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틸럿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틸럿슨은 17세기의 저명한 영국 성공회 성직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였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청교도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나, 관용주의적 성향을 보였다. 틸럿슨은 링컨 법학원 설교자, 캔터베리 대성당 학장 등을 거쳐 1691년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잉글랜드 교회의 개혁을 시도하고, 비국교도와의 화해를 위해 노력했으나, 자코바이트들의 반발에 직면하기도 했다. 틸럿슨은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신학적 입장을 밝혔으며, 사후에는 그의 설교집이 출판되어 그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4년 사망 - 메리 2세
메리 2세는 1662년에 태어나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윌리엄 3세와 함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공동 통치했으며,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 통과를 통해 왕권 제한과 의회 권한 강화를 이끌었다. - 1694년 사망 - 마쓰오 바쇼
마쓰오 바쇼는 에도 시대 일본의 하이쿠 거장이자 시인으로, 자연과 여정을 담은 작품과 '가루미' 미학을 추구하며 하이쿠의 새로운 경지를 열어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30년 출생 - 가이바라 에키켄
가이바라 에키켄은 에도 시대의 유학자이자 본초학자로서, 주자학을 강의하고 조선 통신사 대응 등 중책을 맡았으며, 《징비록》 등을 일본에 소개하여 임진왜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60부 27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 1630년 출생 - 헨드릭 하멜
헨드릭 하멜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선원으로, 제주도 표류 후 13년간 조선에 억류된 경험을 바탕으로 하멜 표류기를 통해 조선의 모습과 풍습을 유럽에 상세히 소개하여 네덜란드와 대한민국 간의 교류에 기여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동문 - 조너선 스펜스
조너선 스펜스는 1936년 영국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영국의 중국사 연구 권위자이며, 예일대학교에서 40년 이상 강의하며 《현대 중국을 찾아서》 등 중국 관련 저서를 집필하고 미국역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동문 - 앤드루 와일스
앤드루 와일스는 1953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며, 1995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여 수학계에 기여했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존 틸럿슨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캔터베리 대주교 |
재임 시작 | 1691년 4월 |
재임 종료 | 1694년 11월 22일 |
이전 | 윌리엄 샌크로프트 |
이후 | 토머스 테니슨 |
출생 | 1630년 10월 |
출생지 | 소워비, 요크셔, 잉글랜드 |
사망 | 1694년 11월 22일 (향년 64세) |
국적 | 잉글랜드 |
종교 | 성공회 신자 |
출신 학교 | 클레어 칼리지, 케임브리지 |
![]() | |
상세 정보 |
2. 초기 생애와 교육
존 틸럿슨은 요크셔주에서 태어나 콜른 문법 학교에서 초기 교육을 받았고,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2. 1. 출생과 가정 환경
1630년 요크셔주 소어비의 하우헨드에서 청교도 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 콜른 문법 학교에서 공부했다.2. 2.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
콜른 문법 학교에서 공부한 후, 164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홀에 연금 수혜자로 입학했다. 그의 지도 교수는 데이비드 클락슨이었다. 1650년에 졸업했으며, 이듬해인 1651년에는 클레어 홀의 펠로우가 되었다.3. 성직 활동
존 틸럿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성직에 입문한 후, 점차 잉글랜드 교회 내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초기에는 장로교 입장을 따랐으나 1662년 통일법 이후 국교회에 순응했으며, 허트퍼드셔주와 서퍽주에서 교구 사제 및 목사로 활동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이 시기 그는 성경과 교부학 연구에 몰두하며 실용적인 도덕을 강조하는 설교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1664년 링컨 법학원 설교자로 임명된 것을 계기로 런던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캔터베리 대성당 학장(1672년)과 왕립학회 회원(1672년)이 되는 등 학문적, 종교적 영향력을 넓혀갔다. 그는 당대의 주요 정치적 사건에도 관여했으며, 특히 윌리엄 러셀 경의 처형에 입회하고 이후 앤 공주에게 조언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도 행사했다. 또한 가톨릭교회의 실체변화설을 비판하는 저술을 통해 종교 논쟁에도 적극 참여했다.
