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 대륙의 위키미디어 접속 차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대륙의 위키미디어 접속 차단은 중국 정부가 위키백과를 포함한 위키미디어 재단 계열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 사건들을 의미한다. 2004년부터 시작된 차단은 2019년 4월 모든 언어의 위키백과로 확대되었으며, 중국 정부는 차단 이유를 밝히지 않고 있다. 중국 내에서는 다양한 차단 방식을 통해 위키백과 접속을 막고 있으며, 이에 대해 위키미디어 재단과 국제 사회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하며 차단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인터넷 검열 - 중국 재스민 혁명
    중국 재스민 혁명은 2011년 튀니지 재스민 혁명의 영향으로 중국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로, 중국 공산당의 장기 집권과 빈부격차 심화 속에서 온라인을 통해 조직되었으나 정부의 강력한 탄압과 정보 통제로 인해 큰 규모로 확산되지 못하고 마무리되었다.
  • 중국의 인터넷 검열 - 만리방화벽
    만리방화벽은 중국 정부가 인터넷 검열과 통제를 목적으로 구축한 시스템으로, IP 주소 차단, DNS 스푸핑, URL 필터링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특정 웹사이트나 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다.
  • 위키백과 논란 - Lsjbot
    Lsjbot은 Lars Sverker Johansson이 개발한 위키백과 문서 자동 생성 봇으로, 세부아노어 위키백과와 스웨덴어 위키백과에 기여했으며, 문서 내용 부족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의 성차별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 위키백과 논란 - 헨리크 바투타 사건
    헨리크 바투타 사건은 폴란드어 위키백과에 가상 인물에 대한 허위 정보가 유포되어 위키백과의 신뢰성 문제와 허위 정보 확산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다.
  • 위키백과의 역사 - 누피디아
    누피디아는 1999년 시작되어 전문가 중심의 백과사전을 지향했으나 위키백과의 등장으로 쇠퇴하여 2003년 종료되었고, 위키백과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 위키백과의 역사 - 헨리크 바투타 사건
    헨리크 바투타 사건은 폴란드어 위키백과에 가상 인물에 대한 허위 정보가 유포되어 위키백과의 신뢰성 문제와 허위 정보 확산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다.
중국 대륙의 위키미디어 접속 차단
개요
주제중국 본토의 위키미디어 검열
설명중국 본토에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대한 접근 차단 및 검열
배경
원인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 정책, 민감한 정치적 내용 통제
관련 법규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국가안전법
네트워크 안전법
차단 및 검열 현황
위키백과 차단 시작2004년 6월 (일부), 2019년 5월 (전체)
차단 범위중국 본토 전체
검열 대상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 (예: 톈안먼 사건, 파룬궁, 중화민국)
중국 정부에 비판적인 내용
검열 방법IP 주소 차단
DNS 스푸핑
URL 필터링
키워드 필터링
우회 방법VPN
프록시 서버
Tor
영향
사용자 영향위키백과를 포함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접근 불가, 정보 접근 제한
위키백과 기여 감소중국 본토 사용자들의 위키백과 편집 및 기여 활동 위축
정보 접근성 감소객관적이고 다양한 관점의 정보 접근 제한
반응
위키미디어 재단중국 정부의 검열에 대한 우려 표명, 접근 차단 해제를 위한 노력
국제 사회표현의 자유 침해 비판
인터넷 검열 반대
중국 내 사용자VPN 등을 이용한 우회 접속 시도
정보 접근의 어려움 호소
관련 사건
2015년 중국 위키백과 검열 사건중국어 위키백과 사용자 다수가 중국 공안에 체포 또는 협박 당함
추가 정보
참고 자료워싱턴 포스트 기사
미국의 소리 기사
자유아시아방송 기사

2. 차단 역사

중국 정부와 그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는 중국 대륙 내에서 논란이 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검열해왔다. 위키미디어 재단 사이트들은 중국 정부로부터 사전 경고나 사후 설명 없이 최소 7차례 접속 차단을 당했다. 2004년에 시작된 차단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직전인 2008년 7월 말에 해제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차단과 해제를 반복하다 2015년 5월 19일부터 다시 차단이 시작되었다.

