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신은 상나라의 마지막 왕으로, 주(紂)라고도 불리며 폭군으로 묘사된다. 그는 뛰어난 지략과 용맹을 갖췄으나, 만년에 술과 여자에 빠져 정사를 소홀히 했다. 주나라에 의해 '주왕'으로 불리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가혹한 형벌로 백성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결국 주나라 무왕에게 패배하여 자결하고 상나라는 멸망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그의 폭군적인 면모가 과장되었거나, 주나라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측면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신 - 강상
염제 신농의 후손인 강상은 주나라 4대 태사를 지내며 무왕을 도와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제나라를 건국한 제 태공으로, 《육도삼략》의 저자이자 《봉신연의》에서 강자아로 등장하는 인물이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 사람 - 문정
문정은 상나라의 왕으로, 주나라 제후 계력을 중용했으나 감금 후 죽여 상나라 국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기원전 12세기 중국 사람 - 계력
계력은 고공단보의 아들이자 서주 문왕의 아버지이며, 고공단보의 예견에 따라 왕위를 이어받아 정의로운 정치를 펼쳤으나 상나라 문정에게 억류되어 굶어 죽었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제신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신 (帝辛) |
다른 이름 | 주왕 (紂王), 상왕수 (商王受), 수 (受), 수덕 (受德), 주신 (紂辛) |
로마자 표기 | Di Xin, Zhou Wang, Shang Wang Shou, Shou, Shoude, Zhou Xin |
![]() | |
왕조 | |
국가 | 상나라 |
통치 기간 | 기원전 1075년 – 기원전 1046년 (29년) |
전임 | 제을 (아버지) |
후임 | 없음 (상나라 멸망) |
자녀 | 무경 |
개인 정보 | |
성 | 자 (子) |
씨 | 은 (殷) 또는 상 (商) |
이름 | 수 (受) 또는 수덕 (受德) |
출생 | 기원전 1105년 |
사망 | 기원전 1046년 |
배우자 | 달기, 구후녀 |
아버지 | 제을 |
기타 | |
존호 | 주 (紂), 제신 (帝辛) |
2. 이름
'''제신'''(帝辛)은 상나라 왕실에서 부여한 시호이다. 성은 자(子), 씨족명은 은이며, 이름은 수(Shou)이다. 생전에는 주나라에서 '''상나라의 수왕'''으로 불렸다. 사후 주나라에서 경멸적인 시호인 '''상나라의 주왕'''(商紂王중국어)으로 불렀는데, 주(紂중국어)는 "말의 말안장"을 뜻하며 "불의와 해악"을 암시한다.[6][7]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제신은 통치 초기에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재치가 뛰어났으며 성격이 급했다고 기록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모든 논쟁에서 이길 만큼 지적이었고, 맨손으로 맹수를 사냥할 만큼 강했다.[8] 그는 자계(子啓중국어)와 자연(子衍중국어)(이후 주나라의 제후국인 송의 통치자)의 동생이었고,[9] 무경의 아버지였다. 그의 아버지 제을에게는 기자와 비간이라는 두 형제가 있었다. 제신은 동쪽의 동이를 포함하여 주변 부족들과 싸워 상나라의 영토를 넓혔다.
제신은 말년에 술과 여자에 빠져 정사를 소홀히 했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축제 때 난교를 벌여 부도덕한 행위를 하고, 저속한 노래를 만들기도 했다.[10] 달기에게 빠져 온갖 악행을 저질렀다는 묘사가 있을 정도였다.
3. 초기 통치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문에 따르면, 제신은 역대 왕과 마찬가지로 조상 제사에 힘썼다. 또한, 갑골문 연구를 통해 전대까지 이어지던 인신공양을 중단한 것은 제신이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67]
제신의 시대에 "동쪽의 인방(동이)이라는 부족을 쳐서 국세가 융성해졌다"는 연구가 있다.
