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롱이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롱이아과는 수리과에 속하는 아과의 하나로, 울음참매족과 조롱이족으로 분류된다. 울음참매족에는 가버울음참매속, 긴꼬리매속, 울음참매속 등이 포함되며, 조롱이족에는 새매속, 타키스피자속, 아프리카참매속, Erythrotriorchis속, 도리아참매속, 아스투르속, 개구리매속 등이 속한다.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조롱이아과는 계통 분류상 울음참매족과 조롱이족으로 나뉜다. 매는 매사냥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롱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수리목 (또는 매목)
수리과
아과하이타카아과 (Accipitrinae)
아과 명명자Vieillot, 1816
하이타카속 (Accipiter)
Micronisus속 (Micronisus)
Urotriorchis속 (Urotriorchis)
Erythrotriorchis속 (Erythrotriorchis)
Megatriorchis속 (Megatriorchis)

2. 하위 분류

조롱이아과는 크게 울음참매족과 조롱이족으로 나뉜다.[3]

사진현존하는 종
Micronisus* 가바르매, Micronisus gabar
Urotriorchis* 꼬리매, Urotriorchis macrourus
Melierax
Kaupifalco* 도마뱀매, Kaupifalco monogrammicus
Aerospiza
Tachyspiza
Erythrotriorchis
Accipiter
Astur
Megatriorchis* 도리아매, Megatriorchis doriae
Circus


2. 1. 울음참매족 (Melieraxini)

울음참매족(Melieraxini영어)은 아프리카남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매들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속으로는 도마뱀말똥가리속(''Kaupifalco''), 가버울음참매속(''Micronisus''), 긴꼬리매속(''Urotriorchis''), 울음참매속(''Melierax'') 등이 있다.[3]

사진현존하는 종
Micronisus* 가바르매, Micronisus gabar
Urotriorchis* 긴꼬리매, Urotriorchis macrourus
Melierax
Kaupifalco* 도마뱀매, Kaupifalco monogrammicus


2. 1. 1. 도마뱀말똥가리속 (''Kaupifalco'')

Kaupifalco영어속은 도마뱀매(''Kaupifalco monogrammicus'') 1종을 포함한다.[3]

사진현존하는 종
Kaupifalco


2. 1. 2. 가버울음참매속 (''Micronisus'')

가버울음참매속(Micronisus영어)은 가바르매 1종을 포함한다.[3]

사진현존하는 종
Micronisus


2. 1. 3. 긴꼬리매속 (''Urotriorchis'')

긴꼬리매속(''Urotriorchis'')은 조롱이아과의 한 속으로, 긴꼬리매 1종을 포함한다.[3]

사진현존하는 종
Urotriorchis


2. 1. 4. ''Microspizias''

''Microspizias''는 2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별도의 속으로 분리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 1. 5. 울음참매속 (''Melierax'')

울음참매속(Melierax영어)에는 다음 3종이 포함된다.[3]

사진학명
검은울음매Melierax metabates
동부울음매Melierax poliopterus
창백한울음매Melierax canorus


2. 2. 조롱이족 (Accipitrini)

조롱이족(Accipitrini)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다양한 매들을 포함한다. 한국에 서식하는 새매속, 참매속, 붉은배새매속 등이 이 족에 속한다.[3]

조롱이족에는 다음 속들이 속해 있다.

  • ''Erythrotriorchis''
  • 아프리카참매속( ''Aerospiza'')
  • 타키스피자속( ''Tachyspiza'')
  • 새매속( ''Accipiter'')
  • 도리아참매속( ''Megatriorchis'')
  • 아스투르속( ''Astur'')
  • 개구리매속( ''Circus'')

2. 2. 1. ''Erythrotriorchis''

''Erythrotriorchis''는 조롱이족에 속하는 속으로, 다음 2종을 포함한다.[3]

  • 밤색어깨매 (''Erythrotriorchis buergersi'')
  • 붉은매 (''Erythrotriorchis radiatus'')

2. 2. 2. 아프리카참매속 (''Aerospiza'')

Aerospiza영어속은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참매류 3종을 포함한다.

