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공 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공 단은 주 문왕의 아들이자 주 무왕의 동생으로,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 건국에 기여했다. 무왕 사후 어린 조카 성왕을 보좌하며 섭정으로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예악을 정비하여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섭정에서 물러난 후 낙읍에 부도를 건설하고, 유학의 이상적인 인물로 숭앙받았으며, 꿈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주공 단의 후손은 노나라 제후, 맹자의 선조, 장제스 가문 등으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공 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단 (旦) |
존칭 | 주공 (周公) |
시호 | 문공 (文公) 무후에 의해 추존: 보덕왕 (褒德王) 진종에 의해 추존: 문헌왕 (文獻王) |
개인 이름 | 기 단 (姬旦) |
신분 | |
역할 | 주나라의 섭정 |
재위 기간 | 기원전 1042년–기원전 1035년 |
가계 | |
아버지 | 주 문왕 |
어머니 | 태사 |
자녀 | 백금 |
2. 생애
주공 단은 주 문왕과 왕후 태사의 넷째 아들로, 이름은 '''단'''(旦)이다. 맏형 백읍고는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고, 둘째 형은 주 무왕으로 즉위했다. 무왕은 단에게 현재의 뤄양 근처의 옛 상나라 수도 지역을 확보하는 임무를 맡겼다.
주공 단은 형인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주나라 건국 초기, 무왕이 병으로 위독해지자 단은 자신의 목숨을 바쳐 무왕의 쾌유를 빌었을 정도로 충성심이 깊었다. 무왕 사후 어린 성왕이 즉위하자 섭정이 되어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7년 후 성왕에게 정권을 이양하는 등 주나라 초기의 기틀을 다졌다.
무왕은 즉위 3년 만에 사망하고 어린 아들 주 성왕에게 왕국을 남겼다.[4][5] 주공은 섭정에 성공하여 왕국을 다스렸으나,[5] 삼감의 난을 비롯한 여러 반란에 직면해야 했다.[6] 주공은 이러한 반란들을 진압하고[4]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주나라의 통제를 강화했다.
주공은 천명 사상을 발전시켜 상나라를 대체하고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는 주나라의 명분을 확립했다.[7] 또한, 형 주 무왕의 봉건제를 확장하고 성문화하여성주를 건설했다.[8]
주공은 예악의 기초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팔괘의 효(爻)를 해설하여 역경을 완성했으며 주의 의식과 의례를 정리해 《주례》와 《의례》를 저술했다. 춘추 시대의 인물 공자는 주공을 이상적인 성인으로 존경하여 꿈에서라도 뵙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주역이 기원전 403년 이후에 체계가 갖추어졌고, 주례는 익명의 다른 사람이 쓴 것으로 보고 있다.
주공의 묘는 오랫동안 위치가 불확실했으나, 2004년 중국 산시성 바오지의 주공묘(周公廟) 부근에서 발견된 무덤을 주공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1. 주나라 건국과 초기 통치
주 무왕은 주나라 건국 후 단에게 하남성 언사 지역을 봉토로 하사했으나, 단은 천하가 안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직접 다스리지 않고 아들 백금을 보내 통치하게 했다.[4] 단 자신은 호경에 남아 어린 조카 성왕을 보좌하며 섭정이 되었다.[5] 무왕이 병으로 위독했을 때, 단은 자신의 목숨을 바쳐 무왕의 쾌유를 빌었다고 전해진다.
무왕 사후 성왕이 즉위하자 단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읍(雒邑)에 주나라의 부도(副都)를 건설하였다. 또한, 단은 예악의 기초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공자는 단을 이상적인 성인으로 존경하였다.
2. 2. 삼감의 난 진압
무왕 사후, 은나라 제신(帝辛)의 아들 무경과 주공 단의 형제들인 관숙 선(管叔鮮), 채숙 도(蔡叔度)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를 삼감의 난이라고 한다. 주공 단은 반란을 진압하고 무경과 관숙 선을 처형했으며, 채숙 도는 유배 보냈다.[4]
2. 3. 봉건제 확립과 예악 정비
주나라의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단은 봉건제를 강화하고, 낙읍(뤄양 시)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4][8] 또한, 주나라의 의례와 음악을 정비하여 예악 문화를 발전시켰다.
