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드 몽고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나드 몽고메리는 1887년 런던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군인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엘 알라메인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고, 시칠리아 침공과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지휘했다. 몽고메리는 엄격한 성격과 독단적인 지휘 스타일로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뛰어난 군사적 역량으로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종전 후에는 영국군 참모총장과 NATO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1976년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동상, 저서, 그리고 그가 이름을 남긴 지명 등을 통해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자작 -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은 영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외교관으로 국제 연맹 창설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국제 연합을 지지하며 활동했다. - 영국의 자작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 영국 육군 원수 - 에든버러 공작 필립
1921년 그리스에서 태어난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으로, 해군 복무 후 왕실 배우자로서 70년 이상 공무를 수행하며 왕실 현대화에 기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다. - 영국 육군 원수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하노버)
조지 3세의 아들이자 영국 왕족이었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는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여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논란을 일으켰지만, 하노버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앤서니 이든
앤서니 이든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보수당 하원의원, 외무부 차관, 외무장관을 역임하고 국제연맹을 통한 평화 유지에 힘썼으나, 수에즈 위기의 실패로 총리직에서 사임한 후 에이번 백작 작위를 받았다. -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버나드 몽고메리 | |
---|---|
기본 정보 | |
![]() | |
별명 | 몬티 스파르타 장군 |
출생일 | 1887년 11월 17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서리 주 케닝턴 |
사망일 | 1976년 3월 24일 |
사망지 | 잉글랜드 햄프셔 주 알턴 |
매장지 | 햄프셔 주, 빈스테드 성십자가 교회 묘지 |
국적 | 영국 |
소속 군대 | 영국 육군 |
복무 기간 | 1908년–1958년 |
최종 계급 | 육군 원수 |
군번 | 8742 |
소속 부대 | 로열 워릭셔 연대 |
지휘 | 유럽 연합군 부사령관 (1951–1958) 서방 연합 최고 사령관 위원회 의장 (1948–1951) 제국 참모총장 (1946–1948) 라인강 영국군 (1945–1946) 제21군집단 (1944–1945) 연합 지상군 (노르망디) (1944) 제8군 (1942–1943) 남동부 사령부 (1941–1942) 제12군단 (1941) 제5군단 (1940–1941) 제2군단 (1940) 제3보병사단 (1939–1940) 제8보병사단 (1938–1939) 제9보병여단 (1937–1938) 로열 워릭셔 연대 1대대 (1931–1934) 로열 퓨질리어즈 17대대 (1919) |
주요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영국-아일랜드 전쟁 팔레스타인 아랍 반란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 전투 덩케르크 전투 덩케르크 철수 북아프리카 전역 알람 엘 할파 전투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엘 아게일라 전투 튀니지 전역 메데닌 전투 마레스 선 전투 이탈리아 전역 시칠리아 전역 연합군의 이탈리아 침공 오버로드 작전 캉 전투 굿우드 작전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파리 해방 지크프리트 선 전역 마켓 가든 작전 채널 해안 정리 벌지 전투 서부 연합군의 독일 침공 베리터블 작전 바시티 작전 플런더 작전 루르 포켓 전투 함부르크 전투 팔레스타인 비상사태 |
훈장 | 가터 훈장 기사단 바스 훈장 기사단 대십자 기사 수훈장 감사 보고서 (9회) |
배우자 | 베티 카버 (1927년 결혼, 1937년 사망) |
이후 활동 | 왕립 전차 연대 대령 지휘관 공수 연대 대령 지휘관 (?–1956) 왕립 기갑군단 대표 대령 지휘관 (1947–1957) 육군 체력 단련 군단 대령 지휘관 (1946–1960) 로열 워릭셔 연대 대령 (1947–1963) 사우샘프턴 부대장 (1958–76) |
작위 | |
작위 | 초대 알라메인의 몽고메리 자작 |
작위 취임일 | 1946년 1월 31일 |
