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현철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현철해는 1934년 중국 지린성 옌지시에서 출생하여 한국 전쟁 당시 김일성의 경호원으로 복무했다. 그는 만경대혁명학원과 김책공업종합대학을 졸업하고 루마니아에서 유학했다. 1968년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임명된 이후, 인민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 국방위원회 국장 등을 역임하며 군부 내 핵심 인물로 성장했다. 김정일 시대에는 측근으로 활동하며 김정은의 후계 구축에 기여했고, 2016년에는 인민군 원수로 승진했다. 2022년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으며, 김정은이 직접 장례를 주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원수 - 리병철 (정치인)
    리병철은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인민군 원수를 역임하며 공군사령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정치국원 등을 지냈고 탄도미사일 개발에 관여했으며 국무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정치국 상무위원직에서 해임 후 복귀하여 활동하고 있다.
  • 조선인민군 원수 - 오진우
    오진우는 1930년대 항일 유격대 활동을 시작으로 조선인민군 창설과 한국 전쟁에 참여한 후 북한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 사후 김정일의 후계 체제 확립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함께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과 랑군 폭탄 테러 등에 연루되어 비판받기도 한다.
  • 만경대혁명학원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만경대혁명학원 동문 - 오극렬
    오극렬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핵심 요직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 및 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불법 활동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현철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원수
이름현철해
한자 표기玄哲海
로마자 표기Hyeon Cheolhae
출생일1934년 8월 13일
출생지만주국 지린성 옌지시
사망일2022년 5월 19일
사망지평양직할시 봉화진료소
안장 장소애국렬사릉
소속조선인민군
최종 계급조선인민군 원수
정당조선로동당
학력만경대혁명학원
김책공업대학
니콜라에 벌체스쿠 육군사관학교
경력
직책조선인민군 총정치국 부국장
국방위원회 국장
당 중앙위 위원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
임기 시작1986년
임기 종료1995년
상관김정일
참전 전투한국 전쟁
가족
친척현철규 (전 함경남도 당 책임비서)

2. 초기 생애 및 경력

현철해는 만경대혁명학원김책공대를 졸업하고, 루마니아에 유학하여 루마니아공학대학을 졸업했다.[27] 1968년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인민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에 올랐으나, 곧 인민군 대좌로 강등되었다. 1970년 6월 인민군 소장으로 4군단 정치부장에 재기용되었으며, 1975년 이후 후방군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27]

2. 1. 출생 및 성장

현철해는 1934년 8월 13일 만주국 길림성 연길시에서 태어났다.[2] 김일성이 지휘한 조선인민혁명군 군인의 아들이었다.[12]

한국 전쟁 당시, 현철해는 김일성의 경호원으로 근무했다.[3] 김책공업종합대학과 해외 유학 과정을 마친 후, 1968년대 초 인민군에 복귀했다.[13]

2. 2. 한국 전쟁 참전과 김일성 경호

현철해는 1934년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연길현에서 태어났다.[27] 한국전쟁 당시 김일성의 경호원으로 근무했으며, 친위중대 소속이었다. 이는 그에게 "북한 혁명사에서의 위치"를 제공했다.[3] 만경대혁명학원, 김책공대를 졸업했으며, 루마니아에 유학하여 루마니아공학대학을 졸업했다.

2. 3. 군사 교육 및 초기 군 경력

현철해는 1934년 중국 길림성 연길현(옛 만주국 길림성 연길현)[27][12]에서 태어났다. 한국전쟁 당시 김일성의 경호원으로 근무했으며,[3] 친위중대 소속이었다.[13] 만경대혁명학원김책공대를 졸업하고, 루마니아에 유학하여 루마니아공학대학을 졸업했다.[27]

