사이트 Fisheries Then: Clams http://www.downeastf[...] 2014
[3] 웹사이트 Brewster Non-Commercial Shellfish Rules and Regulations http://brewster-ma.g[...] 2015-06-14
[4] 웹사이트 Town of Chatham Shellfish Rules and Regulations http://www.town.chat[...] 2015-06-14
[5] 서적 Down the Jersey Shore Rutgers University Press 1993
[6] 웹사이트 Recreational Razor Clamming http://wdfw.wa.gov/f[...] 2014
[7] 웹사이트 How to Dig Razor Clams http://wdfw.wa.gov/f[...] 2014
[8] 웹사이트 Razor Clams http://www.dfw.state[...] 2014-03-03
[9] 서적 海遊びの極意 つり人社 2008
[10] 서적 すべての生命は海から生まれた PHP文庫 1991
[11] 웹사이트 鹿島灘特産ハマグリ 規則違反の採取相次ぐ 茨城海保、パトロール強化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5-01
[12] PDF 海のルールとマナー教本 https://www.jsafishi[...] JF全漁連
[13] 뉴스 광안리해수욕장 28일 조개잡이 체험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2-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