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대의 계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위대의 계급은 육상, 해상, 항공 자위대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각 자위대별로 계급장이 다르다. 자위대는 16개의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장관, 좌관, 위관, 준위, 조, 사로 구성된다. 자위대 창설 이전에는 경찰예비대와 해상경비대 등에서 구 일본군과는 다른 계급을 사용했으며, 자위대 창설 이후에도 계급 체계가 개편되었다. 계급별로 정년이 있으며, 승진에는 최소 재직 기간을 채워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통합막료감부는 일본 자위대의 육해공 자위대 활동을 조정하고 지휘하는 기관으로, 군종 대립 해소와 지휘권 통합을 위해 2006년 개편되었으며, 통합 운용을 통해 방위, 재해 파견, 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자위대 - 가와사키 C-2
가와사키 C-2는 가와사키 중공업이 개발한 일본의 차세대 쌍발 엔진 전략 수송기로, 노후화된 C-1을 대체하며 C-130H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고 P-1과 부품을 공유하여 개발 비용을 절감했으며 항공자위대에서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고 파생형으로 RC-2가 있다. - 나라별 군사 계급 - 프랑스 해군 계급
프랑스 해군 계급은 견장, 소매, 기장 등의 휘장으로 식별되며, 장성, 선임 장교, 후임 장교, 부사관 및 수병으로 나뉘고, 병과별 고유 줄무늬로 구별되며, 특별한 지위의 해군 페인트 도장공은 계급장 대신 문구가 새겨진 제복을 착용한다. - 나라별 군사 계급 - 베트남 공화국 군력의 군사 계급
베트남 공화국 군력의 군사 계급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공화국군에서 사용된 군 계급 체계로, 장교(영관급, 위관급, 장성급), 부사관(선임, 주니어), 병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군별로 고유한 견장을 통해 식별되었습니다.
| 자위대의 계급 | |
|---|---|
| 자위대 계급 | |
| 창설 | 1954년 7월 1일 |
| 국가 | 일본 |
| 소속 | 일본 자위대 |
| 하위 조직 |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
| 군사 계급 체계 | 위관 영관 장관 준사관 하사관 병사 |
| 장관 계급 | |
| 육상자위대 | 육상막료장 (육장) 육상자위대 장 (육장보) 육상자위대 장보 (육장보) 육장 육장보 |
| 해상자위대 | 해상막료장 (해장) 해상자위대 장 (해장보) 해장 해장보 |
| 항공자위대 | 항공막료장 (공장) 항공자위대 장 (공장보) 공장 공장보 |
| 통합막료감부 | 통합막료장 |
| 영관 계급 | |
| 육상자위대 | 1등육좌 2등육좌 3등육좌 |
| 해상자위대 | 1등해좌 2등해좌 3등해좌 |
| 항공자위대 | 1등공좌 2등공좌 3등공좌 |
| 위관 계급 | |
| 육상자위대 | 1등육위 2등육위 3등육위 |
| 해상자위대 | 1등해위 2등해위 3등해위 |
| 항공자위대 | 1등공위 2등공위 3등공위 |
| 준사관 계급 | |
| 육상자위대 | 육조 |
| 해상자위대 | 해조 |
| 항공자위대 | 공조 |
| 하사관 계급 | |
| 육상자위대 | 육조장 1등육조 2등육조 3등육조 |
| 해상자위대 | 해조장 1등해조 2등해조 3등해조 |
| 항공자위대 | 공조장 1등공조 2등공조 3등공조 |
| 병사 계급 | |
| 육상자위대 | 육상자위대 육장 육상자위대 1등육사 육상자위대 2등육사 |
| 해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해사 해상자위대 1등해사 해상자위대 2등해사 |
| 항공자위대 | 항공자위대 공사 항공자위대 1등공사 항공자위대 2등공사 |
| 참고 | |
| 기타 | 각 자위대별 계급장이 존재한다. |
2. 자위대 창설 이전의 계급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항복한 후, 연합군 점령하에 놓이면서 1945년 일본군은 무장이 해제되었다.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끄는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일본의 민주화와 비군사화를 추진했다.[1]