작위 퇴임일 | 1976년 3월 24일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Bernard Law Montgomery, 1st Viscount Montgomery of Alamein |
칭호 | KG GCB DSO PC DL |
별칭 | Monty |
2. 생애
1887년 서리주 케닝턴에서 몽고메리 가문의 9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헨리 몽고메리는 성공회 목사였고, 어머니 모드는 아버지보다 18살 어렸다. 몽고메리 가문은 프로테스탄트계 귀족 가문이었으나, 경제적으로는 어려움을 겪었다.[11] 1889년 아버지가 타스마니아 주교가 되면서 재정적 안정을 찾았고, 몽고메리는 타스마니아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자주 매질을 했고, 교육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몽고메리는 훗날 자신이 "끔찍한 아이"였다고 회상했으며, 아들 데이비드가 할머니(모드)와 관계를 맺지 못하게 했고, 1949년 모드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53]
1897년 가족은 영국으로 돌아와 몽고메리는 캔터베리 킹스 스쿨에서, 1901년에는 런던의 세인트 폴 스쿨에서 교육받았다. 이후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무질서와 폭력으로 퇴학당할 뻔했다.[14] 1908년 졸업 후 로열 워릭셔 연대 제1대대에 소위로 임관,[15] 인도에서 해외 근무를 시작했다.[14] 1910년 중위로 진급,[16] 1912년에는 쇼언클리프 육군 캠프의 부관이 되었다.[14]
2. 1. 생애 초기
1887년 11월 17일 런던 케닝턴(현재 람베스구)에서 아일랜드계 영국 성공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헨리 몽고메리는 성공회 목사였으며, 몽고메리 가문은 프랑스계 출신이었다. 몽고메리가 2살 때, 가족은 호주 태즈메이니아주로 이주했다. 유년 시절은 유복하지 않았지만, 명문가 출신이었다. 친할아버지 로버트 몽고메리는 19세기 인도 펀자브 지방의 영국인 공무원이었다. 외할아버지 프레데렉 파라는 뛰어난 성직자이자 작가였다. 어린 시절 몽고메리는 엄격한 성격의 어머니로부터 훈육을 받으며 성장했고, 어머니에게 상당한 적의를 품고 1949년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53] 13세에 아버지가 영국으로 돌아가 높은 직위를 얻게 되면서 가족의 생활 형편이 좋아졌다. 런던의 세인트폴 학교를 졸업하고, 1907년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무질서와 폭력 때문에 퇴학당할 뻔했다.[14] 사관학교 시절 몽고메리는 학업에 열중했지만, 상류층 출신 동기생들 사이에서 '아둔한 인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10년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15] 1914년까지 인도에서 복무했다.2. 2. 군인 생활
몽고메리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군 라인강 영국군 소속 왕립 퓨실리어 연대 제17(근무)대대를 지휘했다.[27] 1919년 11월 본래 계급인 소령(명예 중령)으로 복귀했고,[28] 쾰른에서 열린 테니스 파티에서 윌리엄 로버트슨 경을 설득하여 참모대학에 입학했다.[29]1921년 1월, 참모대학 졸업 후 제17보병여단 여단 부관으로 임명되어 코크주(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 독립 전쟁 진압 작전을 수행했다.[20][30] 몽고메리는 강경책 없이는 승리할 수 없으며, 아일랜드 자치가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31]
1922년, 몽고메리는 맥룸에서 실종된 영국 장교 4명을 찾기 위해 병력을 이끌고 진입했다가 IRA에게 포위될 뻔했지만 무사히 빠져나왔다.[32]
1923년 5월 제49(웨스트 라이딩)보병사단에 배속되었고,[20] 1925년 왕립 워릭셔 연대 제1대대 중대장으로 복귀, 같은 해 7월 소령으로 진급했다.[20][33] 1926년 1월부터 1929년 1월까지 캠벌리 참모대학에서 부참모장으로 근무했다.[34]
1917년부터 1939년까지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몽고메리는 자신의 대대와 함께 프랑스로 파견되었다. 당시 그의 대대는 영국 원정군(BEF)의 제4사단(영국) 예하 제10보병여단(영국)에 소속되어 있었다.[14] 9월 14일에는 임시 대위로 진급했고,[17] 그달에 르 카토 전투와 몽스 전투 이후 후퇴 과정에서 전투 경험을 쌓았다.[14]1914년 10월 13일, 벨기에 국경 근처 바이유 인근 메테른(Méteren)에서 연합군의 반격 작전 중 저격수에게 오른쪽 폐에 총상을 입었다.[14] 그는 벌판에 쓰러져 죽은 척하여 적의 추가 공격을 피하려 했다. 그의 부하 한 명이 그를 구출하려 했지만, 매복해 있던 적 저격수에게 총에 맞아 죽고 몽고메리 위에 쓰러졌다. 저격수는 계속 사격했고, 몽고메리는 무릎에 또 한 번 총상을 입었다.[53] 그러나 몽고메리의 말에 따르면, 죽은 병사가 "나를 향한 많은 총알을 대신 맞았다."
몽고메리 대대 장교와 병사들은 두 사람 모두 죽었다고 생각하여 어둠이 찾아올 때까지 그들을 그대로 둔 채, 들것 팀이 두 시신을 회수할 때까지 기다렸다. 이때 몽고메리는 간신히 살아 있었다. 야전 응급처치소(ADS) 의사들도 그를 포기하고 매장 준비를 지시했지만, 기적적으로 몽고메리는 살아 있었고,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이송된 후 치료를 받고 결국 영국으로 후송되어 1년 이상 머물렀다.[53] 그는 이 기간 동안의 용감한 지도력으로 훈장(DSO)을 받았다. 1914년 12월에 ''런던 가제트(The London Gazette)''에 발표된 이 상훈에 대한 표창장은 다음과 같다.
