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지식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지식인은 지성과 지능을 바탕으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문제에 대해 발언하고 참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어원은 프랑스어 '문필가'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말 프랑스의 드레퓌스 사건을 통해 'intellectual'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지식인은 사회 변혁을 위한 진보적 사상을 제시하고 공공 문제에 참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르트르는 지식인의 의무를 강조했다. 그러나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권력에 예속되거나 전문 분야 밖의 발언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성주의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지성주의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조지 고든 바이런 -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영국의 귀족이자 수학자로,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 연구를 통해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여겨지는 베르누이 수 계산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해석기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선구자이다.
  • 조지 고든 바이런 - 프랑켄슈타인의 신부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는 1935년 제임스 웨일 감독의 고딕 호러 영화로, 전편에서 살아남은 괴물을 위해 헨리 프랑켄슈타인 박사와 프레토리우스 박사가 신부를 창조하려 하며, 보리스 카를로프, 콜린 클라이브, 엘사 랜체스터의 열연과 기독교적 이미지, 동성애적 암시 등으로 주목받아 흥행과 함께 고전 영화로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 1810년대 신조어 - In God We Trust
    "In God We Trust"는 미국 국가 표어이자 화폐 문구로, 남북 전쟁 시기 종교적 신념 강조 움직임에서 비롯되었으나 정교분리 원칙 논란과 합헌성 법적 공방이 있다.
  • 1810년대 신조어 - 성장소설
    성장소설은 순진한 주인공이 세상 경험을 통해 인생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다루는 소설 장르로, 빌둥스로만과 유사하지만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빌헬름 딜타이에 의해 그 의미가 확립되고 대중화되어 다양한 변형과 하위 장르를 포함하며 성장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식인
지도
기본 정보
정의비판적 사고와 이성적 추론에 관여하는 사람
지적 활동을 하는 사람
사회적 문제를 비판하고 분석하는 사람
문화,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토론하는 사람
설명지적 능력이 뛰어나고 분석적 사고를 하는 사람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논평이나 분석을 하는 사람
자신의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공공 담론에 기여하는 사람
사상, 문화, 정치, 사회적 문제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진 사람
로마자 표기jisikin
역사적 맥락
어원서양의 지식인 개념을 번역하면서 생겨남
프랑스드레퓌스 사건 이후 등장
사회 문제에 대한 지식인의 역할 부각
초기 지식인사회 비판과 개혁 주장
권력에 대한 비판적 시각 견지
현대 지식인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학계, 언론, 예술계 등
사회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개입
역할과 기능
주요 역할사회 비판과 문제 제기
공공 담론 형성
정책 결정에 영향력 행사
대중의 인식 개선
사회적 책임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사회에 기여
불평등과 부정의에 맞서 싸움
사회 변화를 위한 노력
비판적 시각기존 질서와 권위에 대한 비판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 제시
사회적 진보를 위한 노력
특징
특징비판적 사고 능력
이성적 판단 능력
사회적 책임감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의지
자신의 지식과 견해를 적극적으로 표현
관련 개념
지식인 계층사회 내에서 지식인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의 집단
지성인지적 능력이 뛰어난 사람
사상가새로운 사상이나 이론을 제시하는 사람
전문가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
학자학문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사람
평론가특정 분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
한국의 지식인
역할민주화 운동에 참여
사회 비판과 개혁 주장
학문 연구와 지식 보급
사회 변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
대표적 인물백낙청
신영복
조정래
김수행
함석헌

2. 어원

프랑스에서는 19세기 말 드레퓌스 사건을 계기로 '지식인(intellectuel)'이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졌다. 모리스 바레스와 페르디낭 브뤼니티에르는 반(反) 드레퓌스파로서, 에밀 졸라, 옥타브 미르보, 아나톨 프랑스 등 드레퓌스를 옹호한 문인들을 비난하며 이 용어를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이들은 드레퓌스 옹호파 문인들이 지정학이나 군사 문제 등에 무지하면서도 추상적 사고에 빠져 현실 감각을 잃었다고 비판했다.[7]

