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룡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룡연군은 황해로 뻗은 룡연반도에 위치한 군으로, 장산곶과 몽금포, 구미포 등의 지형적 특징을 갖는다. 1952년 장연군 일부를 통합하여 신설되었으며, 한국 기독교 초기 역사의 중요한 장소이기도 하다. 한국 전쟁 중에는 유격대의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1읍 20리로 구성되어 있다. 철도는 없으며,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북한 기근 당시 구호 단체의 지원을 받았으며, 몽금포에서 규사가 산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남도의 군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황해남도의 군 - 송화군
    송화군은 황해남도 북서부 내륙에 위치하며 고구려 시대에는 마경이와 판마곶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송화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52년 군면리 통폐합으로 설치되어 현재 1읍 10리로 구성, 과일 재배가 활발하고 송화온천 등의 명승지가 있는 지역이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룡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룡연군
한자 표기龍淵郡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Ryongyŏn-gun
로마자 표기 (개정)Yongyeon-gun
위치황해남도
지리
좌표38° 09′ N 124° 53′ E
면적490.7 km²
행정 구역
종류
하위 행정 구역읍 1개, 리 20개
인구 통계
총 인구 (2008년)90,102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소속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 도황해남도

2. 지리

룡연군은 황해로 뻗은 룡연반도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태탄군, 북쪽으로는 장연군과 접한다. 룡연반도 끝에는 장산곶이 있고, 반도 북쪽 해안에는 몽금포 마을이, 남쪽 해안에는 구미포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명승지로 알려져 있다. 장산곶 앞바다에는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백령도가 있다.

2. 1. 지형

위성 사진


룡연군은 남쪽과 서북쪽으로 황해에 접해 있는 463 km2의 해안 지역이다. 북동쪽으로는 장연군, 동쪽으로는 태탄군과 접한다. 월내도(월내도|월내도한국어), 오작도, 육도 등 남쪽에 있는 여러 섬을 포함한다. 룡연군은 대한민국의 백령도와 폭 12km의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맑은 날에는 대한민국의 휴양지에서 뚜렷하게 보인다.[2]

불타산맥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룡연군을 통과한다. 산맥의 서쪽 부분은 황해로 뻗어 룡연반도를 형성하며, 그 서쪽 끝에는 장산곶이 있다. 지형은 주로 산악 지형이며, 산맥의 북쪽과 남쪽에는 해변과 일부 저지대가 있다. 몽금포구미포, 두 개의 주요 만 또는 항구가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호 자연 지역 두 곳이 해안선에 위치해 있다. 장산곶에는 25.8km2의 보호 구역이 있으며,[3] 곶의 다른 부분은 식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 반도의 북쪽에는 0.1km2의 국가 기념물인 몽금포 사구가 있다.[5]

2. 2. 주요 지명

서쪽 황해로 뻗은 룡연반도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으로는 태탄군, 북쪽으로는 장연군과 접한다.

룡연반도의 끝에는 장산곶이 있다. 반도 북해안에는 몽금포 마을이 있고 장산곶으로부터 이어지는 사구는 명승지로 알려져 있다. 반도의 남해안은 대동만을 사이에 두고 옹진반도와 마주 보고 있으며, 구미포 역시 경승지로 알려져 있다.

장산곶 앞바다에는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백령도가 있다.

2. 3. 기후

룡연군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록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최고 기온 (℃)평균 기온 (℃)최저 기온 (℃)강수량 (mm)강수일 (0.1 mm 기준)강설일습도 (%)
1월1.2°C-3.7°C-8.4°C9.4mm4.45.972.4
2월4.1°C-1.3°C-6.2°C14.5mm3.42.669.5
3월9.7°C3.9°C-1.3°C18.7mm3.31.067.1
4월16.7°C10.4°C4.4°C44.1mm4.70.166.6
5월22.5°C16°C10.2°C74.7mm5.70.071.6
6월26.4°C20.7°C15.9°C81.3mm6.30.078.2
7월28.2°C24°C20.6°C205.7mm9.70.086.0
8월29.2°C24.5°C20.5°C182.3mm8.60.084.5
9월25.9°C19.7°C14.2°C81.7mm5.00.078.9
10월19.6°C13.1°C6.9°C32.5mm4.20.174.3
11월11.2°C5.9°C0.9°C37.6mm6.52.175.0
12월3.6°C-1.1°C-5.4°C18.1mm7.06.974.9
연간16.5°C11°C6°C800.6mm68.818.774.9



자료: 대한민국 기상청[6]

3. 역사

룡연군은 원래 장연군의 일부였다.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는 1884년개신교 교회당이 처음 건설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 세례를 받은 조선인 신도 서상륜 등에 의해 룡연반도 남쪽 해안의 구미포 부근(당시 장연군 대구면 송천리, 현 룡연군 구미리)에 처음 건설된 소래교회(송천 교회)는 침례교장로교 선교의 거점이 되었다. 1895년에는 현지 기독교인들이 영구적인 교회 건물을 건설했다.[10][11]

룡연군은 38선 바로 위에 위치하여 한국 분단 당시 북쪽 지역에 포함되었다.

