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노 해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노 해변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상륙 지점 중 하나로, 캐나다군이 배정되어 1944년 6월 6일 D-Day에 상륙했다. 5개의 상륙 지점 중 오마하 해변에 이어 두 번째로 방어가 강력했던 주노 해변은 3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공격이 진행되었다. 캐나다군은 초기 1시간 동안 약 50%의 사상자를 기록했지만, 신속하게 내륙으로 진격하여 목표 지점에 도달했다. D-Day 동안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연합군 부대 중 가장 프랑스 내륙 깊숙이 진출했으며, 이후 소드 해변의 영국군과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왕성 작전 - 노르망디 상륙
    노르망디 상륙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이 독일 점령하의 프랑스 노르망디 해안에 감행한 오버로드 작전의 일부로, 서부 전선 개통을 통해 소련의 부담을 덜기 위해 계획되었으며, 연합군은 기만 작전, 공군 우세, 특수 장비 개발 등 철저한 준비를 거쳐 미국, 영국, 캐나다를 비롯한 다양한 국가의 연합군과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지원하에 실행되었다.
  • 해왕성 작전 - 골드 해변
    골드 해변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영국 제30 군단이 공격을 담당했던 5개 해변 중 하나로, 멀버리 항구 건설 예정지였으며 치열한 전투 끝에 연합군이 캉 점령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 노르망디의 지형 - 골드 해변
    골드 해변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영국 제30 군단이 공격을 담당했던 5개 해변 중 하나로, 멀버리 항구 건설 예정지였으며 치열한 전투 끝에 연합군이 캉 점령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 노르망디의 지형 - 몽생미셸섬
    몽생미셸 섬은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에 위치한 바위 섬으로, 조수 간만의 차에 따라 섬이 되기도 하고 육지와 연결되기도 하며, 8세기 초 예배당 건설을 시작으로 수도원이 건립되었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1944년 프랑스 - 메스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메스에서 벌어진 메스 전투는 독일군이 요새화한 메스를 점령하려는 미군의 공세에 독일군이 강력하게 저항하며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독일군의 패배로 끝났으나 미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 1944년 프랑스 - 노르망디 상륙
    노르망디 상륙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이 독일 점령하의 프랑스 노르망디 해안에 감행한 오버로드 작전의 일부로, 서부 전선 개통을 통해 소련의 부담을 덜기 위해 계획되었으며, 연합군은 기만 작전, 공군 우세, 특수 장비 개발 등 철저한 준비를 거쳐 미국, 영국, 캐나다를 비롯한 다양한 국가의 연합군과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지원하에 실행되었다.
주노 해변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주노 해변의 캐나다 군인들
캐나다 군인들이 주노 해변의 베르니에르-쉬르-메르 외곽에 상륙하고 있다.
전투 정보
전투명주노 해변
작전명노르망디 상륙 작전 및 캉 전투의 일부
날짜1944년 6월 6일
위치칼바도스 주, 쿠르소에유, 생-토뱅-쉬르-메르, 베르니에르
결과연합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캐나다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교전국 2나치 독일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존 크로커
로드 켈러
독일군 지휘관빌헬름 리히터
부대
연합군 부대제3 캐나다 보병 사단
제2 캐나다 기갑 여단
제48 (왕립 해병) 코만도
독일군 부대제716 척탄병 연대
제21 기갑 사단
병력 규모
연합군 병력1개 사단
1개 기갑 여단
코만도 대대 1개
독일군 병력1개 보병 사단 일부
피해 규모
연합군 피해961명
연합군 사망340명
연합군 부상574명
연합군 포로47명
독일군 피해불명, 피해 심각할 것으로 추정

2. 배경

1942년, 서방 연합군은 소련붉은 군대를 돕기 위해 서유럽에 제2전선(서부 전선)을 열기로 합의했다.[1] 영국과 미국은 슬레지해머 작전으로 알려진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 같은 해 8월, 앵글로-캐나다군은 프랑스 디에프에서 주빌리 작전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2] 1943년 5월, 연합군은 에르빈 롬멜 야전원수에 대한 북아프리카 승리 이후, 1943년 7월 시칠리아를 침공했고, 이어서 9월에는 이탈리아를 침공했다.[3] 수륙 양용 공격 및 전투 경험을 얻은 연합군은 1944년 북프랑스 침공 계획을 구체화했다.

2. 1. 노르망디 상륙 작전

1942년, 서방 연합군은 소련붉은 군대를 돕기 위해 서유럽에 제2전선(서부 전선)을 열기로 합의했다.[1] 영국과 미국은 슬레지해머 작전으로 알려진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 같은 해 8월, 앵글로-캐나다군은 프랑스 디에프에서 주빌리 작전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2] 1943년 5월, 연합군은 에르빈 롬멜 야전원수에 대한 북아프리카 승리 이후, 1943년 7월 시칠리아를 침공했고, 이어서 9월에는 이탈리아를 침공했다.[3]

수륙 양용 공격 및 전투 경험을 얻은 연합군은 1944년 북프랑스 침공 계획을 구체화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프레데릭 모건 장군의 지휘 아래, 프랑스 침공 계획은 오버로드 작전으로 구체화되었다. --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개시되었다. 아이젠하워와 몽고메리 장군은 첫날 캉 점령, 90일 이내에 파리 해방을 목표로 했다.

2. 2. 주노 해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상륙 단계인 오버로드 작전은 의 해안선을 따라 5개 사단 전선으로 배치될 예정이었으며, 3개 공수 사단(미국 2개, 영국 1개, 캐나다 대대 포함)도 D-Day 새벽에 상륙할 예정이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은 D-Day 밤까지 노르망디 교두보에 8개 보병 사단과 14개 전차 연대를 투입하기를 희망했다. 상륙 지역은 5개 상륙 구역으로 나뉘었고, 미국군은 유타(가장 서쪽)와 오마하를 공격했으며, 영국군은 골드와 소드를 공격했다. 라 리비에르에서 서쪽으로 생토뱅까지 의 해안선인 주노는 제3 캐나다 보병 사단(3rd CID)에 할당되었으며, 로드 켈러 소장이 지휘했다. 주노에는 코르셀과 베르니에르 마을이 포함되었다.