> 10월 13일, 적을 총검으로 참호에서 몰아낸 용감한 지휘를 보였다. 그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18]
1915년 초 회복 후 그는 여단 참모로 임명되었는데,[19] 먼저 제112보병여단(영국) 그리고 제104보병여단(영국)에서 랭커셔(Lancashire)에서 훈련을 받았다.[20] 1916년 초에 자신의 여단과 함께 서부 전선으로 돌아와 그해 말 솜 전투에 참전했다. 1917년 1월 그는 제33사단(영국)의 2급 참모 장교(GSO2)로 임명되었고,[21] 4월-5월에 아라스 전투에 참가했다.[20] 7월에는 제2군(영국)의 허버트 플루머(Herbert Plumer, 1st Viscount Plumer) 장군 예하 제9군단(영국)의 GSO2로 전출되었다.[20]
몽고메리는 1917년 7월 말에 시작된 파스샹달 전투에서 이 직책을 수행했다. 그는 1918년 2월에 임시 소령으로 진급했고,[22] 6월에는 명예 소령으로 진급했다.[23] 그는 1918년 11월에 제47사단(제2런던)(47th (1/2nd London) Division)의 GSO1(사실상 참모장)으로 전쟁을 마무리했는데,[20] 7월 16일에 임시 중령으로 임명되었다.[24]
2. 2. 2. 1917년~1939년
1919년 몽고메리는 전시 진급이 취소되어 소령(명예 중령)으로 강등되었으나, 캠벌리의 영국 참모대학에 들어갔다.[29] 졸업 후, 1921년 1월 제17보병여단의 여단 부관으로 임명되었다.[30] 이 여단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서 게릴라 진압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코크주(아일랜드)에 주둔하고 있었다.[20]몽고메리는 강경책 없이는 갈등에서 승리할 수 없으며, 아일랜드 자치가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31] 1923년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과 아일랜드 내전 기간 동안 몽고메리는 에식스 연대의 대령 아서 어니스트 퍼시벌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를 썼다.
> 개인적으로 저의 모든 관심은 반군을 물리치는 데 집중되었지만, 얼마나 많은 집이 불탔는지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저는 모든 민간인을 신 페인당원으로 여겼고, 그들과는 어떤 거래도 하지 않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런 종류의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무자비해야 합니다. 올리버 크롬웰이나 독일인이라면 아주 짧은 시간 안에 해결했을 것입니다. 요즘에는 여론이 그런 방법을 허용하지 않고, 국가도 결코 허용하지 않으며, 정치인들은 그런 일을 허용하면 직업을 잃을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로이드 조지가 한 일이 옳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계속했다면 반란을 일시적으로 진압할 수 있었겠지만, 군대를 철수하는 순간 궤양처럼 다시 발발했을 것입니다. 반군들은 아마도 전투를 거부하고, 우리가 떠날 때까지 무기를 숨겼을 것입니다. 따라서 유일한 방법은 그들에게 어떤 형태의 자치를 부여하고, 그들 스스로 반란을 진압하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반란을 진정으로 진압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입니다.[31]
1922년 5월 2일, 몽고메리는 60명의 병사와 4대의 장갑차로 맥룸 마을에 진입하여 그 지역에서 실종된 영국 장교 4명을 찾았다. 그는 병력을 과시하는 것이 실종된 장교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랐지만, IRA를 공격하지 말라는 엄격한 명령을 받았다. 몽고메리는 IRA 지휘관 찰리 브라운과 회담을 가졌고, 장교들이 석방되지 않을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지 설명했다. 브라운은 몽고메리에게 "10분 안에 마을을 떠나라"는 최후 통첩을 했다. 또 다른 IRA 장교인 패트 오설리반은 몽고메리에게 휘파람을 불며, 광장 주변에 조용히 사격 위치를 잡은 수많은 IRA 자원병들이 몽고메리의 부대를 포위하고 있다는 것을 알렸다. 자신의 위태로운 상황을 깨달은 몽고메리는 부대를 이끌고 마을에서 빠져나왔다.[32]
1923년 5월, 몽고메리는 제49(웨스트 라이딩)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20] 1925년 중대장으로 왕립 워릭셔 연대 제1대대에 복귀했고,[20] 1925년 7월 소령으로 진급했다.[33] 1926년 1월부터 1929년 1월까지 캠벌리 참모대학에서 부참모장으로 근무했다.[34]
1929년 1월, 몽고메리는 명예 대령으로 진급했다.[44] 같은 달 왕립 워릭셔 연대 제1대대 본부 중대장으로 복귀했으며, 1929년 중반에는 육군성으로 가서 보병 훈련 교범 집필을 도왔다.[20] 1931년에는 정규 대령으로 진급[45]하여 왕립 워릭셔 연대 제1대대의 대대장이 되었고, 팔레스타인과 영국령 인도에서 복무했다.[20] 1934년 6월 (1932년 1월부터 소급 적용) 대령으로 진급했다.[46] 그는 인도 육군 사관학교(현재의 파키스탄 지휘참모대학(Pakistan Command and Staff College)))에 입학하여 강사로 추천받았습니다.[47] 이 사관학교는 당시 영국령 인도의 퀘타에 있었다.
인도 근무를 마치고 1937년 6월 영국으로 돌아왔다.[48] 그는 임시 계급인 준장으로 제9보병여단을 지휘했다.[49] 같은 해 그의 아내는 사망했다.[20]
1927년 몽고메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오즈월드 카버의 미망인 엘리자베스 카버와 결혼하여 1928년 아들 데이비드를 얻었다.
