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거리 탄도 미사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은 3,000~5,500km의 사거리를 가진 탄도 미사일을 의미하며,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보다는 짧은 거리를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V-2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중국, 인도, 이스라엘, 북한, 러시아 등에서 운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23년 현무-5를 개발하여 IRBM 보유국이 되었다. 북한은 무수단, 화성-12, 화성-16b 등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며 동북아시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너 폰 브라운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 베르너 폰 브라운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가우리 2호
    가우리 2호는 파키스탄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로, 샤힌-II 프로그램과 함께 인도군에 대한 보복 공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북한의 노동 1호 기술의 영향을 받아 1999년 첫 시험 발사를 했다.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샤하브-2
    샤하브-2는 이란에서 생산되어 이란과 시리아에서 운용 중인 사거리 750km의 액체 연료 단거리 지대지 탄도 미사일로, 샤하브 미사일 계열 중 하나이다.
중거리 탄도 미사일
개요
종류탄도 미사일
사거리3,000–5,500 km
로마자 표기IRBM
같이 보기
관련 항목단거리 탄도 미사일
중거리 탄도 미사일
대륙간 탄도 미사일

2. 역사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의 시초는 베르너 폰 브라운이 설계하고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영국과 벨기에 도시 폭격에 사용한 V-2 로켓(A4 로켓)을 기반으로 사거리를 늘리기 위해 날개를 장착한 A4b 로켓이었다.[2] A4b는 A9/A10 로켓 상단부의 시제품으로, 프랑스나 스페인에서 발사했을 때 뉴욕을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을 목표로 개발되었다(아메리카 폭격기 참조).[2]

A4b 로켓은 액체 추진제를 사용했으며, 관성 항법 장치를 사용했다. 1944년 12월과 1945년 1월, 2월에 몇 차례 시험 발사되었으며, 이동식이 아닌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폰 브라운을 비롯한 주요 나치 과학자들은 페이퍼클립 작전을 통해 미국으로 비밀리에 이송되어 미국 육군을 위해 V-2를 미국의 무기로 개발하는 데 참여했다.

현재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운용하는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 인도,[3][4] 이스라엘, 북한,[5] 러시아[6][7] 등이다. 미국, 소련, 파키스탄, 영국, 프랑스는 과거 운용국이었다.

이란의 에마드, 샤하브3, 인도의 아그니 IV, 북한의 무수단, 화성-12, 중화인민공화국의 DF-4(1980년 배치), DF-26(en) (2015년 배치), 파키스탄의 샤힌 3, 가우리 3, 일본의 섬 방위용 고속 활공탄 블록 2(사실상, 개발 중)[12] 등이 있다.

3. 특징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과 중간거리 탄도 미사일(MRBM)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다. 미사일 분류는 정보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두 유형 모두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과는 구별되는데, 사거리가 대륙간 거리보다 짧아 목표물에 비교적 가까운 곳에 배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IRBM은 전략 무기로, MRBM은 전술 탄도 미사일로 사용된다.[12]

4. 다른 국가들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은 여러 국가에서 운용하거나 운용했던 무기 체계이다.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
국가명칭사거리 (km)최대 사거리 (km)비고
소련추소바야 (R-14 Chusovaya) (SS-5)3,700
소련파이오니어 (RSD-10 Pioneer) (SS-20)5,500
중화인민공화국DF-41980년 배치
중화인민공화국DF-262015년 배치
파키스탄샤힌 3
파키스탄가우리 3
이란에마드
이란샤하브3
북한화성-10/RD-B 무수단 (Hwasong-10/RD-B Musudan)2,5004,000 (미확인)[8]
북한화성-12/KN-173,7006,000
북한화성-16b600-650 (미국/한국 측 탐지), 1000 (북한 주장)불명
러시아오레시니크 (Oreshnik)불명불명[6]
러시아루베즈 (RS-26 Rubezh)불명5,800



현재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인도,[3][4] 이스라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5] 러시아[6][7]에서 운용하고 있다. 미국, 소련, 파키스탄, 영국, 프랑스는 이전 운용국이었다.

4. 1. 지상 발사형

명칭최소 사거리 (km)최대 사거리 (km)보유국상태
PGM-17 토르1,9002,400,퇴역
블루 스트릭3,700취소됨
DF-3A4,0005,000중국,중국은 퇴역, 사우디아라비아는 운용
DF-253,2004,000중국알 수 없음
DF-263,5005,000중국운용
S33,500퇴역
아그니 33,5005,000운용
아그니 44,000운용
샤하브 54,0004,300알 수 없음
현무-56005,500운용


4. 2. 잠수함 발사형

K-4는 인도에서 개발 중인 잠수함 발사형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다.[9] 최소 사거리는 3,500km이다.

명칭최소 사거리 (km)최대 사거리 (km)보유국상태
K-43,500개발중



일본의 섬 방위용 고속 활공탄 블록 2도 잠수함 발사형으로 개발 중이다.[12]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Frederick Fell, Inc. 1974
[2] 웹사이트 Die geflügelte Rakete (A7, A9, A4b) (in German) http://www.v2werk-ob[...] V2werk-oberraderach.de 2011-07-15
[3] 뉴스 Indian Army Successfully Test Fires Nuke-Capable Agni-IV Missile https://web.archive.[...] 2016-03-25
[4] 뉴스 Ballistic missile Agni-IV test-fired as part of user trial http://timesofindia.[...] 2015-11-09
[5] 웹사이트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Program https://web.archive.[...] 2016-04-01
[6] 웹사이트 Ukraine war latest: Putin says Russia hit Ukraine with new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s://www.bbc.co.u[...] 2024-11-21
[7] 웹사이트 Putin says Russia struck Ukraine’s Dnipro with new experimental ballistic missile https://meduza.io/en[...] 2024-11-21
[8] 웹사이트 Ballistic Missiles of the World https://archive.toda[...] MissileThreat 2011-07-15
[9] 웹사이트 India Inches Closer to Credible Nuclear Triad with K-4 SLBM Test https://thediplomat.[...]
[10]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11] 학술지 ミサイル防衛の巨大センサー網
[12] 간행물 シンクタンク機能の試行事業の成果物 資料6 広範囲調査分析 https://www8.cao.go.[...] 2023-03-17
[13]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