경험 있는 인터넷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차단을 우회할 수 있었지만, 일반 사용자들이 위키백과에 접근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 때문에 중국어 위키백과 편집은 주로 타이완, 홍콩, 마카오 거주자나 해외에 있는 중국인들이 주도하고 있다.

바이두 백과와 같은 중국 내 다른 사이트들은 위키백과의 기사 중 중국 정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용을 전재하여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일종의 검열로 볼 수 있다.

2015년 12월 4일경부터 중국 내 여러 언어 중 중국어판, 광둥어판, 오어판, 위구르어판이 전면 차단되었다. 반면 간어판, 한문판, 민난어판(백화자 표기), 객가어판, 민동어판, 티베트어판, 한국어판은 차단되지 않았다. 2017년 12월 28일부터는 일본어판 데스크톱 버전이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었다.

2019년 4월 23일부터는 위키미디어 공용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포함한 모든 언어판 위키백과가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었다. 위키미디어 재단은 차단 이유를 알 수 없으며, 당국으로부터 통지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재단은 정보의 자유로운 이용이 "기본적인 인권"이라며 차단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국경없는 기자회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중국은 180개국 중 177위를 기록했다.[36]

2. 1. 2004년: 첫 번째 차단

2004년 6월 2일부터 21일까지 1989년 톈안먼 사건 15주기를 맞아 베이징에서 중국어 위키백과 접속이 차단되었다.[4]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시기에 정보 유통을 통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6월 3일, 위키백과는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본토의 일부 도시에서 차단되었지만, 위키낱말사전은 여전히 이용 가능했다. 6월 11일에는 다른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들도 차단되었다. 6월 17일에는 IP 주소 차단이 해제된 것으로 보였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여전히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었다. 6월 18일에는 중국어 위키백과를 제외한 모든 위키백과가 차단 해제되었으며, 중국어 버전의 상황은 알려지지 않았다. 6월 20일에는 베이징에서 중국어 위키백과에 대한 접속이 여전히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이 차단은 6월 21일에 해제되었다. 9월 23일, 위키백과는 부분적으로 차단되었다.[5]

2. 2. 2004년: 두 번째 차단

2004년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4박 5일 동안 중국 대륙 내 일부 사용자들은 위키백과 접속에 어려움을 겪거나 접속하지 못했다.[5] 모든 사용자가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었으며,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게 항의했지만 항의문이 전달되기 전에 차단이 해제되었다.

2. 3. 2005년 ~ 2006년: 세 번째 차단과 부분 해제

2005년 10월 19일, 세 번째 차단이 시작되었다. 2006년 10월 10일부터 일부 해제되는 듯했으나,[49] 같은 해 11월 17일부터 다시 차단되었다. 2006년 11월 9일, 많은 사용자들이 중국어 위키백과가 차단 해제되었다고 보고했는데,[6][7] 이는 2005년 10월 19일부터 1년 넘게 차단되었던 중국 본토에서 다시 접속할 수 있게 된 첫 번째 사례였다.

2. 4. 2007년 ~ 2008년: 일시적 해제와 올림픽

2007년 8월 31일 이후로 모든 언어의 위키백과 사이트가 차단되었다가, 2008년 4월 2일 차단이 풀렸다.[50] 그러나 4월 6일에 다시 차단되었다.[50] 다른 언어판들은 차단되지 않았지만, 티베트와 같은 민감한 부분은 여전히 차단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영어 위키백과와 중국어 위키백과 접속이 일시적으로 허용되었다.[50]

2. 5. 2010년 ~ 2013년: 암호화 연결 차단

2010년 11월 28일, 중화권 위키의 위키설문 밍(HTTP)이 HTTP 연결 재설정으로 차단되었지만, 암호화된 버전(HTTPS)은 일반적으로 볼 수 있었다. 2012년 초, 중국어 위키뉴스는 HTTP 연결 재설정 및 DNS 오염으로 차단되었다.[6][7]