김책공대와 해외 유학 과정을 마친 현철해는 당 중앙위원회와 지방 당 조직에서 활동한 후 1968년대 초 인민군에 복귀했다.[13] 1968년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인민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에 올랐으나 곧이어 인민군 대좌로 강등되었다. 1970년 6월 인민군 소장으로 4군단 정치부장에 재기용되었으며, 1975년 이후 후방군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27]

3. 조선인민군 핵심 간부로의 승진

현철해는 1934년 중국 길림성 연길현(옛 만주국 길림성 연길현)[27][12]에서 태어나 한국전쟁 당시 김일성 호위중대 호위병으로 근무했다.[2] 만경대혁명학원, 김책공대를 졸업하고 루마니아에 유학하여 루마니아공학대학을 졸업했다. 김책공대와 해외 유학 과정을 마친 현철해는 중앙위원회와 지방 당 조직에서 활동했다.[13]

이후 조선인민군 핵심 간부로 승진하여, 인민무력부 및 총정치국 요직을 역임하고, 당 중앙위원회에 진출하였으며, 국방위원회에서도 활동하였다.

3. 1. 인민무력부 및 총정치국 요직 역임

현철해는 1968년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인민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에 올랐으나 곧이어 인민군 대좌로 강등되었다.[27] 1970년 6월 인민군 소장으로 4군단 정치부장에 재기용되었으며, 1975년 이후 후방군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86년 인민군 중장으로 승진하여 인민무력부 후방총국장에 기용되었고,[28] 1995년 9월에는 조선인민군 후방총국장에 임명되었다.[15] 같은 해 10월 8일, 인민군 최고사령관 명령에 따라 대장으로 승진했다.[16] 이후 인민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에 임명되었다.[28]

1991년 12월 당 중앙위 후보위원에 올랐다. 1993년 12월에는 조선로동당 제6기 당중앙위원회 제21차 총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14] 인민군 총정치국 상무부국장을 거쳐 2010년 5월 이후 국방위원회 국장을 맡았다.[28] 조선인민군총정치국 부국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총무국장을 거쳤다.[18]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다. 2012년 4월 11일 열린 조선로동당 제4차당대표자회에서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 겸 후방총국장,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29] 같은 해 4월 7일, 당 중앙군사위원회 및 국방위원회의 공동 결정에 따라 차수로 승진했다.[18][19] 4월 13일에는 제4차 당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및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20]

2013년 5월,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에서 물러났다.[30] 해임 사유는 고령에 따른 건강 문제로 추정되었으며, 후임은 전창복이다.[21]

3. 2. 당 중앙위원회 진출

1991년 1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올랐다. 1993년 12월 조선로동당 제6기 당중앙위원회 제21차 총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14]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으며, 2012년 4월 11일 열린 조선로동당 제4차당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29] 199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었다.

2016년 5월에 개최된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에서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동 당 중앙군사위원회 명부에 게재되지 않아 정치국원과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직에서 물러난 것이 확인되었다.[24]

3. 3. 국방위원회 활동

현철해는 국방위원회 국장을 역임했다.[28] 2010년 5월 이후 국방위원회 국장을 맡았으며, 그전에는 인민군 총정치국 상무부국장을 거쳤다.[28]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국방위원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고도 한다.[3]

4. 김정일, 김정은 시대의 활동

현철해는 김정일, 김정은 시대에 걸쳐 군부의 핵심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1995년 10월 인민군 대장으로 승진하여 인민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에 임명되었으며, 인민군 총정치국 상무부국장을 거쳐 2010년 5월 이후 국방위원회 국장을 맡았다.[28] 2010년 9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다.