틸럿슨은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깊은 신임을 받아 1689년 왕의 궁정 사제가 되었고, 비국교도와의 화해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윌리엄 샌크로프트 대주교가 정직된 후 그의 권한을 대행했으며, 결국 1691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대주교로서 그는 소치니 논쟁에 참여하고 잉글랜드 교회의 폐단, 특히 성직자 부재 문제를 개혁하려 했으나, 이러한 시도는 상당한 반발에 부딪혔으며 자코바이트들의 지속적인 비난을 받았다. 그는 1694년 사망했으며, 사후 그의 설교집은 널리 읽히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1] 그의 신학적 입장은 관용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에 가까웠으며, 이성과 실용적 도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3. 1. 서품과 초기 경력
164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클레어 홀에 입학하기 전에는 콜른 문법 학교에서 공부했다. 대학 시절 튜터는 데이비드 클락슨이었으며, 1650년에 졸업하고 1651년에는 클레어 홀의 펠로우가 되었다.1656년 틸럿슨은 올리버 크롬웰 정부의 법무 장관이었던 에드먼드 프라이도의 아들을 가르치는 튜터가 되었다. 1661년경에는 스코틀랜드 주교 토마스 시드서프에 의해 특별한 서약 없이 서품을 받았다. 같은 해 런던에서 열린 사보이 회의에 참석했으며, 1662년 통일법이 통과되기 전까지는 장로교 입장을 따랐다. 통일법 통과 직후 허트퍼드셔주 체션트의 교구 사제가 되었고, 1663년 6월에는 서퍽주 케딩턴의 목사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 틸럿슨은 성경과 교부학 연구에 몰두했으며, 특히 바실과 크리소스토모스의 저작을 깊이 연구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의 학장이었던 존 윌킨스의 영향과 더불어 이러한 연구는 그의 설교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설교는 신학적 논쟁보다는 실용적인 도덕과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였다.
1664년에는 링컨 법학원의 설교자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올리버 크롬웰의 조카인 엘리자베스 프렌치와 결혼했다. 또한 런던의 세인트 로렌스 주리에서 화요일 강사직을 맡기도 했다. 1663년에는 "종교적인 지혜"에 관한 설교를 발표했으며, 1666년에는 가톨릭 사제 존 서전트의 주장에 반박하는 "신앙의 규칙"이라는 소책자를 출판했다. 같은 해 신학 박사(D.D.) 학위를 취득했다.
3. 2. 링컨 법학원 설교자 및 런던에서의 활동

1670년 존 틸럿슨은 성직록 보유자가 되었으며, 1672년에는 캔터베리 대성당 학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그는 런던의 저명한 학술 단체인 왕립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학문적 영향력을 넓혀갔는데, 1675년에는 존 윌킨스의 저서 ''자연 종교의 원리''의 미완성 부분을 완성하여 편집했고, 1682년에는 윌킨스의 설교집을 편집하여 출간했다.
틸럿슨은 당대의 주요 정치적 사건에도 관여했다. 1683년, 그는 버넷과 함께 윌리엄 러셀 경의 처형에 입회했다. 이후 러셀 경의 부인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를 통해 앤 공주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앤 공주는 윌리엄 3세에게 왕위를 양보하는 문제에 대해 틸럿슨의 조언을 따랐다. 1684년에는 가톨릭의 핵심 교리 중 하나인 실체변화설을 반박하는 ''실체변화설 반대 담론''을 저술하여 종교 논쟁에도 참여했다.
틸럿슨은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로부터 특별한 신임을 받았으며, 1689년 3월에는 왕의 궁정 사제로 임명되었다. 그는 왕에게 비국교도와의 화해를 위한 종교 위원회 설립을 조언하는 등 종교적 관용을 증진시키려 노력했다. 같은 해 8월, 그는 샌크로프트 대주교가 정직된 기간 동안 캔터베리 대주교의 관할권을 행사하도록 캔터베리 대성당 수도회로부터 위임받았으며, 비슷한 시기에 런던의 세인트 폴 대성당 학장으로도 임명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틸럿슨은 샌크로프트의 후임으로 캔터베리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이 직책을 매우 부담스러워하여 수락을 망설였고, 그의 요청에 따라 공식적인 임명은 1691년 4월까지 연기되었다. 대주교가 된 후에도 그는 신학적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693년에는 소치니 논쟁과 관련된 네 편의 강연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토마스 퍼민, 스티븐 나이 등과의 관계로 인해 제기되었던 소치니주의 동조 혐의를 일부 해명하고자 했다.
