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해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해남군은 한반도 서남단에 위치한 전라남도 최대 규모의 군으로, 삼면이 바다와 접해 있다. 백제 시대 새금현으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1읍 1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남군은 온화한 기후와 리아스식 해안을 특징으로 하며, 농업과 어업이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땅끝마을, 녹우당, 두륜산, 대흥사 등이 있으며, 출산 장려 정책과 다양한 문화유산을 통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남군 - 땅끝마을
    땅끝마을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으며 땅끝항과 땅끝시외버스정류장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고 주변에 미황사와 대흥사 등의 명소가 있다.
  • 해남군 - 황산면 (해남군)
    황산면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면으로, 1914년 황원면과 산일면의 통합으로 설치되었으며 13개의 리와 해남 공룡 박물관, 황산초등학교, 황산중학교가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해남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의 위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해남군
한자 표기海南郡
로마자 표기Haenam-gun
지역호남
방언전라
면적1013.8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63,457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구역1읍, 13면, 513리, 909반
시간대한국 표준시 (KST)
UTC 오프셋+9
행정
소속 국가대한민국
전라남도
군수명현관 (명현관)
상징
군목동백나무
군화동백꽃
군조산비둘기
기타
지역 번호+82-61
웹사이트해남군 공식 웹사이트
해남군 깃발
해남군 깃발
해남 우수영 관광지
해남 풍경
해남군 문화예술회관
해남 방산리 장고봉 고분

2. 역사

== 역사 ==

해남군의 역사는 삼국시대 백제의 새금현(塞琴縣)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치소는 현산면이었다. 757년에는 침명현(浸溟縣)으로 개칭되고 양무군(현 강진군)의 영현이 되었으며, 940년에는 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면서 현재의 해남군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고려시대에는 940년 해남현으로 개칭되어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는 해남의 행정구역상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이후 해남은 영암군의 지배를 받게 된다. 고려시대의 이러한 변화는 이후 조선시대 해남의 행정구역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에는 1409년 해남현과 진도군이 합쳐져 해진군(海珍郡)이 되었고, 1412년 영암군의 옛 속현이었던 죽산현, 황원현, 옥산현 지역이 해진군에 편입되면서 치소가 옥산(현 해남읍)으로 옮겨졌다. 1437년 해진군이 다시 해남현과 진도군으로 분리되면서 해남에는 현감이 임명되었다. 1895년에는 나주부 해남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신설된 완도군에 해남군이 관할하던 섬들이 편입되었다. 1896년에는 전라남도 해남군이 되었으며, 당시 17개 면(군일면, 군이면, 녹산면, 화일면, 화이면, 현산면, 은소면, 청계면, 비곡면, 마포면, 산일면, 산이면, 황원면, 문내면, 장동면, 장서면, 관저면)으로 구성되었다. 1906년에는 영암군의 송지시면, 송지종면, 북평시면, 북평종면, 옥천시면, 옥천종면과 진도군의 삼촌면이 해남군에 편입되어 24개 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13개 면(해남면,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으로 통폐합되었다. 이후 1955년 7월 1일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되었고, 1973년 7월 1일에는 송지면 월송리가 현산면에, 마산면 복평리가 해남읍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북평면의 일부를 분리하여 북일면을 신설하였고, 1990년 8월 1일에는 옥천면 봉황리가 강진군 도암면으로 이관되었다. 2021년 7월 5일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주택 등 20동이 침수되고, 농지 5356㏊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18]

2. 1. 백제 시대

백제 시대 해남은 새금현(塞琴縣)이었다. 당시의 치소는 현재의 현산면이었다.[22] 대동여지도에 따르면, 해남의 위치는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 2. 통일신라 시대

757년, 새금현은 침명현으로 개칭되었고 강진군(당시 양무군)의 영현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신라의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해남 지역의 행정적 지위 변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후 940년 해남현으로 개칭되고 영암군의 속현이 되면서, 해남 지역은 영암군의 지배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2. 3. 고려 시대


  • 940년에는 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는 해남의 행정구역상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이후 해남은 영암군의 지배를 받게 된다. 해남의 행정구역은 이후 여러 차례 변화를 겪게 되는데, 고려시대의 이러한 변화는 이후 조선시대 해남의 행정구역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4. 조선 시대