그러나 냉전이 심화되고 중국 대륙이 공산화되면서 미국의 일본 점령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특히 한반도에서 발발한 6.25 전쟁은 일본의 안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맥아더는 이른바 '맥아더 서간'을 통해 일본 정부에 경찰예비대 창설을 지시했다. 하지만 일본국 헌법 제9조에 따라 군대를 보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찰예비대는 군대가 아닌 경찰관으로 구성된 무장 조직이라는 애매한 위치에 놓였다. 따라서 계급 역시 군대의 계급을 따를 수 없었고, 경찰이나 일본 제국 육군이 초기에 사용한 장교 계급 호칭을 사용해야 했다. 1952년 창설된 해상경비대도 마찬가지였다.[9]
이후 경찰예비대와 해상경비대는 각각 보안대와 경비대로 개편되었고, 1954년에는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로 정착했다. 이때 옛 일본군에서 사용하던 장관·좌관·위관·조의 명칭이 부활했지만, 계급명 자체는 군대 계급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았다.[1]
2. 1. 경찰예비대와 보안대
1950년 6.25 전쟁 발발 직후, 더글러스 맥아더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일본 정부는 경찰예비대를 창설했다. 그러나 일본국 헌법 제9조에 따라 군대를 보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찰예비대는 군대가 아닌 경찰 조직으로 구성되었다.[9] 따라서 계급도 군대 계급이 아닌, 경찰이나 일본 제국 육군 초기 장교 계급 호칭을 사용했다. 1952년 창설된 해상경비대 역시 마찬가지였다.경찰예비대의 계급은 1950년 8월 공포·시행된 「경찰예비대령 시행령」 제3조의 규정을 따랐다. 육상자위대의 3등육좌에 해당하는 계급은 경찰사장이었으며, 3등경찰사 계급은 없었다. 경찰감은 육장에 상당하는 계급이었고, 총대총감에 해당하는 경찰감과 육장보 사이에 해당하는 경찰감이 있었다.
1952년 경찰예비대가 보안대로 개편되면서 계급 명칭도 일부 변경되었다. 보안감은 제1막료장 등 보안청 장관이 규정한 직에 취임하는 보안감 (갑)과 그렇지 않은 보안감 (을)로 구분되었는데, 보안감 (갑)은 경찰예비대의 총대총감에 해당하는 경찰감이었고 보안감 (을)은 총대총감 이외의 직에 취임하는 경찰감에 대응했다. 3등보안사 계급은 1953년 3월에 추가되었다.

2. 2. 해상경비대와 경비대
1952년에 제정된 해상경비대의 계급은 경찰예비대와 마찬가지로 옛 일본군과는 다른 계급 명칭을 사용했다. 정(正), 사(士), 보(補) 등 경찰예비대의 계급과 비슷한 명칭을 사용했지만, 경찰예비대와는 달리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13]- 최하위 계급으로 3등해상경비원이 있었다.
- 위관 최하위 계급으로 3등해상경비사가 있었다.
- 사관에서는 최하위 계급 명칭이 해상경비사장이 아니라 3등해상경비정이었다.
- 해상경비감에 급의 구분이 없었다.
- 이는 원래 해상경비감 정원이 3명이었으나, 실제로는 야마자키 고고로 한 명만 해상경비대 총감에 취임했고, 해상경비대 부총감은 공석이었으며, 요코스카 지방감 부장에는 요시다 에이조 해상경비감보가 취임했기 때문이다.
같은 해 보안청법에 따라 해상경비대가 경비대로 개편되면서 계급도 바뀌었다. 해상경비대 시절에는 해상경비감에 갑과 을의 구분이 없었지만, 경비감은 보안감처럼 구분이 생겼다. 하지만 1953년 10월까지 제2막료장에 해당하는 경비감이 아닌 경비감은 계속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11]
| 분류 | 계급명 | 상당계급 | ||
|---|---|---|---|---|
| 해상경비관 | 경비관 | 해상자위관 | ||
| 장교 | 장성 | 해상경비감 | 제2막료장인 경비감 | 해장 |
| 경비감 | ||||
| 해상경비감보 | 경비감보 | 해장보 | ||
| 영관 | 1등 해상경비정 | 1등 경비정 | 1등해좌 | |
| 2등 해상경비정 | 2등 경비정 | 2등해좌 | ||
| 3등 해상경비정 | 3등 경비정 | 3등해좌 | ||
| 위관 | 1등 해상경비사 | 1등 경비사 | 1등해위 | |
| 2등 해상경비사 | 2등 경비사 | 2등해위 | ||
| 3등 해상경비사 | 3등 경비사 | 3등해위 | ||
| 부사관 | 1등 해상경비사보 | 1등 경비사보 | 1등해조 | |
| 2등 해상경비사보 | 2등 경비사보 | 2등해조 | ||
| 3등 해상경비사보 | 3등 경비사보 | 3등해조 | ||
| 병 | 해상경비원장 | 경사장 | 해사장 | |
| 1등 해상경비원 | 1등 경사 | 1등해사 | ||
| 2등 해상경비원 | 2등 경사 | 2등해사 | ||
| 3등 해상경비원 | 3등 경사 | 3등해사 | ||
1954년 자위대 창설과 함께 현재의 계급 체계가 확립되었다. 자위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군이 해체되고 1947년 헌법에 따라 평화주의 원칙이 수립된 후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경찰예비대와 해상경비대 등 군대와는 다른 조직으로 시작했으나, 1954년 자위대 창설과 함께 육상, 해상, 항공 자위대로 개편되었다.