2012년 4월 11일 조선로동당 제4차당대표자회에서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 겸 후방총국장,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으나,[29] 2013년 5월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직에서 물러났다.[30]

2014년 3월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는 재선되지 않았다. 2016년 4월 14일, 당 중앙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 및 국방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리을설 사후 공석이었던 인민군 원수로 승진했다.[22][23][17] 그러나 2016년 5월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에서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및 당 중앙군사위원회 명단에 포함되지 않아, 해당 직책에서 물러난 것으로 확인되었다.[24]

2022년 5월 19일 9시 다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11] 김정은은 현철해의 위독 상태와 임종을 함께하며 침통해했고, 병상의 심전도가 수평선이 되어가는 모습, 현철해의 사진을 보며 눈물을 흘리는 모습 등이 기록 영화에 담겨 조선중앙텔레비전을 통해 6월에 방송되었다. [25] 5월 22일 4·25문화회관에서 고별식이 거행되었고, 발인 시에는 장례위원장인 김정은이 직접 관을 운구했다.[11][26] 이 기록영화에는 소년 시절 김정은과 함께 찍은 기념사진도 소개되어 두 사람의 깊은 관계를 보여주었다.[25]

4. 1. 김정일 측근 활동

현철해는 한국 전쟁 당시 김일성의 경호원으로 근무했으며, 이는 그에게 "북한 혁명사에서의 위치"를 제공했다.[3]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군수국 국장을 역임했고, 이후 총정치국 부국장으로 임명되어 북한 군부와 정치 지도부의 최고위급 인사 중 한 명이 되었다.[3] 그는 김정일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그에게 직접 보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 2008년에는 김정일 총비서를 가장 많이 수행(32회)했으며, 리명수, 박재경과 함께 해외에서 “3인조”로 불릴 정도의 중진이었다.[17]

김정일 사망 후에는 국가를 이끄는 군사평의회에 참여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3] 그는 국방위원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199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었다.

김정일의 차남인 김정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2008년 8월 이후 김정일의 중병설이 퍼지는 가운데, 만약 3대 세습이 이루어진다면 김정철의 후원자가 될 것이라고 여겨졌다. 또한 김정은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다고 알려진다.[17]

4. 2. 김정은 후계 구축 기여

현철해는 김정일의 신임을 받는 군부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김정은의 후계 구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김정일은 현철해에게 자신의 후계자인 김정은의 양육을 맡겼으며, 현철해는 김정은의 "정치적" 멘토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다.[4] 2000년대 후반, 현철해는 김정은을 수행하는 모습이 사진과 텔레비전 영상을 통해 자주 포착되었다.[4]

2008년에는 김정일 총비서를 가장 많이 수행(32회)한 인물로, 리명수, 박재경과 함께 해외에서 “3인조”로 불릴 정도로 핵심 중진이었다.[17] 김정일의 차남인 김정철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김정일의 건강 이상설이 돌던 2008년 8월 이후에는 김정철의 후원자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김정은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7]

2012년 4월, 현철해는 조선인민군 차수로 승진하고,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 겸 군 총참모부 군수국 국장 등 요직에 임명되었다.[5]

2016년 4월 15일에는 조선인민군 원수 계급으로 승진하였는데, 이는 21년 만에 현역 장교로서 두 차례 승진한 다섯 번째 사례였다.[5][6]

4. 3. 김정은 시대의 군부 요직 역임

현철해는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김정일은 현철해에게 김정은의 후계자 양육을 위임했고, 현철해는 김정은의 "정치적" 멘토 역할을 수행했다.[4] 2000년대 후반, 현철해는 김정은과 함께 사진 및 텔레비전 영상에 자주 등장하며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했다.[4]

2012년 4월, 현철해는 차수로 승진하고, 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인민무력부 제1부상 겸 군 총참모부 군수국 국장 등 요직에 임명되었다.[5]

2013년 5월, 현철해는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직에서 물러났으며, 후임은 전창복이 맡았다.[30]

2016년 4월 15일, 현철해는 조선인민군 원수 계급으로 승진했다. 이는 21년 만에 현역 장교로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두 차례 승진 중 하나였다.[5][6]