"주노"라는 이름은 윈스턴 처칠이 원래 암호명인 젤리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붙여졌다. 영국 및 영연방군이 점령할 해변의 암호명은 물고기 종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골드피쉬, 소드피쉬, 젤리피쉬를 줄여서 골드, 소드, 젤리로 표기했다. 처칠은 "그렇게 많은 사람이 죽을 수 있는 해변에 젤리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는 더 품위 있는 이름인 주노로 변경을 주장했다.

3. 작전 계획 및 준비

1942년, 서방 연합군은 소련붉은 군대 부담을 덜기 위해 서유럽에 제2전선을 열기로 합의했다.[1] 그러나 영국과 미국은 당장 침공을 감행할 자원이 부족했기에, 슬레지해머 작전이라는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1] 같은 해 8월, 주빌리 작전을 통해 디에프 상륙을 시도했으나, 계획 부족으로 실패하고 4,96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 1943년 5월, 북아프리카에서 승리한 연합군은 허스키 작전으로 시칠리아를 침공하고, 9월에는 이탈리아를 침공했으나, 12월까지 독일군의 저항과 지형 문제로 진격이 둔화되었다.[1]

이후 연합군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프레데릭 모건 장군의 지휘 아래 오버로드 작전을 구체화했다. 1944년 5월 1일을 목표로 했다가 6월 6일로 연기된 이 작전은 역사상 가장 큰 수륙 양용 작전이었다.[1] 상륙 지점은 노르망디로, 코탕탱 반도에서 까지 확장되었다.[1] 해안선은 당시의 철자 알파벳에 따라 17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유타를 포함하여 8개 구역이 추가되었다.[1] 오버로드 작전은 영국 제2군이 오른 강과 포르 앙 베생 사이를 공격, 캉을 점령하고, 미국 제1군이 셰르부르를 점령하는 동안 좌익을 보호하는 것이었다.[1] 캉과 그 주변 점령 후, 제2군은 팔레즈를 점령하기 위해 남쪽으로 진격, 아르장탕, 투크 강을 거쳐 센 강 방향으로 진격할 계획이었다.[1]

몽고메리는 첫날 캉 점령, 90일 내 파리 해방을 목표로 했다.[1]

3. 1. 독일군 방어

독일 국방군러시아, 북아프리카, 이탈리아에서의 전투로 병력과 사기가 많이 약해졌지만, 여전히 강한 전투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1943년 말, 프랑스 해안에 배치된 대부분의 독일 사단은 신병이거나 동부 전선에서 휴식을 취하며 재편 중인 베테랑 부대였다. 프랑스에는 총 856,000명의 병력이 주둔했으며, 대부분 해안에 배치되었다.[1] 독일군의 소련 및 폴란드 출신 지원병(Hilfswilligede) 60,000명도 프랑스 해안에서 복무했다.[2] 에르빈 롬멜 원수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의 지휘 아래, 프랑스 해안을 따라 해안 포대, 기관총 진지, 지뢰밭, 해변 장애물로 구성된 대서양 방벽의 방어 시설이 강화되었다. 1944년 상반기에 독일군은 강철 약 1219256400.00kg과 콘크리트 약 13226799.04m3를 사용했다. 롬멜은 또한 4백만 개의 대전차 및 대인 지뢰와 50만 개의 해변 장애물로 해안을 둘러쌌다.[3]

에르빈 롬멜 원수가 1944년 4월 대서양 방벽 방어 시설을 시찰하는 모습


주노 해변에서 대서양 방벽의 방어 시설은 다른 상륙 지점보다 강력했다. 독일군은 연합군이 만조 때 상륙하여 해변 노출 거리를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저조선 수위 사이에 여러 줄로 배치된 '악마의 정원'을 만들었다. 기관총 진지, 대전차 및 대인 포병, 벙커로 구성된 요새는 약 914.40m마다 위치해 있었으며, 박격포를 갖춘 여러 소대가 배치되었다. 이러한 요새 주변에는 지뢰밭이 배치되었고, 코르셀 항구에도 추가 방어 시설이 있었다.

노르망디의 칼바도스 해변은 제716정규 보병 사단과 제352보병사단이 방어했으며, 캐나다군 상륙 지점은 제716사단의 일부 부대가 방어했다. 이 부대는 18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병사들로 구성되었으며, 6개 대대(연합군 사단은 9개 또는 12개 대대)에 7,771명의 전투 병력을 보유했다. 제352사단은 일류 사단으로 간주되었지만, 제716사단은 "평균 이상의 정규 사단"으로 평가되었다. 이 사단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전차가 거의 없어 보병과 야전 연대에 의존해야 했다. 주노 해변에서 제736척탄병 연대는 4개 보병 중대를 배치했으며, 제7중대는 "마이크 섹터"가 될 지역을, 제6중대는 코르셀에, 제5중대는 베르니에르에, 제9중대는 난 섹터와 생토뱅에 주둔했다. 4개 보병 중대와 1개 기갑 중대로 구성된 두 번째 방어선은 내륙 약 1.61km 지점에 주둔했다. 제21기갑사단은 캉 남동쪽에 배치되었고, 2개 대대의 폴란드 및 러시아 징집병이 소드 해변 및 골드 해변에 인접한 주노 해변 측면에 배치되었다.