사진학명
붉은가슴매Aerospiza toussenelii
아프리카매Aerospiza tachiro
밤색옆구리새매Aerospiza castanilius

[3]

2. 2. 3. 타키스피자속 (''Tachyspiza'')

Tachyspiza영어은 붉은배새매속이라고도 불리며, 시크라, 니코바르새매, 레반트새매, 중국새매, 프란체스새매, 점박이꼬리새매, 회색매, 변색매, 갈색매, 검은망토매, 얼룩매, 흰배매, 피지매, 몰루카매, 암회색매, 모방매, 회색머리매, 뉴브리튼매 등을 포함한다.[3]

현존하는 종
타키스피자속


2. 2. 4. 새매속 (''Accipiter'')

새매속(''Accipiter'')은 프랑스의 동물학자인 마튜랭 자크 브리송이 1760년에 제안했으며, 매사냥이를 타입종으로 지정했다.[5][6] 새매속의 학명라틴어로 "잡다"를 의미하는 ''accipere''에서 유래했다.[7]

새매속에는 다음과 같은 51종이 속한다.[8]

일반명학명IUCN 레드 리스트 보전 상황분포사진
Tiny hawk영어Accipiter superciliosus (린네, 1766)[9]
Semicollared hawk영어Accipiter collaris (스클레이터, 1860)[10]콜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에콰도르
Crested goshawk영어Accipiter trivirgatus (템민크, 1824)[11]
Sulawesi goshawk영어Accipiter griseiceps (슐레겔, 1862)[12]
Grey-bellied hawk영어:w:Accipiter poliogaster (템민크, 1824)[13]
Red-chested goshawk영어:w:Accipiter toussenelii (J. Verreaux, Edouard Verreaux|에두아르 베로영어, Marc Athanase Parfait Oeillet Des Murs|마크 아타나스 파르페 오일레 데 뫼르|label=Des Murs영어, 1855)[14]서아프리카동아프리카
아프리카매영어:w:Accipiter tachiro (Francois-Marie Daudin|프랑수아 마리 도댕|label=Daudin영어, 1800)[15]
Chestnut-flanked sparrowhawk영어:w:Accipiter castanilius (보나파르트, 1853)[16]서아프리카
타카사고매:w:Accipiter badius (그멜린, 1788)[17]
Nicobar sparrowhawk영어:w:Accipiter butleri (거니, 1898)[18]인도니코바르 제도
레반트매:w:Accipiter brevipes (세베르초프, 1850)[19]
붉은배새매:w:Accipiter soloensis (호스필드, 1821)[20]동아시아남아시아
Frances's sparrowhawk영어:w:Accipiter francesiae (스미스, 1834)[21]코모로, 마다가스카르
Spot-tailed sparrowhawk영어:w:Accipiter trinotatus (보나파르트, 1850)[22]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 섬
grey goshawk영어:w:Accipiter novaehollandiae (그멜린, 1788)[23]오스트레일리아
Variable goshawk영어Accipiter hiogaster (Philipp Ludwig Statius Müller|필립 루드비히 스타티우스 뮐러|label=PLS Müller영어, 1841)[24]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Brown goshawk영어:w:Accipiter fasciatus (Nicholas Aylward Vigors|니콜라스 아일워드 비고스|label=Vigors영어 and 호스필드, 1827)[25]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동티모르,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누벨칼레도니
Black-mantled goshawk영어:w:Accipiter melanochlamys (살바도리, 1875)[26]뉴기니 섬
Pied goshawk영어:w:Accipiter albogularis (그레이, 1870)[27]부건빌 섬, 솔로몬 제도
White-bellied goshawk영어:w:Accipiter haplochrous (스클레이터, 1859)[28]누벨칼레도니
Fiji goshawk영어:w:Accipiter rufitorques (필, 1848)[29]피지
Moluccan goshawk영어:w:Accipiter henicogrammus (그레이, 1860)[30]인도네시아의 몰루카 제도
Slaty-mantled goshawk영어:w:Accipiter luteoschistaceus (로스차일드 & Ernst Hartert|언스트 하르테르트|label=Hartert영어, 1926)[31]파푸아뉴기니
Imitator goshawk영어:w:Accipiter imitator Ernst Hartert|언스트 하르테르트|label=Hartert영어, 1926[32]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Grey-headed goshawk영어:w:Accipiter poliocephalus (그레이, 1858)[33]뉴기니 섬 및 그 주변 섬