백제 시대에는 새금현(塞琴縣)으로, 현산면이 치소였다. 757년에는 침명현(浸溟縣)으로 개칭되어 양무군(현 강진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에는 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에는 해남현과 진도군이 합쳐져 해진군(海珍郡)이 되었고, 1412년에는 영암군의 옛 속현이었던 죽산현, 황원현, 옥산현 지역이 해진군에 편입되면서 치소가 옥산(현 해남읍)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1437년에는 해진군이 다시 해남현과 진도군으로 분리되었고, 해남현에는 현감이 임명되었다. 1895년에는 나주부 해남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신설된 완도군에 해남군이 관할하던 섬들이 편입되었다. 1896년에는 전라남도 해남군이 되었으며, 당시 17개 면(군일면, 군이면, 녹산면, 화일면, 화이면, 현산면, 은소면, 청계면, 비곡면, 마포면, 산일면, 산이면, 황원면, 문내면, 장동면, 장서면, 관저면)으로 구성되었다. 1906년에는 영암군의 송지시면, 송지종면, 북평시면, 북평종면, 옥천시면, 옥천종면과 진도군의 삼촌면이 해남군에 편입되어 24개 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13개 면(해남면,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으로 통폐합되었다. 이후 1955년 7월 1일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되었고, 1973년 7월 1일에는 송지면 월송리가 현산면에, 마산면 복평리가 해남읍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북평면의 일부를 분리하여 북일면을 신설하였고, 1990년 8월 1일에는 옥천면 봉황리가 강진군 도암면으로 이관되었다.

2. 5. 근대

백제 시대에는 새금현(塞琴縣)이었으며, 치소는 현재의 현산면이었다. 757년에는 침명현(浸溟縣)으로 개칭되어 양무군의 영현이 되었고, 940년에는 '''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에는 해남현과 진도군이 합쳐져 해진군(海珍郡)이 되었고, 1412년에는 영암군의 옛 속현이었던 죽산현, 황원현, 옥산현 지역이 해진군에 편입되면서, 해진군의 치소는 옥산(현재의 해남읍)으로 옮겨졌다. 1437년에는 해진군이 다시 해남현과 진도군으로 분할되었고, 해남에는 현감이 임명되었다.

1895년에는 나주부 '''해남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이듬해 신설된 완도군에 해남군이 관할하던 섬들이 편입되었다. 1896년에는 전라남도 해남군이 되었고, 당시 17개 면(군일면, 군이면, 녹산면, 화일면, 화이면, 현산면, 은소면, 청계면, 비곡면, 마포면, 산일면, 산이면, 황원면, 문내면, 장동면, 장서면, 관저면)으로 구성되었다. 1906년에는 영암군의 송지시면, 송지종면, 북평시면, 북평종면, 옥천시면, 옥천종면과 진도군의 삼촌면이 해남군에 편입되어 24개 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해남군의 행정구역이 13개 면(해남면,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으로 통폐합되었다. 군일면과 군이면은 해남면이 되었고, 삼촌면과 녹산면은 삼산면, 화일면과 화이면은 화산면, 송지시면과 송지종면은 송지면, 북평시면, 북평종면과 강진군 백도면 일부는 북평면, 옥천시면과 옥천종면은 옥천면, 청계면과 비곡면은 계곡면, 마포면과 산일면 일부는 마산면, 황원면과 산일면 일부는 황산면, 장동면, 장서면, 관저면은 화원면이 되었으며, 은소면은 현산면송지면에 분할 편입되었다. 1921년에는 완도군 어불도송지면에 편입되었고, 1955년 7월 1일에는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1읍 12면)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송지면 월송리가 현산면에, 마산면 복평리가 해남읍에 편입되었고, 1983년 2월 15일에는 북평면의 일부를 분리하여 북일면을 신설(1읍 13면)하였다. 1990년 8월 1일에는 옥천면 봉황리가 강진군 도암면으로 이관되었다.

2. 6. 현대

백제 시대에는 새금현(塞琴縣)이었으며, 치소는 현재의 현산면이었다. 757년에는 침명현(浸溟縣)으로 개칭되었고 양무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에는 '''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에는 해남현과 진도군이 통합되어 해진군(海珍郡)이 되었고, 1412년에는 영암군의 옛 속현이었던 죽산현, 황원현, 옥산현 지역이 해진군에 편입되면서, 해진군의 치소가 옥산(현재의 해남읍)으로 이전되었다. 1437년에는 해진군이 다시 해남현과 진도군으로 분할되었고, 해남에는 현감이 설치되었다.

1895년에는 나주부 '''해남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신설된 완도군에 해남군이 관할하던 섬들이 편입되었다. 1896년에는 전라남도 해남군이 되었으며, 17개 면(군일면, 군이면, 녹산면, 화일면, 화이면, 현산면, 은소면, 청계면, 비곡면, 마포면, 산일면, 산이면, 황원면, 문내면, 장동면, 장서면, 관저면)으로 구성되었다. 1906년에는 영암군의 송지시면, 송지종면, 북평시면, 북평종면, 옥천시면, 옥천종면과 진도군 삼촌면이 해남군에 편입되어 24개 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13개 면(해남면,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옥천면, 계곡면,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으로 통폐합되었다. 군일면과 군이면은 통합되어 해남면이 되었고, 삼촌면과 녹산면은 삼산면, 화일면과 화이면은 화산면, 송지시면과 송지종면은 송지면, 북평시면, 북평종면과 강진군 백도면 일부는 북평면, 옥천시면과 옥천종면은 옥천면, 청계면과 비곡면은 계곡면, 마포면과 산일면 일부는 마산면, 황원면과 산일면 일부는 황산면, 장동면, 장서면, 관저면은 화원면이 되었다. 은소면은 현산면송지면에 분할 편입되었다. 1921년에는 완도군 어불도송지면에 편입되었다. 1955년 7월 1일에는 해남면이 해남읍으로 승격하여 1읍 12면이 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송지면 월송리가 현산면에, 마산면 복평리가 해남읍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북평면의 일부를 분리하여 북일면을 신설하여 1읍 13면이 되었다. 1990년 8월 1일에는 옥천면 봉황리가 강진군 도암면으로 이관되었다.