주노 해변은 5개의 상륙 지점 중 오마하 해변에 이어 두 번째로 강력하게 방어된 지점이었다. 리히터 장군은 155mm 포 11개 중포병 중대와 75mm 포 9개 중포병 중대가 배치된 716 보병 사단이 지키는 해안에 공격을 가했다. 또한, 토치카와 다른 요새가 해안을 따라 배치되어 있었다. 가장 집중된 곳은 쿠르소유르쉬르메르 지역이었다. 해중 장애물은 오마하 해변의 2배 높이였으며, 바다에는 기뢰가 대량으로 부설되어 있었다.

3. 2. 캐나다군 준비

캐나다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훈련은 1943년 7월부터 시작되었다. 앤드루 맥노턴 중장은 해리 크레러에게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이 프랑스 침공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알렸다.[1] 초기 훈련은 상륙정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 1943년 8월과 9월에 스코틀랜드에서 야외 훈련이 시작되었으며, 해변을 공격하는 장갑 및 포병 연대에 사용할 독특한 기술과 장비를 확립하는 데 성공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수륙 양용 “듀플렉스 드라이브” 전차 (DD 전차)였다. 또한 상륙정에 탑승한 채로 포병이 해변을 포격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개발되었다.[3] 1944년 겨울 동안 부대는 주노 연대 간에 더욱 진보된 공격 전술을 공동 개발했다.

캐나다 해군은 구축함, 프리깃, 코르벳, 상륙선, 기뢰 제거함 및 어뢰정을 포함하여 121척의 선박을 함대에 기여했다. 4척의 캐나다 트라이벌급 구축함은 영국 해군의 제10 구축함 전대에 속해 있었다. 해군 제 J 부대는 1944년 2월 제3 캐나다 보병 사단과 함께 침공을 위한 집중 훈련을 시작했으며, 5월 4일에 훈련 파비우스를 통해 침공의 전체적인 모의 훈련을 수행했다.

주노 해변에 대한 작전 계획은 마이크(서쪽)와 난(동쪽)의 두 주요 구역으로 나뉘었다. 마이크 구역은 제7 캐나다 보병 여단이 공격할 예정이었으며, 로열 위니펙 소총 연대, 캐나다 스코티시 연대 및 제1 후사르 연대가 지원했다. 제7 여단은 코르셀을 점령하고 내륙으로 진격할 예정이었다. 난 구역은 레지나 소총 연대, 노스 쇼어 연대 및 캐나다 퀸스 오운 소총 연대가 공격할 예정이었으며, 포트 개리 호스의 전차들이 장갑 지원을 제공했다. 또한 영국 제79 장갑 사단의 전문 왕립 공병 장갑차 (AVRE) 1개 중대가 각 해변 구역에 상륙할 예정이었다. 제8 여단은 베르니에르와 생토뱅의 서쪽 가장자리를 점령한 다음 노르망디로 남쪽으로 진격할 예정이었다. 작전 계획은 또한 제9 캐나다 보병 여단과 셔브룩 퓨질리어를 초기 공격 4~6시간 내에 주노에 증원군으로 배치하도록 요구했다.

4. D-Day 상륙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일 주노 해변을 폭격하는 순양함


주노 해변은 오마하 해변 다음으로 강력하게 방어된 지점으로, 155mm 포 11개와 75mm 포 9개로 무장한 독일군 제716 보병 사단이 방어하고 있었다. 해안에는 토치카와 요새가 배치되어 있었고, 특히 쿠르세유르쉬르메르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해중 장애물은 오마하 해변의 2배였으며, 기뢰도 대량으로 부설되어 있었다.

D-Day 이전의 폭격은 독일군 방어 시설에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 전함 함포 사격과 수송선 포병 및 전차의 함포 사격은 방어 시설의 14%만을 파괴했을 뿐이었다. 폭격과 캐나다군 상륙 사이에는 약 30분의 간격이 있어 독일군이 재편성할 시간을 벌었다.

주노 해변은 "러브", "마이크", "낸"의 3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이 중 마이크와 낸에 상륙할 계획이었다. 제6 캐나다 기갑 연대(제1 후사르) 지원을 받는 제7 여단은 마이크 섹터에, 제10 캐나다 기갑 연대(포트 갤리 호스) 지원을 받는 제8 여단은 낸 섹터에 상륙했다. 제9 여단은 예비대였다.

상륙 작전은 초기 폭격, 제7여단 상륙, 제8여단 상륙, 증원군 배치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4. 1. 초기 폭격

노르망디 해안 방어에 대한 공습은 1944년 6월 5일 23시 30분에 시작되었으며, 영국 공군 폭격 사령부 부대가 주요 해안 방어 시설을 목표로 삼았다. 공습은 6월 6일 05시 15분까지 계속되었으며, 1,136회의 출격으로 약 5352535.60kg의 폭탄이 투하되었다. 이는 당시 전쟁에서 폭격 사령부의 최대 톤수 공격이었다. 그러나 악천후와 시야 불량으로 인해 벙커와 포탑을 정확하게 타격하기 어려워 대서양 방벽에 대한 초기 공격은 효과가 없었다. 예를 들어, 메르빌 포대는 타격을 입지 않았고, 롱게스 포대에 대한 폭격은 정확했지만 효과가 없었으며, 울게이트 포대는 손상을 입었지만 파괴되지는 않았다. 폭격으로 인해 오마하, 골드, 주노 해변의 방어 시설은 사실상 손상되지 않았지만, 많은 계획자들이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채널의 연합군 상륙정에는 피해를 입히지 않았다. 캐나다 공군 (RCAF)은 이 공습에서 주노 해변의 목표물을 폭격하기 위해 230대의 폭격기를 보냈지만, 피해는 제한적이었다.

