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경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경달은 1954년 도쿄에서 태어난 재일 한국인 역사학자이다. 주오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도쿄도립대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6년부터 도쿄도립대학 조수로 시작해 지바 대학 문학부 조교수, 교수를 역임했으며 2020년에 퇴직했다.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릿쿄 대학, 도쿄 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근대 한일 관계, 식민지 조선의 역사, 동아시아 근대 사상이며, 다수의 저서와 공저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일 한국인 학자 - 강상중
    강상중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재일 한국인 2세 정치학자이자 작가로, 일본 근대화 및 전후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 재일 한국인의 정체성, 민족주의,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 등에 대한 저술과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재일 한국인 학자 - 강재언
    강재언은 일제강점기 제주도 출신으로, 조선 근현대사와 일조관계사를 전공하며, 교토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조선의 개화사상과 조선근대사 등 저서를 펴낸 역사학자이다.
  • 한국사학자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국사학자 - 브루스 커밍스
    브루스 커밍스는 20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 특히 한국 전쟁과 현대 한국사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으로 알려진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등을 연구했고, "한국 전쟁의 기원" 등의 저서를 통해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시한다.
  • 주오 대학 동문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주오 대학 동문 - 정희택
    정희택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 중앙수사국장 등 요직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 감사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언론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조경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경달
원어 이름趙景達
출생일1954년
출생지도쿄도 다이토구
국적일본
직업역사가, 교수
주요 관심사동양사(조선 근대사), 근대한일 비교 사상사
소속 기관도쿄 도립대학, 지바 대학
학력주오 대학 졸업, 도쿄 도립대학 졸업

2. 생애

조경달은 1954년 도쿄도 다이토구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는 제주도 출신이다[1]. 1973년 주오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1977년 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6년 도쿄도립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박사 과정을 단위를 취득 후 퇴학했다.

1986년 도쿄도립대학 인문학부 조수로 채용되었다[2]. 1989년 지바 대학 문학부 조교수가 되었고, 2000년 동 교수로 승격했으며, 2020년 퇴직했다[3].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객원교수를 맡았다[3].

2. 1. 유년기와 학창 시절

1954년 도쿄도 다이토구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제주도 출신이었다[1]. 주오 대학 문학부를 1973년에 졸업하고, 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1977년에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도쿄도립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박사 과정으로 옮겨 1986년에 단위를 취득 후 퇴학했다.

2. 2. 학자로서의 경력

1986년 도쿄도립대학 인문학부 조수로 채용되었다.[2] 1989년 지바 대학 문학부 조교수가 되었고, 2000년 동 교수로 승격했다. 2020년 지바 대학을 퇴직했다.[3]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객원교수를 맡았다.[3] 그 외에도 릿쿄 대학 일반교육부, 도쿄 대학 교양학부, 이바라키 대학 인문학부, 간다외어대학 외국어학부, 메이지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정보커뮤니케이션학부, 와세다 대학 사회과학부·대학원 사회과학연구과, 도요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등에서 비상근 강사를 역임했다.