3. 지리

해남군은 한반도 서남단에 위치한 전라남도 최대 규모의 군으로, 동북쪽을 제외한 3면이 바다에 접해 있다. 화원반도, 산이반도, 해남반도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며, 해침 작용으로 인해 해식절벽이 많다. 특히 화원반도에는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해 있다. 지세가 험준하여 하천은 짧고, 나무가지 모양으로 바다로 흘러드는 특징을 보인다.[27] 행정구역상 동쪽으로는 강진군, 북쪽으로는 영암군, 서쪽과 남쪽으로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진도군완도군이 인접해 있다.[26] 서북쪽으로는 신안군, 진도군, 목포시와 인접해 있다. [26] 해남은 태백산맥의 지맥 남단에 위치한 구릉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온화한 기후를 나타낸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 덕분에 농업과 어업이 발달했다. 화원반도를 중심으로 긴 리아스식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남부 지역 중에서도 매우 따뜻한 지역으로, 연평균 기온은 13~14℃이며, 1월 평균 기온도 0℃ 이상으로 겨울철 적설량이 적다.[28] 연평균 상대습도는 75%,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 내외이고, 6월부터 9월까지의 강수량이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여름에는 남동 계절풍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한랭건조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지만, 해안 지역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내륙보다 온난하다. 3면이 바다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난류와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고온다습한 기후를 보이며, 1998년에는 연간 강우량이 1685mm에 달했다. [28] 연평균 기온은 13.5℃이다.[29][30] 최고 기온 기록은 37.2℃(8월), 최저 기온 기록은 -17.1℃(1월)이다.[15][16] 해남군(해남기상관측소, 해남읍 남천리)의 상세 기후 정보는 다음과 같다. (자료: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29][30]

월 ! 최고 기온 기록(℃)평균 최고 기온(℃)평균 기온(℃)평균 최저 기온(℃)최저 기온 기록(℃)강수량(mm)강수일수(일, 0.1mm 이상)상대습도(%)일조시간(시간)
1월 ! 18.8 ! 6.3 ! 1.3 ! -3.3 ! -17.1 ! 30.4 ! 8.7 ! 69.8 ! 157.4
2월 ! 21.7 ! 8.3 ! 2.7 ! -2.7 ! -14.5 ! 39.3 ! 7.8 ! 68.4 ! 166.1
3월 ! 24.2 ! 12.8 ! 6.7 ! 0.6 ! -8.3 ! 78.3 ! 8.7 ! 68.2 ! 200.9
4월 ! 27.3 ! 18.5 ! 12.1 ! 5.6 ! -5.3 ! 94.5 ! 8.5 ! 68.2 ! 216.4
5월 ! 33.1 ! 23.2 ! 17.3 ! 11.6 ! -0.6 ! 102.4 ! 9.1 ! 71.6 ! 229.5
6월 ! 33.2 ! 26.4 ! 21.5 ! 17.5 ! 8.0 ! 160.9 ! 10.1 ! 76.5 ! 179.4
7월 ! 36.6 ! 29.0 ! 25.0 ! 22.0 ! 14.5 ! 226.6 ! 12.7 ! 82.8 ! 165.5
8월 ! 37.2 ! 30.4 ! 25.9 ! 22.2 ! 12.5 ! 248.4 ! 12.3 ! 80.7 ! 200.6
9월 ! 33.8 ! 27.0 ! 21.5 ! 16.7 ! 5.9 ! 150.4 ! 8.8 ! 77.0 ! 184.2
10월 ! 29.7 ! 22.0 ! 15.4 ! 9.0 ! -3.2 ! 65.1 ! 5.7 ! 71.8 ! 206.8
11월 ! 25.9 ! 15.4 ! 9.3 ! 3.3 ! -6.2 ! 51.1 ! 8.1 ! 71.2 ! 169.1
12월 ! 21.0 ! 8.8 ! 3.3 ! -1.9 ! -13.0 ! 34.6 ! 9.0 ! 70.9 ! 155.0
연평균 ! ! 19.0 ! 13.5 ! 8.4 ! -17.1 ! 1282.0 ! 109.5 ! 73.1 ! 2230.9