이와 반대로 쥘리앙 벤다는 저서 『지식인의 배신』에서 지식인들이 정치적 논쟁에 몰두하여 진리정의 같은 보편적 가치를 놓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후 '지식인' 용어는 긍정적인 의미로 변화하여, 좁은 전문성에 갇히지 않고 공공적 논쟁에 적극 참여하는 사람들을 지칭하게 되었다. 찰스 라이트 밀스는 대학인들이 전문성에 매몰되어 공공적 논쟁에 참여할 능력을 잃고 있다고 비판했고, 장폴 사르트르는 지식인의 사회 참여를 중요하게 여겼다. 노엄 촘스키는 지식인의 역할이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면서도, 지식인의 발언이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2. 1. 문필가 (Man of letters)

"문필가"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벨레뜨르 또는 ''homme de lettres''에서 유래했지만, "학자"와 같은 뜻은 아니다.[4][5] "문필가"는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을 의미하며, 읽고 쓰는 능력이 드물었던 시대의 상류층에서 매우 귀하게 여겨졌다. 17세기와 18세기에는 ''벨레뜨르(들)''이라는 용어가 문인들에게 적용되었는데, 이들은 살롱으로 발전한, 주로 여주인이 운영하는 사회적 제도에 참여하여 교양, 교육 및 문화적 세련됨을 추구했다.

19세기 후반, 영국과 같은 유럽 국가에서 읽고 쓰는 능력이 비교적 보편화되면서 "문필가"(littérateur)[6]의 의미가 확장되어 문학에 대해 지적으로(창의적으로가 아닌) 글을 쓰며 생계를 유지하는 수필가, 기자, 비평가 등을 의미하게 되었다. 새뮤얼 존슨, 월터 스콧, 토머스 칼라일 등이 그 예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그러한 접근 방식이 점차 학문적 방법론에 의해 대체되었고, "문필가"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게 되어 일반적인 용어인 "지식인"으로 대체되었다. 이 고어는 자신을 문리과대학이라고 부르는 여러 학술 기관의 이름의 기초가 된다.

2. 2. Intellectual

19세기 초, 영어 명사 "intellectual"은 1813년 바이런의 언급에서 처음 등장한다.[7] 19세기 동안 'intellectual'의 명사형 변형이 영어와 프랑스어에서 나타났고, 1890년대 프랑스어 형용사 intellectuel|앵텔렉튀엘프랑스어에서 파생된 명사 intellectuels|앵텔렉튀엘프랑스어가 문학에서 자주 쓰였다.[7]

19세기 초 영국에서는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가 국가 문화를 보존하는 지식인 계층을 "clerisy"라고 불렀다. 같은 시기 차르 러시아에서는 백색 칼라 노동자 계층인 "인텔리겐차(intelligentsia)"(1860년대~1870년대)가 등장했다.

프랑스에서는 드레퓌스 사건(1894년~1906년)을 계기로 "공공 생활 속의 지식인"이 나타났다. 에밀 졸라, 옥타브 미르보, 아나톨 프랑스 등이 프랑스 반유대주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intellectual"은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지만, 처음에는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프랑스어 명사 용법은 1898년 조르주 클레망소에게서 비롯되었다. 1930년까지 "intellectual"은 긍정적인 의미로 널리 사용되었고, 드레퓌스 사건으로 인해 영어에서도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7]

20세기에 "intellectual"은 지성과 관련된 사회적 명성과 긍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특히 지식인의 활동이 공공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도덕적 책임, 이타심, 연대를 통해 대중의 지적 이해를 높일 때 더욱 그러했다.[24] 사회학자 프랭크 푸레디는 "지식인은 직업이 아니라 행동 방식, 자신을 보는 방식, 사회적, 정치적 가치에 따라 정의된다"라고 말했다.[9]