2. 3. 기타 경력

릿쿄 대학 일반교육부, 도쿄 대학 교양학부, 이바라키 대학 인문학부, 간다외어대학 외국어학부, 메이지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정보커뮤니케이션학부, 와세다 대학 사회과학부·대학원 사회과학연구과, 도요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등에서 비상근 강사를 역임했다.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조경달은 동학 농민 혁명 및 갑오농민전쟁 연구, 일제강점기 조선 민중 운동 및 사회사 연구, 식민지 근대성 비판 연구, 근대 조선 사상 연구 (일본과의 비교), 한일 관계사 및 동아시아 근현대사 연구에 주력해 왔다.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구 분제 목출판사출판년도
단독 저서『이단의 민중 반란 -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이와나미 쇼텐1998
단독 저서『조선 민중 운동의 전개 - 사(士)의 논리와 구제 사상』이와나미 쇼텐2002
단독 저서『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 - 식민지 근대성론 비판』유지샤2008
단독 저서『근대 조선과 일본』이와나미 신서2012
단독 저서『식민지 조선과 일본』이와나미 신서2013
단독 저서『조선의 근대 사상 - 일본과의 비교』유지샤2019
단독 저서『근대 조선의 정치 문화와 민중 운동 - 일본과의 비교』유지샤2020
단독 저서『조선 민중의 사회사 - 현대 한국의 원류를 찾아서』이와나미 신서2024
공동 편저20세기를 살아간 조선인 - 「재일」에서 생각한다』 (하야시 테츠・서경식 공편)다이와 서방1998
공동 편저『폭력의 지평을 넘어서 - 역사학에서의 도전』 (스다 츠토무・나카지마 히사토 공편)아오키 서점2004
공동 편저『전쟁의 시대와 사회 - 러일 전쟁과 현대』 (야스다 히로 공편)아오키 서점2005
공동 편저『아시아의 국민 국가 구상 - 근대에의 투영과 갈등』 (쿠루시마 히로시 공편)아오키 서점2008
공동 편저『근대 일본 속의 "한국 병합"』 (야스다 츠네오 공편)도쿄도 출판2010
공동 편저『유라시아와 일본 교류와 표상 국민 국가의 비교사』 (쿠루시마 히로시 공편)유지샤(인간 문화 총서)2010
공동 편저『이와나미 강좌 동아시아 근현대 통사』(전 10권 + 별권), (와다 하루키・고토 켄이치・키바타 요이치・야마무로 신이치・나카노 사토시・카와시마 마코토 공편)이와나미 쇼텐2010-11
공동 편저『"한국 병합" 100년을 묻다 『사상』 특집・관계 자료』 (미야지마 히로시이성시・와다 하루키 공편)이와나미 쇼텐2011
공동 편저『식민지 조선 - 그 현실과 해방으로의 길』도쿄도 출판2011
공동 편저『비교사적으로 본 근세 일본 - "동아시아화"를 둘러싸고』 (스다 츠토무 공편)도쿄도 출판2011
공동 편저『근대 일·조 관계사』유지샤2012
공동 편저하라다 케이이치・무라타 유지로・야스다 츠네오 (공편) 『강좌 동아시아의 지식인』(전 5권)유지샤2013-14
공동 편저『사쓰마・조선 도공 마을의 400년』 (쿠루시마 히로시・스다 츠토무 공편)이와나미 쇼텐2014
공동 편저『동아시아 근현대 통사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와다 하루키・고토 켄이치・키바타 요이치・야마무로 신이치・나카노 사토시・카와시마 마코토 공저)이와나미 현대 전서2014
공동 편저유교적 정치 사상・문화와 동아시아의 근대』유지샤2018
공동 편저『근대 개혁을 둘러싼 항쟁 - 갑오농민전쟁부터 대한제국까지』(원전 조선 근대 사상사 3) 책임 편집이와나미 쇼텐2022
공동 편저『15년 전쟁에서 해방으로 - 1930년대부터 해방・분단까지』(원전 조선 근대 사상사 6) 책임 편집이와나미 쇼텐2022


4. 저서

조경달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의 역사학자로, 주로 조선 시대 민중 운동과 식민지 시기 역사, 한일 관계사 등을 연구해왔다. 그의 저서는 단독 저서와 공동 저서로 나눌 수 있다.

단독 저서로는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을 다룬 《이단의 민중 반란》(1998)을 시작으로, 《조선 민중 운동의 전개》(2002), 《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2008), 《근대 조선과 일본》(2012), 《식민지 조선과 일본》(2013) 등이 있다. 특히, 《조선의 근대 사상》(2019)과 《근대 조선의 정치 문화와 민중 운동》(2020)에서는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 근대 사상과 민중 운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최근에는 《조선 민중의 사회사》(2024)를 통해 현대 한국의 원류를 찾는 작업을 진행했다.