3. 자위대
초기 자위대의 계급은 구 일본군의 계급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장관, 사관, 위관, 초의 명칭은 유지되었다. 이후 1970년에 준위, 1980년에 조장이 신설되었고, 2010년에는 3사가 폐지되어 현재의 16계급 체계가 되었다.
자위대의 계급은 자위대법에 근거하며, 계급 명칭은 육·해·공 자위대가 모두 동일하다. 3위 이상은 간부로, 장과 장보는 최고 간부, 1좌와 2좌는 상급 간부, 3좌와 1위는 중급 간부, 2위와 3위는 초급 간부로 분류된다. 준위 아래에는 하사관과 병에 해당하는 조와 사 계급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연합군군 점령하의 일본은 일본군을 해체하고, 1950년 경찰예비대를 창설했다. 더글러스 맥아더의 “맥아더 서한”에 따라 창설된 경찰예비대는 군대와 다르다는 이유로 대원을 “경찰관”으로 칭하고, 구 일본군의 계급과 다른 명칭을 사용했다.[9] 1952년 창설된 해상경비대도 마찬가지였다.
3. 1. 자위관 계급
육상자위대·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의 자위관 계급은 자위대법에 따라 각각 육장·해장·공장을 최고위 계급으로 하여 16계급으로 이루어져 있다.[15] 계급 호칭은 육해공 모두 동일하며 약칭도 장을 제외하면 모두 같다. 3위 이상 자위관은 간부로 하며, 그 중 장과 장보는 최고 간부, 1좌와 2좌는 상급 간부, 3좌와 1위는 중급 간부, 2위와 3위는 초급 간부이다. 3위 아래에 준위가 있으며 그 밑에 하사관과 병에 해당하는 조와 사가 있다. 각 자위대에서는 이러한 계급에 따라 계급장이 정해져 있다.
자위대가 창설될 당시에는 15계급이었지만 1970년 5월 25일에 준위(준육위, 준해위, 준공위)[17]가, 1980년 11월 29일에 조장(육조장, 해조장, 공조장)[18]이 신설되었다. 2010년 10월 1일부로 2사 아래 있던 3사가 폐지되면서 지금의 16계급이 되었다.[19] 2010년 7월에 새롭게 설치된 자위관 후보생은 자위관이 아니므로 법률상으로는 계급 외가 된다.
승진하기 위해서는 승진에 필요한 최소 재직 기간을 채워야 한다. 2사의 경우 6개월이지만, 1좌는 6년이다. 이러한 기간은 근무 평정이나 직무상 공로, 순직 등의 상황에 따라 단축될 수 있다.[20] 근무 성적이 우수한 자가 퇴직할 때에는 특별 승진도 가능하다.[21][22][23] 또한 계급별로 정년이 있어 계급 정년에 달할 때까지 승진하지 못하면 자동적으로 퇴직하게 된다.
예비자위관 및 즉응예비자위관에 대해서도 계급이 주어지며, 계급명의 머리에 예비 또는 즉응예비를 붙인다.[25] 훈련이 끝나면 계급이 주어지는데 예비자위관은 예비 1좌 이하,[26][27][28] 즉응예비자위관은 즉응예비 2위 이하로만 한다.[29]
계급을 기술할 때 「자위대법」은 1등, 2등, 3등을 한자로 표시하고 있지만, 「방위성 문서의 형식에 관한 훈령」에 따라 방위성은 공문서에서 자위관의 계급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고 있다. 좌관급 장교와 위관급 장교는 각각 3계급으로 되어 있다. 연령정년은 1좌가 57세, 2좌·3좌가 56세, 위관이 55세다. 봉급표에는 1좌가 1좌 (1), 1좌 (2), 1좌 (3)으로 구분되어 있다.