토머스 소웰에 따르면, "intellectual"은 세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프랑스에서는 19세기 말 드레퓌스 사건 당시 모리스 바레스와 페르디낭 브뤼니티에르가 지식인(intellectue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에밀 졸라 등을 비난하며 지식인이라는 말을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쥘리앙 벤다는 저서 『지식인의 배신』에서 지식인들이 정치적 논쟁에 몰두하여 진리정의 같은 보편적 가치를 놓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후 이 용어는 긍정적 의미가 강조되어 공공적 논쟁에 적극 참여하는 사람들을 지칭하게 되었다.

미국 사회학자 찰스 라이트 밀스는 대학인들이 전문성에 매몰되어 공공적 논쟁에 참여할 능력을 잃고 있다고 비판했다.

프랑스 철학자 장폴 사르트르는 지식인의 사회 참여를 중요하게 여겼다.

오늘날 이러한 의미에서 지식인의 대표적 존재는 노엄 촘스키이다. 촘스키는 지식인의 역할이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며, 지식인의 발언이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3. 역사적 용례

라틴어에서 적어도 카롤링거 왕조부터 지식인들을 ''litterati''라고 불렀으며, 이 용어는 오늘날에도 때때로 사용된다. 인도 경전 마하바라타의 드라우파디의 스와얌바라 사바(처녀 선택식)에서도 "Nipuna Buddhijibina (완벽한 지식인들)"이 등장한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6년부터 서기 1912년까지 황제의 통치를 보좌했던 사대부(선비)들이 지식인이었다. 이들은 과거 시험을 통해 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예가에 능숙하거나 유교 철학자이기도 했다. 역사가 윙-츠트 찬(Wing-Tsit Chan)은 이러한 선비들의 기록이 가치 있었지만, 중국이 법에 의한 통치로 나아가는 데 장애가 되었고, 중국 정부에서 개인적인 고려는 저주가 되었다고 평가했다.[11]

조선(1392~1910) 시대의 지식인은 읽고 쓸 줄 알았던 ''literati''였으며, 중인("중간 계층")으로 지정되어 유교 제도에 따랐다. 이들은 조선 왕조의 통치를 관리했던 학자 관료(학자, 전문가, 기술자)였다.[12]

프랑스에서는 19세기 말 드레퓌스 사건 당시 모리스 바레스와 페르디낭 브뤼니티에르가 반드레퓌스파의 입장에서 에밀 졸라 등을 비난하며 '지식인(intellectue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지식인이란 추상적 사고에 빠져 현실 감각을 잃고,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주제에 쉽게 입을 여는 사람이라는 경멸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와 반대로 쥘리앙 빈다는 저서 지식인의 배신에서 진리정의와 같은 보편적 가치의 대변자라 해야 할 지식인들이 정치적 논쟁에 열중한 나머지 본질을 놓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이후 이 용어는 널리 퍼지면서 부정적 의미보다 긍정적 의미가 강조되어, 좁은 전문성에 갇히지 않고 공공적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게 되었다.

미국 사회학자 찰스 라이트 밀스는 저서 『사회학적 상상력』에서 대학인들이 전문성에 매몰되어 공공적 논쟁에 참여할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비판하며, 기자가 더 지식인적이라고 했다.

장-폴 사르트르는 지식인의 큰 역할을 사회 참여에 두고,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이후 탈당)하여 여러 정치적 사건에 대해 발언했다.

노엄 촘스키는 오늘날 이러한 의미에서 지식인의 대표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촘스키는 큰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지식인의 역할이 자의적으로 확대되는 것에 대해 경계하며, 소위 지식인의 발언은 대부분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역할만을 한다고 말한다.

후쿠다 츠네타츠는 지식인에 대해 전문 직능인으로서의 태만을 감추려는 사람이 많다고 비판했다.

