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프레스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프레스턴은 1587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1628년 사망한 청교도 신학자이다. 그는 킹스 칼리지와 퀸스 칼리지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엠마누엘 칼리지의 존 코튼의 설교를 듣고 청교도 신앙을 갖게 되었다. 링컨 법학원 설교자, 엠마누엘 칼리지 학장을 역임했으며, 찰스 1세의 왕실 채플린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프레스턴은 칼빈주의와 언약 신학을 바탕으로 한 신학 사상을 전개했으며, 《새 언약》을 비롯한 다수의 저서를 통해 자신의 신학을 펼쳤다. 그는 뛰어난 자기 통제력과 신중함을 가진 인물로 평가받았으나, 기회주의적인 면모와 다른 신학적 견해에 대한 포용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그의 저서는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스 칼리지 교수 - 존 월리스
    존 월리스는 17세기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학자로서 삼각법, 미적분학, 기하학, 무한 급수 분석에 기여하고 무한대 기호(∞)를 도입했으며, 잉글랜드 내전과 명예 혁명 시기에 암호 해독 분야에서 활동하며 윌리엄 3세의 암호 해독관으로 일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스 칼리지 교수 - 존 미첼 (지진학자)
    존 미첼은 1755년 리스본 지진 분석을 통해 지진 연구에 선구적인 업적을 남기고, 자석의 자기력 역제곱 법칙 발견, 비틀림 저울 고안, 쌍성 연구 기여, 블랙홀 존재 가능성 최초 제안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한 영국의 지질학자, 지진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이자 성직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교수 - 존 코튼
    존 코튼은 1585년 영국에서 태어나 뉴잉글랜드 보스턴 교회의 목사로 활동하며 회중교회 정치와 언약 신학을 주창하고 미국 교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청교도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교수 - 리처드 애튼버러
    리처드 애튼버러는 잉글랜드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 제작자로, 《대탈주》, 《쥬라기 공원》 등의 출연과 《간디》 감독으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교육, 복지, 예술 분야에도 헌신한 인물이다.
  • 1587년 출생 - 존 윈스럽
    존 윈스럽은 잉글랜드 청교도 지도자이자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초대 총독으로서, "산 위의 도시" 건설을 주창하며 식민지 건설과 통치에 기여했고, 법률 제정, 정치적 갈등 해결, 원주민 관계, 노예제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으며, 그의 유산은 미국 예외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동시에 권위주의적 경향과 원주민 착취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587년 출생 - 장유 (조선)
    장유는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작가로서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최명길, 조익, 이시백과 절친했으며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으로 신풍군에 봉해졌고, 대사간, 대사헌, 대제학, 이조판서, 병조판서, 공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며 병자호란 당시 최명길과 함께 강화를 주장했고 신흠, 이정구, 이식과 함께 월상계택 4대가로 불린 인물이다.
존 프레스톤
기본 정보
존 프레스톤의 초상화
존 프레스톤의 초상화
출생1587년
사망1628년 7월 19일
국적스코틀랜드
직업
직업성직자
학력
출신 대학케임브리지 대학교
종교 활동
종교성공회

2. 생애

존 프레스턴은 노샘프턴셔 버그브룩 교구의 어퍼 헤이포드에서 농부인 토머스 프레스턴과 앨리스의 아들로 태어나, 1587년 10월 27일 버그브룩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1] 아버지가 13세 때 사망하자 노샘프턴 시장인 외삼촌 크레스웰에게 입양되어 노샘프턴 그래머 스쿨에서 교육받고, 베드퍼드셔의 성직자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다. 160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 시저로 입학, 버스에게 배우다가 160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스 칼리지로 옮겨 올리버 보울스를 튜터로 삼았다. 크레스웰에게서 토지 재산을 물려받았으나 외교관의 꿈은 좌절되고 철학을 연구, 1607년 B.A. 학위를 받고 1609년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이후 의학으로 전향하여 켄트의 의사에게서 실질적인 지식을 얻고 점성술을 공부했다.[1]