미국군이 서쪽의 오마하와 유타에 대한 자체 폭격을 시작하자, 영국-캐나다 해군 부대는 독일 해안 포대와 벙커를 파괴하기 위한 대포병 사격을 시작했다. 영국군은 중무장 지원을 위해 순양함 와 를 제이 부대에 배속했다. ''Belfast''는 05시 30분에 대서양 방벽에 대한 폭격을 시작했고, ''Diadem''은 6월 6일 05시 52분에 시작했다. 해군 포격은 공중 폭격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롱게스 포대만이 반격을 가했으며, 이는 경순양함 에 의해 빠르게 파괴되었다. 실제로 주노 해변의 대부분의 포대는 D-Day에 완성되지 않았으며, 제이 부대에 정확하게 반격을 가할 수 있는 충분한 방어 또는 통신 수단을 갖추지 못했다. 베니-쉬르-메르 포대는 ''Diadem''이 사격을 시작한 직후 무력화되었다.

06시 10분, 11척의 제이 부대 구축함은 해안으로 이동하여 폭격을 시작, 경포 진지를 파괴하고 독일군 제716연대가 동원되어 해변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을 막고자 했다. 이들은 영국 공군 및 미국 육군 항공대의 중폭격기와 전투 폭격기의 추가 공습으로 보충되었으며, 5개의 상륙 지역에 추가로 2,796톤의 탄약을 투하했다. 중폭격기는 정확하지 않았지만, 호커 타이푼 전투 폭격기는 해안 방어 시설 공격에 더 효과적이었다. 폭격이 계속 주노 해변을 강타하자, 구축함과 상륙정은 해변으로 이동하여 근거리 포화 폭격을 시작했다. 제이 부대의 구축함(캐나다 2척, 영국 8척, 프랑스 1척) 외에도 약 11.94cm포를 장착한 개조 LCT에 의해 폭격이 제공되었다. 소형의 경포 상륙정은 해변에 더 가까이 접근하여 6파운더포를 독일군 방어 진지에 사용할 수 있었다. 추가 화력은 1,000개 이상의 고성능 로켓과 24척의 LCT를 장착한 8척의 상륙정에 의해 제공되었으며, 각 LCT는 4문의 M7 프리스트 자주포를 탑재했다.

폭격은 공격 부대가 주노 해변에 배치되기 직전에 중단될 예정이었지만, 거친 바다로 인해 상륙이 10분 지연되어 마이크 구역에서는 07시 45분, 낸 구역에서는 07시 55분에 상륙했다. 이는 조수가 약간 높았고, 해변 장애물과 기뢰에 더 가까웠다.

4. 2. 제7여단 상륙 (마이크, 난 그린)

제7 캐나다 보병 여단은 원래 07시 35분에 마이크 섹터에 상륙할 예정이었으나, 거친 파도와 함정 간 협동 문제로 인해 10분 늦춰졌다.[1] 레지나 소총대는 마이크 섹터 동쪽의 "난 그린"에 상륙하여 쿠르세유르의 독일군을 제압했다.[1]

4. 3. 제8여단 상륙 (난 화이트, 레드)

원래 제7여단 동쪽으로 07시 45분에 상륙할 예정이었던 제8 캐나다 보병 여단의 두 공격 대대는 거친 파도로 인해 10분 늦춰졌다. 마이크 구역에서는 07시 55분, 낸 구역에서는 07시 45분에 상륙했다. 이는 조수가 약간 높았고, 해변 장애물과 기뢰에 더 가까웠다.[1] 야전 포병을 탑재한 LCT는 너무 일찍 상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항로를 조정해야 했고, DD 전차를 탑재한 LCT는 전진을 중단해야 했다.[1] 바다가 너무 거칠어 DD 전차를 투입할 수 없었고, 해변에서 수백 야드 떨어진 LCT에서 배치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1]

제8 여단 예비 대대인 라 레지망 드 라 쇼디에르는 노스 쇼어와 QOR의 예비 중대와 함께 08시 30분에 해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4. 4. 증원군 배치

주노 해변이 대체로 확보되자, 켈러는 제9 캐나다 보병 여단 예비대와 셔브룩 퓨질리어스 전차를 배치할 준비를 했다.[1] 제9 캐나다 보병 여단은 캐나다 하이랜드 경보병, 스토몬트, 던다스 앤 갤렌게리 하이랜더스, 노스 노바 스코샤 하이랜더스 연대로 구성되었다.[1] 셔브룩 퓨질리어 연대는 제27 기갑 연대로, 제9 보병 여단에 장갑 지원을 제공했다.[1]

5. 내륙 진격

로열 위니펙 라이플 연대가 D-Day에 내륙으로 진격하고 있다.


해변 교두보 확보 이후, 캐나다군은 내륙으로 진격을 개시했다. 14시 35분, 켈러 소장은 제8, 제9보병여단 지휘관들과 제2기갑여단(포트 개리 호스, 셔브룩 퓨질리어, 제1 허사르)과 회의를 가졌다. 켈러는 제7, 8여단에게 기갑 지원을 받아 두 번째 목표선(Elm)으로 진격하고, 이후 제9여단이 이들을 넘어 세 번째 목표선(Oak)에 도달하도록 명령했다.

캐나다군은 제736척탄병 연대와 제726연대의 잔존 병력과 마주쳤다. 코르셀에서 로열 위니펙 라이플 연대 "B" 중대는 저격수와 기관총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고, 생토뱅에서는 노스 쇼어 연대의 동부 중대들이 전투를 벌였다. 로열 위니펙 연대 "A", "C" 중대는 해변을 떠나 보, 그레-쉬르-메르를 통과하여 생 크루아와 방빌로 진격했다. "C" 중대는 방빌에서 독일군 기관총 진지에 의해 저지당했다. 위니펙 "A" 중대는 캐나다 스코티시 연대 "C" 중대, 제1 허사르 "C" 소대와 합류하여 생 크루아로 진격했지만, 독일군의 반격이 집결 중임을 알지 못했다. 캐나다 스코티시 연대 "C" 중대가 독일군을 발견하고 반격을 저지했다. 위니펙 연대 "D" 중대는 캐머런 하이랜더와 포병 연대의 엄호 사격을 받으며 방빌 점령에 합류했고, 방빌은 13시 10분에 점령되었으나 소규모 저항 세력이 밤까지 살아남았다. 캐나다 스코티시 연대 "D" 중대는 쇠 강에 있는 두 개의 다리를 점령하기 위해 이동했고, "B" 중대가 합류하여 생 크루아와 방빌 사이의 틈을 뚫고 "C" 중대에 합류했다. 제1 허사르 "C" 소대가 기갑 지원을 제공했다. 동쪽에서는 레지나 라이플 연대가 레비에르로 진격하여 독일군과 교전했고, 12시 15분까지 마을에 도착하여 위치를 공고히 했다.