1938년, 그는 상륙작전 연합작전 훈련을 기획했는데, 이는 웨이벌 경(Sir Archibald Percival Wavell) 장군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는 1938년 10월 14일 소장으로 진급[50]했고,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에서 제8보병사단을 지휘했다.[51] 팔레스타인에서 몽고메리는 아랍 봉기 진압에 참여했다.[52] 1939년 7월 영국으로 돌아가는 도중 심각한 질병을 앓았고, 귀국 후 제3보병사단을 지휘했습니다.[20] 1939년 4월 봉기 진압 보고서에서 몽고메리는 "여러모로 팔레스타인을 떠나게 되어 유감입니다. 이곳에서의 전쟁을 즐겼습니다."라고 적었습니다.[53]
2.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몽고메리는 영국 원정군 (BEF)의 제3사단장으로 프랑스에 파병되었다. 그러나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으로 프랑스군이 대패하자, 영국 원정군은 덩케르크에서 철수하게 되었고, 몽고메리는 1940년 5월 30일 제2군단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제2군단의 철수(다이나모 작전)를 지휘하여 1940년 6월 1일 귀국했다.[20] 7월에는 제5군단장이 되었고, 덩케르크 전투의 공적으로 대영제국 훈장을 수훈받고 중장으로 승진했다. 이듬해인 1941년 4월 제12군단장, 12월에는 남동군 사령관이 되었다.[20]1942년 8월 18일, 윈스턴 처칠 수상은 몽고메리를 클로드 오킨렉 대장 대신 북아프리카 전선의 제8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몽고메리는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에르빈 롬멜이 지휘하는 독일 아프리카 군단을 격파하고 이집트에서 후퇴시켰다.
엘 알라메인 전투의 전초전인 "알람 엘 할파 전투"에서 방어측인 영국군은 몽고메리의 견실한 방어 작전으로 인해 반격을 시도할 만한 본격적인 움직임조차 보이지 않고, 방어만으로 승리를 거두었다.[231] 그 후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영국군은 알람 엘 할파 전투와는 대조적으로 공세로 전환하여 독일군을 격파했다. 이전보다 연합군의 지휘 통제 시스템이 크게 향상되었고, 독일군을 속이기 위한 기만 작전에 대해서도 몽고메리와 그의 홍보팀의 노력과 심사숙고가 결실을 맺었다.[232]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지휘 아래 1943년, 몽고메리는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허스키 작전)을 지휘했다. 이 작전에서 몽고메리는 미국 육군의 조지 패튼 장군이 이끄는 제7군에게 최종 목표였던 메시나를 먼저 점령당했다.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은 몽고메리는 패튼을 몹시 싫어하게 되었다.
시칠리아 전역 후, 몽고메리는 이탈리아 본토 상륙까지 제8군을 지휘했다. 그 후 오버로드 작전(노르망디 상륙 작전) 계획 수립을 위해 몽고메리는 영국으로 소환되었다. 노르망디 침공에 앞서 몽고메리는 제21군집단 사령관이 되어 유럽 전역에서 연합군의 배치를 지시했다. D-Day 이후 아이젠하워가 프랑스에 와서 연합군 총사령관이 될 때까지 몽고메리는 연합군 육군 전체를 지휘했다. 그러나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몽고메리의 지휘 능력에 대해서는 계획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상상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는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비난을 받았다.
전쟁을 통해 몽고메리의 강경한 성격은 연합군 사령부에 종종 불화를 야기했다. 프랑스 상륙 이후 그는 아이젠하워에게 연합군 육군 최고 사령관의 지위를 여러 차례 요구했지만, 지휘 체계가 복잡해지는 것을 꺼린 아이젠하워는 이를 거절했다. 벌지 전투에서 연합군 전선이 남북으로 분열될 위기에 처하자, 아이젠하워는 미 제12군집단(브래들리) 소속 미 제1군(호지스), 제9군(심프슨)의 지휘권을 몽고메리에게 이양했지만, 몽고메리와 미군 지휘관들 사이의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바스토뉴 포위전이 진정된 1944년 말, 몽고메리는 아이젠하워에게 향후 대독 전쟁은 북부 중시 전략을 취해야 하며, 또한 새로운 육군 최고 사령관을 임명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다시 실패를 거듭할 것이라는 경고를 담은 서한을 보냈다. 연합군 원정군 최고사령부 참모들은 미영군 모두 이 서한에 분노했고, 아이젠하워는 결국 몽고메리의 해임을 결정했다. 월터 베델 스미스 참모총장의 개입으로 몽고메리가 사과함으로써 해임은 무산되었다.
몽고메리와의 마찰에 지친 아이젠하워는 몽고메리가 제안한 마켓 가든 작전을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알면서도 정치적 타협으로 승인하게 되었다. 이 작전은 아른험에서 영국 제1공수사단의 궤멸 등 완전한 실패로 끝났지만, 몽고메리 자신은 "작전은 90퍼센트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미군과의 반복되는 충돌과 마켓 가든 작전의 실패로 인해 전후 몽고메리에 대한 평가는 큰 논쟁거리가 되었다. 미국군 장군들과 그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미국 역사가들은 몽고메리의 능력을 낮게 평가한 반면, 영국에서는 일정한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
몽고메리는 아이젠하워에게 연합군 사령관의 지위를 요구했지만, 아이젠하워에게 거절당하고 제21군집단 사령관 자리에 머물렀다. 이에 분개한 몽고메리는 영국의 처칠 수상에게 원수의 지위를 요구했다. 미국군 장성들보다 위에 서서 연합군 사령관의 지위를 얻으려 했다. 그리고 몽고메리의 원수 승진이 승인되었지만, 연합군 내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아이젠하워도 원수로 승격되었다.
1945년 1월 7일, 몽고메리는 기자회견을 열고 벌지 전투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대한 기사에 대해 항의했다. 이것은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몽고메리가 자신의 군대 투입을 막았다고 느낀 미국인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같은 해 3월, 몽고메리는 베르시티 작전을 발동하여 공수 작전을 실시하여 마켓 가든 작전에서 실패했던 라인 강 도하에 성공했다. 독일 내부로 진격한 몽고메리는 독일 수도 베를린 공략을 주장했지만, 엘베 강에서 정지를 명령받았고, 몽고메리의 제2차 세계 대전은 끝났다.