  • 최고기온 극값: 37.2℃ (년도 미상)
  • 최저기온 극값: -17.1℃ (년도 미상)

3. 1. 위치 및 지형

해남군은 한반도 서남단에 위치한 전라남도 최대 규모의 군으로, 동북쪽을 제외한 삼면이 바다에 접한 반도 지형을 이룬다. 화원반도, 산이반도, 해남반도 등 여러 반도가 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강진만영암군, 강진군, 완도군과 인접해 있다. 서북쪽으로는 신안군, 진도군, 목포시와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26]

해남은 한반도 최남서 지역으로, 수많은 섬들이 산재한 침강 해안 지형을 보이며, 해침 작용으로 인해 가파른 해식절벽이 형성되어 있다.[27] 지형은 매우 험준하여 고봉과 첨예한 능선이 많고, 하천은 짧으며 나무 가지 모양으로 바다로 직접 흘러든다.[27] 태백산맥의 지맥 남단에 위치하며,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대한민국 남부 지역 중에서도 매우 온화한 기후를 자랑한다. 특히 화원반도 주변에는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해 있다. 해남군은 전라남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동쪽은 강진군, 북쪽은 영암군, 서쪽과 남쪽은 진도군완도군과 바다를 경계로 인접해 있다. 육지와 연결된 곳은 동쪽과 북쪽에 국한되며, 나머지 지역은 바다로 둘러싸인 해남반도를 형성한다. 온화한 기후 덕분에 농업과 어업이 발달하였다.

3. 2. 해안선

해남군은 한반도 최남서 지역에 위치하여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형태를 띠고 있다. 화원반도, 산이반도, 해남반도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해안선은 심한 굴곡을 이루고 있으며, 해침 작용으로 인해 가파른 해식절벽이 많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화원반도 주변에는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해 있다. 지세가 험준하여 하천은 짧고, 나무가지 모양으로 바다로 흘러드는 특징을 보인다.[27] 서북쪽으로는 신안군, 진도군, 목포시와, 동쪽으로는 강진군, 북쪽으로는 영암군, 동남쪽으로는 완도군과 인접해 있다.[26]

3. 3. 기후

해남군은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하여 온난한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3~14도이며, 가장 추운 1월 평균 기온도 0도 이상으로 겨울철 적설량이 적다. 연평균 상대습도는 75%,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 내외이고, 6월부터 9월까지의 강수량이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여름에는 남동 계절풍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한랭건조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지만, 해안 지역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내륙보다 온난하다. 3면이 바다인 지리적 특성으로 난류와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비교적 고온다습한 기후를 나타내며, 1998년에는 연간 강우량이 1,685mm에 달해 농작물 재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28] 연평균 기온은 13.5℃이며,[29] [30] 최고 기온 기록은 37.2℃(8월), 최저 기온 기록은 -17.1℃(1월)이다.[15] [16] 해남군은 해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남부 지역 중에서도 매우 따뜻한 지역으로 분류된다. 특히 화원반도 주변에는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해 있다.

3. 3. 1. 상세 기후 정보

해남군은 국토 최남단에 위치하여 온난한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3~14℃이며, 가장 추운 1월의 평균 기온도 0℃ 이상으로 겨울철 적설량이 적다. 연평균 상대습도는 75%,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 내외이며, 6~9월 강수량이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여름에는 남동 계절풍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한랭건조한 대륙성 기후를 보이지만, 해안 지역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내륙보다 온난하다. 3면이 바다인 지리적 특성 덕분에 난류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한 기후를 나타내며, 1998년에는 1685mm의 강우량을 기록하여 농작물 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28]

다음은 해남군(해남기상관측소, 해남읍 남천리)의 상세 기후 정보다. 기상청 자료(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를 바탕으로 한다.[29][30]

