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인민군의 군사 칭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인민군의 군사 칭호는 북한군에서 사용되는 계급 체계로, 1948년부터 1952년까지는 직책으로 서열을 구분했으나, 1953년에 현재와 유사한 계급 체계가 도입되었다. 현재는 원수급, 장령급, 좌관급, 위관급, 하사관급, 전사급으로 구분되며, 원수급은 대원수, 공화국원수, 인민군 원수, 인민군 차수로 세분화되어 있다. 각 계급은 육군, 해군, 공군에 따라 견장 디자인이 다르며, 특히 원수급은 국장과 별을 공통 디자인으로 사용하고 목란 잎의 수로 계급을 구분하는 특징이 있다. 1998년경 부사관 계급 구성이 변경되었고,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군사 계급 - 자위대의 계급
    자위대의 계급은 육해공 자위대 모두 16개로 구성되어 장관급 장교인 장과 장보를 정점으로 준위, 하사관, 병 계급으로 이어지며, 일본 군사 문화의 잔재와 자위대의 정체성 확립 노력을 보여준다.
  • 나라별 군사 계급 - 프랑스 해군 계급
    프랑스 해군 계급은 견장, 소매, 기장 등의 휘장으로 식별되며, 장성, 선임 장교, 후임 장교, 부사관 및 수병으로 나뉘고, 병과별 고유 줄무늬로 구별되며, 특별한 지위의 해군 페인트 도장공은 계급장 대신 문구가 새겨진 제복을 착용한다.
  • 조선인민군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군사 지휘 기관으로서, 인민무력성과 별도로 13개 직속국과 각종 사령부를 지휘하며, 국방 정책 기획, 군사 작전, 대남 공작 등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조선인민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은 조선인민군의 최고 통수권자를 지칭하는 직책으로, 1948년 조선인민군 창설과 함께 '조선인민군 총사령관'으로 처음 등장하여 한국 전쟁 시기 김일성이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직책의 명칭과 권한에 변화가 있었으며 권력 승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2019년 헌법 개정으로 "최고사령관"은 "총사령관"으로 대체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군사 지휘 기관으로서, 인민무력성과 별도로 13개 직속국과 각종 사령부를 지휘하며, 국방 정책 기획, 군사 작전, 대남 공작 등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선인민군의 군사 칭호
개요
조선인민군 계급 (영문)
조선인민군 계급 (영문)
군대조선인민군
창설일1948년 2월 8일
최고사령관김정은
장성급 장교
대원수'김일성' (1992년 4월 20일 추서)
'김정일' (2012년 2월 14일 추서)
공화국원수'김정은' (2012년 7월 17일)
차수리을설
조명록
김영춘
최룡해
현영철
황병서
리명수
박정천
상장다수 (인민군 총참모부 제1부총참모장 림광일)
중장다수
소장다수
사관
대좌해당사항 없음
상좌해당사항 없음
중좌해당사항 없음
소좌해당사항 없음
대위해당사항 없음
상위해당사항 없음
중위해당사항 없음
소위해당사항 없음
준사관
특무상사해당사항 없음
상사해당사항 없음
중사해당사항 없음
하사해당사항 없음
병사
상등병해당사항 없음
초급병사위생병
일등병
이등병
폐지된 계급
인민군 부원수최현
오진우
박성철

2. 역사

조선인민군의 군사 칭호 체계는 창설 이전 인민집단군 시대에 마련된 계급 제도를 바탕으로 시작되었으며,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쳐왔다. 1948년 창설 초기부터 1952년 말까지는 공식적인 계급 대신 군관 직위 제도를 운용하였다. 이후 1953년에 들어서면서 원수부터 전사에 이르는 정식 계급 체계가 도입되었다.

1998년경에는 계급 제도에 다시 한번 변화가 있었는데, 특히 부사관 계급 구성이 변경되고 장교 대우를 받는 것으로 보이는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이 시기 이후 원수급 계급이 대원수, 공화국원수, 인민군원수, 인민군차수 등으로 세분화되어 운용되고 있다. 각 시기별 구체적인 계급 체계와 변화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1948년 ~ 1952년: 군관 직위 시기

1948년부터 1952년 말기까지는 조선인민군군사 계급 대신 군관 직위가 사용되었다.[11] 이는 당시 공산주의 국가들의 이념에 따라, 계급이 아닌 직책으로 서열을 구분했기 때문이다. 당시 사용된 군관 직위와 계급장은 다음과 같다.

