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순정효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로, 1894년에 태어나 1966년에 사망했다. 1907년 순종과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경술국치 당시 국새를 지키려 했으나 실패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일제강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부하고, 광복 후 한국전쟁 중에는 궁궐을 지키려 했으며,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독서, 영어 학습 등을 했다. 1966년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순종과 함께 유릉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황후 - 명성황후
    명성황후는 1851년 민치록의 딸로 태어나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개화 정책을 추진하고 외세의 개입을 겪었으며, 을미사변으로 시해된 후 명성태황후로 추존되었다.
  • 대한제국의 황후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 서봉장 수훈자 - 순헌황귀비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는 궁녀로 입궁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아 영친왕 이은을 낳았고, 아관파천 당시 고종을 보필했으며, 귀인, 순빈, 순비를 거쳐 황귀비에 책봉되었고, 교육 사업에도 힘썼으며 사후 순종에 의해 시호를 받았다.
  • 서봉장 수훈자 - 나시모토 이쓰코
    나시모토 이쓰코는 1882년에 태어나 황족으로 결혼한 후 미모와 외국어 실력으로 활동했으며, 신적강하 이후 자서전을 출판하고 아키히토 황태자 결혼에 반대하다가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조선의 왕세자빈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 조선의 왕세자빈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순정효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순정효황후, 1909년경
순정효황후, ca. 1909
칭호순정효황후
윤증순
별칭윤비
창덕궁 이왕비
대지월 (법명)
출생일1894년 9월 7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
사망일1966년 2월 3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 낙선재
매장지조선왕릉 유릉
가문해평 윤씨 (출생)
전주 이씨 (혼인)
아버지윤택영
어머니경흥부부인 기계 유씨
배우자순종
종교한국 불교
즉위
황후 즉위1907년 7월 23일
황태자비 즉위1907년 1월 24일
재위
황후 재위1907년 7월 23일 – 1910년 8월 29일
황태자비 재위1907년 1월 24일 – 1907년 7월 23일
계승
황후 계승명성황후
황태자비 계승황태자비 민씨
황후 계승자칭호와 왕조 폐지
황태자비 계승자의민황태자비
기타
시호헌의자인순정효황후 (獻懿慈仁純貞孝皇后)
로마자 표기Sunjeonghyo Hwanghu
한자 표기純貞孝皇后
출생 로마자 표기Yun Jeungsun
출생 한자 표기尹曾順

2. 생애

1904년 황태자비였던 순명효황후 민씨가 사망하자, 1906년 12세의 나이로 황태자의 계비(繼妃)로 책봉되었다. 이때 아버지 윤택영고종의 후궁 순헌황귀비 사이에 뇌물이 오갔다는 소문이 있었다. 1907년 남편 순종이 즉위하면서 황후가 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로 이왕비(李王妃)가 된 후, 창덕궁 대조전에 거주하다 1926년 낙선재로 거처를 옮겼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창덕궁에 침입한 조선인민군 병사들을 꾸짖어 쫓아냈다는 일화가 있다. 1951년 미군의 보호 아래 부산으로 피난을 갔으나, 1953년 휴전 후 이승만 대통령의 방해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의 수인재(修仁齋)에 머물렀다.

1960년 전 구황실사무총국장 오재경의 노력으로 창덕궁에 돌아와, 덕혜옹주이은·이방자 부부와 함께 낙선재에서 생활했다.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대지월(大地月)”이라는 법명을 받았으며, 국문학과 불전 연구, 타임지를 구독하는 등 영어 학습도 하였다.

1966년 2월 3일 창덕궁 낙선재 석복헌에서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장례는 국장(國葬)으로 치러졌고, 경기도 남양주시 유릉에 남편 순종과 합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1894년 ~ 1906년)

1894년 9월 19일(음력 8월 20일),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 외가에서 해풍부원군 윤택영과 기계 유씨 부인의 장녀로 태어났다. 본명은 윤증순(尹曾順)이다.[1][8] 외가는 조선 선조의 딸 정명공주의 후손이며,[2] 친가는 윤두수의 후손이다.[3] 여동생 윤희섭은 유억겸과 혼인하였다.

2. 2. 황태자비 책봉과 황후 즉위 (1906년 ~ 1910년)

1904년(광무 8년) 순명효황후 민씨가 사망하자, 1906년(광무 10년) 12세의 나이로 황태자비에 책봉되었다.[11] 이때 아버지 윤택영순헌황귀비 사이에 거액의 뇌물이 오갔다는 풍설이 있었다. 1907년(광무 11년) 남편 순종이 황제로 즉위함에 따라 황후가 되었다.

2. 3. 일제강점기 (1910년 ~ 1945년)

1910년 경술국치 당시 순정효황후가 국새를 치마 속에 감추고 내주지 않았다는 일화가 널리 퍼져 있었으나, 박종인 기자를 비롯한 몇몇 사람들은 이 이야기가 거짓이라고 주장한다.[11] 순종이 이왕으로 격하되면서 순정효황후도 이왕비(李王妃)로 불렸으며, 창덕궁 대조전에서 계속 머물렀다.[12] 1926년 순종이 사망하자 대비(大妃)로 불리며 창덕궁 낙선재로 거처를 옮겼다.[12]

1939년, 일제강점기 창씨개명 강요에도 불구하고, 순정효황후의 삼촌인 윤덕영은 한국 성씨를 지켜야 한다며 반대했다.