공동 저서로는 재일 조선인 문제를 다룬 《20세기를 살아간 조선인》(1998)을 비롯하여, 《폭력의 지평을 넘어서》(2004), 《전쟁의 시대와 사회》(2005), 《아시아의 국민 국가 구상》(2008) 등 다양한 주제의 책을 집필했다. 이와나미 강좌 동아시아 근현대 통사(2010-11)와 《"한국 병합" 100년을 묻다》(2011)는 한일 관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식민지 조선》(2011), 《근대 일·조 관계사》(2012), 《강좌 동아시아의 지식인》(2013-14) 등을 통해 식민지 시기 조선과 한일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심화했다.

4. 1. 단독 저서


  • 이단의 민중 반란 -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이단의 민중 반란 -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일본어 이와나미 쇼텐 1998
  • 조선 민중 운동의 전개 - 사(士)의 논리와 구제 사상|조선 민중 운동의 전개 - 사(士)의 논리와 구제 사상일본어 이와나미 쇼텐 2002
  • 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 - 식민지 근대성론 비판|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 - 식민지 근대성론 비판일본어 유지샤 2008
  • 근대 조선과 일본|근대 조선과 일본일본어 이와나미 신서 2012
  • 식민지 조선과 일본|식민지 조선과 일본일본어 이와나미 신서 2013
  • 조선의 근대 사상 - 일본과의 비교|조선의 근대 사상 - 일본과의 비교일본어 유지샤 2019
  • 근대 조선의 정치 문화와 민중 운동 - 일본과의 비교|근대 조선의 정치 문화와 민중 운동 - 일본과의 비교일본어 유지샤 2020
  • 조선 민중의 사회사 - 현대 한국의 원류를 찾아서|조선 민중의 사회사 - 현대 한국의 원류를 찾아서일본어 이와나미 신서 2024

4. 2. 공저


  • 林哲|림철일본어, 서경식 공편, 『재일에서 생각하는 20세기를 살았던 조선인』, 다이와 서방, 1998년
  • 須田努|스다노쓰일본어, 中島久人|나카시마 히사토일본어 공편, 『폭력의 지평을 넘어 역사학으로부터의 도전』, 아오키 서점, 2004년
  • 安田浩 공편, 『전쟁의 시대와 사회 - 러일 전쟁과 현대』, 아오키 서점, 2005년
  • 久留島浩|구루시마 히로시일본어 공편, 『아시아의 국민 국가 구상 근대에의 투기와 갈등』, 아오키 서점, 2008년
  • 安田常雄|야스다 죠오일본어 공편, 『근대 일본 속의 '한국 병합'』, 도쿄도 출판, 2010년
  • 구루시마 히로시 공편, 『유라시아와 일본 교류와 표상 국민 국가의 비교사』, 유지샤(인간문화총서), 2010년
  • 미야지마 히로시, 이성시, 와다 하루키 공편, 『'한국 병합' 100년을 묻다 『사상』 특집·관계 자료』, 이와나미 서점, 2011년
  • 『식민지 조선 그 현실과 해방에의 길』, 도쿄도 출판, 2011년
  • 스다노쓰 공편, 『비교사적으로 본 근세 일본 “동아시아화”를 둘러싸고』, 도쿄도 출판, 2011년
  • 『근대일 아침 관계사』, 유지샤, 2012년
  • 原田敬一, 무라타 유지로, 야스다 죠오 공편, 『강좌 동아시아의 지식인』(전 5권), 유지샤, 2013-14년
  • 구루시마 히로시, 스다 노쓰코 공편, 『사쓰마·조선 도공촌의 400년』, 이와나미 서점, 2014년
  • 와다 하루키, 고토 겐이치, 기바 타 요이치, 야마무로 신이치, 나카노 사토시, 가와시마 마사키 공저, 『동아시아 근현대 통사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이와나미 현대 전서, 2014년

참조

[1] 인터뷰 趙景達さん「近代朝鮮の政治文化と民衆運動」インタビュー 言葉残さぬ人々を追って(好書好日・著者に会いたいインタビュー) https://book.asahi.c[...]
[2] 문서 「趙景達先生を送る」山田賢 https://opac.ll.chib[...]
[3] 간행물 趙景達先生を送る https://opac.ll.chib[...] 20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