| 구분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
|---|---|---|---|---|---|
| 간부 | 장관급 장교 | 장 | |||
| 장보 | 육장보 Major General (MG) | 해장보 Rear Admiral (RADM) | 공장보 Major General (MajGen) | ||
| 좌관급 장교 | 1좌 | 1등육좌 Colonel (COL) | 1등해좌 Captain (CAPT) | 1등공좌 Colonel (Col) | |
| 2좌 | 2등육좌 Lieutenant Colonel (LTC) | 2등해좌 Commander (CDR) | 2등공좌 Lieutenant Colonel (LtCol) | ||
| 3좌 | 3등육좌 Major (MAJ) | 3등해좌 Lieutenant Commander (LCDR) | 3등공좌 Major (Maj) | ||
| 위관급 장교 | 1위 | 1등육위 Captain (CPT) | 1등해위 Lieutenant (LT) | 1등공위 Captain (Capt) | |
| 2위 | 2등육위 First Lieutenant (1LT) | 2등해위 Lieutenant Junior Grade (LTJG) | 2등공위 First Lieutenant (1stLt) | ||
| 3위 | 3등육위 Second Lieutenant (2LT) | 3등해위 Ensign (ENS) | 3등공위 Second Lieutenant (2ndLt) | ||
| 준위 | 준육위 Warrant Officer (WO) | 준해위 Warrant Officer (WO) | 준공위 Warrant Officer (WO) | ||
| 조 | 조장 | 육조장 Sergeant Major (SGM) | 해조장 Chief Petty Officer (CPO) | 공조장 Senior Master Sergeant (SMSgt) | |
| 1조 | 1등육조 Master Sergeant (MSG) | 1등해조 Petty Officer 1st Class (PO-1) | 1등공조 Master Sergeant (MSgt) | ||
| 2조 | 2등육조 Sergeant First Class (SFC) | 2등해조 Petty Officer 2nd Class (PO-2) | 2등공조 Technical Sergeant (TSgt) | ||
| 3조 | 3등육조 Sergeant (SGT) | 3등해조 Petty Officer 3rd Class (PO-3) | 3등공조 Staff Sergeant (SSgt) | ||
| 사 | 사장 | 육사장 Leading Private (LPT) | 해사장 Leading Seaman (LS) | 공사장 Senior Airman | |
| 1사 | 1등육사 Private First Class (PFC) | 1등해사 Seaman (SN) | 1등공사 Airman 1nd Class (A1C) | ||
| 2사 | 2등육사 Private (PVT) | 2등해사 Seaman Apprentice (SA) | 2등공사 Airman 2rd Class (A2C) | ||
| 자위관후보생 | Self defence official cadet | ||||
3. 2. 장관급 장교
자위대의 계급에서 장(将)과 장보(将補)를 장관급 장교로 칭한다. 통합막료장과 육상막료장·해상막료장·항공막료장에 해당하는 장은 법령상 일반 장과 구분이 없지만 사실상 별개의 계급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장보는 소장, 장은 중장, 막료장에 해당하는 장은 대장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며 계급장도 별이 네 개다.[30] 통합막료장은 좌측 가슴에 휘장을 패용하며, 막료장에 해당하는 장은 그렇지 않다. 2024년에 창설 예정인 통합사령부의 사령관도 통합막료장과 같은 계급이 될 것으로 보인다.[31] 장은 중장, 장보는 소장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지만, 봉급표에는 장보 (1)와 장보 (2)의 구분이 있어 소장과 준장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1980년대까지는 장관급 장교의 비중이 매우 컸으나, 이후 장의 보직 중 40개를 장보로, 장보의 보직 중 70개를 1좌로 격하하여 비중을 줄였다.[34] 하지만 해상·항공자위대에 비해 육상자위대는 여전히 장관급 장교의 비중이 커서 비판받고 있다.[35][36]
2000년대에는 자위대가 국외 파견을 나가게 되면서 다른 나라 군대와 계급상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생겨 원스타 장군(준장) 창설을 논의하기 시작했다.[37] 다만, 자위대는 사단장 보직을 중장으로 취급하지만 대외적으로는 소장으로 취급하며,[38] 여단장 보직은 소장으로 취급하지만 대외적으로는 준장으로 취급하는 등 외국군과의 인사 균형에 대응한 조치는 이미 취해지고 있다.
