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는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의 지휘를 받아 활동한 유격 부대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1952년 유엔군 유격부대 한국(UNPFK)으로 재편성되었고, 1953년 유엔군 유격 보병 한국(UNPIK)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54년 해산되었다. 이 부대는 다양한 연대와 첩보 부대, 공군 지원 부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요 작전으로 장산곶 포대 공격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국적군의 부대 및 편성 - 동티모르 국제군
    동티모르 국제군은 1999년 동티모르 독립 국민투표 이후 발생한 폭력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파견된 다국적군이며, 호주가 주도하고 22개국이 참여하여 평화 및 안전 회복, 인도적 지원을 목표로 활동했다.
  • 다국적군의 부대 및 편성 - 전략 항공수송 능력 확충 계획
    전략 항공수송 능력 확충 계획은 NATO 회원국들의 전략적 항공 수송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2008년에 창설되었으며, C-17 항공기를 운용하는 중항공수송비행단을 통해 군사, 평화 유지, 인도적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 8240부대
    8240부대는 한국 전쟁 중 미군의 지원 하에 한국인 유격 부대들을 통합하여 창설된 비정규전 수행 부대로, 후에 유엔군 유격부대로 개명되었고, 해체 후 그 유산은 제1공수특전단을 통해 육군특수전사령부로 이어졌다.
  •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 주한 합동 고문단
    주한 합동 고문단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한국군의 창설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의 지원으로 창설된 기구로, 초기 군사 분야 지원에서 2000년대 이후 사회 전반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며 한국의 발전과 한미 동맹에 기여했으나, 미국의 영향력 행사 논란도 있다.
  • 대한민국의 특수부대 - 해군 특수전전단
    해군 특수전전단은 대한민국 해군의 특수전 부대로서, 수중파괴, 폭발물 처리, 해상 대테러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1955년 창설된 해군 수중파괴대를 모체로 다양한 작전과 사건에 투입되었고, 특전전대, 해난구조전대, 교육훈련전대 등으로 구성되어 정예 특수전 요원을 양성한다.
  • 대한민국의 특수부대 - 대한민국 국군 특수부대
    대한민국 국군 특수부대는 육해공군 및 해병대에서 다양한 특수 임무를 수행하며, 1948년 제803독립대대를 시작으로 육군 특수전사령부, 해군 특수전전단, 공군 공정통제사 등 여러 부대가 창설되어 대테러, 적지 종심 작전 등을 수행한다.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국제연합유격군 / 주한유엔군유격부대
영어 명칭United Nations Partisan Infantry Korea
소속 국가미국
대한민국
소속국제 연합
종류코만도
역할비정규전 부대
임무첩보 활동
유격전
사보타주
비행사 및 포로 구출
규모여단
명령 체계제8군
극동사령부
유엔사령부
활동 기간1952년 11월 ~ 1954년 2월
지휘관
기타 정보
참전한국 전쟁

2. 명칭

한국 전쟁 당시 "United Nations Partisan Forces Korea (UNPFK)"의 한국어 명칭은 '''국제연합유격군'''이었지만, 여기서는 군사편찬연구소가 발간한 한국전쟁의 유격전사에서 사용하는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로 기재한다.

3. 역사

1952년 11월, 8240부대 및 기타 유격대 특공 부대는 '''유엔군 유격부대 한국(UNPFK)'''으로 재지정되었다.[1] 1953년 9월에는 '''유엔군 유격 보병 한국(UNPIK)'''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UNPIK는 1954년에 해산되었다.

4. 조직 및 활동

한국 전쟁 당시 서해의 월래도는 남한 지지 세력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이 기지는 룡연군 장산곶에 주둔한 북한 포병의 포격을 정기적으로 받았다.[2][3]

1952년, 유엔 한국 부흥 기구(UNPIK) 소속 유격대가 장산곶에 상륙, 북한 포대 진지를 성공적으로 점령 및 파괴하고 적은 손실만 입고 철수했다.[2][3]

4. 1. 유격전 부대

부대명활동 기간주요 주둔지
제8213부대 제8군 레인저 중대1951년 1월 15일 ~ 4월-
제8245부대 제10군단 레인저 중대1951년 1월 15일 ~ 4월-
제1공수유격보병연대 (옛 "머스탱 레이더")1952년 5월 12일 ~ 1954년 4월 30일서울
제1유격보병연대 (옛 "레오파드")1952년 11월 11일월내도
제2유격보병연대 (옛 "울프팩")1952년 11월 11일강화도
제3유격보병연대 (옛 "TF 커크랜드", "TF 스캐논")1951년 2월 ~ 1954년 4월 30일-
* 스톰(Storm영어) (중대/대대)1952년 3월 ~ 1954년 4월 30일속초
* 커크랜드(Krikland영어) (중대/대대)--
* 토치라이트(Torchlight영어) (중대/대대)1952년 3월 ~ 1954년 4월 30일속초
* 아벤리(avanlee영어) (중대/대대)1952년 3월 ~ 1954년 4월 30일주문진
제5유격보병연대 (옛 "울프팩 West")1953년 4월 1일용평도
제6유격보병연대 (옛 "레오파드 North")1953년 이후용유도/초도
울프팩 (약 1만)--
* "WP-1" (옛 국군 제1사단 "제5816부대")1951년 7월 ~ 1954년 4월 30일강화도
* "WP-2"1952년 8월 10일교동도
* "WP-3"-강화도
* "WP-4"-황해남도 해주시 (옛 D-8)
* "WP-5"1952년 2월 10일 ~대수압도 (옛 D-12)
* "WP-6"1951년 12월연평도
* "WP-7"-용매도
* "WP-8"-주문진
레오파드 (=동키, 옛 "TF 윌리엄 에이블")--
* "D-1"-기린도
* "D-3"-초도
* "D-4"-월내도
* "D-5"-백령도 (옛 "TF 페리")
* "D-6"-초도
* "D-7"-초도
* "D-9"-초도
* "D-10"-초도
* "D-11"-순위도
* "D-13"-순위도
* "D-15"-신미도
* "D-20"-초도



서해의 섬인 월내도는 전쟁 중 남한 지지 세력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이 기지는 룡연군의 장산곶에 있는 북한 포병의 포격을 정기적으로 받았다.[2][3]

1952년, 유엔 한국 부흥 기구(UNPIK)와 함께 활동하는 한 무리의 유격대가 장산곶에 상륙했다. 그들은 성공적으로 포대 진지를 점령하여 파괴했고, 소규모의 손실만 입고 탈출했다.[2][3]

4. 2. 첩보전 부대

4. 3. 공군 지원 부대

4. 4. 주요 작전

1952년, 유엔 한국 부흥 기구(UNPIK)와 함께 활동하는 한 무리의 유격대가 황해도 룡연군 장산곶에 상륙했다. 이들은 북한 포대 진지를 성공적으로 점령하여 파괴했고, 적은 손실만 입고 탈출했다.[2][3]

참조

[1] 웹사이트 The Army’s Guerrilla Command in Korea https://arsof-histor[...]
[2] 서적 White Tigers: My Secret War in North Korea Brassey's
[3] 논문 Unconventional Warfare in Korea: Forgotten aspect of the 'Forgotten War' http://www.dvidshub.[...] John F. Kennedy Special Warfare Center and School 2003-08
[4] 웹인용 한국전쟁의 유격전사 https://www.imhc.mil[...] 2023-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