월 ! 최고 기온 기록(℃)평균 최고 기온(℃)평균 기온(℃)평균 최저 기온(℃)최저 기온 기록(℃)강수량(mm)강수일수(일, 0.1mm 이상)상대습도(%)일조시간(시간)
1월 ! 18.8 ! 6.3 ! 1.3 ! -3.3 ! -17.1 ! 30.4 ! 8.7 ! 69.8 ! 157.4
2월 ! 21.7 ! 8.3 ! 2.7 ! -2.7 ! -14.5 ! 39.3 ! 7.8 ! 68.4 ! 166.1
3월 ! 24.2 ! 12.8 ! 6.7 ! 0.6 ! -8.3 ! 78.3 ! 8.7 ! 68.2 ! 200.9
4월 ! 27.3 ! 18.5 ! 12.1 ! 5.6 ! -5.3 ! 94.5 ! 8.5 ! 68.2 ! 216.4
5월 ! 33.1 ! 23.2 ! 17.3 ! 11.6 ! -0.6 ! 102.4 ! 9.1 ! 71.6 ! 229.5
6월 ! 33.2 ! 26.4 ! 21.5 ! 17.5 ! 8.0 ! 160.9 ! 10.1 ! 76.5 ! 179.4
7월 ! 36.6 ! 29.0 ! 25.0 ! 22.0 ! 14.5 ! 226.6 ! 12.7 ! 82.8 ! 165.5
8월 ! 37.2 ! 30.4 ! 25.9 ! 22.2 ! 12.5 ! 248.4 ! 12.3 ! 80.7 ! 200.6
9월 ! 33.8 ! 27.0 ! 21.5 ! 16.7 ! 5.9 ! 150.4 ! 8.8 ! 77.0 ! 184.2
10월 ! 29.7 ! 22.0 ! 15.4 ! 9.0 ! -3.2 ! 65.1 ! 5.7 ! 71.8 ! 206.8
11월 ! 25.9 ! 15.4 ! 9.3 ! 3.3 ! -6.2 ! 51.1 ! 8.1 ! 71.2 ! 169.1
12월 ! 21.0 ! 8.8 ! 3.3 ! -1.9 ! -13.0 ! 34.6 ! 9.0 ! 70.9 ! 155.0
연평균 ! ! 19.0 ! 13.5 ! 8.4 ! -17.1 ! 1282.0 ! 109.5 ! 73.1 ! 2230.9


  • 최고기온 극값: 37.2℃ (년도 미상)
  • 최저기온 극값: -17.1℃ (년도 미상)

4. 행정 구역

해남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3면 179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의 면적은 1013.8km²이고,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 인구는 7만 6194명(3만 5354가구)이며, 전체 인구의 33%가 해남읍에 거주한다.[32]

읍면별 면적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 상세한 법정리는 아래 표에 따로 정리하였다.

읍면동한자면적 (km²)인구 (2015년 12월)세대 (2015년 12월)
해남읍海南邑65.2025,18610,059
삼산면三山面50.863,3021,638
화산면花山面57.203,7611,854
현산면縣山面90.343,3831,713
송지면松旨面80.596,9103,324
북평면北平面48.133,1951,600
북일면北日面41.382,2991,165
옥천면玉泉面61.693,4661,709
계곡면溪谷面78.142,5271,320
마산면馬山面78.272,7901,449
황산면黃山面105.755,8572,807
산이면山二面109.484,5672,246
문내면門內面56.604,6422,299
화원면花源面90.204,3092,171
합계 (해남군)海南郡1013.876,19435,354



행정 구역도


읍·면법정리
해남읍 (海南邑)고도리, 구교리, 남동리, 남외리, 남천리, 내사리, 백야리, 도평리, 성내리, 수성리, 신안리, 안동리, 연동리, 용정리, 읍내리, 평동리, 해리
삼산면 (三山面)구림리, 봉학리, 상가리, 송정리, 신흥리, 원진리, 창리, 충리, 평활리
화산면 (花山面)가좌리, 간토리, 금풍리, 방추리, 부길리, 삼마리, 석호리, 송산리, 안호리, 연곡리, 연정리, 월호리, 율동리, 평호리, 해창리
현산면 (県山面)고현리, 구산리, 구시리, 덕흥리, 만안리, 백포리, 월송리, 읍호리, 일평리, 조산리, 초호리, 황산리
송지면 (松旨面)가자리, 군곡리, 금강리, 마봉리, 미야리, 산정리, 서정리, 소죽리, 송호리, 어란리, 우근리, 통호리, 학가리, 해원리
북평면 (北平面)남창리, 동해리, 서홍리, 영달리, 오산리, 와룡리, 이진리, 평암리
북일면 (北日面)금당리, 내동리, 만수리, 방산리, 신월리, 용일리, 운전리, 흥촌리
옥천면 (玉泉面)대산리, 백호리, 성산리, 송산리, 신계리, 신죽리, 영신리, 영춘리, 용동리, 용산리, 월평리, 청신리, 팔산리, 흑천리
계곡면 (渓谷面)가학리, 강절리, 당산리, 덕정리, 반계리, 방춘리, 법곡리, 사정리, 선진리, 성진리, 신평리, 여수리, 잠두리, 장소리, 황죽리
황산면 (黄山面)관춘리, 남리리, 부곡리, 송호리, 연당리, 연호리, 옥동리, 외갑리, 우항리, 원호리, 일신리, 한내리, 호동리
마산면 (馬山面)로하리, 맹진리, 산막리, 상등리, 송석리, 연추리, 외호리, 용전리, 장촌리, 학의리, 화내리
산이면 (山二面)구성리, 금송리, 금호리, 노송리, 대진리, 덕송리, 덕호리, 부동리, 상공리, 송천리, 예정리, 진산리, 초송리
문내면 (門内面)고당리, 고평리, 난대리, 동외리, 무곡리, 서상리, 석교리, 선두리, 예락리, 용암리, 충평리, 학동리
화원면 (花源面)청룡리, 금평리, 신덕리, 영호리, 마산리, 성산리, 구림리, 월호리, 매월리, 후산리, 인지리, 주광리, 화봉리, 산호리, 장춘리, 치하리