4. 후기 통치
제신은 막대한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했고, 백성들은 고통 속에 상 왕조에 대한 희망을 잃었다. 제신의 동생 미자는 변화를 설득하려 했지만 거절당했다. 삼촌 비간은 현인의 심장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기 위해 심장이 찢기는 형벌을 받았다. 다른 삼촌 기자는 미친 척하며 투옥되었다.[11]
제신은 상아 젓가락을 만들었다는 일화에서 알 수 있듯이 사치를 일삼았다. 기자는 이러한 사치가 멈추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간언했지만, 제신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비간은 포락이라는 잔혹한 형벌을 그만두도록 간언했으나, 제신은 "성인의 심장에는 칠규(얼굴에 있는 7개의 구멍)가 있다고 한다. 그것을 보고 싶다"며 비간의 가슴을 찢고 심장을 도려냈다.
당시 은나라 삼공은 서백 창(후의 문왕), 구후, 악후였다. 제신은 구후의 딸을 첩으로 삼았으나, 구후와 악후에게 모반 혐의를 씌워 혹형을 가하고 딸도 처형했다. 숭후호의 밀고로 서백 창을 유리에 유폐했으나, 서백 창은 재물과 영지를 바치고 석방되었다.
결국 서백 창이 죽고 무왕이 즉위하자, 제후들은 제신을 타도하기 위해 일어섰다. 무왕은 목야 전투에서 은나라 군대를 대파했고, 제신은 녹대에서 자살했다.
제신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폭정과 악행에 대한 것이지만, 주나라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과장했을 가능성도 있다. 공자의 제자 자공은 제신의 악행이 과장되었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제사를 간소화하려 했다는 시각도 있다. 한비자에 따르면 포락은 주지육림의 일부로 고기를 굽기 위한 도구였으나, 사기에서는 죄인을 굽는 형벌로 확대되었다.
후세에 하의 걸과 함께 "'''하걸은주'''"라고 불리며 폭군의 대명사가 되었지만, 두 인물의 이야기와 최후는 매우 비슷하다. 미녀에게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호화로운 연회를 열고, 간언하는 신하를 죽이고, 다음 대의 왕에게 멸망당한다는 줄거리이다.
4. 1. 달기와의 관계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제신(帝辛)은 만년에 애첩 달기에게 빠져 밤낮으로 연회를 열고 난교에 빠졌다고 한다. 달기의 말은 무엇이든 받아들여 실행했으며, 천하의 보물을 자기 것으로 만들고 우혼, 비중과 같은 간신을 중용하였다.[69] 또한, 달기를 기쁘게 하기 위해 "뜨거운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炮格之刑중국어)"을 만들었다고 한다.[11]
전설에 따르면 제신은 사악한 아내 달기의 영향을 받아 온갖 악행과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고 묘사된다. 제신이 즐겼던 가장 유명한 오락 중 하나는 "술 연못과 고기 숲"이었다. 궁궐 부지에 여러 뗏목이 들어갈 정도로 큰 연못을 건설하고, 안쪽은 해안에서 가져온 매끄러운 타원형 돌로 마감하여 연못 전체를 술로 채웠다. 연못 가운데에는 작은 섬을 건설하여 나무를 심고, 나무 가지에는 구운 고기 꼬치를 매달았다. 제신은 친구들과 첩들과 함께 연못에서 뗏목을 타며, 갈증을 느낄 때는 손을 연못에 담가 술을 마셨고, 배고플 때는 손을 뻗어 구운 고기를 먹었다. 이는 중국 역사에서 통치자의 타락과 부패의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로 여겨졌다.[10]
그러나 이러한 제신에 대한 전기는 폭정이나 악행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지만, 은나라를 멸망시킨 주나라가 무왕의 공적을 기리고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폭군으로 묘사했다고도 생각되며, 신빙성이 떨어지는 내용도 많다. 공자의 제자 자공은 "은나라 주왕의 악행은 세상에서 말하는 정도는 아니었을 것이다"라는 말을 했으며, 상당한 악평이 있는 한편, 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이미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문의 복사에는 달기에 관한 문헌은 발견되지 않았다.[70]
5. 몰락
주나라의 무왕은 강태공의 지휘 아래 군사를 일으켜 상나라를 공격했다. 목야 전투에서 크게 패한 제신은 조가로 철수하여 녹대에서 자살했다. 그의 시신은 무왕에 의해 목이 잘렸고, 머리는 흰 깃발 기둥에 전시되었다.[12][13][14][15][16] 제신이 총애하던 후궁 달기는 처형되었고, 다른 두 명은 자살했으며, 그들의 머리 역시 깃발 기둥에 전시되었다.[12][13][14][15][16] 제신의 죽음으로 상나라는 멸망하고 주나라가 건국되었다.