3. 3. 좌관급·위관급 장교
좌관급 장교와 위관급 장교는 각각 3계급으로 구성되어 있다.[33] 1좌는 1등육좌·1등해좌·1등공좌, 2좌는 2등육좌·2등해좌·2등공좌, 3좌는 3등육좌·3등해좌·3등공좌이다. 위관급 장교는 1위는 1등육위·1등해위·1등공위, 2위는 2등육위·2등해위·2등공위, 3위는 3등육위·3등해위·3등공위이다.연령 정년은 1좌가 57세, 2좌·3좌가 56세, 위관이 55세이다.[33] 봉급표에는 1좌가 1좌 (1), 1좌 (2), 1좌 (3)으로 구분되어 있다.
| 구분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
|---|---|---|---|---|---|
| 간부 | 좌관급 장교 | 1좌 | 1등육좌 Colonel (COL) | 1등해좌 Captain (CAPT) | 1등공좌 Colonel (Col) |
| 2좌 | 2등육좌 Lieutenant Colonel (LTC) | 2등해좌 Commander (CDR) | 2등공좌 Lieutenant Colonel (LtCol) | ||
| 3좌 | 3등육좌 Major (MAJ) | 3등해좌 Lieutenant Commander (LCDR) | 3등공좌 Major (Maj) | ||
| 간부 | 위관급 장교 | 1위 | 1등육위 Captain (CPT) | 1등해위 Lieutenant (LT) | 1등공위 Captain (Capt) |
| 2위 | 2등육위 First Lieutenant (1LT) | 2등해위 Lieutenant Junior Grade (LTJG) | 2등공위 First Lieutenant (1stLt) | ||
| 3위 | 3등육위 Second Lieutenant (2LT) | 3등해위 Ensign (ENS) | 3등공위 Second Lieutenant (2ndLt) | ||
3. 4. 조·사
준위를 포함한 조는 4계급, 사는 3계급으로 되어 있다. 간부후보생은 3위로 임관하기 전에 조장에 임명되며, 자위관후보생은 교육을 마치면 2사로 임용된다. 조장·1조의 정년은 55세이며, 2조·3조는 53세다. 사는 임기제 대원이기에 정년 규정이 없다.[33]조·사의 실무 능력을 활용하기 위해 최선임하사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육상자위대는 최선임 상급조장 제도, 해상자위대는 선임오장 제도, 항공자위대는 준사관 선임 제도로 명칭이 다르지만, 이는 직무이며 계급은 아니다. 이 외에도 하사관을 활용하고 인사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준위 계급을 폐지하고 상급 조장을 신설하는 문제가 검토되고 있다.[37][40]
| 자위대 | 계급군 | 부사관 | 병 | ||||||
|---|---|---|---|---|---|---|---|---|---|
| 육상자위대 | |||||||||
| 계급 | 陸曹長|육조장일본어 | 1等陸曹|1등 육조일본어 | 2等陸曹|2등 육조일본어 | 3等陸曹|3등 육조일본어 | 陸士長|육사장일본어 | 1等陸士|1등 육사일본어 | 2等陸士|2등 육사일본어 | 自衛官候補生|자위관후보생일본어 | |
| 미군 상당 계급[3] | 상사 | 원사 | 상사 | 병장 | 하사 | 일등병 | 이등병 | 훈련병 | |
| 휘장 | |||||||||
| 해상자위대 | |||||||||
| 계급 | 海曹長|해조장일본어 | 1等海曹|1등 해조일본어 | 2等海曹|2등 해조일본어 | 3等海曹|3등 해조일본어 | 海士長|해사장일본어 | 1等海士|1등 해사일본어 | 2等海士|2등 해사일본어 | 自衛官候補生|자위관후보생일본어 | |
| 미 해군 계급 대응[3] | 상급 수석 부사관 | 수석 부사관 | 일등 부사관 | 이등 부사관 | 삼등 부사관 | 상병 | 이병 | 신병 | |
| 휘장 | |||||||||
| 항공자위대 | |||||||||
| 계급 | 空曹長|공조장일본어 | 1等空曹|1등 공조일본어 | 2等空曹|2등 공조일본어 | 3等空曹|3등 공조일본어 | 空士長|공사장일본어 | 1等空士|1등 공사일본어 | 2等空士|2등 공사일본어 | 自衛官候補生|자위관후보생일본어 | |
| 미 공군 해당 계급[3] | 상급 상사 | 상사 | 기술 상사 | 중사 | 상급 항공병 | 일등 항공병 | 항공병 | 훈련병 | |
| 휘장 | |||||||||