2. 3. 종전 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라인강 연안에 주둔한 영국군을 지휘했고 1946년~1948년에는 영국군 참모총장을 지냈다. 1948년~1951년 항구적 방위조직인 서유럽동맹 의장으로 일했고 1951년~1958년에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의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SHAPE) 부사령관을 지냈다.[185] NATO 사령관직을 물러난 뒤에는 전역하여 저술활동을 하다가 1976년 3월 24일 사망했다. 〈회고록 Memoirs〉(1958)과 〈지도자가 되는 길 The Path to Leadership〉(1961) 등 전쟁의 이론과 역사에 관한 여러 편의 책을 썼다.
몽고메리의 회고록(1958년)은 아이젠하워를 포함한 많은 전시 동료들을 가혹한 어조로 비판했다.[186] 그는 오친렉 원수가 다시 공격받으면 알라메인 방어선에서 후퇴할 의도였다고 시사한 것에 대해 오친렉으로부터 법적 조치를 위협받았고, 1958년 11월 20일 라디오 방송을 통해 알라메인 제1차 전투에서 전선을 안정시킨 것에 대한 감사를 표해야 했다.
1960년 판 몽고메리 회고록에는 이 방송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출판사의 서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독자가 몽고메리의 글에서 오친렉이 "나일 삼각주 너머로" 후퇴할 계획이었다고 추측할 수 있지만, 출판사의 견해로는 제8군이 "휴식을 취하고 재편성"되자마자 공세를 펼칠 의도였다고 명시되어 있다.[187] 몽고메리는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의 명예 시민권을 박탈당했고, 이탈리아 변호사로부터 결투 신청을 받았다.[188]
은퇴 후 몽고메리는 회고록을 집필하여 그 안에서 아이젠하워의 리더십 부재가 전쟁을 장기화시켰다고 비판했다. 한편, 베트남 전쟁에도 비판적이었는데, 미국군이 명확한 전략 목표 없이 대규모 병력을 파병하여 전쟁을 벌이고, 무차별 폭격과 전략적으로 중요한 마을 주민들의 강제 이주 등을 통해 미국군이 "미친 군대"라고 주장했다.[233] 마오쩌둥과 회담했을 때에도 한국 전쟁에서 미국군의 개입은 내정 간섭이라고 부정했다.[233]
몽고메리는 1976년 3월 24일 햄프셔주 올턴(Alton, Hampshire) 자택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같은 주 빈스테드의 성십자가 교회 묘지에 매장되었다.
3. 평가와 비판
군사 작전에 신중함을 중시했던 몽고메리는 불필요할 정도로 많은 준비를 했으므로 조지 패튼이나 아이젠하워 등 연합군 사령관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238] 군사적 쇄신을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공격하기 전에는 병사와 장비를 완벽하게 준비했다. 이러한 그의 방침으로 몽고메리는 느리지만 확고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조급한 성격, 거만한 면모, 다른 의견에 대한 배척, 지나친 자부심 등이 비판받았다.[238] 특히, 몽고메리의 독단적인 행보로 인해 개시된 마켓 가든 작전에서 많은 희생을 치렀다는 비판이 있다.[238]
몽고메리는 재치와 외교적 수완이 부족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그의 "후원자"였던 육군참모총장 앨런 브룩 장군조차도 전쟁 일기에서 여러 차례 이를 언급했다. "그는 재치 부족으로 말할 수 없는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나는 그의 평소 재치 부족과 자기중심적인 태도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헤아리지 못하는 점을 질책해야 했다."
이를 보여주는 한 사건은 북아프리카 전역 중에 발생했다. 몽고메리는 월터 베델 스미스와 1943년 4월 중순까지 스팍스를 점령할 수 있다는 내기를 했다. 스미스는 농담으로 몽고메리가 그렇게 한다면 승무원이 탑승한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주겠다고 답했다. 스미스는 곧 이 일을 잊었지만, 몽고메리는 그렇지 않았고, 4월 10일에 스팍스가 함락되자 스미스에게 "상금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스미스는 그냥 웃어넘기려 했지만, 몽고메리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자신의 항공기를 고집했다. 이 일은 아이젠하워까지 알게 되었고, 아이젠하워는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하여 몽고메리가 플라잉 포트리스를 받도록 했지만, 그로 인해 악감정이 크게 생겼다.[167]
전쟁 후반기에 몽고메리의 역효과를 가져온 재치 부족에 대해 논하면서, 안토니 비보어는 그를 "참을 수 없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비보어는 1945년 1월 몽고메리가 1944년 12월 아르덴에서 독일의 반격을 물리친 공을 영국(그리고 자신)에게 과도하게 돌리려 했다고 말한다. 이러한 "무례하고 불쾌한 실수"는 윈스턴 처칠과 앨런 브룩이 아이젠하워에게 몽고메리가 이끄는 즉각적인 독일 베를린 진격의 필요성을 설득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아이젠하워는 "단검 돌격" 방식의 실행 가능성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베를린이 미래의 소련 점령 지역에 속하게 될 것이라는 합의가 이미 있었고, 그는 아무런 이득 없이 큰 희생을 치르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이젠하워는 영국의 제안을 무시하고 보수적인 광역 전선 전략을 계속 추진했고, 적군은 서방 연합군보다 훨씬 앞서 베를린에 도착했다.[168]