틸럿슨은 잉글랜드 교회의 폐단, 특히 성직자들이 자신의 교구에 거주하지 않는 문제를 개혁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 노력은 많은 반발을 샀으며, 특히 제임스 2세를 지지하는 자코바이트들은 이를 빌미로 그의 말년까지 비난과 모욕을 가했다. 그는 1694년 11월 22일에 사망했다.
사후 그의 미망인은 그가 남긴 설교 원고들을 출판사에 넘기고 2500 기니를 받았다. 랄프 바커는 250편의 설교와 "신앙의 규칙"을 모아 1695년부터 1704년까지 편집하여 출간했다. 1752년에는 토마스 버치가 틸럿슨의 원본 서류와 편지를 바탕으로 쓴 전기를 포함한 3권짜리 전집이 출판되었으며, 이후에도 그의 설교와 저작에서 발췌한 다양한 선집들이 출판되었다.[1] 그의 저작들은 1980년대에 AMS Press에서 현대판으로 다시 출간되기도 했다. 그의 고향인 소워비의 세인트 피터 교회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으며, 마을에는 그를 기리는 길이 남아 있다.
틸럿슨은 런던 시의 잉글랜드 은행 바로 서쪽에 위치한 세인트 로렌스 주리 교회에 묻혔다. 미국의 정치인 토마스 틸럿슨은 그의 증손자였다.
3. 3. 신학적 입장과 논쟁
틸럿슨은 성경과 교부학 저술가들, 특히 바실과 크리소스토무스를 깊이 연구하며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다졌다.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학장이었던 존 윌킨스의 영향으로 그의 설교는 신학 이론보다는 실용적인 내용과 개인의 도덕 문제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평이한 설교 스타일은 17세기 말, 개신교 신학에서 이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던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한다.틸럿슨은 가톨릭에 대해 개인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보였으며, 한 유명한 설교에서는 교황주의를 "심각한 미신"이라고 비판하면서도 "교황주의자들도 다른 사람들처럼 만들어졌다고 의심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그는 실제로 "케임브리지 아르미니우스주의"라고도 알려진 관용주의자였으며, 아르미니우스주의 견해를 받아들였다.
그는 무신론과 가톨릭에 맞서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663년에는 "종교적인 지혜"에 대한 설교를 발표했고, 1666년에는 존 서전트의 ''기독교의 확실한 기반''에 반박하는 "신앙의 규칙"이라는 소책자를 출간했다. 같은 해 그는 신학 박사(D.D.) 학위를 받았다.
4. 캔터베리 대주교
1691년 4월, 윌리엄 샌크로프트의 후임으로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되었다. 그는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신임을 바탕으로 이 자리에 올랐으나, 처음에는 임명을 주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주교로서 틸럿슨은 잉글랜드 교회 내의 개혁, 특히 성직자의 비거주 문제 해결을 시도했으며, 비국교도와의 화해를 추진하는 등 당시로서는 비교적 온건하고 개방적인 종교 정책을 펼치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 시도는 자코바이트와 같은 보수 세력의 반발과 비난에 부딪히기도 했다.
1693년에는 과거 소치니주의에 동조했다는 의혹을 해명하기 위해 관련 강연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는 1694년 11월 22일에 사망했으며,[1] 런던의 세인트 로렌스 주리 교회에 묻혔다. 그의 설교 등 저작들은 사후에 편집되어 출판되었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4. 1. 임명 과정과 배경
1670년에 그는 성직록을 받았고, 1672년에는 캔터베리 대성당 학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왕립학회 회원이 되었다. 1675년에는 존 윌킨스의 ''자연 종교의 원리''를 편집하여 미완성된 부분을 완성했고, 1682년에는 그의 설교집을 편집했다. 버넷과 함께 틸럿슨은 1683년 윌리엄 러셀 경의 처형에 입회했다. 1684년에는 ''실체변화설 반대 담론''을 저술했다. 이후 러셀 부인과 친분을 맺었으며, 그녀의 도움으로 앤 공주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앤 공주는 윌리엄 3세에게 왕위를 넘기는 문제에 대해 그의 조언을 따랐다. 그는 윌리엄과 메리에게 특별한 신임을 얻어, 1689년 3월 왕의 궁정 사제로 임명되었다.그의 조언에 따라 왕은 비국교도와의 화해를 위한 종교 위원회를 임명했다. 같은 해 8월, 그는 샌크로프트 대주교가 정직된 동안 캔터베리 관구의 대주교 관할권을 행사하도록 캔터베리 대성당의 수도회로부터 임명받았다. 거의 같은 시기에 세인트 폴 대성당 학장으로도 임명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샌크로프트의 후임 대주교로 선출되었으나, 처음에는 이 자리를 매우 꺼려하며 수락을 미루었다. 결국 그의 요청에 따라 임명은 1691년 4월까지 연기된 후 이루어졌다.