난 섹터에서 제8여단의 진격은 쇼디에르 연대가 장비 대부분을 잃어 제7여단보다 느리게 시작되었다. 퀸스 온 라이플 연대 "C" 중대는 베르니에르 가장자리에서 저격수의 사격에 묶였고, 기갑 지원 역시 베니-쉬르-메르에서 날아오는 대전차 사격에 저지되었다. 쇼디에르 "A", "B" 중대는 교차 사격에 걸렸고, "B" 중대는 독일군 포탄이 자주포를 명중시키면서 거의 한 소대를 잃었다. 포병과 중화기로 베니-쉬르-메르의 방어를 뚫는 데 2시간 가까이 걸렸고, 베니-쉬르-메르는 14시에 정리 완료되었다. 퀸스 온 라이플 연대는 왼쪽으로 이동하여 베니 서쪽의 포병 진지와 교전했고, "B" 중대는 HMCS ''알곤킨''의 포탄 지원을 받아 벙커를 파괴했다. 동쪽에서는 노스 쇼어 연대 "C", "D" 중대가 탈레빌로 진격했는데, 이곳은 독일군 사령부였다. 사령부 북쪽의 박격포 사격은 집중적이고 정확하여 "C" 중대의 진격을 늦추었다. 이들은 전차들의 지원을 받아 남쪽으로 이동하여 독일 방어군을 포획했다. 노스 쇼어 연대와 기갑 지원 부대는 14시에 탈레빌에 진입했고, 전차들이 마을을 통과하며 독일 포 진지를 파괴했다. 독일군은 지하 벙커 시스템을 만들어 캐나다 보병을 지속적으로 측면 공격했고, 이들을 제거하는 데 7시간이 걸려 노스 쇼어 연대는 D-Day에 레이더 기지를 점령할 수 없게 되었다.

노스 쇼어 연대 "B" 중대와 로열 해병대 제48 코만도는 생토뱅과 라그룬-쉬르-메르를 확보하기 위한 전투를 벌였다. "B" 중대는 상륙 후 2시간 이내에 WN27 요새를 무력화시켰고, 로열 해병대 A, B 부대가 동쪽으로 진격했다. 이들은 주노와 소드 상륙 지점 사이의 간극을 메워 앵글로-캐나다 전선을 지속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로열 해병대는 라그룬과 WN26 요새로 진격했고, 동쪽에서는 로열 해병대 제41 코만도가 소드에서 진격했다. 요새는 증강된 소대와 요새화된 주택, 50 mm 대전차포로 방어되었다. B 부대의 첫 번째 점령 시도는 실패했고, 센토어 전차의 지원을 받아 공격이 재개되었지만, 강력한 저항에 다시 실패했다. 제48 코만도는 21기갑사단이 반격을 위해 집결하고 있다는 보고가 도착하자 밤이 되자 공격을 중단해야 했다. 라그룬과 룩-쉬르-메르의 요새는 6월 8일에 점령되었다.

주노 해변 상륙 첫 1시간 동안, 캐나다군은 약 50%의 손실을 입었으나, 해중 장애물 제거 후 신속하게 내륙으로 진격하여 독일군 방어 진지를 제압했다. 낮 동안, 제3 캐나다 보병 사단 전체가 상륙하여 쇠유 강을 건너는 교량을 확보하기 위해 내륙으로 수 킬로미터 전진했고, 18시까지 생토뱅 쉬르 메르 마을을 확보했다.

제1 후사르 기갑 부대는 퀸스 오운 라이플 연대와 함께 15km 내륙으로 진격하여 바유를 잇는 고속도로 교차점까지 진출했으나,[2] 적의 반격으로 밀려났다. 이후, 두 개의 독일군 장갑 사단의 반격으로 수 주 동안 전진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연합군 부대 중에서 가장 프랑스 내륙 깊숙이 진출했다.

다음 날까지, 캐나다군은 소드 해변의 영국군과 점령 지역을 연결할 수 있었다. 쿠르쇠유 쉬르 메르의 주노 해변 센터는 캐나다군의 해방을 기념하고, 잃어버린 인명을 추모하고 있다. 이 전투에서 사망한 캐나다군은 베니 쉬르 메르 캐나다군 전쟁 묘지에 매장되어 있다.

5. 1. 초기 공격

14시 35분, 켈러는 제8보병여단, 제9보병여단 지휘관들과 새로 개편된 제2기갑여단(포트 개리 호스, 셔브룩 퓨질리어, 제1 허사르)과 만났다.[1] 난(Nan) 섹터에서 제8여단의 진격은 제7여단의 진격보다 느리게 시작되었는데, 이는 쇼디에르가 해변을 건너는 과정에서 장비 대부분을 잃었기 때문이다.[2]

5. 2. 엘름(Elm)으로의 진격

사단의 탈레빌(Tailleville) 남쪽 진격은 중단되어 독일군의 레이더 기지 공격을 막았다. 퀸스 오운 라이플 연대와 쇼디에르(Chaudière) 연대 "C" 중대는 앙게르니 및 콜롱비 쉬르 타옹과 목표선 "엘름(Elm)"으로의 진격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캐나다 구역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제7 여단의 진격은 생 크루아와 방빌에서 굳건한 저항에 직면하여 정체되어 공격의 우익을 지연시켰다. 제1 허사르 "C" 기갑 대대(제2 부대)의 세 대의 탱크가 남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카르피케 비행장으로 가는 측면 도로를 통과했다.