3. 5. 계급표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의 자위관 계급은 자위대법에 따라 각각 육장, 해장, 공장을 최고위 계급으로 하여 16계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급 호칭은 육해공 모두 동일하며 약칭도 장을 제외하면 모두 같지만 계급장은 구분된다. 3위 이상 자위관은 간부로 하며 장과 장보는 최고 간부, 1좌와 2좌는 상급 간부, 3좌와 1위는 중급 간부, 2위와 3위는 초급 간부다. 3위 아래에 준위가 있으며 그 밑에 하사관과 병에 해당하는 조와 사가 있다.[15][16]자위대가 창설될 당시에는 15계급이었지만 1970년 5월 25일에 준위가, 1980년 11월 29일에 조장이 창설됐다. 그러다가 2010년 10월 1일 2사 아래 있던 3사가 폐지되면서 지금의 16계급이 되었다. 2010년 7월에 자위관 후보생이 새롭게 창설됐지만 법률상 자위관에 속하지 않아 계급의 일종은 아니다.[17][18][19]
| 구분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
|---|---|---|---|---|---|
| 간부 | 장관급 장교 | 장 | |||
| 장보 | 육장보 Major General (MG) | 해장보 Rear Admiral (RADM) | 공장보 Major General (MajGen) | ||
| 좌관급 장교 | 1좌 | 1등육좌 Colonel (COL) | 1등해좌 Captain (CAPT) | 1등공좌 Colonel (Col) | |
| 2좌 | 2등육좌 Lieutenant Colonel (LTC) | 2등해좌 Commander (CDR) | 2등공좌 Lieutenant Colonel (LtCol) | ||
| 3좌 | 3등육좌 Major (MAJ) | 3등해좌 Lieutenant Commander (LCDR) | 3등공좌 Major (Maj) | ||
| 위관급 장교 | 1위 | 1등육위 Captain (CPT) | 1등해위 Lieutenant (LT) | 1등공위 Captain (Capt) | |
| 2위 | 2등육위 First Lieutenant (1LT) | 2등해위 Lieutenant Junior Grade (LTJG) | 2등공위 First Lieutenant (1stLt) | ||
| 3위 | 3등육위 Second Lieutenant (2LT) | 3등해위 Ensign (ENS) | 3등공위 Second Lieutenant (2ndLt) | ||
| 준위 | 준육위 Warrant Officer (WO) | 준해위 Warrant Officer (WO) | 준공위 Warrant Officer (WO) | ||
| 조 | 조장 | 육조장 Sergeant Major (SGM) | 해조장 Chief Petty Officer (CPO) | 공조장 Senior Master Sergeant (SMSgt) | |
| 1조 | 1등육조 Master Sergeant (MSG) | 1등해조 Petty Officer 1st Class (PO-1) | 1등공조 Master Sergeant (MSgt) | ||
| 2조 | 2등육조 Sergeant First Class (SFC) | 2등해조 Petty Officer 2nd Class (PO-2) | 2등공조 Technical Sergeant (TSgt) | ||
| 3조 | 3등육조 Sergeant (SGT) | 3등해조 Petty Officer 3rd Class (PO-3) | 3등공조 Staff Sergeant (SSgt) | ||
| 사 | 사장 | 육사장 Leading Private (LPT) | 해사장 Leading Seaman (LS) | 공사장 Senior Airman | |
| 1사 | 1등육사 Private First Class (PFC) | 1등해사 Seaman (SN) | 1등공사 Airman 1nd Class (A1C) | ||
| 2사 | 2등육사 Private (PVT) | 2등해사 Seaman Apprentice (SA) | 2등공사 Airman 2rd Class (A2C) | ||
| 자위관후보생 | Self defence official cadet | ||||
승진을 위해서는 최소 재직 기간을 채워야 하는데, 2사는 6개월, 1좌는 6년 등 계급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근무 평정, 직무상 공로, 순직 등의 특별한 경우에는 최소 재직 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근무 성적이 좋은 자가 퇴직할 때에는 특별 승진도 가능하다. 계급별 정년이 있어 해당 정년에 도달할 때까지 승진하지 못하면 자동 퇴직한다.[20][21][22][23]
예비자위관과 즉응예비자위관에게도 계급이 주어지며, 계급명은 자위대 계급 앞에 '예비' 혹은 '즉응예비'를 붙인다. 훈련 종료 후 계급이 주어지는데, 예비자위관은 예비 1좌 이하, 즉응예비자위관은 즉응예비 2위 이하로 제한된다.[25][26][27][28][29]