2013년 5월 말, 여러 언어의 위키백과 암호화 버전(HTTPS)이 중국 본토에서 접속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민감한 단어를 포함하지 않은 위키백과의 밍 버전(HTTP) 페이지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2013년 6월, 중국어 위키백과가 차단되었을 때, 홈페이지의 환영 메시지에 공지가 추가되었다.
2013년 12월 19일, 각 언어의 위키백과 도메인 이름의 CNAME 레코드 조정으로 인해, 중국 본토 사용자는 민감한 단어가 없는 각 언어의 위키백과 암호화 버전(HTTPS)과 밍 버전(HTTP) 페이지에 직접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2. 6. 2015년 ~ 2019년: 중국어 위키백과 차단

2015년 5월 19일 오후, 중국어 위키백과는 HTTP 연결 재설정 및 DNS 오염[10]으로 인해 중국 대륙에서 접속이 불가능해졌다. 사용자들은 로컬 호스트 파일을 수정하거나 DNS 서버를 변경하여 위키백과의 암호화된 버전(HTTPS)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이를 우회할 수 있었지만, 위키미디어 재단은 위키백과의 IP 주소를 변경할 수 없었다.[11] 이 차단은 위키미디어의 다른 프로젝트(DNS가 오염된 중국어 위키뉴스 제외)와 외국어 위키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해 6월 중순, 위키미디어 재단은 자사 프로젝트에 대한 의무적인 암호화(HTTPS)를 시행했다. 같은 해 말, 광둥어판(데스크톱 버전만 해당, 모바일 버전은 2019년 4월 23일 다른 언어 버전과 동시에 차단됨), 오어판(광둥어와 동일) 및 위구르어판이 중국어 위키백과와 동일한 방식으로 차단되었다.

2015년 12월, 위키미디어가 사이트 전체에 걸쳐 의무적인 암호화로 전환하면서 키워드 필터링이 효과가 없게 되자, 위키백과의 모든 언어 버전이 IP 주소 차단을 통해 중국 대륙에서 잠시 접속 불가능해졌다.[12] 이 차단은 곧 해제되었고, 대부분의 항목에 다시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2018년 8월 24일, 만리 방화벽은 SNI 감지를 채택하여 중국어, 일본어, 위구르어 위키백과 도메인 이름을 차단하여 호스트 파일 수정 또는 DNS 변경을 통한 네트워크 차단 우회가 무효화되었다.

2015년 12월 4일경부터, 중국 국내의 여러 언어 중, 중국어판, 광둥어판, 오어판 및 위구르어판은 전면 차단되었지만, 간어판, 한문판, 백화자로 쓰인 민난어판, 객가어판, 민동어판 및 티베트어판, 한국어판은 차단되지 않았다. 2017년 12월 28일부터 위키백과 일본어판의 데스크톱 버전이 중국 대륙부에서 차단되었다.

2. 7. 2019년 이후: 모든 언어 위키백과 차단

2019년 4월 23일부터 위키백과 전체 사이트(*.wikipedia.org)는 중국 본토에서 완전히 차단되었으며, 홈페이지와 모든 언어 버전에 접속할 수 없게 되었다.[13][14][15] 차단 방식은 DNS 오염이며, 그중 중국어, 일본어, 위구르어 위키백과는 HTTP 연결 재설정 및 SNI 차단도 적용되었다. 다음 날, 위키백과 전체 사이트는 전날 DNS 오염을 기반으로 하여 SNI 차단 방식으로 차단되었다.[16][17] 5월 14일, 위키미디어 재단은 중국 정부가 4월부터 모든 위키백과 사이트를 차단했음을 확인했다.[18][19] 5월 17일, 위키미디어 재단은 중국 정부에 위키백과 차단을 해제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0]