5. 사망과 장례

현철해는 2022년 5월 19일 평양 봉화진료소에서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북한은 그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렀으며, 시신은 4·25문화회관에 안치되었다. 김정은은 직접 운구에 참여하고 애국렬사릉에 안장하는 등 각별한 예우를 표했다.[8]

북한 매체들은 김정은의 통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한 현철해의 공적을 부각하며, 그를 "주체혁명의 산물이자 뛰어난 혁명가, 노련한 군사 정치가"로 칭송했다. 또한, 그의 사망 직후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는 추모 다큐멘터리를 방영하여 애도 분위기를 조성했다.[9]

5. 1.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

현철해는 2022년 5월 19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31] 같은 날, 평양의 봉화진료소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7] 국장이 치러져 4·25문화회관에 안치되었다. 김정은은 직접 그의 관을 운구하고 애국렬사릉에 묻었다.[8] 북한 매체는 김정은의 통치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한 그의 공적을 미화하며, 김정은의 계승 준비 과정에서 "주체혁명의 산물이자 뛰어난 혁명가이자 노련한 군사 정치가"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의 사망 후 며칠 만에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추모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9]

로동신문은 2022년 5월 19일 9시에 현철해가 다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11] 김정은은 위독 상태 및 임종 시에 함께하며 침통한 표정으로 임종을 지켜보았고, 병상의 심전도가 수평선이 되어가는 모습, 김정은이 현철해의 사진을 보고 눈물을 흘리는 모습 등이 기록 영화에 담겼다.[25] 5월 22일 4·25문화회관에서 고별식이 거행되었고, 발인 시에는 장례위원장인 김정은이 직접 관을 들었다.[11][26] 6월에는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소년 시절 김정은과 함께 찍은 기념사진 등을 소개하며 두 사람의 깊은 관계를 강조한 기록영화가 방송되었다.[25]

5. 2. 김정은 주관 국장 거행

2022년 5월 19일, 현철해는 평양의 봉화진료소에서 다장기부전(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그는 국장을 치렀으며 4·25문화회관에 안치되었다. 김정은은 직접 그의 관을 운구하고 애국열사릉에 그의 무덤에 흙을 덮었다.[8] 김정은의 통치를 공고히 하는 데 대한 그의 공적은 북한 매체에서 미화되어, 김정은의 계승 준비 과정에서 "주체혁명의 산물이자 뛰어난 혁명가이자 노련한 군사 정치가"로서의 역할을 증명하고 있다. 그의 명예를 기리는 다큐멘터리가 그의 사망 후 며칠 만에 조선중앙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다.[9]

5월 22일 4·25문화회관에서 고별식이 거행되었고, 발인 시에는 장례위원장을 맡은 김정은도 관을 들었다.[11][26] 조선중앙텔레비전에서 6월에 방송된 기록영화에는 소년 시절 김정은과 함께 찍은 기념사진도 소개되는 등 두 사람의 깊은 관계가 강조되었다.[25]

6. 수상 내역

현철해는 2012년 2월에 김정일훈장을 받았다.[10] 김정일의 장례식 때 전시된 훈장들을 통해 그가 받은 모든 훈장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10]

훈장
김일성 훈장
--
국기훈장 제1급
(7회)
자유독립훈장 제1급
(4회)
로력훈장
(3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20주년 기념 훈장
(4회)
조선인민군 창건 기념 훈장
(2회)
조국해방전쟁 승리 60주년 기념 훈장
조선인민군 창건 60주년 기념 훈장
군사복무영예훈장 제1급
(2회)
농촌테제 발표 30주년 기념 훈장
국기훈장 제2급
(3회)
조국해방전쟁 승리 40주년 기념 훈장
국기훈장 제3급
기타 훈장