New Britain goshawk영어:w:Accipiter princeps (마이어, 1934)[34]파푸아뉴기니
Red-thighed sparrowhawk영어:w:Accipiter erythropus (하르틀라우브, 1855)[35]서아프리카
Little sparrowhawk영어:w:Accipiter minullus (Francois-Marie Daudin|프랑수아 마리 도댕|label=Daudin영어, 1800)[36][37]남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새매:w:Accipiter gularis (템민크 & 슐레겔, 1844)[38]동아시아, 동남아시아
Besra영어:w:Accipiter virgatus (템민크, 1822)[39]
Dwarf sparrowhawk영어:w:Accipiter nanus (August Wilhelm Heinrich Blasius|아우구스트 빌헬름 하인리히 블라시우스|label=Blasius영어, 1897)[40]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과 부톤 섬
Rufous-necked sparrowhawk영어:w:Accipiter erythrauchen 그레이, 1861[41]인도네시아의 몰루카 제도
붉은머리새매:w:Accipiter cirrocephalus 비에이요, 1817)[42]오스트레일리아
New Britain sparrowhawk영어:w:Accipiter brachyurus (램지, 1879)[43]파푸아뉴기니
Vinous-breasted sparrowhawk영어:w:Accipiter rhodogaster (슐레겔, 1862)[44]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Madagascar sparrowhawk영어:w:Accipiter madagascariensis 스미스, 1834)[45]마다가스카르
Ovambo sparrowhawk영어:w:Accipiter ovampensis (거니, 1875)[46]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매사냥이:w:Accipiter nisus (린네, 1758)[47]
Rufous-chested sparrowhawk영어:w:Accipiter rufiventris 스미스, 1830)[48]
Sharp-shinned hawk영어:w:Accipiter striatus 비에이요, 1808)[49]
White-breasted hawk영어:w:Accipiter chionogaster Johann Jakob Kaup|요한 야코프 카우프|label=Kaup영어, 1852)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Plain-breasted hawk영어:w:Accipiter ventralis PL Sclater, 1866)베네수엘라,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Rufous-thighed hawk영어:w:Accipiter erythronemius Johann Jakob Kaup|요한 야코프 카우프|label=Kaup영어, 1850)볼리비아,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쿠퍼매:w:Accipiter cooperii (보나파르트, 1828)[50]
군들라치매:w:Accipiter gundlachi (로렌스, 1860)[51]쿠바
Bicolored hawk영어:w:Accipiter bicolor (비에이요, 1817)[52]
Chilean hawk영어:w:Accipiter chilensis 필리피 & Christian Ludwig Landbeck|크리스티안 루드비히 란트벡|label=Landbeck영어, 1864)
Black sparrowhawk영어:w:Accipiter melanoleucus (스미스, 1830)[53]
Henst's goshawk영어:w:Accipiter henstii (슐레겔, 1873)[54]마다가스카르
황조롱이:w:Accipiter gentilis (린네, 1758)[55]
Meyer's goshawk영어:w:Accipiter meyerianus (Richard Bowdler Sharpe|리처드 보들러 샤프|label=Sharpe영어, 1878)[56]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2. 2. 5. 도리아참매속 (''Megatriorchis'')



'''도리아참매속'''(''Megatriorchis'')은 도리아매 1종을 포함한다.[3]

2. 2. 6. 아스투르속 (''Astur'')


  • 쿠퍼매, ''Astur cooperii''
  • 군들라치매, ''Astur gundlachi''
  • 이색매, ''Astur bicolor''
  • 칠레매, ''Astur chilensis''
  • 검은새매, ''Astur melanoleucus''
  • 헨스트매, ''Astur henstii''
  • 유라시아매, ''Astur gentilis''
  • 미국매, ''Astur atricapillus''
  • 마이어매, ''Astur meyerianus''

2. 2. 7. 개구리매속 (''Circus'')

'''개구리매속'''(Circusla)은 수리과 조롱이아과에 속하는 맹금류 속이다.