계급 표기 시 「자위대법」은 1등, 2등, 3등을 한자로 표시하지만, 「방위성 문서의 형식에 관한 훈령」에 따라 방위성은 공문서에서 자위관 계급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3. 5. 1. 육상자위관
다음은 육상자위관의 계급 및 계급장이다.| 계급 분류 | 장관급 장교 | 좌관급 장교 | 위관급 장교 | |||||||
|---|---|---|---|---|---|---|---|---|---|---|
| 계급 | 幕僚長たる陸将|막료장에 해당하는 육장|Bakuryōchō-taru-rikushō일본어 | 陸将|육장|Rikushō일본어 | 陸将補|육장보|Rikushō-ho일본어 | 1等陸佐|1등육좌|Ittō rikusa일본어 | 2等陸佐|2등육좌|Nitō rikusa일본어 | 3等陸佐|3등육좌|Santō rikusa일본어 | 1等陸尉|1등육위|Ittō rikui일본어 | 2等陸尉|2등육위|Nitō rikui일본어 | 3等陸尉|3등육위|Santō rikui일본어 | 准陸尉|준육위|Jun rikui일본어 |
| 정복 | ||||||||||
| 근무복 | ||||||||||
| 작업복 | ||||||||||
| 미군 대응[3] | 대장 | 중장 | 소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 준위 |
| 계급 분류 | 조 | 사 | ||||||
|---|---|---|---|---|---|---|---|---|
| 계급 | 陸曹長|육조장|Rikusōchō일본어 | 1等陸曹|1등육조|Ittō rikusō일본어 | 2等陸曹|2등육조|Nitō rikusō일본어 | 3等陸曹|3등육조|Santō rikusō일본어 | 陸士長|육사장|Rikushichō일본어 | 1等陸士|1등육사|Ittō rikushi일본어 | 2等陸士|2등육사|Nitō rikushi일본어 | 自衛官候補生|자위관후보생|Jieikan kōhosei일본어 |
| 정복 | ||||||||
| 근무복 | ||||||||
| 작업복 | ||||||||
| 미군 상당 계급[3] | 상사 | 원사 | 상사 | 병장 | 하사 | 일등병 | 이등병 | 훈련병 |
3. 5. 2. 해상자위관
해상자위관의 계급은 크게 장관급 장교, 좌관급 장교, 위관급 장교, 조, 사로 나뉜다. 각 계급별 명칭과 휘장은 다음과 같다.| 계급 분류 | 장관급 장교 | 좌관급 장교 | 위관급 장교 | |||||||
|---|---|---|---|---|---|---|---|---|---|---|
| 계급 | 幕僚長たる海将|Bakuryōchō-taru-kaishō일본어 | 海将|Kaishō일본어 | 海将補|Kaishō-ho일본어 | 1等海佐|Ittō kaisa일본어 | 2等海佐|Nitō kaisa일본어 | 3等海佐|Santō kaisa일본어 | 1等海尉|Ittō kaii일본어 | 2等海尉|Nitō kaii일본어 | 3等海尉|Santō kaii일본어 | 准海尉|Jun kaii일본어 |
| 동정복용 (수장) | ||||||||||
| 근무복 | ||||||||||
| 하정복용 (견장) | ||||||||||
| 작업복 | ||||||||||
| 계급 분류 | 조 | 사 | ||||||
|---|---|---|---|---|---|---|---|---|
| 계급 | 海曹長|Kaisōchō일본어 | 1等海曹|Ittō kaisō일본어 | 2等海曹|Nitō kaisō일본어 | 3等海曹|Santō kaisō일본어 | 海士長|Kaishichō일본어 | 1等海士|Ittō kaishi일본어 | 2等海士|Nitō kaishi일본어 | 自衛官候補生|Jieikan kōhosei일본어 |
| 동정복용 | ||||||||
| 근무복 | ||||||||
| 하정복용 | ||||||||
| 작업복 | ||||||||
3. 5. 3. 항공자위관
| 계급 분류 | 장관급 장교 | 좌관급 장교 | 위관급 장교 | |||||||
|---|---|---|---|---|---|---|---|---|---|---|
| 계급 | 막료장에 해당하는 공장 | 공장 | 공장보 | 1등공좌 | 2등공좌 | 3등공좌 | 1등공위 | 2등공위 | 3등공위 | 준공위 |
| 정복 | ||||||||||
| 근무복 | ||||||||||
| 작업복 | ||||||||||
| 계급 분류 | 조 | 사 | ||||||
|---|---|---|---|---|---|---|---|---|
| 계급 | 공조장 | 1등공조 | 2등공조 | 3등공조 | 공사장 | 1등공사 | 2등공사 | 자위관후보생 |
| 정복 | ||||||||
| 근무복 | ||||||||
| 작업복 | ||||||||
참조
[1]
서적
http://www.clearing.[...]