존 코튼의 설교로 청교도 신앙을 받아들여 토마스 아퀴나스, 존 던스 스코투스, 윌리엄 오컴의 저작을 연구했다.[1] 퀸스 칼리지 학장 선출 과정에서 존 데이븐언트를 지원하며 정치적 수완을 보였다.[1]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1세와의 논쟁에서 뛰어난 언변을 보였으나, 청교도적 성향으로 의심받기도 했다.[1] 링컨 법학원 설교자로 대중적 인기를 얻고,[1] 로렌스 채더튼의 뒤를 이어 엠마누엘 칼리지 학장으로 선출되어 대학 개혁을 추진했다.[1] 잉글랜드의 찰스 1세 즉위 후 왕실 채플린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윌리엄 로드와의 갈등으로 좌절되었다.[1] 임프로프리에이션 구매를 위한 피오피 설립을 장려하여 청교도 신앙 강화에 기여했다.[2]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존 프레스턴은 농부인 토머스 프레스턴과 그의 아내 앨리스(노샘프턴의 로렌스 마시의 딸)의 아들로, 노샘프턴셔 버그브룩 교구의 어퍼 헤이포드에서 태어났다. 1587년 10월 27일 버그브룩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1] 아버지가 13세 때 사망한 후, 부유한 외삼촌이자 노샘프턴 시장인 크레스웰이 프레스턴을 입양하여 노샘프턴 그래머 스쿨에서 교육받게 했다. 이후 베드퍼드셔의 한 성직자에게 그리스어를 배웠다. 1604년 7월 5일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 시저로 입학, 1606년에 이튼 칼리지 교장이 된 버스가 그의 튜터였다. 킹스 칼리지는 당시 음악 연구로 유명했고, 프레스턴은 '가장 고귀하지만 어려운 악기인 류트'를 선택했지만 진전이 거의 없었다. 160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스 칼리지로 옮겨 올리버 보울스를 B.D. 튜터로 두었다. 크레스웰에게서 일부 토지 재산을 물려받은 그는 외교관을 꿈꿨으나, 파리에서 시간을 보내기로 한 상인이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철학 연구로 전환, 보울스의 뒤를 이은 포터의 격려를 받았다. 포터는 퀸스 칼리지 학장이자 엘리 학장인 험프리 틴달과의 인연으로 1607년 B.A. 학위를 받은 프레스턴을 1609년에 펠로우로 선출했다. 철학에서 의학으로 전향한 그는 켄트의 '실력이 매우 유명한' 의사 친구에게서 실질적인 지식을 얻었으며, 당시 치료학의 보조 수단으로 여겨졌던 점성술을 공부했다.[1]

2. 2. 청교도로서의 삶과 목회 활동

존 코튼의 설교에 감명을 받아 청교도 신앙을 받아들였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존 던스 스코투스, 윌리엄 오컴의 저작을 연구하며 신학적 깊이를 더했다.[1] 퀸스 칼리지 학장 선출 과정에서 조지 몬테인을 제치고 존 데이븐언트를 지원하는 등 정치적 수완을 보여주었다.[1]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1세와의 논쟁에서 뛰어난 언변을 보여주었으나, 청교도적 성향으로 인해 의심을 받기도 했다.[1] 링컨 법학원 설교자로 임명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1] 로렌스 채더튼의 뒤를 이어 엠마누엘 칼리지 학장으로 선출되어 대학 개혁을 추진했다.[1]

잉글랜드의 찰스 1세 즉위 후 왕실 채플린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윌리엄 로드와의 갈등으로 좌절되었다.[1] 임프로프리에이션 구매를 위한 피오피 설립을 장려하여 청교도 신앙 강화에 기여했다.[2]

3. 신학 사상

존 프레스턴은 칼빈주의 신학, 특히 언약 신학을 중심으로 자신의 신학 사상을 전개했다. 언약 신학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언약이라는 틀로 설명하는 신학 체계이다. 프레스턴은 이 언약 신학을 통해 개인의 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강조했다.[2] 그의 신학은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의 신앙과 삶의 중요한 지침이 되었다. 특히, 그의 저서 《새 언약 ... 창세기 17장 1, 2절에 대한 14편의 설교》(1629)는 칼빈주의 언약신학을 다룬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2]

페리 밀러에 따르면, 이 책은 뉴잉글랜드 신학의 중심에 언약신학을 두게 끔 만든 작품이다.[2]

프레스턴은 신학의 목적은 행동이라고 보았다. 그는 설교 때 교리 부분을 너무 길게 설명하면 용서를 빌곤 했다.[1]

4. 저술 활동

존 프레스턴은 다양한 신학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사후에도 그의 저작들은 꾸준히 출판되어 널리 읽혔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새 언약》(1629), 《믿음과 사랑의 흉갑》(1630), 《성도들의 자격》(1634)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설교집, 논문 등 다양한 형태의 저술을 통해 자신의 신학 사상을 펼쳤다.