2019년 5월 8일, 위키미디어 공용,[21] 메타 위키,[22] 위키낱말사전 등 다른 주요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는 DNS 오염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접속할 수 없었으며, 5월 10일 새벽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2019년 6월 10일부터 위키 공용의 모바일 버전이 차단되었고, DNS 파싱 쿼리에서 파싱 결과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 결과, DNS에 의해 오염되었으며,[23][24] 위키 공용의 데스크톱 버전은 당분간 차단되지 않았다(나중에 같은 해 12월에 차단됨).[25]

2019년 7월부터 영문 위키뉴스와 중국어 위키인용집이 차단되었다. 확인 결과, 영문 위키뉴스는 DNS에 의해 오염되었으며, 중국어 위키인용집은 SNI 기반 HTTPS 연결 재설정이 오염되었다.[26][27] 10월에는 중국어 위키인용집의 모바일 버전도 차단되었다. 2019년 11월부터 중국어 위키 아카데미의 모바일 버전이 차단되었으며, DNS 파싱 쿼리에서 파싱 결과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8][29] 2019년 12월부터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위키미디어 재단 서버의 IPv4 주소(198.35.26.96)[30]가 차단되어 다른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예: 일본어 위키뉴스)는 중국 본토에서 접속할 수 없게 되었다.

2020년 5월 중국 양회 기간 동안 싱가포르(103.102.166.224)와 애쉬번(208.80.154.224)[31][32]에 있는 위키미디어 재단 서버의 IPv4 주소가 공식적으로 차단되었다. 중국 본토에서 모든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에 대한 IPv4 접근이 거의 완전히 차단되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와 애쉬번에 있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미디어 서버 upload.wikimedia.org의 IPv4 주소(198.35.26.112 및 208.80.154.240)는 미정 기간 동안 중단되었다.[33][34] 그 결과, 위키미디어 재단의 미디어 서버는 중국 본토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35]

2020년 10월 24일, 중국 동부 저장성 저우산시에서 한 남자가 경찰에 체포되었다. 당국은 그가 위키백과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벽을 넘는 소프트웨어'(VPN을 의미) "블루 라이트"를 사용했고, 경찰로부터 "수도 검침"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위키백과를 검색한 혐의로 처벌받은 중국 본토의 첫 번째 사례이다. 저장성 당 위원회의 공식 웹사이트는 2019년 상반기부터 2020년 10월까지 그 남자가 "블루 라이트" VP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불법적으로 위키백과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공식 발표에는 그 남자의 이름과 주소도 명시되었다.[36]

위키미디어 재단은 차단의 이유를 알 수 없으며, 당국으로부터의 통지는 없었다고 밝힌 뒤, 공개 정보의 자유로운 입수는 "기본적인 인권"이라고 주장하며 차단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국경없는 기자회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중국은 세계 180개국 중 177위를 기록했다.

3. 차단 방식

중국 정부는 다양한 기술적 수단을 동원하여 위키백과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13][14][15] 주요 차단 방식은 다음과 같다.


  • DNS 오염: 2019년 4월부터 위키백과 전체 사이트(*.wikipedia.org) 및 다른 주요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예: 위키미디어 공용,[21] 메타 위키,[22] 위키낱말사전 등)에 적용되었다. 2019년 6월부터는 위키 공용 모바일 버전에도 적용되었으며,[23][24] 2019년 7월부터 영문 위키뉴스에도 적용되었다.
  • SNI 차단: 2019년 4월부터 중국어, 일본어, 위구르어 위키백과에 HTTP 연결 재설정과 함께 적용되었으며, 다음 날 위키백과 전체 사이트에 적용되었다.[16][17] 2019년 7월부터 중국어 위키인용집의 HTTPS 연결에도 적용되었다.[26][27]
  • IPv4 주소 차단: 2019년 12월부터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위키미디어 재단 서버의 IPv4 주소(198.35.26.96)가 차단되었다.[30] 2020년 5월에는 싱가포르(103.102.166.224)와 애쉬번(208.80.154.224)에 있는 위키미디어 재단 서버의 IPv4 주소가 차단되어, 중국 본토에서 모든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에 대한 IPv4 접근이 거의 완전히 차단되었다.[31][32]