[31]

4. 1. 행정 구역 현황

해남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3면 179리로 구성되어 있다. 해남군의 면적은 1013.8km²[31]이고,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 인구는 7만 6194명, 3만 5354가구이며, 전체 인구의 33%가 해남읍에 거주한다.[32]

읍면동한자면적(km²)인구(2015년 12월)세대(2015년 12월)
해남읍海南邑65.2025,18610,059
삼산면三山面50.863,3021,638
화산면花山面57.203,7611,854
현산면縣山面90.343,3831,713
송지면松旨面80.596,9103,324
북평면北平面48.133,1951,600
북일면北日面41.382,2991,165
옥천면玉泉面61.693,4661,709
계곡면溪谷面78.142,5271,320
마산면馬山面78.272,7901,449
황산면黃山面105.755,8572,807
산이면山二面109.484,5672,246
문내면門內面56.604,6422,299
화원면花源面90.204,3092,171
해남군海南郡1013.876,19435,354



읍·면법정리
해남읍고도리, 구교리, 남동리, 남외리, 남천리, 내사리, 백야리, 도평리, 성내리, 수성리, 신안리, 안동리, 연동리, 용정리, 읍내리, 평동리, 해리
삼산면구림리, 봉학리, 상가리, 송정리, 신흥리, 원진리, 창리, 충리, 평활리
화산면가좌리, 간토리, 금풍리, 방추리, 부길리, 삼마리, 석호리, 송산리, 안호리, 연곡리, 연정리, 월호리, 율동리, 평호리, 해창리
현산면고현리, 구산리, 구시리, 덕흥리, 만안리, 백포리, 월송리, 읍호리, 일평리, 조산리, 초호리, 황산리
송지면가자리, 군곡리, 금강리, 마봉리, 미야리, 산정리, 서정리, 소죽리, 송호리, 어란리, 우근리, 통호리, 학가리, 해원리
북평면남창리, 동해리, 서홍리, 영달리, 오산리, 와룡리, 이진리, 평암리
북일면금당리, 내동리, 만수리, 방산리, 신월리, 용일리, 운전리, 흥촌리
옥천면대산리, 백호리, 성산리, 송산리, 신계리, 신죽리, 영신리, 영춘리, 용동리, 용산리, 월평리, 청신리, 팔산리, 흑천리
계곡면가학리, 강절리, 당산리, 덕정리, 반계리, 방춘리, 법곡리, 사정리, 선진리, 성진리, 신평리, 여수리, 잠두리, 장소리, 황죽리
황산면관춘리, 남리리, 부곡리, 송호리, 연당리, 연호리, 옥동리, 외갑리, 우항리, 원호리, 일신리, 한내리, 호동리
마산면로하리, 맹진리, 산막리, 상등리, 송석리, 연추리, 외호리, 용전리, 장촌리, 학의리, 화내리
산이면구성리, 금송리, 금호리, 노송리, 대진리, 덕송리, 덕호리, 부동리, 상공리, 송천리, 예정리, 진산리, 초송리
문내면고당리, 고평리, 난대리, 동외리, 무곡리, 서상리, 석교리, 선두리, 예락리, 용암리, 충평리, 학동리
화원면청룡리, 금평리, 신덕리, 영호리, 마산리, 성산리, 구림리, 월호리, 매월리, 후산리, 인지리, 주광리, 화봉리, 산호리, 장춘리, 치하리


4. 2. 경찰 및 소방

해남군의 치안은 해남경찰서가 담당하고, 소방 업무는 해남소방서가 담당한다.

5. 인구

해남군의 인구는 1957년 175,768명에서 1960년 204,115명으로 증가했다. 이후 1970년대까지 20만 명대를 유지하다가 1980년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5년에는 9만 명대로 떨어졌다. 2000년에는 89,603명이었고, 2010년에는 6만 명대로 감소하여 66,042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7년에는 73,604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33]

5. 1.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총인구
1957년175,768명
1958년183,721명
1959년189,024명
1960년204,115명
1966년229,747명
1970년210,323명
1975년198,881명
1980년168,689명
1985년150,794명
1990년134,279명
1995년96,145명
2000년89,603명
2005년74,086명
2010년66,042명
2017년73,604명

[33]