지휘관 구분직위계급장
고급 지휘관
민족보위상--
총참모장
부상
--
사단장
여단장
학교장
--
중급 지휘관
사단 참모장--
연대장--
부연대장
독립 대대장
--
대대장--
초급 지휘관
부대대장
독립 중대장
--
중대장--
중대장
독립 소대장
--
소대장--


2. 2. 1953년: 계급 체계 도입

(元帥級)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元帥)
195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견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차수(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次帥)[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차수 견장
육군 계급장해군 계급장공군 계급장장령급
(將領級)대장 (大將)
중장 (中將)
조선인민군 육군 중장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중장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중장 견장
소장 (少將)
조선인민군 육군 소장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소장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소장 견장
좌관급
(佐官級)대좌 (大佐)
상좌 (上佐)
조선인민군 육군 상좌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상좌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상좌 견장
중좌 (中佐)
조선인민군 육군 중좌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중좌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중좌 견장
소좌 (少佐)
조선인민군 육군 소좌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소좌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소좌 견장
위관급
(尉官級)대위 (大尉)
상위 (上尉)
조선인민군 육군 상위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상위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상위 견장
중위 (中尉)
조선인민군 육군 중위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중위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중위 견장
소위 (少尉)
조선인민군 육군 소위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소위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소위 견장
하사관급
(下士官級)특무상사 (特務上士)
조선인민군 육군 특무상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특무상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특무상사 견장
상사 (上士)
조선인민군 육군 상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상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상사 견장
중사 (中士)
조선인민군 육군 중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중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중사 견장
하사 (下士)
조선인민군 육군 하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하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하사 견장
전사급
(戰士級)상등병 (上等兵)
조선인민군 육군 상등병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상등병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상등병 견장
전사 (戰士)
조선인민군 육군 전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전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전사 견장


2. 3. 1998년 이후: 계급 체계 변화

1998년조선인민군의 계급 제도에 일부 변화가 있었다. 부사관 계급 구성이 변경되었으며, 장교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은 명확하지 않으나, 장기 복무 사관은 일반 부사관과 다른 계급장을 사용하고 장교와 동일한 군복을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보위부호위사령부는 사병 없이 전원 장교로만 구성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시기 조선인민군 계급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원수(元帥)급 계급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원수급 계급장의 공통적인 디자인 요소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과 큰 별이 사용된다. 대원수부터 인민군원수까지의 계급장은 매우 유사하지만, 별 뒤에 그려진 북한의 국화목란 잎의 수로 구분된다.

다음은 원수급 계급과 견장이다.

계급 분류계급견장
원수급
(元帥級)
대원수
(大元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원수 견장
공화국원수
(共和國元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견장
인민군원수
(人民軍 元帥)
조선인민군 원수 견장
인민군차수
(人民軍 次帥)
조선인민군 차수 견장


3. 현재의 계급 체계

조선인민군의 계급 제도는 창설 이전 인민집단군 시대에 제정된 체계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으나, 1998년부사관 계급 구성이 변경되었다. 이때 부사관에게 장교 대우를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장기 복무 사관은 일반 부사관과 다른 계급장을 사용하며 장교 군장을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보위부호위사령부병사 없이 전원 장교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조선인민군 계급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원수급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원수급 계급장의 디자인에는 공통적인 요소가 사용되지만 계급별로 차이가 있다. 각 계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원수급

조선인민군 계급의 특징 중 하나는 원수급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원수급 계급장의 공통적인 디자인으로는 북한의 국장과 큰 별이 사용된다. 또한, 대원수부터 인민군 원수까지의 계급장은 매우 유사하지만, 별 뒤에 디자인된 북한의 국화목란 잎의 수에서 차이를 보인다.