3. 1. 행정구역 개편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장연군의 해안면, 대구면, 룡연면의 13개 리를 합쳐 룡연군을 신설했다.[18] 1961년 3월에는 태탄군의 4개 리를 편입하였다.[18]

  • 1952년 12월 - 황해도 장연군 해안면·대구면 및 용연면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룡연군''' 설치. (1읍 15리)[18]
  • * 룡연읍·룡호리·선포리·가평리·사원리·룡정리·근록리·석교리·평촌리·봉대리·순계리·몽금포리·장산리·오차진리·구미리·금수리
  • 1954년 10월 - 황해도 분할에 따라 황해남도 '''룡연군'''이 됨.(1읍 15리)[18]
  • 1961년 3월 - 태탄군 원촌리·향초리·고현리·곡정리를 편입.(1읍 19리)[18]
  • 1967년 10월 - 원촌리의 일부가 분립하여 남창리 발족.(1읍 20리)[18]
  • 1983년 1월 - 금수리가 등산리로 개칭.(1읍 20리)[18]

3.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당시, 룡연군은 남한을 지지하는 유격대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룡연군의 월래도는 장산곶 본토에 주둔한 북한 포병에 의해 정기적으로 포격을 받았다.[12] 1952년 "백호" 유격대가 미국 특수 부대와 협력하여 장산곶에 상륙, 포병 진지를 점령 및 파괴하고 적은 손실로 탈출했다.[13] 전직 북한군 장교의 보고에 따르면, 룡연군 해안 지역은 아직도 지뢰로 방어되고 있다.[14]

4. 행정 구역

룡연읍가평리, 고현리, 곡정리, 구미리, 근록리, 남창리, 등산리, 룡정리, 룡호리, 몽금포리, 봉태리, 사원리, 석교리, 선포리, 순계리, 오차진리, 원촌리, 장산리, 평촌리, 향초리


5. 교통

철도는 지나지 않으며, 대신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6. 산업

1990년대2000년대 북한 기근(고난의 행군) 동안 구호 단체들은 룡연군에서 거의 기아 상태를 보고했다.[15] 서방 구호 단체들은 "7,000에이커가 넘는 4개의 집단 농장에서 친환경적인 지역 사회 개발"을 가져오기 위해 룡연 지속 가능한 식량 안보 프로그램을 지원했다.[16]

2008년 서울에서 열린 한국-중국 해저 터널 건설 계획에 관한 국제 회의에서 장산은 한국 측 종착역으로 고려된 장소 중 하나였다. 제안된 4개의 노선 중 룡연-웨이하이 노선이 가장 짧았고, 남한이 아닌 북한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17] 몽금포에서는 규사를 산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Baekryong, an Island Overlooking Jangsan Cape in North Korea http://english.kbs.c[...] KBS Global 2009-12-04
[3] 웹사이트 Jangsan Cape http://www.unep-wcmc[...] 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 2009-12-04
[4] 뉴스 Scenic Spots on West Coast of Korea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7-06-13
[5] 웹사이트 Monggumpho Sand Hill http://www.unep-wcmc[...] 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 2009-12-04
[6]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4
[7] 백과사전 용연군 (''Yongyŏn-kun'') http://100.empas.com[...] Korean Britannica Company 2009-12-04
[8] 웹사이트 Major history http://www.pck.or.kr[...]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2009-12-04
[9] 서적 The guest https://books.google[...] Seven Stories Press 2009-12-04
[10] 서적 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Or, Life in Korea https://books.google[...] American Tract Society 2009-12-04
[11] 서적 The Call of Korea https://books.google[...] Fleming H. Revell Co. 2009-12-04
[12] 서적 White Tigers: My Secret War in North Korea Brassey's
[13] 논문 Unconventional Warfare in Korea: Forgotten aspect of the 'Forgotten War' http://www.soc.mil/s[...] John F. Kennedy Special Warfare Center and School 2003-08
[14] 서적 Landmine Monitor Report 2007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2009-12-04
[15] 뉴스 People Waiting to Starve to Death in Ryongyon county, South Hwanghae Province http://www.reliefweb[...] Research Institute for North Korean Society 2008-06-16
[16] 뉴스 Anabaptists take the lead on vital North Korea farm programme http://www.ekklesia.[...] 2008-05-11
[17] 웹사이트 Korea-China Undersea Tunnel Could Enable Close Partnership of Northeast Asia http://english.gg.go[...] Gyeonggi Province 2008-05-30
[18] 웹사이트 황해남도 용연군 역사 http://www.cybernk.n[...]
[19]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