이러한 차단 조치로 인해 2020년 10월에는 위키백과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VPN을 사용한 중국인이 체포되기도 했다.[36]

4. 차단 배경 및 원인

중국 정부의 위키백과 차단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중국 정부와 그 지배하에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는 국내에서 논란이 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지속적으로 검열해 왔다.[36] 위키미디어 재단 계열 사이트는 중국 정부로부터 사전 경고나 사후 설명 없이 최소 7차례 접속 차단을 당했다.[36]

2004년에 시작된 일련의 차단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직전인 2008년 7월 말에 해제되었고, 그 후 여러 차례 차단과 해제가 반복되다가 2015년 5월 19일부터 차단이 진행되고 있다.[36] 2019년 4월 23일부터는 위키미디어 공용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포함한 모든 언어판 위키백과가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었다.[13][14][15] 위키미디어 재단은 차단 이유를 알 수 없으며, 당국으로부터 통지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20]

2015년 12월 4일경부터 중국어, 광둥어, 오어, 위구르어 위키백과는 전면 차단되었지만, 간어, 한문, 민난어, 객가어, 민동어, 티베트어, 한국어 위키백과는 차단되지 않았다.[36] 2017년 12월 28일부터는 위키백과 일본어판의 데스크톱 버전이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었다.[36]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위키백과에 접근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중국어 위키백과의 편집은 타이완, 홍콩, 마카오 거주자나 기타 국외에 있는 중국인이 주도하고 있다.[36] 한편, 중국 정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키백과 기사는 바이두 백과 등 중국의 다른 사이트에 전재되어 이용되기도 한다.[36]

국경없는 기자회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중국은 세계 180개국 중 177위를 기록했다.[36]

5. 영향 및 반응

위키미디어 재단 계열 사이트는 중국 정부로부터 사전 경고나 사후 설명 없이 최소 7차례 접속 차단을 받았다. 2004년에 시작된 일련의 차단은 베이징 올림픽 직전인 2008년 7월 말에 해제되었고, 그 후 여러 차례 차단되었다가 2015년 5월 19일부터 다시 차단이 진행되고 있다.[13][14][15]

2015년 12월 4일경부터 중국어, 광둥어, 오어 및 위구르어판이 전면 차단되었지만, 간어, 한문, 백화자로 쓰인 민난어, 객가어, 민동어 및 티베트어, 한국어판은 차단되지 않았다. 2017년 12월 28일부터는 위키백과 일본어판의 데스크톱 버전이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었다. 2019년 4월 23일부터는 위키미디어 공용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포함한 전 언어판 위키백과가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었다.[20]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위키백과에 접근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경험이 있는 대륙 거주 인터넷 사용자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차단을 회피할 수 있었다.

5. 1. 중국 내 영향

2019년 4월부터 중국 본토에서 모든 언어 버전의 위키백과 접속이 차단되면서, 중국 내 사용자들은 자유로운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3][14][15] 이는 지식 습득, 학술 연구, 정보 공유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DNS 오염, SNI 차단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위키백과 접속을 막고 있다.[16][17] 이로 인해, 바이두 백과와 같이 중국 정부의 검열을 받는 사이트에서 위키백과의 내용을 전재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정보 접근의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VPN 등 우회 수단을 통해 위키백과에 접속하고 있지만, 이는 번거롭고 당국에 의해 처벌받을 위험 부담이 따른다.[36] 실제로 2020년 10월에는 저장성 저우산시에서 한 남성이 VPN을 사용하여 위키백과에 접속했다가 체포되기도 하였다.[36]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중국어 위키백과의 편집은 주로 타이완, 홍콩, 마카오 등 중국 외 지역 거주자나 해외 거주 중국인들이 주도하고 있다.