5. 3. 황혼 무렵의 상황

캐나다 퀸스 오운 라이플 연대가 카르피케 근처에서 D-Day 말에 참호를 파고 있다.


D-Day가 끝날 무렵,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최종 D-Day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목표선 엘름(Objective Line Elm)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3] 서쪽에서는 제7 여단이 크뢰이(Creully)와 프레네-카미이(Fresne-Camilly)에 위치했다. 제9 여단은 (Caen)에서 불과 약 4.83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는데, 이는 D-Day에 상륙한 연합군 부대 중 가장 내륙 깊숙이 진격한 곳이었다. 캐나다 구역의 동쪽 가장자리에서 제8 여단은 앙게르니(Anguerny)와 콜롬비쉬르타옹(Colomby-sur-Thaon)에 위치해 있었고, 늦은 오후에 참호를 파기 시작했다.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연합 원정군 내 다른 사단보다 더 멀리 진격했지만, 라그룬(Lagrune)과 생토뱅쉬르메르(Saint-Aubin-sur-Mer)에서의 격렬한 전투로 인해 소드 해변(Sword Beach)의 영국 제3 사단과 연결하는 데 실패했다.[2]

6. 여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첫 1시간 동안, 캐나다군은 오마하 해변의 미군과 비슷한 수준인 약 50%의 사상자를 냈다. 그러나 해중 장애물을 제거한 후, 미군보다 빠르게 내륙으로 진격하여 독일군 방어 진지를 제압했다.[2]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상륙 당일 쇠유 강을 건너는 교량을 확보하고, 18시까지 생토뱅 쉬르 메르 마을을 점령했다. 제1 후사 기갑 부대는 퀸스 오운 라이플 연대와 함께 바유를 잇는 고속도로 교차점까지 진출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후퇴했다. 이후 수 주 동안 독일군 장갑 사단의 반격으로 전진이 저지되었지만, D-데이 당일 연합군 부대 중 가장 프랑스 내륙 깊숙이 진출한 부대는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이었다.[3]

다음 날, 캐나다군은 소드 해변의 영국군과 점령 지역을 연결했다. 쿠르쇠유 쉬르 메르의 주노 해변 센터는 캐나다군의 희생을 기리고 있으며, 전사자들은 베니 쉬르 메르 캐나다군 전쟁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6. 1. 분석

노르망디 상륙 작전은 5개 모든 구역에서 노르망디에 교두보를 확보했지만, 많은 D-Day 목표는 달성되지 못했다.[3]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6월 7일에 소드 해변의 영국군과 연락을 취했고, 6월 13일까지 미군 구역과 연속적인 전선을 형성했다. 군사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주노 해변에 대한 사전 공중 및 해상 폭격이 기대만큼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지만, 얼마나 효과가 없었는지에 대한 의견은 서로 다르다.

존 키건은 "낮고 짙은 구름이 폭격 사령부(Bomber Command)의 노력을 좌절시켰다"고 언급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캐나다 육군의 공식 역사가인 스태이시 대령은 폭격의 영향을 "불규칙했다"고 평가하며, 몇몇 해안 포대는 맞지 않았지만, 울게이트 포대와 같이 맞은 포대는 정확하게 명중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체스터 윌모트는 "[해안 포가] 정확하게 폭격되었지만, 롬멜이 고집했던 콘크리트 방호벽에 의해 강력하게 보호받아 살아남았다"고 주장한다.

해상 폭격에 대한 역사가들의 평가는 더욱 엇갈린다. 스태이시는 "해변을 뒤덮는 화력"이 집중적이고 상당했지만, 정확하지 않았고 해안 벙커를 파괴하기에는 화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해변을 뒤덮는 화력의 효과는 물질적이기보다는 정신적이었다고 주장하며, 방어자들이 지하에 머물도록 강요하고 사기를 저하시켰다고 보았다. 테리 코프는 "LCT(상륙정)의 흔들리는 갑판에서는 [배에 장착된 포병으로] 합리적인 정확성을 얻을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맥스 헤이스팅스는 상륙 시간이 10분 지연되었기 때문에 폭격 중단과 보병 제1파의 실제 상륙 사이에 상당한 간격이 있었고, 이는 제716연대 소대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제 위치로 돌아갈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

주노 해변은 오마하 해변에 이어 두 번째로 강력하게 방어된 지점이었다. D-Day에 앞서 주노 해변에 가해진 폭격은 독일의 요새 지대에 큰 피해를 입히지 못했다. 06:00부터 07:30까지 전함의 함포 사격 및 수송선 상의 포병과 전차의 함포 사격은 해안을 방어하는 방어 시설을 겨우 14%만 파괴할 수 있었다. 날씨로 인한 지연으로 인해, 폭격과 캐나다군의 상륙 사이에 독일군은 약 30분간의 재편성 시간을 벌 수 있었다.

주노 해변에 대한 공격 첫 1시간 동안, 캐나다군은 약 50%의 손실을 입었다. 이는 미군이 오마하 해변에서 입은 손실과 비슷한 수준이다. 해중 장애물을 제거한 후, 부대는 신속하게 내륙으로 진격했고, 오마하의 미군에 비해 더 빠르게 독일군의 방어 진지를 제압해나갔다.

낮 동안, 제3 캐나다 보병 사단 전체가 상륙하여 쇠유 강(Seulles River)을 건너는 교량을 확보하기 위해 내륙으로 수 킬로미터 전진했다. 18:00까지 생토뱅 쉬르 메르 마을을 확보했다.