6. 문화·관광

해남군은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명소를 갖춘 지역이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땅끝마을과 고산 윤선도의 유적지인 녹우당이 있다. 녹우당은 600년 된 은행나무와 안채, 사랑채, 행랑채 등의 건물과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을 포함하고 있다.[34] 또한,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와 해남 명량대첩비는 자연과 역사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두륜산과 대흥사는 해남의 대표적인 산악 및 사찰 관광지이며, 국보 제308호인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을 비롯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미황사는 보물 제1342호인 해남 미황사 괘불탱을 비롯한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다. 해남공룡박물관과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은 해남의 자연과 역사를 배우기에 좋은 곳이다. 가학산자연휴양림은 휴식을 취하기에 좋은 곳이며, 땅끝마을의 다도해 전망 또한 빼어난 절경을 자랑한다.[19] 해남 전라우수영의 역사적 의미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다만, 진도타워는 진도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해남군의 관광명소에서 제외해야 한다. 최근에는 이름 없는 산인 금강산과 해남산성의 존재가 마운틴TV의 《김 피디의 너만 산이냐, 나도 산이다.》 프로그램을 통해 알려졌다. 해남 장구산 고분 또한 해남군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 하나이다.

6. 1. 주요 관광지

해남의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국적으로 유명한 땅끝마을이 있다. 다도해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지의하테(땅끝) 전망대도 빼놓을 수 없다.[19] 또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인 윤선도의 유적지인 녹우당(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이 해남읍 연동리에 위치해 있다. 600년 된 은행나무와 함께 안채, 사랑채, 행랑채 등의 건물과 여러 사당, 고산 윤선도 유물 전시관, 어초은 무덤 등을 볼 수 있다.[34] 화석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해남공룡박물관을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역사 유적지로는 해남 명량대첩비, 전라우수영이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두륜산과 그곳에 있는 유서 깊은 대흥사, 그리고 국보 제308호인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을 볼 수 있다. 미황사와 보물 제1342호인 해남 미황사 괘불탱도 유명한 문화재다. 그 밖에도 가학산자연휴양림,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해남 장구산 고분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흥미로운 사실로, 해남에는 《김 피디의 너만 산이냐, 나도 산이다.》(마운틴TV)에서 소개된 무명산인 '해남 금강산'과 해남산성이 있다.

6. 2. 사찰

해남군에는 유서 깊은 사찰들이 많다. 그 중 대표적인 곳으로는 대흥사미황사가 있다. 대흥사는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국보 제308호)과 같은 중요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미황사 역시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이며, 해남 미황사 괘불탱(보물 제1342호)을 비롯한 여러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해남군에는 다양한 사찰들이 있으나, 자세한 정보는 추가적인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6. 3. 박물관 및 휴양림

해남군에는 다양한 문화 유적과 자연 휴양 시설이 있다. 대표적인 박물관으로는 해남공룡박물관해남공룡박물관과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이 있으며, 자연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가학산자연휴양림가학산자연휴양림도 있다. 고산 윤선도 선생의 유적지인 녹우당녹우당(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은 해남읍 연동리에 위치하며, 600년 된 은행나무와 아름다운 건물들이 인상적이다.[34] 또한,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와 같은 자연 유산과, 명량대첩비해남 명량대첩비, 두륜산두륜산과 대흥사대흥사(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국보 제308호)), 미황사(해남 미황사 괘불탱(보물 제1342호))와 같은 역사적 유적들이 풍부하다. 땅끝마을땅끝마을의 아름다운 다도해 전망도 빼놓을 수 없는 관광 명소이다.[19] 그리고 해남 전라우수영해남 전라우수영의 역사적 의미도 주목할 만하다. 다만, 진도타워진도타워는 해남군이 아닌 진도군에 소재한다는 점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해남의 무명산인 금강산과 해남산성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마운틴TV의 《김 피디의 너만 산이냐, 나도 산이다.》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바 있다.

7. 방송

해남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FM 라디오 방송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주파수와 방송국명, 송신소 위치를 함께 표기한다.



해남군은 넓은 농경지와 간척지를 바탕으로 활발한 농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9년 기준 농업 종사자는 약 2만 명에 달한다. 또한 302km에 이르는 긴 해안선과 65개의 섬을 보유하여 어업도 활발하며, 어업 종사자는 9,403명이다. 대한민국에서 7번째로 오래된 영업 중인 식당인 천일식당도 해남군에 위치하고 있다.[4][5][6]

해남군은 고구마를 비롯한 다양한 농산물의 주요 생산지이며, 특히 겨울철 배추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뛰어나다. 한라봉 또한 해남군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이며, 최근 전남 지역에서도 온실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10][11]

해남군은 영암군과 함께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개발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의 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승인, 2012년 개발구역 지정·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 승인을 거쳤다. 이 계획은 해남군을 포함한 전라남도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무안군과 함께 전라남도의 성장 동력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해남군을 포함한 호남 3개 지역을 거대한 삼각 지역으로 개발하는 계획이 추진되기도 했다.[12][13]