5. 2. 국제 사회 반응

위키미디어 재단은 중국 정부의 위키백과 차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하고, 차단 해제를 촉구해왔다.[20] 국경없는 기자회 등 국제 인권 단체들은 중국의 인터넷 검열을 비판하고,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지미 웨일스 위키백과 설립자는 중국 정부와의 소통을 통해 차단 해제를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42]

2004년 7월, 지미 웨일스는 인터뷰에서 "위키백과를 검열하는 것은 중립적인 사실 정보가 그들을 두렵게 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37] 2005년 10월에는 "중국 정부가 중립적인 정보가 반중국적이라고 주장하지 않는 한, 위키백과를 반중국 정부로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38] 또한 중국의 검열이 "아이러니하게도 세계 문제에 대한 본토의 관점을 검열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38]

2015년 12월, 웨일스는 베이징으로 가서 중국 정부에 중국어 위키백과 차단을 해제해 달라고 로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9] 세계 인터넷 컨퍼런스에서는 "어떤 정부든 자국 영토 내에서 사람들이 아는 정보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다는 생각은 완전히 구식이 되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40]

2018년 7월, 웨일스는 타이완에서 열린 APEC 디지털 혁신 포럼(APEC DIF)에 참석하여 중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소통하여 위키백과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42]

국경없는 기자회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중국은 세계 180개국 중 177위를 기록했다.

6. 우회 접속 방법

경험 있는 중국 대륙 거주 인터넷 사용자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위키백과 접속 차단을 회피할 수 있었지만,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위키백과에 접근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중국어 위키백과 편집은 타이완, 홍콩, 마카오 거주자나 기타 국외에 있는 중국인이 주도하고 있다.[1]