1945년 8월 브룩, 앤드류 커닝햄 경, 찰스 포털 경이 "참모총장" 후임자를 논의하면서, 그들은 몽고메리가 육군의 관점에서 보면 참모총장(CIGS)으로 매우 효율적일 것이라고 결론지었지만, 동시에 육군의 상당 부분에서 매우 인기가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닝햄과 포털은 브룩이 은퇴한 후 몽고메리가 브룩의 후임이 되는 것을 강력히 지지했다.[169] 처칠은 충실한 친구로 알려져 있으며, 몽고메리에 대해 "패배에서는 무적이지만, 승리에서는 참을 수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70]
몽고메리는 "오만한 자만심과 통제할 수 없는 자기 홍보 욕구"에 시달렸다. 당시 윈스턴 처칠의 참모총장이자 신뢰받는 군사 고문이었던 헤이스팅스 이즈메이 장군은 몽고메리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나는 그의 대중에 대한 사랑이 알코올 중독이나 약물 복용과 같은 질병이며, 그가 미치게 만들었다는 결론을 내렸다."[171][172][173]
몽고메리는 이스라엘 장군 모셰 다얀을 두 번 만났다. 1950년대 초 처음 만난 후, 몽고메리는 1960년대에 다얀을 다시 만나 다얀이 연구하고 있던 베트남 전쟁에 대해 논의했다. 몽고메리는 대규모 전투병력 배치, 공격적인 폭격, 마을 전체 인구를 강제로 이주시켜 전략적 햄릿으로 몰아넣는 것을 포함한 미국의 베트남 전쟁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다. 몽고메리는 미국인들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명확한 목표가 없다는 것이며, 현지 지휘관들이 군사 정책을 설정하도록 허용했다고 말했다. 회의가 끝날 무렵, 몽고메리는 다얀에게 자신의 이름으로 미국인들에게 그들이 "미쳤다"고 말해달라고 요청했다.[189]
1967년 5월 알라메인 전투터를 방문하는 동안 그는 고위 이집트 육군 장교들에게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는데, 이는 불과 몇 주 후 6일 전쟁에서 정당한 것으로 드러났다.[190]
은퇴 후 몽고메리는 196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방문 후 공개적으로 아파르트헤이트를 지지했으며, 중국 방문 후에는 마오쩌둥 주석이 이끄는 중국 지도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선언했다.[191][192] 그는 영국에서의 동성애 합법화에 반대하며, 1967년 성범죄법을 "남색 행위에 대한 허가증"이라고 주장했고,[193] "이런 종류의 일은 프랑스인들이 용인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영국인입니다. 감사하게도."라고 말했다.[194]
몽고메리는 금주주의자이자 채식주의자였으며,[195] 기독교 신자였다.[196]
4. 서훈
연도 | 국가 | 훈장 | 비고 |
---|---|---|---|
1914년 | 영국 | 탁월 훈장 | [18] |
1915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39년, 1943년, 1944년 | 영국 | 전공 포상 (Mentioned in Despatches) | 1943년 6월 24일[214], 1944년 1월 13일[215] |
1919년 | 프랑스 | 1914-1918 크루아 드 게르 훈장 | [216] |
1940년 | 영국 | 바스 훈장 3등급(CB) | [213] |
1942년 | 영국 | 바스 훈장 2등급(KCB) | [212] |
1943년 | 미국 | 공훈 훈장 최고 사령관 | [219] |
1944년 | 폴란드 | 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 은십자장 | [223] |
1944년 | 그리스 | 조지 1세 훈장 대십자장 | [222] |
1945년 | 영국 | 바스 훈장 1등급(GCB) | [211] |
1945년 | 소비에트 연방 | 승리 훈장 | [220] |
1945년 | 덴마크 | 코끼리 훈장 기사 | [221] |
1945년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장 | |
1946년 | 영국 | 가터 훈장 | [210] |
1946년 | 영국 | 알라메인의 몽고메리 자작 1대 | [180] |
1947년 | 미국 | 탁월 훈장 | [218] |
1947년 | 체코슬로바키아 | 백색 사자 훈장 대십자장 | [224] |
1947년 | 벨기에 | 레오폴드 2세 훈장 대십자장 | [226] |
1947년 | 네덜란드 | 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장 | [227] |
1949년 | 에티오피아 | 솔로몬 훈장 대십자장 | [225] |
1951년 | 노르웨이 |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 | [228] |
1958년 | 프랑스 | 밀리테르 훈장 | [217] |
해당사항 없음 | 벨기에 | 1940년 크루아 드 게르 훈장 (종려가지) | [226] |
5. 사후
1976년 4월 1일, 영국 윈저의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서 그의 장례가 '영국군 군장(軍葬)'으로 치러졌으며, 1980년 영국 국방성 청사 앞에 '''알라메인 전투''' 당시의 모습으로 동상이 제막되었다.[78]
참조
[1]
서적
World Military Leaders: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7
[2]
간행물
London Gazette
1956-03-09
[3]
간행물
London Gazette
1947-06-10
[4]
간행물
London Gazette
1957-09-20
[5]
간행물
London Gazette
1946-05-31
[6]
간행물
London Gazette
1960-12-30
[7]
간행물
London Gazette
1946-12-20
[8]
간행물
London Gazette
1963-11-15
[9]
간행물
London Gazette
1959-01-06
[10]
방송
Viscount Montgomery of Alamein
http://www.bbc.co.uk[...]