구분조선어견장[2]
원수급 (元帥級)대원수 (大元帥)
공화국원수 (共和國元帥)
인민군원수 (人民軍元帥)
인민군차수 (人民軍次帥)


3. 2. 장령급 (장성급)

장령급은 다른 나라 군대의 장성급 장교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계급조선어륙군 견장해군 견장공군 견장
대장대장 (大將)
상장상장 (上將)
중장중장 (中將)
소장소장 (少將)


3. 3. 좌관급 (영관급)

좌관급은 다른 나라 군대의 영관급 장교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계급조선어 명칭육군 견장해군 견장공군 견장
대좌대좌
상좌상좌
중좌중좌
소좌소좌


3. 4. 위관급

위관급(장교)은 다른 나라 군대의 위관급 장교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소위, 중위, 상위, 대위의 4단계로 나뉜다.[3][4][5]

계급조선어 표기육군 견장해군 견장공군 견장
대위대위 (大尉)
상위상위 (上尉)
중위중위 (中尉)
소위소위 (少尉)


3. 5. 하사관급

하사관급은 타국의 부사관에 해당하며, 특무상사, 상사, 중사, 하사로 나뉜다. 1998년경 부사관 계급 구성이 변경되었으며, 장교 대우를 위한 것으로 보이는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의 자세한 내용은 명확하지 않으나, 장기 복무 사관은 일반 부사관과 다른 계급장을 사용하고 장교 군장을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급조선어 명칭육군 견장해군 견장공군 견장
하사관급특무상사
상사
조선인민군 육군 상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상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상사 견장
중사
조선인민군 육군 중사 견장
조선인민군 해군 중사 견장
조선인민군 공군 중사 견장
하사


3. 6. 전사급 (병사급)

조선인민군의 전사급(戰士級) 칭호는 다른 나라 군대의 병사 계급에 해당한다. 전사급은 상급병사, 중급병사, 초급병사, 전사의 4단계로 나뉜다.[6][7][8]

구분계급 명칭육군 견장해군 견장공군 견장
병사
전사급 (戰士級)
상급병사 (上級兵士)
중급병사 (中級兵士)
초급병사 (初級兵士)
전사 (戰士)


4. 특수 계급

보위사령부 및 호위사령부와 같은 특정 기관은 사병 없이 전원 장교로만 구성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1998년경 부사관 계급 제도가 변경되면서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제도는 특정 부사관에게 장교와 유사한 대우를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계급장과 군복은 일반 부사관과 구별된다. 다만, 구체적인 운영 방식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인민군 계급 체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원수급 계급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반적인 군 계급 체계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로, 북한 군사 문화의 특수성을 보여준다. 원수급 계급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5. 계급별 특징

조선인민군 계급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원수급 계급이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원수급 계급장은 공통적으로 북한의 국장과 큰 별을 사용하며, 별 뒤에 그려진 북한의 국화목란 잎의 수로 계급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원수 계급장은 다음과 같다.

원수급 계급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장교 계급의 경우, 육군, 해군, 공군 간 계급 명칭은 동일하지만, 견장의 디자인은 군종별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같은 대장 계급이라도 육군, 해군, 공군의 견장 모양은 서로 다르다.

1998년경에는 부사관(하사관급) 계급 구성이 변경되었으며, "장기 복무 사관" 제도가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는 장기 복무하는 부사관에게 장교에 준하는 대우를 해주는 것으로 추정되며, 장기 복무 사관은 일반 부사관과 다른 계급장을 사용하고 장교 군복을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보위부호위사령부는 병사 없이 전원 장교로만 구성된다는 특징이 있다.

참조

[1] 서적 World armies Royal Military Academy 2022-01-31
[2] 뉴스 North Korea's baffling personalized rank insignia, explained https://www.nknews.o[...] Korea Risk Group 2017-03-14
[3]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4]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5]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6]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7]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8]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0
[9] 이미지 Kim Jong-un in uniform of ''taewŏnsu''(大元帥の軍服を着用した金正恩の肖像画) https://www.alamy.co[...]
[10] 문서 "[[최용건]](1953年)と[[오진우]](1985年)に贈られた。오진우については共和国次帥ではなく人民軍次帥であったとの説もある。"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gcplus.co.kr/[...] 2014-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