사진
서부개구리매 (Circus aeruginosus)
동부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파푸아개구리매 (Circus spilothorax)
늪개구리매 (Circus approximans)
아프리카개구리매 (Circus ranivorus)
레위니옹개구리매 (Circus maillardi)
말라가시개구리매 (Circus macrosceles)
긴날개개구리매 (Circus buffoni)
점박이개구리매 (Circus assimilis)
검은개구리매 (Circus maurus)
밭개구리매 (Circus cyaneus)
북부개구리매 (Circus hudsonius)
잿빛개구리매 (Circus cinereus)
엷은개구리매 (Circus macrourus)
얼룩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os)
몽타규개구리매 (Circus pygargus)

[3]

3. 계통 분류

조롱이아과의 계통 분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리과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5]


3. 1. 2021년 연구 결과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따르면, 조롱이아과는 크게 울음참매족과 조롱이족으로 나뉜다.[66] 울음참매족은 도마뱀말똥가리속, 가버울음참매속, 긴꼬리매속, ''Microspizias'', 울음참매속을 포함한다.[66] 조롱이족은 ''Erythrotriorchis'', 아프리카참매속, 타키스피자속, 새매속, 도리아참매속, 아스투르속, 개구리매속을 포함한다.[66]

4. 매와 인간

매는 매사냥에 이용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매사냥이 성행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왕실과 귀족층의 스포츠로 인기를 끌었다.

4. 1. 매사냥

매는 때때로 훈련된 맹금류를 이용해 작은 사냥감을 잡는 스포츠매사냥에 사용된다.[1]