존 프레스턴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추가 설명
1629성도들의 매일의 훈련; 또는 ... 기도의 논문 (The Saints Daily Exercise; or a ... Treatise of Prayer)3판
1629새 언약 ... 창세기 17장 1, 2절에 대한 14편의 설교 (The New Covenant ... XIV Sermons on Genesis xvii. 1, 2)칼빈주의 신학과 언약신학을 다룬 중요한 작품으로 17세기 뉴잉글랜드 신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페리 밀러광야로의 심부름에서 언급되었듯이, 뉴잉글랜드 신학의 중심에 언약신학을 두게끔 만든 작품이다.
1630네 편의 설교 (Four Sermons)
1630다섯 편의 설교 ... 국왕 앞에서 (Five Sermons ... before his Majestie)
1630믿음과 사랑의 흉갑 (The Breastplate of Faith and Love)
1630성도들의 허약함에 대한 교리 (The Doctrine of the Saints Infirmities)암스테르담에서 출판
1631영원한 생명; 또는 ... 신성한 ... 속성에 대한 논문 ... 17편의 설교 (Life Eternal; or a ... Treatise ... of the Divine ... Attributes in XVII Sermons)
1631법은 무효화되었다 (The Law Out Lawed)에든버러에서 출판
1632영적 생명과 죽음에 대한 우아한 ... 묘사 (An Elegant ... Description of Spirituall Life and Death)
1632형식적인 직업의 변형된 형태 (The Deformed Forme of a Formall Profession)에든버러(1632), 런던(1641)에서 출판
1633죄의 타파; 또는 ... 자기 극복에 대한 논문 (Sinnes Overthrow; or a ... Treatise of Mortification)2판
1633네 개의 ... 논문 (Foure ... Treatises)탐욕에 대한 치료법 (A Remedy against Covetousness), 영적 생명과 죽음에 대한 우아하고 생생한 묘사 (An elegant and Lively Description of Spiritual Life and Death), 자기 부정의 교리 (The Doctrine of Selfe-deniall), 성찬에 관한 세 편의 설교 (Three Sermons upon the Sacrament) 포함
1634성도들의 자격 (The Saints Qualification)3판
1635무생명의 삶; 또는 인간의 영적 죽음 ('A Liveles Life; or Mans Spirituall Death'')3판
1635린컨 법학원에서 설교한 설교 (A Sermon preached at Lincolnes-Inne)
1637... 존 프레스턴의 유고 (Remaines of ... John Preston)2판
1638황금 홀 ... 세 개의 논문 (The Golden Scepter ... Three Treatises)
1638에발 산 ... 신성한 사랑에 대한 논문 (Mount Ebal ... Treatise of the Divine Love)
1638성도들의 복종 (The Saints Submission)
1640그리스도의 충만함 (The Fulnesse of Christ)
1641기독교의 자유 (The Christian Freedome)
1643De Irresistibilitate Gratise Convertentis. 캠브리지 아카데미 공립 학교에서 개최된 논문 ... 본인의 원고에서 (De Irresistibilitate Gratise Convertentis. Thesis habita in Scholis Publicis Academies Cantabrigiensis . . . Ex ipsius manuscript)영어로는 1654년에 존 프레스턴의 입장 ... 회심 은혜의 저항할 수 없음과 관련하여 (The Position of John Preston ... Concerning the Irresistiblenesse of Converting Grace)로 출판
1658자비의 풍요 (Riches of Mercy)


5. 평가 및 영향

존 프레스턴은 외교적 성향을 보였으며, 풀러는 그를 "완벽한 정치인"이자 "가장 중요한 문제에서 가장 유능"한 인물로 평가했다. 또한 "탁월한 자기 통제력을 지니고, 자신의 생각을 굳게 지키며, 외부의 비판에 흔들리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프레스턴은 토머스 볼에게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드러냈다고 하며, 볼은 프레스턴을 신중한 통찰력과 본질적인 신중함을 지닌 인물로 묘사했다.[1]