Japanese Defense Agency
2004-01-01
[2]
웹사이트
自衛官の階級
https://www.mod.go.j[...]
[3]
서적
Japan: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992-01-01
[4]
웹사이트
階級章
https://www.mod.go.j[...]
[5]
웹사이트
Rank of Insignias
https://www.yokota.a[...]
Yokota Air Base
[6]
간행물
パンツァー 1998年4月号
アルゴノート社
[7]
간행물
海上自衛隊の50年
海人社
[8]
참고자료
Keibikan's cuff insignia
[9]
법률
警察予備隊令施行令
1950-01-01
[10]
간행물
パンツァー 1998年4月号
株式会社アルゴノート
[11]
법률
保安庁法
1952-07-31
[12]
논문
朝鮮戦争と警察予備隊:米極東軍日本の防衛力形成に及ぼした影響について
2006-01-01
[13]
법률
海上保安庁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1952-04-26
[14]
간행물
海上自衛隊の50年
[15]
법률
自衛隊法
[16]
법률
自衛隊法
[17]
법률
防衛庁設置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1970-05-25
[18]
법률
防衛庁設置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1980-11-29
[19]
법률
防衛省設置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2009-06-03
[20]
법률
自衛隊法施行規則
[21]
훈령
自衛官の昇任に関する訓令
http://www.clearing.[...]
[22]
훈령
自衛官の特別昇任の選考基準
http://www.clearing.[...]
[23]
훈령
3曹への特別昇任の選考基準
http://www.clearing.[...]
[24]
서적
安保法制の落とし穴
ビジネス社
[25]
법률
自衛隊法
[26]
웹사이트
予備自衛官制度
https://www.mod.go.j[...]
2023-11-04
[27]
웹사이트
予備自衛官制度
https://www.mod.go.j[...]
2023-11-04
[28]
웹사이트
予備自衛官制度
https://www.mod.go.j[...]
2023-11-04
[29]
웹사이트
即応予備自衛官制度
https://www.mod.go.j[...]
2023-11-04
[30]
웹사이트
平成16年防衛白書
http://www.clearing.[...]
[31]
잡지
市ヶ谷レーダーサイト
2023-03-01
[32]
뉴스
海自地方総監再編 大湊、舞鶴の廃止検討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33]
법률
自衛隊法施行令
[34]
백서
自衛隊の体質改善のための諸施策
1986-01-01
[35]
웹사이트
将官ポストが多すぎる陸自~防衛費を削減しながら戦力増強する方法~
https://japan-indept[...]
NEXT MEDIA "Japan In-depth"
2015-03-11
[36]
블로그
「師団と旅団が多すぎる」
http://schmidametall[...]
隅田金属日誌(墨田金属日誌)
2013-06-14
[37]
웹사이트
防衛力の人的側面についての抜本的改革報告書
https://web.archive.[...]
防衛省
2007-06-28
[38]
웹사이트
Major general/brunet editorial images
https://www.shutters[...]
[39]
기타
[40]
웹사이트
平成23年度概算要求の概要
https://web.archive.[...]
防衛省
[41]
웹사이트
自衛官の階級
https://www.mod.go.j[...]
防衛省
[42]
간행물
2023年英語版防衛白書
https://www.mod.go.j[...]
防衛省
2023
[43]
기타
[44]
사전
新和英大辞典
http://kod.kenkyusha[...]
研究社
[45]
웹사이트
猪瀬直樹の「眼からウロコ」 しがらみに捉われなければ正しい答が出せる
https://web.archive.[...]
日経BP
[46]
웹사이트
自衛隊及び各国軍隊の定年年齢(参考15)
https://www.kantei.g[...]
防衛省改革会議
[47]
웹사이트
階級章 海上自衛隊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48]
웹사이트
階級章(アメリカ空軍及び航空自衛隊)
http://www.yokota.af[...]
アメリカ空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