단은 천명 교리를 발전시켰는데, 이는 신 상제의 후손으로서 권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상나라의 주장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교리에 따르면 상나라의 부당함과 타락은 천을 심각하게 모욕했고, 하늘은 그들의 권위를 빼앗고 주나라에게 상나라를 대체하고 질서를 회복하라고 명령했다.[7]
단은 형 무왕의 영토 행정 시스템을 확장하고 성문화하여[4] 충성스러운 상나라 씨족들에게 작위를 수여하고 기원전 1038년경에 성주(뤄양 시)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8]
현대 학자들은 주역이 기원전 403년 이후에 체계가 갖추어졌고, 주례는 익명의 다른 사람이 쓴 것으로 보고 있다.
2. 4. 성왕에게 정권 이양
7년 뒤 성왕이 성인이 되자, 단은 섭정에서 물러나 성왕에게 정권을 이양하고 제후의 지위로 돌아갔다. 그 후, 낙양인 낙읍(雒邑)에 자리를 잡고 주의 부도(副都)를 세웠다.
3. 사상과 유산
단은 낙읍에 주나라의 부도(副都)를 건설하고, 예악(禮樂)의 기초를 확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팔괘의 효(爻)를 해설하여 역경을 완성하고, 주의 의식과 의례를 정리한 《주례》와 《의례》를 저술했다고 전해진다. 다만, 현대 학자들은 주역이 기원전 403년 이후에 체제가 갖추어졌고, 주례는 익명의 다른 사람이 쓴 것으로 보고 있다.
주공 단은 천명(天命) 사상을 발전시켜 주나라 통치의 정당성을 확립했다는 요약이 있지만 원문 소스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이 내용은 생략한다.
3. 1. 유교에서의 평가
단은 예악(禮樂)을 정비하고 유교 사상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공자는 주공을 이상적인 성인으로 존경했으며, 꿈에서 주공을 보지 못하는 것을 "나도 이제 늙어버렸다"라고 탄식했다고 한다.
3. 2. 도통(道統) 계승
유교에서는 요, 순, 우, 탕, 문왕, 무왕, 주공, 공자, 증자, 안회, 자사, 맹자로 이어지는 도통(道統)을 중시하며, 주공은 이 도통을 계승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주공은 예학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공자는 주공의 시대에서 약 500년 뒤 춘추 시대에 유학을 정립하였는데, 주공을 이상적인 성인으로 숭배하여 꿈에서라도 주공을 보기를 원할 정도로 존경하였다.[1]
3. 3. 꿈의 신
공자는 "아, 쇠퇴하는구나! 주공을 꿈에서 본 지가 오래되었다."라고 말했는데,[14] 이는 주공의 통치 이상이 퇴색된 것을 한탄하는 의미였지만, 후에는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중국 전설에 따르면, 어떤 사람에게 중요한 일이 생길 경우, 주공[15]이 꿈을 통해 그 사람에게 알려준다고 한다. 그래서 "주공을 꿈꾸다"라는 중국어 표현은 "잠들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주공은 주공해몽을 저술한 것으로 전해진다.[16] 다만, 오늘날에는 이 책이 후대에 만들어졌으며, 명군으로 칭송받던 주공에게 가탁하여 그 이름을 서명에 붙인 것이라는 견해가 정설이 되었다.
4. 후손
주공 단의 맏아들 노후 백금은 노나라 제후가 되었고, 다른 아들들도 각지에 봉해졌다.[10][11] 주공 단의 후손들은 동야(東野) 성씨를 사용했으며, 오경박사(五經博士) 칭호를 받았다.[17] 맹자(孟子)는 주공 단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는데, 노 환공의 아들 경보(慶父)의 후손으로 노 양공의 가계를 잇는다. 노 양공은 백금의 아들이므로, 맹자는 주공 단의 후손이 된다.[19][20][21]
5. 평가 및 기타
전한 말의 사상가 가이는 주공을 "문왕, 무왕의 모든 공적을 한 몸에 지녔으며, 황제 이후, 공자 이전의 인물 중 그를 따를 자가 없다"라고 평가했다.[13] 주공은 현자를 맞이하기 위해 식사 중 입안의 음식을 뱉고, 머리를 감다가도 머리카락을 쥔 채로 나갔다는 읍발토포(吐哺握髮) 고사는 그의 인재 중시 사상을 보여준다.