7. 기타

현철해는 김일성(1994년), 오진우(1995년), 연형묵(2005년), 조명록(2010년), 김정일(2011년) 사망 당시에 국가 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현철해(남성) https://nkinfo.uniko[...] 2022-09-07
[2] 웹사이트 현철해동지의 략력 http://www.rodong.re[...] 2022-09-07
[3] 뉴스 Who will succeed N Korea's Kim Jong-il? http://news.bbc.co.u[...] BBC 2009-01-16
[4] 웹사이트 Why Kim Jong Un is paying unprecedented tribute to a late military official https://www.nknews.o[...] 2023-05-22
[5] 웹사이트 Why Kim Jong Un likely won't be appointing any new Vice-Marshals any time soon https://www.nknews.o[...] 2020-03-27
[6] 웹사이트 Gen. Hyon Chol Hae http://www.nkleaders[...] 2018-02-24
[7] 뉴스 고 현철해동지의 국가장의위원회에서 http://kcna.kp/kp/ar[...] 2022-05-20
[8] 뉴스 Kim, other N. Koreans attend large funeral amid COVID worry https://apnews.com/a[...] 2022-05-22
[9] 뉴스 "정은이도 현철해 동지 잊은적 없습니다"…北, 현철해 기록영화 https://www.yna.co.k[...] 2024-05-20
[10] Youtube [KCTV]State Funeral of Marshal of the Korean People's Army Hyon Chol Hae https://www.youtube.[...] 2023-01-09
[11] 웹사이트 北朝鮮 新たに26万人余の発熱症状 拡大に歯止めかからず https://www3.nhk.or.[...] NHK 2022-05-20
[12] 웹사이트 현철해동지의 략력 http://www.rodong.re[...] 労働新聞 2022-07-17
[13] 웹사이트 玄哲海氏が死去 http://www.kcna.kp/j[...] 2022-08-27
[14] 논문 目標未達成で終了した第3次7カ年計画 : 1993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994
[15] 논문 軍の世代交代進展 : 1995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996
[16] 논문 軍の世代交代進展 : 1995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996
[17] 웹사이트 金正日時代「3人組」 5人目の北朝鮮元帥・玄哲海氏死去 https://www3.nhk.or.[...] 2022-05-20
[18] 뉴스 朝鮮向崔龍海和玄哲海授予人民軍次帥軍銜 http://www.chinanews[...] 中国新聞網 2012-04-11
[19] 뉴스 <北朝鮮>大抜擢された崔龍海とは何者か? http://www.asiapress[...] アジアプレス 2012-04-12
[20] 뉴스 朝鮮労働党第4回代表者会議が行われる http://naenara.com.k[...] ネナラ 2012-04-12
[21] 뉴스 北朝鮮 人民武力部第1副部長も交代=全昌復氏 http://japanese.yonh[...] 聨合ニュース 2013-05-17
[22] 뉴스 北朝鮮の李明秀総参謀長、大将から次帥に昇進 https://japanese.joi[...] 2016-04-16
[23] 뉴스 北朝鮮、軍長老格に元帥称号授与 金正恩氏側近の総参謀長には軍次帥 https://web.archive.[...] 2016-04-15
[24] 웹사이트 朝鮮勞動黨19人政治局委員名單出爐 https://megalodon.jp[...] 大公網 2016-05-10
[25] 뉴스 金正恩氏の少年時代、写真公開 軍重鎮の記録映画で https://www.sankei.c[...] 2022-06-13
[26] 뉴스 玄哲海氏の死に涙を抑えきれなかった金正恩氏、棺も直接も担いだ https://japanese.joi[...] 2022-05-23
[27] 웹인용 [노동신문] 현철해동지의 서거에 대한 부고 http://minzokilbo.co[...] 2022-05-20
[28] 웹인용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주요 인물 정보 http://unibook.uniko[...]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2012-01-02
[29] 뉴스인용 북 주석단 서열 공개, 김경희.장성택 부상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2-04-18
[30] 뉴스인용 北,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 전창복으로 교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5-17
[31] 뉴스인용 북 김정은, '후계 스승' 현철해 묘소에 직접 참배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5-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