3. 1. 고대 및 중세

라틴어에서는 적어도 카롤링거 왕조부터 지식인들을 ''litterati''라고 불렀다. 인도 경전 마하바라타에는 "Nipuna Buddhijibina (완벽한 지식인들)"이 등장한다.

3. 2.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기원전 206년부터 서기 1912년까지 황제의 통치를 보좌했던 관리인 사대부(선비)들이 지식인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과거 시험을 통해 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예가에 능숙하거나 유교 철학자이기도 했다.[11]

조선(1392~1910) 시대의 지식인은 읽고 쓸 줄 알았던 ''literati''였으며, 중인("중간 계층")으로 지정되어 유교 제도에 따랐다. 이들은 조선 왕조의 왕조 통치를 관리했던 학자 관료(학자, 전문가, 기술자)로 구성된 소부르주아였다.[12]

3. 3. 근대 이후

독일에서는 1830년대에 사회적으로 소외되었지만, 신학적으로는 유식하고 반체제적인 평신도 지식인 계층이 등장했다. 프랑스에서는 드레퓌스 사건(1894~1906)을 계기로 에밀 졸라, 옥타브 미르보, 아나톨 프랑스 등이 반유대주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하면서 "공공 생활 속의 지식인"이 출현했다.[24]

4. 지식인의 역할과 책임

지식인은 사회의 공공 문제에 대해 전문 지식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발언하고 참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저서 『지식인의 표상』(1994)에서 "진정한 지식인은 항상 아웃사이더이며, 자기 부과된 망명 생활을 하고 사회의 주변부에 산다"고 말했다.[15]

바츨라프 하벨은 정치와 지식인이 연관될 수 있지만, 정치인이 주장하더라도 지식인의 사상에 대한 도덕적 책임은 지식인에게 남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공공정책으로 정치경제 문제를 해결하려는 유토피아적 지식인을 경계해야 하며, 그러한 정책은 시민 사회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식인들은 자신의 말, 통찰력, 사상으로 만들어지는 사회적, 문화적 유대감을 염두에 두고, 정치권력에 대한 사회 비평가로서 목소리를 내야 한다.[1]

4. 1. 공공 지식인 (Public intellectual)

'''대중 지식인'''은 학문적 경력 외에도 사회의 공공 문제 담론에 참여하는 지식인을 가리킨다.[13] 이들은 학문 분야나 전문 분야에 관계없이 사회의 규범적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며, "자신의 직업에 대한 편향된 집착을 극복하고 진실, 판단, 당시의 미적 취향 등 시대의 세계적인 문제들에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비평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14][1]

유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적 변형』(1963)은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개념을 역사적, 개념적으로 구분함으로써 대중 지식인 개념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랄프 다렌도르프는 "현대 사회의 광대들로서, 모든 지식인들은 명백한 모든 것을 의심하고, 모든 권위를 상대화하며, 다른 아무도 감히 묻지 않는 모든 질문을 던져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18]

4. 2. 지식인의 의무 (사르트르)

사르트르는 지식인이 사회 참여에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다음과 같은 지식인의 의무를 제시했다.

# 대중계급 내에서 영원히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이데올로기와 싸운다. 지식인은 모든 이데올로기를 폐기하는 데에 힘써야 한다.

# 지배계급에 의해 주어진 자본으로써의 지식을 민중문화를 고양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 혜택받지 못한 계급 안에서 실용지식 전문가가 배출되도록 하여, 그들이 스스로의 계급과 유기적 지식인이 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 지식인 고유의 목적(지식의 보편성, 사상의 자유, 진리)을 되찾아 인간의 미래를 전망해 보아야 한다.

# 눈앞의 당면 과제를 넘어서 궁극적으로 성취해야 할 목표를 보여줌으로써 진행 중의 행동을 근본적인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 모든 권력에 대항하여 대중이 추구하는 역사적 목표의 수호자가 되어야 한다.