- 읍발토포(吐哺握髮): 토포악발(吐哺握髮)이라고도 한다. 위정자가 현자를 구하고 얻으려는 마음이 강하고 열성적인 것을 비유한다. 주공은 현자의 방문을 받으면, 머리를 감는 중에도 몇 번이고 씻다 만 머리카락을 손에 쥔 채, 또 식사 중에도 일단 입에 머금은 음식을 뱉어내고, 기다리게 하지 않고 바로 나가 면접했다는 고사이다. 『사기』 노주공세가에 따른다.
측천무후는 단명한 8세기 왕조인 자신의 무주(武周)를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고 그를 '''포덕왕'''(褒德王)이라고 불렀다.[12] 1008년 송 진종 황제는 주공에게 '''문헌왕'''(文憲王)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그는 또한 '''원성'''(元聖)으로도 알려졌다.
2004년, 중국 고고학자들은 섬서성 기산현에서 그의 능묘 단지를 발견했을 수도 있다고 보고했다.[13]
5. 1. 주공을 소재로 한 작품
- '''周公解夢|주공해몽중국어''': 주공이 꿈의 해석에 얽힌 전승을 모아 엮었다고 전해지는 꿈 풀이 고서이다. 다만, 오늘날에는 이 책은 후대에 만들어졌으며, 명군으로 칭송받던 주공에게 가탁하여 그 이름을 서명에 붙인 것이라는 견해가 정설이 되었다.
- '''https://zh.wikisource.org/wiki/短歌行其一_(曹操) 단가행''': 삼국지의 조조가 지은 한시이다. 인재를 얻는 데 전념하여 천하의 백성을 마음으로 복종시킨 주공의 자세를 높이 평가하여, 스스로의 본보기로 삼고 있다.
- '''周公旦|주공 단일본어''': 사카미 켄이치의 역사 소설로, 제19회 닛타지로 문학상 수상작이다. (분게이슌주 1999년, 분슌 문고 2003년)[28]
5. 2. 주공사(周公祠)
산둥성 취푸의 공묘 동북쪽에는 주공 단을 모시는 주공묘(曲阜周公庙|취푸 주공묘중국어)가 있다.[13]참조
[1]
서적
Chinese Mytholog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New and the Multiple: Sung Senses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3]
서적
Classical Chinese Poetry: An Anthology
Farrar, Straus & Giroux
[4]
서적
The Authentic Confucius
Scribner
2007
[5]
서적
China A History
Harper Press
[6]
간행물
Cambridge History of China
[7]
서적
China to 1850: A short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8
[8]
서적
The Magic Square: Cities in Ancient China
Axel Menges
1996
[9]
논문
The Duke of Zhou's Retirement in the East and the Beginnings of the Ministerial–Monarch Debate in Chinese Politic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0]
웹사이트
姬伯龄为周公第四子---中华蒋氏祖根文化网
http://jiangshizugen[...]
2011-07-13
[11]
웹사이트
《元圣裔周氏族谱》世系表
http://www.chinazhou[...]
2011-07-07
[12]
문서
"''[[Old Book of Tang]]''. 《旧唐书》记载为天授三年追封."
[13]
웹사이트
Shaanxi Tombs a Fantastic Find
http://www.china.org[...]
[14]
서적
The Analects
https://archive.org/[...]
[15]
서적
The Duke of Zhou's Interpretation of Dreams
Purple Cloud Press
[16]
웹사이트
Daoism Series 26: Duke of Zhou's Explanations of Dreams – Purple Cloud
https://purplecloudi[...]
2020-10-17
[17]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15
[18]
서적
The New and the Multiple: Sung Senses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4-01
[19]
문서
《三遷志》,(清)孟衍泰續修
[20]
문서
《孟子世家譜》,(清)孟廣均主編,1824年
[21]
문서
《孟子與孟氏家族》,孟祥居編,2005年
[22]
서적
Chiang Kai-shek, his life and times
https://books.google[...]
St. John's University
[23]
서적
Chiang Kai-shek, his life and times
https://books.google[...]
St. John's University
[24]
웹사이트
浙江档案网--《浙江档案》
http://www.zjda.gov.[...]
2016-10-04
[25]
웹사이트
第一章 发迹以前_蒋介石评传_李敖 小说在线阅读
http://www.kanunu8.c[...]
2016-10-04
[26]
웹사이트
蒋介石传-第2章 追随孙文(1)最新章节-桑舞小说网手机版
http://m.sangwu123.c[...]
2016-10-04
[27]
웹사이트
2.第一章追随孙文(2),蒋介石详传,一凡中文网
http://www.yfzww.com[...]
2016-10-04
[28]
서적
周公旦
"[[文藝春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