'주(紂)'라는 이름은 제신이 죽은 뒤에 붙여진 시호로,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그의 치세는 부패로 가득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악한 통치자의 전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7]
5. 1. 목야 전투
주나라 군대는 강태공의 지휘 아래 기원전 1046년 목야 전투에서 상나라 군대를 격파했다.[12][13][14][15][16] 당시 은나라 군대는 70만 명이 넘는 대군이었지만, 노예가 많이 섞여 있어 싸울 의지가 없었고, 오히려 무왕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을 정도였다. 그래서 은나라 군대는 순식간에 크게 패했다.6. 가족 관계
7. 역사적 평가 및 논란
제신(주왕)은 하나라의 걸왕과 함께 "하걸은주"로 불리며 폭군의 대명사로 여겨져 왔다.[69] 그는 지나친 사치와 향락을 즐겼으며,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해 고통을 안겨주었다고 전해진다. 특히 "주지육림"은 그의 타락한 생활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0]
그러나 최근 역사 연구에서는 주왕에 대한 전통적인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 주나라가 건국을 정당화하기 위해 주왕의 악행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갑골문 연구에 따르면, 주왕은 조상 제사를 중시하고 인신공양을 중단하는 등 개혁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67] 공자의 제자 자공은 "은나라 주왕의 악행은 세상에서 말하는 정도는 아니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당시에도 주왕에 대한 악평에 회의적인 시각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주왕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다양하며, 폭군으로 단정 짓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행동과 정책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 1. 현대적 해석
봉신연의를 비롯한 여러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주왕은 주요 소재로 다루어진다. 봉신연의에서는 주왕이 폭군으로 묘사되지만, 현대에는 그의 인간적인 면모나 개혁적인 시도에 주목하기도 한다. 일례로 주왕이 구식 제사를 간소화하려 했다는 견해도 있다.[69] 주왕의 몰락은 권력 남용과 민심 이반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현대 정치에서도 중요한 교훈을 제시한다.참조
[1]
서적
Book of Zhou - Speech at Mu
https://ctext.org/sh[...]
2017
[2]
서적
Origins of Chinese Political Philosophy: Studies in the Composition and Thought of the Shangshu (Classic of Documents)
https://scholar.prin[...]
2017
[3]
서적
Lüshi Chunqiu
[4]
문서
[5]
문서
[6]
서적
Wang guo jun zhu
三秦出版社
[7]
서적
出土文献与古文字研究 第7辑
上海古籍出版社
[8]
문서
[9]
서적
Lüshi Chunqiu
[10]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1]
서적
Tian Wen
[12]
서적
Shifu
https://ctext.org/lo[...]
[13]
학술지
The Record of King Wu of Zhou's Royal Deeds in the Yi Zhou Shu in Light of Near Eastern Royal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14]
서적
Annals of Yin
https://ctext.org/sh[...]
[15]
서적
Annals of Zhou
https://ctext.org/sh[...]
[16]
서적
Depraved Favorites - Da Ji (consort) of Zhou of Yin
https://ctext.org/li[...]