4. 3. 지식인의 사회적 기능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마르크스주의 철학에서 지식인 계층은 사회 변혁을 위한 진보적 사상의 원천이 되는 사회 계급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정치 지도자들에게 조언을 제공하고, 국가 정치를 대중(도시 노동자와 농민)에게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25] 블라디미르 레닌은 저서 ''무엇이 해야 하는가?''(1902)에서 전위당 혁명에는 교육받지 못한 프롤레타리아와 도시 산업 노동자들에게 사회주의 이념의 복잡성을 설명하기 위해 지식인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국가의 역사는 노동 계급이 자체 노력만으로는 노동 조합 의식만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렇게 달성한 제한적인 사회경제적 이익에 만족할 것이라고 보았다. 레닌은 러시아와 유럽 대륙에서 사회주의 이론은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같이 "소유 계급의 교육받은 대표자", "혁명적 사회주의 지식인"의 산물이라고 설명했다.[25]

죄르지 루카치는 지식인을 혁명적 지도력을 제공하는 특권 계급으로 규정했다. 그는 지식인이 명료하고 접근하기 쉬운 해석을 통해 노동자와 농민에게 사회, 경제, 정치적 ''현상 유지''의 "누가?", "어떻게?", "왜?"를 설명하고, 그들의 사회 변혁에 대한 실질적인 적용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안토니오 그람시카를 마르크스의 지식인 개념을 발전시켜 공공 영역에서 정치적 지도력을 포함시켰다. 그는 "모든 지식은 실존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지식을 창조하고 보존하는 지식인은 "다양한 사회 집단의 대변자이며 특정한 사회적 이익을 명료하게 표현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지식인은 모든 사회 계급과 우익, 중도, 좌익 전반에 걸쳐 존재하며, 사회 계급으로서 "지식인들은 자신을 사회의 지배 계급으로부터 자율적인 것으로 본다"라고 언급했다.

5. 비판과 논쟁

프랑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는 "지식인이란 자기와 상관없는 일에 간섭하는 사람이다"라고 말했다.[34]

미국 사회학자 찰스 라이트 밀스는 저서 『사회학적 상상력』에서 대학인들이 전문성에 매몰되어 공공적 논쟁에 참여할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경고하며, 이 점에서는 기자가 더 지식인적이라고 비판했다.

보수주의 경제학자 토머스 소웰은 그의 책 "지식인과 사회(2010)"에서 지식재산을 생산하는 지식인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 밖에서 말하는 경향이 있지만, 전문 지식을 가짐으로써 얻는 후광 효과로부터 사회적, 직업적 이익을 기대한다고 썼다. 다른 직업과 관련하여 공공 지식인들은 자신의 아이디어에서 파생된 공공 정책의 부정적이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와 사회적으로 분리되어 있다고 비판한다. 소웰은 버트런드 러셀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몇 년 동안 영국 정부에 대한 국가 재무장에 반대한 것을 예로 들었다.[37]

쥘리앙 벤다는 저서 『지식인의 배신』에서 진리정의와 같은 보편적 가치의 대변자라 해야 할 지식인들이 정치적 논쟁에 열중한 나머지 본질을 놓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후쿠다 츠네타츠는 지식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5. 1. 부정적 뉘앙스

프랑스에서는 19세기 말 드레퓌스 사건 당시 모리스 바레스와 페르디낭 브뤼니티에르가 반드레퓌스파로서 에밀 졸라 등 드레퓌스를 옹호한 문인들을 비난하며 '지식인(intellectuel)'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들은 지식인들이 추상적 사고에 빠져 현실 감각을 잃고,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주제에 쉽게 입을 연다고 비판했다.

5. 2. 권력에 대한 예속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지식인들이 중상모략 전문가이며, 기본적으로 정치 담당관이고, 이데올로기 관리자이며, 반체제에 가장 큰 위협을 느낀다는 견해를 표명했다.[35] 1967년 그의 글 “지식인의 책임”에서 촘스키는 미국의 지식인 문화를 분석하고, 그것이 대체로 권력에 예속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국가의 범죄에 대한 유사과학적 정당화를 제공하는 사회과학자와 기술관료들을 비판했다.