참조

[1] 뉴스 Reference Tool On Web Finds Fans, Censors http://www.washingto[...] 2023-06-23
[2] 웹사이트 六四屠杀30周年前夕 维基百科各语言版遭中国全站封杀 https://www.voachine[...] 2023-06-23
[3] 웹사이트 維基百科在大陸遭全面封殺 疑六四30周年前網絡大清洗 https://www.rfa.org/[...] 2023-06-23
[4] 뉴스 Reference Tool On Web Finds Fans, Censors http://www.washingto[...] 2023-06-23
[5] 웹사이트 Authorities block access to online encyclopaedia https://ifex.org/aut[...] 2023-06-23
[6] 뉴스 Chinese Government Relaxes Its Total Ban on Wikipedia https://www.nytimes.[...] 2023-06-23
[7] 웹사이트 Wikipedia unblocked in China after year-long ban http://news.oneindia[...] 2006-11-16
[8] 웹사이트 Chinese net censors unblock BBC, Wikipedia https://www.theregis[...] 2023-06-23
[9] 웹사이트 维基百科简体中文网站浏览仍然受限 http://net.chinabyte[...] 2023-06-23
[10] 웹사이트 奇客资讯网 https://www.solidot.[...] 2023-06-23
[11] 웹사이트 Help:如何访问维基媒体旗下项目 - Meta https://meta.wikimed[...] 2023-06-23
[12] 웹사이트 China has blocked Wikipedia again https://www.pixelste[...] 2023-06-23
[13] 웹사이트 Wikipedia Currently Down in China https://www.thatsmag[...] 2019-04-23
[14] 뉴스 Wikipedia blocked in China in all languages https://www.bbc.com/[...] 2023-06-23
[15] 웹사이트 China Blocks All Versions of Wikipedia Ahead of Massacre Anniversary https://www.rfa.org/[...] 2023-06-23
[16] 웹사이트 please add wikipedia.org · Issue #1528 · gfwlist/gfwlist https://github.com/g[...] 2023-06-23
[17] 웹사이트 中国封锁了所有语言版本的维基百科 https://ooni.org/zh/[...] 2023-06-23
[18] 뉴스 Wikipedia blocked in China in all languages https://www.bbc.com/[...] 2023-06-23
[19] 간행물 Wikipedia Is Now Banned in China in All Languages https://time.com/558[...] 2023-06-23
[20] 웹사이트 Wikimedia Foundation urges Chinese authorities to lift block of Wikipedia in China https://wikimediafou[...] 2023-06-23
[21] 웹사이트 commons.wikimedia.org 在中国 100% 被封锁 {{!}} GreatFire.org https://zh.greatfire[...] 2023-06-23
[22] 웹사이트 meta.wikimedia.org 在中国 100% 被封锁 {{!}} GreatFire.org https://zh.greatfire[...] 2023-06-23
[23] 웹사이트 commons.m.wikimedia.org 在中国 100% 被封锁 {{!}} GreatFire.org https://zh.greatfire[...] 2023-06-23
[24] 웹사이트 在中国 100% 被封锁 {{!}} GreatFire.org https://zh.greatfire[...] 2023-06-23
[25] 웹사이트 Censorship of commons.wikimedia.org in China https://zh.greatfire[...]
[26] 웹사이트 zh.wikiquote.org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27] 웹사이트 zh.wikiquote.org 在中国的审查情况 https://zh.greatfire[...]
[28] 웹사이트 zh.m.wikiversity.org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29] 웹사이트 zh.m.wikiversity.org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30] 웹사이트 198.35.26.96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31] 웹사이트 103.102.166.224 在中国 50% 被封锁 https://zh.greatfire[...]
[32] 웹사이트 208.80.154.224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33] 웹사이트 208.80.154.240 在中国的审查情况 https://zh.greatfire[...]
[34] 웹사이트 98.35.26.112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35] 웹사이트 upload.wikimedia.org 在中国 100% 被封锁 https://zh.greatfire[...]
[36] 웹사이트 张韬擅自建立、使用非法定信道进行国际联网 http://www.zjzwfw.go[...] 2020-10-24
[37] 웹사이트 Wikipedia Founder Jimmy Wales Responds - Slashdot https://slashdot.org[...] 2023-06-23
[38] 웹사이트 Wikimedia projects censorships - Meta https://meta.wikimed[...] 2023-06-23
[39] 웹사이트 Wikipedia boss to lobby China to unblock website http://www.channelne[...] 2015-11-02
[40] 웹사이트 维基创始人:向鲁炜介绍了运作模式 不知为何在内地被禁 http://www.nanzao.co[...] 2015-12-18
[41] 웹사이트 互联网文化与传播论坛 互联网时代文化传承与创新 http://2015.wicwuzhe[...] 2015-12-17
[42] 웹사이트 維基百科創辦人:不會為進入中國市場而妥協 {{!}} 科技 https://www.cna.com.[...] 2023-06-23
[43] 웹사이트 https://ja.wikipedia.org is 100% blocked in China https://zh.greatfire[...] GreatFire
[44] 뉴스 Wikipedia Currently Down in China http://www.thatsmags[...] 2019-04-30
[45] 뉴스 中国がついに全言語のWikipediaへのアクセスを遮断へ https://gigazine.net[...] 株式会社OSA 2019-05-19
[46] 뉴스 China is now blocking all language editions of Wikipedia https://ooni.torproj[...] 2019-05-20
[47] 뉴스 Wikipedia Is Now Banned in China in All Languages http://time.com/5589[...] 2019-05-20
[48] 뉴스 中国、ウィキペディア遮断 天安門事件30年控え規制か https://www.nikkei.c[...] 2019-05-18
[49] 웹사이트 Wikipedia Unblocked? http://www.chinese-f[...] chinese-forums.com
[50] 문서 [[https]]를 이용해 중국어 위키백과에 로그인은 할 수 있었다.
[51] 뉴스 Wikipedia Currently Down in China http://www.thatsmags[...] 2019-04-24
[52] 웹인용 China is now blocking all language editions of Wikipedia https://ooni.io/post[...] Open Observatory of Network Interference 2019-05-07
[53] 뉴스 Wikipedia blocked in China in all languages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