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아 멀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리아 멀록은 1923년 미국에서 태어나 I. M. 페이 건축 회사에서 근무하던 중 영친왕의 차남 이구를 만나 1958년 결혼했다. 1963년 한국으로 건너와 창덕궁 낙선재에서 생활하며 시어머니 이방자의 복지 사업을 도왔으나, 1982년 이구와 이혼했다. 이후 미국 하와이로 이주하여 2017년 94세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민황태자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의민황태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미국계 한국인 - 인순이
인순이는 한국인 어머니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희자매로 데뷔 후 솔로 가수로 성공했으며, 다양한 음악 활동과 사회적 기여로 대중과 소통하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 미국계 한국인 - 함중아
함중아는 1971년 데뷔하여 《내게도 사랑이》, 《풍문으로 들었소》 등의 히트곡을 남긴 대한민국의 록 음악 가수로, 2019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제국의 황족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제국의 황족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줄리아 멀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이름 | 이주아 |
본명 | 줄리아 멀록 (Julia Mullock), 한국식 이름 이주아(李珠亞) |
출생일 | 1927년 3월 18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사망일 | 2017년 11월 26일 |
사망지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할레나니 요양병원 |
묘지 | 유골은 태평양에 뿌려짐 |
국적 | 미국, 대한민국 (귀화)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배우자 | 이구, 회은황세손 (1959년 결혼, 1982년 이혼) |
자녀 | 이은숙 (Princess Yi Eugenia Eun-suk) |
가문 | 이씨 (혼인) |
경력 | |
직업 | 황족, 기업인 |
근무처 | 아이엠페이건축회사 |
대표 | 플라자호텔 켈트공예점 |
2. 생애
1955년 I. M. 페이 건축회사에 입사하여 뉴욕 시 맨해튼에서 근무하던 중, 영친왕의 차남 이구를 만나 1958년 10월 25일 뉴욕의 세인트 조지 성당에서 결혼했다.
결혼 후 하와이 등지에서 머물다가 1963년 한국으로 와 서울 창덕궁 낙선재에서 의민황태자비 이방자의 복지 사업을 도왔다.
1979년 한국에서의 사업 부진과 일본으로 떠난 남편과의 관계 악화,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겪은 종친들과의 갈등과 차별로 인해 1982년 이구와 이혼하였다.[19]
이혼 후에는 플라자 호텔에서 켈트 공예점을 운영하고 장애인 복지 사업에 힘썼으나, 1995년 생활고로 하와이로 떠났다.
2005년 4월, 영화 작업의 일환으로 한국을 방문했다가 7월 이구의 사망 소식을 들었으나, 종친회로부터 장례식 초청을 받지 못하고 종로 거리에서 노제를 지켜보았다.
2017년 11월 26일 미국 하와이 할레나니 요양병원에서 향년 94세로 사망했으며, 사망 소식은 12월 5일에야 알려졌다. 장례는 수양딸이 치렀고, 유해는 태평양 바다에 뿌려졌다.[20]
2. 1. 초기 생애와 만남
1923년 3월 18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가정에서 태어났다.[20] 1930년(혹은 1935년[3]) 아버지 사망 후, 어머니가 뉴욕 브루클린 출신 남성과 재혼하여 뉴욕으로 이주하였다. 1944년 해군 복무 후 프랭클린 전문 예술 및 디자인 대학(Franklin School of Professional Art)에서 미술, 건축, 실내 디자인을 공부했다.[3]1955년 I. M. 페이 건축회사에 입사하여 근무하던 중,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사무실에서 일하던 이구를 만났다. 이구는 줄리아 멀록에게 적극적으로 구애하였고, 1958년 5월 약혼, 10월 25일 뉴욕의 세인트 조지 성당(:en:Saint George Ukrainian Catholic Church)에서 결혼식을 올렸다.[13][14][15]
2. 2. 결혼과 한국 생활
1958년 10월 25일 뉴욕의 세인트 조지 성당에서 이구와 결혼했다.[13][14][15] 결혼 후 남편의 부임지였던 하와이 등지에서 머물다가 1963년 남편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이주,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이주아'라는 한국 이름을 사용했다.[3]서울 창덕궁 낙선재에서 거주하며 시어머니 의민황태자비 이방자의 복지 사업을 도왔다.[16] '명휘원' 등 사회복지법인 운영을 지원하고,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며 자선 활동을 펼쳤다.[4]
슬하에 자녀가 없어 1969년에 1959년생 한국인 여자아이 이은숙(유지니아)을 입양하였다.