4. 2. 종교 정책과 활동
윌리엄과 메리에게 특별한 신임을 받아 1689년 3월 왕의 궁정 사제로 임명되었다. 그는 왕에게 조언하여 비국교도와의 화해를 위한 종교 위원회를 임명하도록 이끌었다. 같은 해 8월, 윌리엄 샌크로프트 대주교가 정직된 기간 동안 캔터베리 대성당의 수도회로부터 캔터베리 대주교의 관할권을 행사하도록 임명받았으며, 비슷한 시기에 세인트 폴 대성당 학장으로도 임명되었다.이후 샌크로프트의 후임 대주교로 선출되었으나, 틸럿슨 본인은 이 자리를 매우 꺼려하여 그의 요청으로 1691년 4월까지 임명이 연기되었다. 대주교가 된 후, 그는 잉글랜드 교회 내의 문제점, 특히 성직자들이 자신의 교구에 거주하지 않는 비거주 문제를 개혁하고자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 시도는 많은 반발을 샀으며, 자코바이트들은 이를 이용하여 그의 생애 말년까지 그를 비난하고 모욕했다.
한편, 1693년에는 소치니 논쟁과 관련하여 네 편의 강연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과거 토마스 퍼민, 스티븐 나이 등과의 관계로 인해 제기되었던 소치니주의 동조 혐의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해명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1694년 11월 22일에 사망했다.
4. 3. 사망과 유산
그는 잉글랜드 교회의 특정 남용, 특히 성직자의 비거주 문제를 개혁하려 시도했으나, 이는 많은 반발을 샀고 자코바이트들은 이를 이용하여 그의 생애 말까지 그를 모욕하고 비난했다. 틸럿슨은 1694년 11월 22일에 사망했으며,[1] 런던 시의 잉글랜드 은행 바로 서쪽에 있는 세인트 로렌스 주리 교회에 묻혔다.
그의 사후, 미망인은 틸럿슨이 남긴 원고 설교를 통해 2500 기니를 받았다. 이후 랄프 바커가 250편의 설교와 "신앙의 규칙"을 편집하여 1695년부터 1704년까지 출판했다. 1752년에는 토마스 버치가 틸럿슨의 원본 서류와 편지를 바탕으로 쓴 그의 생애 전기를 포함한 3권짜리 전집이 출판되었으며, 그의 설교와 작품에서 다양한 선집들이 별도로 출판되었다.[1] AMS Press는 1980년대에 그의 작품의 현대판을 출판했다.
그의 고향인 소워비에는 세인트 피터 교회에 틸럿슨의 동상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마을 하단에는 그를 기리는 길이 있다. 토마스 틸럿슨은 그의 증손자이다.
5. 저작
- ''신성한 본성의 통일과 삼위일체에 관한 설교'' (1693년)
- ''성변화에 반대하는 담론''
- ''주의 만찬의 성례전에서 잦은 성찬 참여를 권하는 글''
- ''존 틸럿슨의 작품집, 저자의 생애와 함께'' (1752년, 토마스 버치 편집)
- ''[https://archive.org/search.php?query=john%20tillotson%20works%20AND%20collection%3Atoronto 존 틸럿슨의 작품 10권 세트]''
참조
[1]
문서
GW Weldon in 1886
[2]
서적
Church history : the rise and growth of the church in its cultural, intellectual, and political context
https://www.worldcat[...]
Grand Rapids, Michigan
[3]
서적
The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
서적
The creation of the modern world : the untold story of the British Enlightenment
https://www.worldcat[...]
W.W. Norto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