5. 3. 자본주의에 대한 반대 (밀턴 프리드먼, 로버트 노직)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지식인 계층과 기업가 계층이 자본주의에 개입한다고 지적했다.


1974년 "밀턴 프리드먼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기업인과 지식인은 자본주의의 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부분의 지식인은 사회주의를 믿는 반면, 기업인들은 경제적 특권을 기대한다고 주장했다.[36] 1998년 그의 수필 "왜 지식인들은 자본주의에 반대하는가?"에서 미국의 자유지상주의 철학자 로버트 노직케이토 연구소에서 지식인들이 학교와 대학에서 많은 보상을 받았던 우수한 지적 능력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는 과소평가되고 저평가되기 때문에 좌파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지식인들은 평균적인 사람보다 더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누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에 반대한다.

참조

[1]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A. Bullock & S. Trombley 1999
[2] 서적 The Century of the Intellectual: From Dreyfus to Salman Rushdie Routledge 1997
[3] 서적 Les Intellectuels en France. De l’affaire Dreyfus à nos jours (The Intellectuals in France: From the Dreyfus Affair to Our Days) Armand Colin 2002
[4] 서적 The Oxford English Reference Dictionary 1996
[5] 서적 The New Cassel's French–English, English–French Dictionary 1962
[6] 서적 Discover the Story of English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2-06
[7] 서적 Absent Minds. Intellectuals in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8] 서적 The Twilight of the Intellectuals Ivan R. Dee 1999
[9] 서적 Where Have All The Intellectuals Gone? Continuum Press 2004
[10] 서적 Knowledge and Decisions Basic Books 1980
[11] 서적 The Chinese Mind: Essentials of Chinese Philosoph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 of Hawaii Press 1967
[12] 서적 Koreana – Winter 2015 https://books.google[...] 한국국제교류재단 2016
[13] 서적 Public Intellectual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6
[14] 서적 1987
[15] 서적 Intellectuals in Politics: From the Dreyfus Affair to Salman Rushdie Routledge 1997
[16] 서적 2001
[17] 서적 1989
[18] 뉴스 Der Intellektuelle und die Gesellschaft (The Intellectual and Society) Die Zeit 1969
[19] 학술지 Traveling With Vehicular Ideas: The Case of the Third Way 2004
[20] 학술지 Review of Minjian: The Rise of China's Grassroots Intellectuals https://www.jstor.or[...] 2020
[21] 서적 The Social Scientist As Public Intellectual: Critical Reflections In A Changing World Rowman and Littlefield 2006
[22] 서적 2007
[23] 서적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24] 서적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1983
[25] 서적 Revolution, Democracy, Socialism: Selected Writings of Lenin Pluto Press 2008
[26] 서적 1993
[27] 서적 The Downing Street Years HarperCollins 1993
[28] 서적 A view from Latin America The New History 2017
[29] 서적 The Intellectual: The Positive Power of Negative Thinking Icon 2005
[30] 서적 Intellect and Public Lif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3
[31] 웹사이트 Public Praises Science; Scientists Fault Public, Media: Section 4: Scientists, Politics and Religion – Pew Research Center for the People & the Press http://people-press.[...] People-press.org 2009-07-09
[32] 학술지 The Intellectuals and Socialism 1949
[33] 웹사이트 Papers of Interest https://mises.org/et[...] Mises Institute 2014-08-18
[34] 서적 Sartre Gallimard 1989
[35] 서적 Understanding Power Penguin Books India 2003
[36] 논문 Why do intellectuals oppose capitalism? http://www.cato.org/[...] 1998-01-01
[37] 서적 Intellectuals and Society Basic Books 2010-01-01
[38] 웹사이트 2022-0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