1979년, 한국에서의 사업은 지지부진했고, 일본으로 떠난 남편과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다.[19]
2. 3. 이혼과 말년
1979년, 한국에서의 사업은 지지부진했고, 일본으로 떠난 남편 이구와의 사이는 급격히 악화되었으며,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종친들과 심한 갈등과 차별을 겪어야 했다.[19] 1982년 황태손 이구와 이혼하였다.[19] 표면적인 이유는 사업 실패와 성격 차이였지만,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종친들과 심한 갈등과 차별을 겪었으며, 후사를 잇지 못한 것도 이혼의 주요 원인이었다. 이혼 과정에서 이씨 종친회 명부에서 제외된 사실을 알게 되었다.[5]이혼 후 한국에서 켈트 공예점을 운영하고 장애인 복지 사업을 계속하였다. 1995년,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2005년 4월, 자신의 삶을 소재로 제작되는 영화 작업의 일환으로 한국을 방문하였는데, 7월 황태손 이구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 하지만 종친회로부터 장례식에 정식으로 초청은 받지 못하고 종로 거리에서 노제를 지내는 장면을 멀리서 지켜보며 남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해야만 했다.[3][17]
2017년 11월 26일 미국 하와이 할레나니 요양병원에서 향년 9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나 타계 소식은 12월 5일에야 알려졌다.[6][20] 장례는 양녀 이은숙(Eugenia Unsuk Lee)이 치렀으며,[17] 유해는 태평양 바다에 뿌려졌다.[20]
3. 가족 관계
아버지 | 바실 멀록 (Wasyl Molock, 1888년 1월 14일 ~ 1935년 9월 30일) |
---|---|
계부 | 이름 미상 |
어머니 | 이름 미상 |
배우자 | 이구 (1931년 12월 29일 ~ 2005년 7월 16일) - 1982년 이혼[13] |
양녀 | 이은숙 (李恩淑, Eugenia Unsuk, 1959년 ~ ) |
4. 대중문화
2006년 4월, 유니버설 픽쳐스의 자회사인 포커스 피쳐스는 한국의 LJ Film과 공동으로 멀록에 대한 전기 영화 제작을 발표했으며, 가제는 《줄리아 프로젝트》였다.[8] 2006년 8월, 포커스 피쳐스는 디파 메타가 이 영화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Newsmaker] Korea's last princess dies"
http://www.koreahera[...]
2017-12-06
[2]
웹사이트
Digital Chosunilbo Korea’s Last Princess Breaks Silence
http://english.chosu[...]
[3]
웹사이트
Daehan Imperial Household
http://www.imperialh[...]
2023-09-16
[4]
웹사이트
"Korea's Last Princess, an American Woman, Dies at 94"
https://nextshark.co[...]
2017-12-06
[5]
웹사이트
Korea's Last Princess Breaks Silence
http://english.chosu[...]
[6]
웹사이트
The Seoul Times
http://theseoultimes[...]
[7]
문서
Jeonju Lee Royal Family Association
[8]
Variety
'Julia' biopic in Focus - Entertainment News, Los Angeles, Media - Variety
https://www.variety.[...]
[9]
Variety
Focus has big designs - Entertainment News, Exclusives, Media - Variety
https://www.variety.[...]
[10]
웹사이트
회은황태손비(Julia Mullock, 1928~2017)
http://www.imperialh[...]
[11]
서적
"Beautiful as the Rainbow: Nashimoto Masako, a Japanese Princess Against All Odds for Love, Life, and Happiness "
Inspiring Voices
2013-09-13
[12]
서적
『天皇家の50年: 激動の昭和皇族史』
1975
[12]
서적
『日韓皇室秘話李方子妃』
2001
[13]
뉴스
Korea’s Last Princess Breaks Silence
http://english.chosu[...]
朝鮮日報英語版
2006-08-30
[14]
뉴스
Korea’s Last Princess, an American Woman, Dies at 94
https://nextshark.co[...]
Next Shark
2017-12-06
[15]
서적
"Beautiful as the Rainbow: Nashimoto Masako, a Japanese Princess Against All Odds for Love, Life, and Happiness "
Inspiring Voices
2013-09-13
[16]
뉴스
ハワイ老人ホームでさびしい最後を迎えた朝鮮時代最後の皇太孫妃(1)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語版
2017-12-06
[17]
뉴스
Julia Mullock, Ex-Wife of Korea's Late Last Prince Yi Gu, Dies Alone in Hawaii
https://theseoultime[...]
The Seoul Times
2021-06-10
[18]
웹사이트
회은황태손비(Julia Mullock, 1928~2017)
http://www.imperialh[...]
[19]
뉴스
李玖(이구)씨와 이혼 마지막世子嬪(세자빈) 줄리아女史(여사) “「지나간 시절」애틋하지만…”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6-02-18
[20]
뉴스
대한제국 마지막 ‘세손빈’ 줄리아 리 하와이서 별세
https://www.hani.co.[...]
한겨레
2017-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