1969-12-20
[11]
웹사이트
Ballynally Townland, Co. Donegal.
https://www.townland[...]
Townlands.ie
2023-05-17
[12]
뉴스
The Suffolk nun charged with teaching one of the world's most controversial military leaders
https://www.greatbri[...]
2022-08-29
[13]
논문
[14]
논문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08-09-18
[16]
간행물
London Gazette
1910-06-07
[17]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3-26
[18]
간행물
London Gazette
1914-12-01
[19]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2-23
[20]
논문
[21]
간행물
London Gazette
1917-02-23
[22]
간행물
London Gazette
1918-04-09
[23]
간행물
London Gazette
1918-05-31
[24]
간행물
London Gazette
1918-09-03
[25]
문서
Horne, Photo Plate No. 1 after p. 100
[26]
서적
The Memoirs of Field Marshal Montgomery
1958
[27]
간행물
London Gazette
1919-10-03
[28]
간행물
London Gazette
1920-02-27
[29]
논문
[30]
간행물
London Gazette
1921-01-26
[31]
서적
British Voices from the Irish War of Independence 1918–1921
Collins
[32]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Monty's Macroom Castle standoff with the IRA
https://www.rte.ie/b[...]
2022-05-05
[33]
간행물
London Gazette
1925-09-11
[34]
간행물
London Gazette
1926-01-29
[35]
논문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문서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London Gazette
1929-01-25
[45]
London Gazette
1931-01-16
[46]
London Gazette
1934-07-06
[47]
London Gazette
1934-08-03
[48]
London Gazette
1937-08-13
[49]
London Gazette
1937-08-13
[50]
London Gazette
1938-11-01
[51]
London Gazette
1938-11-01
[52]
서적
A Line in the Sand
Simon & Schuster
[53]
harvnb
[54]
harvnb
[55]
서적
Britain, France, and Belgium, 1939–1940
Brassey's (UK)
[56]
서적
The Miracle of Dunkirk
The Viking Press
[57]
harvnb
[58]
서적
The Memoirs of Field Marshal Montgomery
[59]
서적
The Memoirs of Field Marshal Montgomery
[60]
London Gazette
1940-07-26
[61]
harvnb
[62]
London Gazette
1941-07-22
[63]
London Gazette
1941-12-26
[64]
간행물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Second World War: Six Years of War: The Army in Canada, Britain and the Pacific
Queen's Printer
[65]
harvnb
[66]
문서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70]
뉴스
Jim Fraser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3-05-27
[71]
서적
[72]
서적
[73]
간행물
London Gazette
1942-10-13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웹사이트
Chapter 11 – Tunisia. The Battle of Medenine
https://nzetc.victor[...]
[82]
웹사이트
Bernard Montgomery, 1st Viscount Montgomery of Alamein
http://www.oxforddnb[...]
2012-07-01
[83]
서적
[84]
잡지
Generals at War
https://www.weeklyst[...]
2005-05-30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뉴스
Mistake in the Master Plan
https://www.nytimes.[...]
1984-01-22
[119]
논문
[120]
논문
[121]
간행물
Life
1951-04-16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서적
Eisenhower's Lieutenants
Indiana University Press
[138]
논문
[139]
London Gazette
1944-08-29
[140]
논문
[141]
서적
Terrible Victory: First Canadian Army and the Scheldt Estuary Campaign: 13 September – 6 November 1944
D & M Publishers
[142]
harvnb
[143]
harvnb
[144]
harvnb
[145]
harvnb
[146]
harvnb
[147]
harvnb
[148]
harvnb
[149]
서적
A Bridge Too Far
[150]
harvnb
[151]
웹사이트
The German Counteroffensive in the Ardennes
https://web.archive.[...]
U.S. Army Center for Military History
2019-11-17
[152]
서적
The Ardennes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2019-11-17
[153]
서적
The Supreme Command
http://www.ibiblio.o[...]
U.S. Department of the Army
[154]
웹사이트
The RAF in WWII
https://web.archive.[...]
The Royal Air Force
1945-05-07
[155]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Bulge
https://web.archive.[...]
US Army
1999-06-20
[156]
서적
The Memoirs of Field Marshal Montgomery
[157]
서적
In Pursuit of Military Excellence; The Evolution of Operational Theory
Francass
[158]
서적
Liddell Hart and the Weight of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159]
간행물
A Very Special Relationship: Basil Liddell Hart, Wehrmacht Generals and the Debate on West German Rearmament, 1945-1953
http://usir.salford.[...]
SAGE
[160]
논문
Liddell Hart and the Mearsheimer Critique: A 'Pupil's' Retrospectiv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161]
서적
The Supreme Command
[162]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II
United States. Dept. of the Army – Office of Military History
[163]
웹사이트
HyperWar: The Last Offensive [Chapter 11]
https://web.archive.[...]
[164]
웹사이트
The U.S. Ninth Army's Breakout: Crossing the Roer and the Rhine
https://web.archive.[...]
Warfare History Network
2018-12-30
[165]
웹사이트
Second World War Military Situation Maps 1944–1945
http://militarymaps.[...]