그의 칼빈주의 신학은 사후에 리처드 시브스, 존 데이븐포트, 토머스 볼, 토머스 굿윈에 의해 편집된 저서들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특히 ''The New Covenant ... XIV Sermons on Genesis xvii. 1, 2''(1629)는 언약신학을 다룬 중요한 작품으로, 17세기 뉴잉글랜드 신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1]

5. 1. 긍정적 평가

프레스턴은 뛰어난 지성과 신학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청교도 신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언약 신학은 개인의 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조화롭게 통합하여 신앙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그의 신학은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그들의 신앙과 사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풀러는 그를 "완벽한 정치인"으로 요약하며 "가장 중요한 문제에서 가장 유능"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탁월한 자기 통제력을 지니고, 자신의 생각을 굳게 지키며, 외부의 비판에 흔들리지 않았다"라고 평가받았다.[1] 리처드 시브스, 존 데이븐포트, 토머스 볼, 토머스 굿윈은 그의 사후 저서를 편집했는데, 이는 칼뱅주의 신학을 옹호하는 논증의 보고이다.[1]

6. 작품 목록

{| class="wikitable"

|-

! 번호 !! 제목 !! 연도 !! 비고

|-

| 1 || 성도들의 매일의 훈련; 또는 ... 기도의 논문 || 1629 || 3판

|-

| 2 || 새 언약 ... 창세기 17장 1, 2절에 대한 14편의 설교 || 1629 ||

|-

| 3 || 네 편의 설교 || 1630 ||

|-

| 4 || 다섯 편의 설교 ... 국왕 앞에서 || 1630 ||

|-

| 5 || 믿음과 사랑의 흉갑 || 1630 ||

|-

| 6 || 성도들의 허약함에 대한 교리 || 1630 || 암스테르담

|-

| 7 || 영원한 생명; 또는 ... 신성한 ... 속성에 대한 논문 ... 17편의 설교 || 1631 ||

|-

| 8 || 법은 무효화되었다 || 1631 || 에든버러

|-

| 9 || 영적 생명과 죽음에 대한 우아한 ... 묘사 || 1632 ||

|-

| 10 || 형식적인 직업의 변형된 형태 || 1632 || 에든버러, 1641년 런던

|-

| 11 || 죄의 타파; 또는 ... 자기 극복에 대한 논문 || 1633 || 2판

|-

| 12 || 네 개의 ... 논문 || 1633 ||

번호제목
1탐욕에 대한 치료법
2영적 생명과 죽음에 대한 우아하고 생생한 묘사
3자기 부정의 교리
4성찬에 관한 세 편의 설교



|-

| 13 || 성도들의 자격 || 1634 || 3판

|-

| 14 || 무생명의 삶; 또는 인간의 영적 죽음 || 1635 || 3판

|-

| 15 || 린컨 법학원에서 설교한 설교 || 1635 ||

|-

| 16 || ... 존 프레스톤의 유고 || 1637 || 2판

|-

| 17 || 황금 홀 ... 세 개의 논문 || 1638 ||

|-

| 18 || 에발 산 ... 신성한 사랑에 대한 논문 || 1638 ||

|-

| 19 || 성도들의 복종 || 1638 ||

|-

| 20 || 그리스도의 충만함 || 1640 ||

|-

| 21 || 기독교의 자유 || 1641 ||

|-

| 22 || De Irresistibilitate Gratise Convertentis. 캠브리지 아카데미 공립 학교에서 개최된 논문 ... 본인의 원고에서 || 1643 || 영어: ''존 프레스톤의 입장 ... 회심 은혜의 저항할 수 없음과 관련하여''(1654)

|-

| 23 || 자비의 풍요 || 1658 ||

|}

참조

[1] 웹사이트 Preston, John, D.D. (1587–1628), puritan divine http://www.oxforddnb[...] Smith, Elder & Co. 2007-10-23
[2] 서적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John Preston and the Softening of Reformed Theology William B Eerdmans
[3] 웹사이트 I, Michael, The Sinner: What do you say when you are about to die? pt 2 http://mikeneglia.bl[...] 2010-05-26
[4] 서적 Last and Near-Last Words of the Famous, Infamous and Those In-Between https://books.google[...]
[5] 서적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신앙감정론 https://www.worldcat[...] 부흥과 개혁사 2005
[6] 서적 Jonadan Edŭwŏjŭ chŏnjip. https://www.worldcat[...] Puhŭnggwa Kaehyŏksa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