참조

[1] 서적 Birds of Prey: Biology and conservation in the XXI century https://www.research[...] Springer 2018
[2] 논문 Enigmas no longer: using ultraconserved elements to place several unusual hawk taxa and address the non-monophyly of the genus ''Accipiter'' (Accipitriformes: Accipitridae) 2024
[3] 웹사이트 Hoatzin, New World vultures, Secretarybird, rapto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8
[4] 문서 Olson (2006)
[5]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éces & leurs variétés Jean-Baptiste Bauche
[6]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1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7]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8] 웹사이트 New World vultures, Secretarybird, kites, hawks, eagl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9-04-02
[9] 간행물 "''Accipiter superciliosus''" https://www.iucnredl[...] 2013-11-26
[10] 간행물 "''Accipiter collaris''" https://www.iucnredl[...] 2013-11-26
[11] 간행물 "''Accipiter trivirg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12] 간행물 "''Accipiter griseiceps''" https://www.iucnredl[...] 2013-11-26
[13] 간행물 "''Accipiter poliogaster''" https://www.iucnredl[...] 2013-11-26
[14] 간행물 "''Accipiter toussenelii''" https://www.iucnredl[...] 2014-08-28
[15] 웹사이트 African Goshawk ''Accipiter tachiro''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6-10-31
[16] 간행물 "''Accipiter castanilius''" https://www.iucnredl[...] 2013-11-26
[17] 간행물 "''Accipiter badius''" https://www.iucnredl[...] 2013-11-26
[18] 간행물 "''Accipiter butleri''" https://www.iucnredl[...] 2013-11-26
[19] 간행물 "''Accipiter brevipes''" https://www.iucnredl[...] 2013-11-26
[20] 간행물 "''Accipiter soloensis''" https://www.iucnredl[...] 2013-11-26
[21] 간행물 "''Accipiter francesiae''" https://www.iucnredl[...] 2013-11-26
[22] 간행물 "''Accipiter trinot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23] 간행물 "''Accipiter novaehollandiae''" https://www.iucnredl[...] 2014-08-28
[24] 간행물 "''Accipiter hiogaster''" https://www.iucnredl[...] 2014-08-29
[25] 간행물 "''Accipiter fasci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26] 간행물 "''Accipiter melanochlamys''" https://www.iucnredl[...] 2013-11-26
[27] 간행물 "''Accipiter albogularis''" https://www.iucnredl[...] 2013-11-26
[28] 간행물 "''Accipiter haplochrous''" https://www.iucnredl[...] 2013-11-26
[29] 간행물 "''Accipiter rufitorques''" https://www.iucnredl[...] 2013-11-26
[30] 간행물 "''Accipiter henicogrammus''" https://www.iucnredl[...] 2014-08-28
[31] 간행물 "''Accipiter luteoschistaceus''" https://www.iucnredl[...] 2013-11-26
[32] 간행물 "''Accipiter imitator''" https://www.iucnredl[...] 2013-11-26
[33] 간행물 "''Accipiter poliocephalus''" https://www.iucnredl[...] 2013-11-26
[34] 간행물 "''Accipiter princeps''" https://www.iucnredl[...] 2013-11-26
[35] 간행물 "''Accipiter erythropus''" https://www.iucnredl[...] 2013-11-26
[36] 웹사이트 Little Sparrowhawk ''Accipiter minullus'' (Daudin, 1800) http://avibase.bsc-e[...] Deni Lepage 2016-10-24
[37] 간행물 ''Accipiter minullus'' 2020-01-09
[38] 간행물 ''Accipiter gularis'' https://www.iucnredl[...] 2013-11-26
[39] 간행물 ''Accipiter virg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40] 간행물 ''Accipiter nanus'' https://www.iucnredl[...] 2013-11-26
[41] 간행물 ''Accipiter erythrauchen'' https://www.iucnredl[...] 2014-08-28
[42] 간행물 ''Accipiter cirrocephalus'' https://www.iucnredl[...] 2013-11-26
[43] 간행물 ''Accipiter brachyurus'' https://www.iucnredl[...] 2013-11-26
[44] 간행물 ''Accipiter rhodogaster'' https://www.iucnredl[...] 2013-11-26
[45] 간행물 ''Accipiter madagascariensis'' https://www.iucnredl[...] 2013-11-26
[46] 간행물 Accipiter ovampensis https://www.iucnredl[...] 2016-10-31
[47] 간행물 ''Accipiter nisus'' https://www.iucnredl[...] 2013-11-26
[48] 간행물 ''Accipiter rufiventris'' https://www.iucnredl[...]
[49] 간행물 ''Accipiter stri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50] 간행물 ''Accipiter cooperii'' https://www.iucnredl[...] 2013-11-26
[51] 간행물 ''Accipiter gundlachi'' https://www.iucnredl[...] 2013-11-26
[52] 간행물 ''Accipiter bicolor'' https://www.iucnredl[...] 2013-11-26
[53] 간행물 ''Accipiter melanoleucus'' https://www.iucnredl[...] 2013-11-26
[54] 간행물 ''Accipiter henstii'' https://www.iucnredl[...] 2013-11-26
[55] 간행물 ''Accipiter gentilis'' https://www.iucnredl[...] 2013-11-26
[56] 간행물 ''Accipiter meyerianus'' https://www.iucnredl[...] 2013-11-26
[57] 논문 Fossil birds from Late Quaternary deposits in New Caledonia
[58] 간행물 ''Melierax gabar'' https://www.iucnredl[...] 2013-11-26
[59] 웹사이트 Gabar goshawk (''Melierax gabar'') http://www.arkive.or[...] Wildscreen 2016-10-23
[60] 간행물 Urotriorchis macrourus https://www.iucnredl[...] 2016-11-01
[61] 서적 Raptor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62] 간행물 ''Erythrotriorchis buergersi'' https://www.iucnredl[...] 2013-11-26
[63] 간행물 ''Erythrotriorchis radi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64] 간행물 ''Megatriorchis doriae'' https://www.iucnredl[...] 2013-11-26
[65] 문서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
[66] 문서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