제1 후사 기갑 부대는 밤이 되기 전에 퀸스 오운 라이플 연대를 동반하여 목표 지점에 도달했다. 두 부대는 15km 내륙으로 진격하여 (Caen)과 바유(Bayeux)를 잇는 고속도로 교차점까지 진출했다.[2] 그러나 적의 반격으로 부대는 밀려났다. 이후, 두 개의 독일군 장갑 사단의 반격으로 수 주 동안 전진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침공 당일 6월 6일의 마지막 날까지,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연합군 부대 중에서 가장 프랑스 내륙 깊숙이 진출한 부대였다.[3]

6. 2. 사상자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340명이 사망하고, 57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47명이 포로로 잡혔다.[2] 퀸스 온 라이플스는 143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다른 대대보다 가장 많은 사상자를 기록했으며, 로열 위니펙스는 128명, 노스 쇼어는 125명, 레지나 라이플스는 108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3] 주노 해변으로 진입하는 데 사용된 상륙정 중 306척 중 90척이 손실되거나 파손되었다. D-데이에 대한 기록 부족으로 독일 제716 보병 사단의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합군 병사들이 주노 해변에서 독일군 포로들을 경비하고 있다

6. 3. 기념

오늘날 상륙 작전은 쿠르쇠르쉬르메르의 주노 해변 센터, 캐나다 전쟁 박물관 및 기타 캐나다 군사 박물관의 전시를 통해 기념되고 있다. 베르니에르쉬르메르에서는 해변을 마주보고 있는 집의 소유주들이 매년 기념식을 거행한다. 이 집은 현재 "캐나다 하우스"로 불린다.[1]

노르망디 상륙 작전 76주년 기념일에 베르니에르쉬르메르의 주노 해변에 있는 "캐나다 하우스".

7. 관련 부대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을 주축으로 한 캐나다군은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주노 해변 상륙 임무를 맡았다. 이 작전에는 육군, 해군, 공군이 모두 참여하여 입체적인 공격을 감행했다.[1][3]

육군은 제3 캐나다 보병 사단 예하 2개 여단과 제2 캐나다 기갑 여단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해군은 109척의 함선과 1만 명의 수병을 투입했으며, 주노 해변에 HMCS 알곤킨 등 다수의 함정을 배치했다. 공군은 랭커스터 폭격기와 스핏파이어 전투기 등을 동원하여 상륙 지원에 나섰다.

7. 1. 육군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은 2개의 여단 집단(brigade groups)과 제2 캐나다 기갑 여단의 지원을 받았다.

  • 제7 보병 여단: "로열 위니펙 라이플스(Royal Winnipeg Rifles)", "레지나 라이플스(Regina Rifles)", "캐나디언 스코티시(Canadian Scottish)" 각 연대로 구성
  • 제8 보병 여단: "노스 쇼어(North Shore)", "퀸스 오운 라이플스(Queen's Own Rifles)", "르 레지먼 드 라 쇼디에르(Le Régiment de la Chaudière)" 각 연대로 구성
  • 제9 보병 여단: "캐나다 하이랜드 경보병(Highland Light Infantry of Canada)", "스토몬트(Stormont)", "던다스 앤 갤렌게리 하이랜더스(Dundas and Glengarry Highlanders)", "노스 노바 스코샤 하이랜더스(North Nova Scotia Highlanders)" 각 연대로 구성. 오전 중 후속으로 상륙하여 여단을 선도하여 전진했다. 제27 기갑 연대 "셔브루크 퓨질리어(Sherbrooke Fusiliers)"의 전차는 장갑 지원 병력으로 여기에 배치되었다.


14,000명의 캐나다군이 D-Day에 주노 해변에 상륙했지만, 제1파는 3,000명으로 구성되었고, 최초 공격은 4개 연대와 측면 지원을 담당하는 2개 중대로 구성되었다.[1]

  • 생토뱅 좌익에 노스 쇼어 연대 (난 레드 해변)
  • 베르니에르 중앙에 퀸스 오운 라이플스 연대 (난 화이트 해변)
  • 쿠르솔에 레지나 라이플스 연대 (난 그린 해변)
  • 쿠르솔 서쪽에 로열 위니펙 라이플스 연대 (마이크 레드 해변과 마이크 그린 해변)
  • 우익 측면에 캐나디언 스코티시 연대 소속 중대
  • 좌익 측면에 영국 해병 코만도(British Royal Marine) 소속 중대


주노 해변은 3개의 구역(섹터)으로 나뉘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러브"('''L'''ove), "마이크"('''M'''ike), "낸"('''N'''an)이라고 명명되었다. 이 중 마이크와 낸에 상륙할 계획이었다. 제1 후사르의 지원을 받은 제7 여단은 마이크 섹터에 상륙했고, 포트 갤리 호스의 지원을 받은 제8 여단은 낸 섹터에 상륙했다. 제9 여단은 예비대였다.[1]

섹터부대
마이크 섹터로열 위니펙 라이플 연대
로열 레지나 라이플 연대
캐나다 스코티시 연대 (빅토리아)
제1 후서즈 (런던, 온타리오)
오타와의 카메론 하이랜더스
난 섹터퀸스 오운 라이플 연대 (토론토)
노스 쇼어 연대 (뉴브런즈윅)
르 레지먼트 드 라 샤데레 (퀘벡)
포트 갈리 호스 (위니펙)
하이랜드 경보병 (갈트, 온타리오)
스토몬트, 던다스 앤드 갈렌개리 하이랜더스
노스 노바 스코티아 하이랜더스
마이크 섹터와 난 섹터의 지원 부대셰르브루크 퓨질리어
오타와의 카메론 하이랜더스