[17]
학술지
To Rebel is Justified? The Image of Zhouxin and the Legitimacy of Rebellion in the Chinese Political Tradition
Harrassowitz Verlag
[18]
웹사이트
The Analects : Zi Zhang -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an[...]
2021-05-22
[19]
웹사이트
Three Character Classic - Chinese Text Project
http://ctext.org/thr[...]
[20]
서적
周貽白小说戲曲論集
https://books.google[...]
齐鲁书社
1986
[21]
서적
封神榜故事探原
https://books.google[...]
偉興印務所印
1960
[22]
웹사이트
规模宏大的安阳殷墟商代王陵(图)
http://www.xiancn.co[...]
2015-12-08
[23]
서적
楚辞
中华书局出版社
2019
[24]
웹사이트
湖南衛視-商纣王的历史真面目
http://www.hunantv.c[...]
2015-08-23
[25]
서적
论衡·语增
[26]
서적
路史
北京图书馆出版社
2003
[27]
학술지
殷墟黄组卜辞断代研究
[28]
서적
国之大事:商代晚期中的礼制改良
科学出版社
2011-11
[29]
학술지
商墓中的毁器习俗与明器化现象
[30]
논문
清华简所见商末周初史事初探
[31]
학술지
帝辛行为再审视
[32]
학술지
中国古代的人牲人殉问题
[33]
학술지
中国古代的人牲人殉新资料概述
[34]
학술지
《论语》"先进于礼乐"章索解
[35]
학술지
商周时期的腰坑葬俗
[36]
논문
浅谈商周时期墓葬中腰坑的功能和意义
2017
[37]
논문
周承殷制的新证据及其启示
2016
[38]
논문
恭懿之际西周国家的转型
2017
[39]
논문
从《左传》看春秋人殉制度的演变
2018
[40]
논문
西周金文与献俘礼
2010
[41]
논문
祭祀还是盟誓:北赵和羊舌晋侯墓地祭祀坑性质新论
2012
[42]
논문
西周黎国政治军事地位及姻亲关系初探
2017
[43]
웹사이트
晋国: 综述——山西倗伯霸伯墓与河南淅川楚墓新解系列
https://www.sohu.com[...]
2022-01-12
[44]
문서
《禮記》曲禮下
[45]
문서
《周礼》·天官·冢宰
[46]
문서
《禮記》曲禮下
[47]
논문
从甲骨文,铜器铭文看商周时期女性的地位
2007
[48]
논문
商周之际女性地位的变迁——商周文化比较研究之二
2007
[49]
논문
从"牝鸡之晨"现象看商代妇女的社会地位
2000
[50]
서적
商周文化比较研究
[51]
논문
从甲骨文金文看商周妇女地位的变化及原因
2008
[52]
서적
殷墟文化研究
[53]
논문
商周性别制度与贵族妇女地位之比较
1998
[54]
논문
商周贵族妇女地位变迁初探
2003
[55]
논문
性别视角下的商周婚姻,家族与政治
2010
[56]
논문
试论商周时期贵族妇女地位的两次转型
2008
[57]
논문
"夷夏之辨"与"以德怀远"说
1997
[58]
논문
国人与野人界限的消失
2015
[59]
논문
从"人惟求旧"到"殷不用旧"——对商代王权与族权关系的考察
2001
[60]
논문
论殷代神权
1990
[61]
논문
先秦社会最高权力的变迁及其影响因素
2015
[62]
논문
说商代的“天”和“帝”
2016
[63]
논문
《容成氏》"文王服九邦"考辨——兼论《容成氏》的主体思想及其学派归属
2012
[64]
문서
없음
[65]
서적
周―理想化された古代王朝
中央公論新社
2016
[66]
서적
中国五千年
[67]
서적
中国五千年
講談社
1998
[68]
문서
없음
[69]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青土社
1993
[70]
서적
中国五千年
講談社
1989
[71]
문서
숯불형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