2. 4. 광복과 한국전쟁 (1945년 ~ 1953년)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 미군정의 신적강하 조치로 순정효황후는 평민이 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창덕궁에 남아 황실을 지키고자 하였으며 궁궐에 들이닥쳐 행패를 부리는 조선인민군을 당시 57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크게 호통쳐서 내보냈다는 일화가 있다.[12] 그러나 이듬해인 1951년 전세가 급박해지자 미군에 의해 피난길에 오르게 되었다. 궁핍한 생활을 전전하던 끝에 1953년 한국휴전협정으로 전쟁이 중단되자 바로 환궁하려 하였으나, 제1공화국의 대통령 이승만이 순정효황후에 대한 민심을 두려워하여 환궁을 방해하였기 때문에, 정릉의 수인제(修仁齊)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2. 5. 환궁과 불교 귀의, 그리고 최후 (1953년 ~ 1966년)

1959년 비구니불교에 귀의하여 '''대지월(大地月)'''이라는 법명을 받았다.[12] 1960년 전(前) 구황실사무총국장 오재경의 노력으로 환궁에 성공하였고, 이후 일본에서 귀국한 덕혜옹주의민태자 일가와 함께 창덕궁 낙선재에서 지냈다.[12] 독서와 피아노 연주로 소일하였으며, 영어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아 타임지를 읽을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1966년 2월 3일 창덕궁 낙선재 석복헌에서 심근경색으로 73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순정효황후는 유언을 통해 자신의 장례를 불교식으로 간소하게 치르고, 남은 재산은 자신을 보필하던 상궁들의 생계를 위해 써달라고 부탁했다.[12] 장례는 국장(國葬)과 불교식으로 치러졌으며, 유릉에 순종과 합장되었다.

순종황제와 순명황귀비, 순정황후가 함께 묻힌 유릉(裕陵). 세 사람이 한 무덤에 합장된 합장릉(合葬陵)의 특별한 사례이다.

3. 사후



1966년 2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유릉에 순종과 합장되어 안장되었다.

생전에 애용하던 토스터커피 포트를 관에 부장품으로 넣었다.[13]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올린 사시(私諡)는 '''헌의자인순정효황후'''(獻懿慈仁純貞孝皇后)이다.[14]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윤택영 (1876~1935)
어머니경흥부부인 기계 유씨 (1876~1936)
오빠윤홍섭 (1893~1955)
여동생윤희섭 (1905~ ?) - 유억겸과 혼인
남동생윤의섭 (1912~1966)
시아버지고종 (1852~1919)
시어머니명성황후 민씨 (1851~1895)
남편순종 (1874~1926)



순정효황후는 순종과의 사이에서 자녀가 없었다.[6][7] 순종은 1898년 커피 독살 사건으로 인해 불임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5. 대중문화

순정효황후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1990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500년: 대원군》에서 장서희가, 2016년 영화 《덕혜옹주》에서는 송서하가 연기하였다.

5. 1. 드라마

5. 2. 영화

6. 사진

노년의 순정효황후

7. 평가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로서, 온화한 성정과 기품을 잃지 않고 당당함과 냉철함으로 황실을 이끌어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다. 평생 영어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그 실력은 타임지를 읽어낼 정도였다고 전한다.[14]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창덕궁에 남아 황실을 지키고자 하였으며, 궁궐에 들이닥쳐 행패를 부리는 조선인민군을 당시 57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크게 호통을 쳐서 내보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두려움을 모르는 여걸(女傑)이었다.[14]

1959년에는 비구니불교에 귀의하여 '''대지월'''(大地月)이라는 법명을 얻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순정황후 윤씨, 50여년 영욕의 현대사를 지켜보다 https://www.nongmin.[...] 2022-06-14
[2] 웹사이트 풍산홍씨대동보 (豊山洪氏大同譜) https://www.familyse[...] 2021-02-04
[3] 웹사이트 해평윤씨 대동보 (海平尹氏大同譜) https://www.familyse[...] 2020-07-18
[4] 웹사이트 기계유씨족보 杞溪兪氏族譜,第六編 https://www.familyse[...] 2020-07-19
[5] 웹사이트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http://encykorea.aks[...] 2022-06-14
[6] 웹사이트 Did you know that ...(22) The coffee plot https://www.koreatim[...] 2011-09-09
[7] 웹사이트 September 11, coffee and Russia in 19th century Korea (part 1) https://www.koreatim[...] 2018-09-08
[8] 웹사이트 해평윤씨 대동보 https://www.familyse[...] 2020-07-18
[9] 간행물 官報 号外、「叙任及辞令」 1915-11-10 #추정, 大正4年11月10日
[10] 간행물 官報 第4438号・付録「辞令二」 1941-10-23
[11] 서적 고종실록 1907-01-24
[12] 뉴스 윤대비전하(尹大妃殿下)는 낙선재(樂善齋)로 이어(移御),(…) 동아일보 1926-05-27
[13] 서적 낙선재 주변
[14] 뉴스 13日에 班次,千餘名動員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66-0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