지원 부대
왕립 캐나다 포병 연대 (제12, 13, 14, 19 야전 연대)
제17 듀크 오브 요크 로열 캐나다 경기병 (몬트리올)
제3 대전차 연대
왕립 캐나다 육군 지원군단
왕립 캐나다 육군 의료군단
왕립 캐나다 군단 통신 부대
왕립 캐나다 포병 군단


  • 공수 강하


공수 강하 부대
제1 캐나다 공수 강하 대대
제591 공수 강하 공병 중대


7. 2. 해군

Royal Canadian Navy영어는 109척의 함선과 1만 명의 수병을 제공했다.[3] 주노 해변에는 HMCS 알곤킨, HMCS 수, HMCS 프린스 헨리, HMCS 프린스 데이비드와 제4, 제14, 제16 캐나다 기뢰 제거정 전대, 그리고 RCN 상륙용 주정이 배치되었다.[3] 오마하 해변에는 제31 캐나다 기뢰 제거정 전대가 미군을 호위했다.[3] 호위 구축함 전대에는 HMCS 하이다와 HMCS 휴런이 포함되었다.[3]

7. 3. 공군


  • 제6 폭격기 그룹
  • 제127, 441, 442 RCAF 전투기 중대[1]
  • 제400 정찰 중대[1]
  • 제591 공수 강하 공병 중대[1]
  • 상륙 지원을 위해 랭커스터 폭격기와 스핏파이어 전투기가 사용되었다.[1]

8. D-Day 타임테이블

1944년 6월 4일, 수천 명의 병사들이 잉글랜드 남부 항구에서 배에 탑승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아이젠하워 장군은 침공을 24시간 연기했다.

1944년 6월 5일


  • 12:00: 아이젠하워 장군은 침공을 명령했고, 기뢰 제거정이 독일군의 기뢰를 제거하기 위해 먼저 출발했다. 수송선과 호위 함대는 노르망디 해안에 동시에 도착하도록 항구에서 계획대로 출항했다.
  • 18:00: 구축함 HMCS "알곤킨", HMCS "수"에 호위된 무장 상선 HMCS "프린스 헨리", HMCS "프린스 데이비드"를 포함한 캐나다 분견대가 포츠머스 항구를 출항하여 주노 해변으로 향했다. 캐나다 각 함선에서는 장교들이 부하들에게 임무에 대한 지시를 내렸다.


1944년 6월 6일 (D-Day)

  • 01:00: 캐나다군의 함선이 해협 한가운데에 도착했다. 영국에서는 독일군 방어 시설 파괴를 위한 폭격기, 공수 부대 수송기, 주요 거점 확보를 위한 글라이더 등이 이륙을 준비했다.
  • 03:30: 수송선의 캐나다 병사들은 아침 식사를 배급받았다.
  • 04:00: 수송선 위의 캐나다 병사들은 RAF가 독일군의 중포를 폭격하고 있는 르 아브르 부근에서 섬광을 보았다. 서쪽에서는 독일군이 유타 해변과 오마하 해변을 노린 미국의 수송선을 겨냥한 불길을 보았다.
  • 04:30: 모든 병사들은 수송선 갑판에 집합하여 상륙용 주정에 탑승할 준비를 했다.
  • 05:00: 해돋이와 함께 모든 함선이 임무를 시작했다.
  • 06:00: 배 위의 병사들은 프랑스 해안을 짙은 회색 선으로 보았다. 연합군 전함과 순양함은 함포 사격을 시작했다.
  • 06:10: 구축함과 다른 전투함들이 접근하여 사격을 시작했다. 주노 해변에서는 독일군의 반격은 없었다.
  • 06:30: 수송선은 무선 봉쇄를 해제했다.
  • 07:00: 수송선 위의 포병과 전차가 해안을 향해 포격을 시작했다. 주노 해변에서는 독일군이 연합군 함선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 07:30: 대규모 지원 포격이 종료되었다. 독일군은 침공 병력에 대한 반격을 계속했다. 상륙용 주정은 해안을 향해 전진했다.
  • 07:45: 상륙용 주정이 해안에 도착했고, 첫 번째 병사들과 전차가 상륙했다.
  • 08:00: 최초의 캐나다군 교두보가 레자이나 라이플스 연대와 제1 허서스의 전차에 의해 마이크 섹터의 쿨소유에 만들어졌다.
  • 08:30: 퀸스 오운 라이플스 연대는 난 섹터에 상륙하여 만조 때까지 점령했다. 병사들은 독일군 포격으로부터 몸을 숨길 장애물까지 약 183m (200야드) 달려야 했다.
  • 10:00: 캐나다군은 모든 해안에 상륙했다. 증원 부대는 조수가 차오르는 가운데 해안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 10:30: 주노 해변의 로드 켈러 소장은 영국에 있는 크레이러 장군에게 "교두보를 확보했다. 곧 다음 목표로 향하겠다"고 보고했다.
  • 12:00: 모든 제3 캐나다 보병 사단이 주노 해변에 상륙했다.
  • 18:00: 노스 쇼어 연대는 생토방을 확보했다. 몇 시간 후, 캐나다군은 쿨소유와 베르니에르를 확보했다. 이후 하이랜드 연대는 콜롬비에르 쉬르 소유를 확보했고, 제1 허서스는 칸-바이유 간 고속도로 교차점까지 해안에서 15km 떨어진 목표에 도달했다.

9. 영국군 지원

주노 해변 상륙 작전에는 영국 코만도 부대와 영국 부대의 장갑 차량이 지원을 위해 상륙했다. 상륙 지원에 사용된 다수의 해군 함선은 영국 해군 소속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Last Man Standing, the story of Dennis Donovan, 48 Royal Marine Commando Juno Beach https://www.royalmar[...] 2022-07-23
[2] 문서 Battle Diary
[3] 서적 Century of Ser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