[166]
harvnb
[167]
harvnb
[168]
서적
The Fall of Berlin 1945
Penguin
[169]
harvnb
[170]
서적
The Wicked Wit of Winston Churchill
Michael O'Mara Books Limited
[171]
서적
World War II in Europe: A Concise History
Cengage Learning
[172]
서적
A World at Arms: A Global History of World War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3]
서적
The Day of Battle: The War in Sicily and Italy, 1943–1944
Henry Holt and Company
[174]
harvnb
[175]
웹사이트
Notebook: Spot the Northern Town competition
https://www.independ[...]
1999-01-09
[176]
harvard
[177]
harvard
[178]
London Gazette
1951-10-09
[179]
London Gazette
1958-09-26
[180]
London Gazette
1945-12-28
[181]
웹사이트
Sir Winston Churchill Gets The Winkle In Ceremony at Hastings
http://www.wpafilmli[...]
Pathe News
2014-04-10
[182]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St. John's School, Leatherhead
2020-05-14
[183]
웹사이트
Pompey mentioned in Monty's despatches – The News
https://web.archive.[...]
Portsmouth.co.uk
2004-06-15
[184]
뉴스
The Field Marshall reconnoitres Switzerland's No-Man's-Land once again: some striking aerial views of Mount Toedi taken by Lord Montgomery.
1957-02-23
[185]
서적
Montgomery memoirs
[186]
harvard
[187]
harvard
[188]
뉴스
Duel challenge from Vincenzo Caputo
La Repubblica
1992-02-22
[189]
웹사이트
Moshe Dayan Sounds the Alarm in Vietnam
http://www.historyne[...]
2011-09-15
[190]
뉴스
Nasser and His Enemies: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in Egypt on the Eve of the Six Day War
MERIA Journal
[191]
harvard
[192]
harvard
[193]
harvard
[194]
서적
The Columbia dictionary of quotation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0-10
[195]
서적
The Tangled Web: The Art of Tactical and Strategic Deception
J. Goodchild
[196]
웹사이트
How a Man of Prayer was used by God
https://www.christia[...]
2012-12-08
[197]
뉴스
Field Marshal Montgomery Dead at 88
https://www.nytimes.[...]
1976-03-24
[198]
웹사이트
Bernard Law Montgomery, 1st Viscount Montgomery {{!}} British military commander
https://www.britanni[...]
[199]
웹사이트
Bernard Law Montgomery: Unbeatable and unbearable
https://www.nam.ac.u[...]
[200]
웹사이트
Bernard, Viscount Montgomery of Alamein
https://www.westmins[...]
[201]
웹사이트
Garter Banner Location
https://web.archive.[...]
St George's Chapel, Windsor
2015-06
[202]
웹사이트
Bernard Law Montgomery, 1st Viscount Montgomery of Alamein
http://www.npg.org.u[...]
National Portrait Gallery
[203]
웹사이트
Field Marshal Montgomery and Oscar Nemon
http://www.gettyimag[...]
Getty Images
2015-02-10
[204]
웹사이트
In pictures: Tribute to Montgomery
http://news.bbc.co.u[...]
BBC
[205]
웹사이트
Monty: Master of the Battlefield
https://web.archive.[...]
Imperial War Museum
[206]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mmpb.com[...]
[207]
웹사이트
RLC Museum
https://www.royallog[...]
[208]
잡지
The Trouble With Harry's
https://books.google[...]
1987-10-19
[209]
서적
The Military 100: A Ranking of the Most Influential Leaders of All Time
Citadel Press
[210]
London Gazette
1946-12-03
[21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5-06-08
[212]
간행물
London Gazette
1942-11-10
[213]
간행물
London Gazette
1940-07-09
[214]
간행물
London Gazette
1943-06-22
[2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01-11
[216]
간행물
London Gazette
1919-01-03
[217]
웹사이트
The Military Medal {{!}} La grande chancellerie
https://www.legiondh[...]
2021-10-22
[218]
간행물
London Gazette
1947-01-14
[219]
간행물
London Gazette
1943-08-06
[220]
간행물
London Gazette
1945-06-19
[22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5-07-31
[222]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06-16
[223]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10-27
[224]
간행물
London Gazette
1947-01-14
[225]
간행물
London Gazette
1949-03-25
[226]
간행물
London Gazette
1947-01-14
[227]
간행물
London Gazette
1947-01-14
[228]
간행물
London Gazette
1951-07-10
[229]
웹사이트
Mr Bernard Montgomery
https://api.parliame[...]
2014-02-16
[230]
서적
「第二次世界大戦 影の主役」(「Engineers of Victory」)
[231]
서적
「第二次世界大戦 影の主役」(「Engineers of Victory」)
[232]
서적
「第二次世界大戦 影の主役」(「Engineers of Victory」)
[233]
웹사이트
Talks with Marshal Montgomery on the Three Principles and the Question of Nuclear Weapons
http://www.china.org[...]
2019-06-05
[234]
웹사이트
Field Marshal Bernard Law Montgomery, 1st Viscount Montgomery of Alamein
http://thepeerage.co[...]
2014-02-16
[235]
간행물
London Gazette
2009-10-24
[236]
간행물
London Gazette
2009-10-24
[237]
간행물
London Gazette
2009-10-24
[238]
서적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역사 속 10대 앙숙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