8. 경제

해남군의 경제는 광대한 농경지와 간척지를 기반으로 한 농업이 주축을 이룬다. 2019년 기준, 약 2만 명의 농업 종사자가 활동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 약 6만 5천 명 대비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4] 302km에 달하는 해안선과 65개의 섬(유인도 65개 포함)을 보유하여 어업 또한 중요한 산업이며, 어업 종사자는 9,403명으로 농업 종사자의 약 절반 수준이다.[5] 대한민국에서 7번째로 오래된 영업 중인 식당인 천일식당이 해남군에 위치해 있다.[6]

해남군은 고구마를 비롯한 다양한 농산물의 주요 생산지로, 특히 겨울철 배추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배추 생산이 활발하다.[10] 한라봉 또한 주요 농산물이며, 과거 제주도 특산물이었던 한라봉 재배가 전남 지역에서도 온실을 활용한 재배 확대로 확대되고 있다.[11]

영암군과 함께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개발 계획에 포함된 해남군은 2010년 1월 14일 문화체육관광부의 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승인 고시를 통해 사업이 추진되었다. 2012년 12월 27일에는 개발구역 지정·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이 승인 고시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이러한 기업도시 개발 계획은 해남군을 포함한 전라남도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무안군과 함께 전라남도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12]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에는 해남군을 포함한 호남 지역 3개 지역을 거대한 삼각 지역으로 지정하는 계획이 추진되기도 했다.[13]

8. 1. 농업 및 어업

해남군은 광대한 농경지와 간척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농업 종사자는 약 2만 명으로 전체 인구 약 6만 5천 명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4] 302km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65개의 섬(유인도 65개 포함)을 가지고 있어 활발한 어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업 종사 인구는 9,403명으로 농업 종사자의 약 절반 수준이다.[5] 대한민국에서 7번째로 오래된 영업 중인 식당인 천일식당도 해남군에 위치해 있다.[6]

8. 2. 주요 생산품

해남군은 대규모 농업으로 고구마를 비롯한 다양한 농산물의 주요 생산지이며, 특히 배추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겨울철 배추 생산이 활발하다.[10] 한라봉 또한 해남군의 주요 농산물이다. 과거 제주도에서만 재배되었던 한라봉은 전남 지역에서도 온실 효과를 활용한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11]

8. 3. 기업도시

해남군은 영암군과 함께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개발 계획에 포함되었다. 2010년 1월 14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구성지구) 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을 승인하고 국토해양부와 공동으로 고시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2년 12월 27일에는 개발구역 지정·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을 승인하고 고시하였다. 이러한 기업도시 개발 계획은 해남군을 비롯한 전라남도 지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무안군과 함께 전라남도의 성장 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12]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해남군을 포함한 호남 지역 3개 지역이 거대한 삼각 지역으로 지정되는 계획이 추진되기도 하였다.[13]

9. 복지

해남군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출산 지원금 지급은 물론, 육아 환경 개선을 위한 보육시설 확충 및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하지만, 시골 지역의 특성상 인구 유입이 저조하고, 젊은 세대의 정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출산 지원금 외 다른 지원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젊은 세대의 지역 정착을 위한 주택 지원, 일자리 창출 등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 복지 정책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노인들의 건강 증진과 사회 참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예산 부족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정책의 질적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복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취약계층 지원 정책의 경우, 보다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며, 지역 주민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 정책 개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9. 1. 출산 장려 정책

해남군은 대한민국 평균 출산율의 두 배를 넘는 높은 출산율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3] 2014년 기준 합계출산율은 2.4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3] 이는 해남군의 적극적인 출산 정책 덕분이다.[3] 주요 정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있다.[3]

  • 주택 문제 해결: 전라남도의 저렴한 아파트 분양가는 출산을 고려하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3] 99㎡ 아파트의 분양가는 1억 5200만 원으로, 서울 아파트 분양가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고 전세가보다도 저렴하다.[3]

  • 파격적인 출산 지원금: 첫째 300만 원, 둘째 350만 원, 셋째 600만 원, 넷째 720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여 경제적 부담을 완화한다.[3]

  • 다양한 출산 관련 프로그램: 지역 신문을 통한 아기 출산 소식 공유 및 주민 화합, 아빠의 가사 참여를 장려하는 ‘땅끝 아빠 캠프’, ‘유모차 행진 음악회’, 미혼 남녀를 위한 ‘땅끝탈출 여행’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출산 환경 조성 및 지역 사회의 활력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3]

  • 일자리 창출: 농수산물 및 식품 특화단지 조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부유한 농어촌 마을 건설에 힘쓰고 있다.[3] 고구마 가공품 및 친환경 상품 생산에 주력하며, ‘해남식품특화단지’ 조성을 통해 친환경 농업, 수산물, 축산물을 기반으로 한 식품 제조 및 농공단지 구축에 힘쓰고 있다.[3]

10. 교육

해남군의 교육은 해남읍 글로벌 아카데미 등의 시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해남군은 예로부터 많은 인재를 배출해 왔는데,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문인이자 화가인 윤선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현대에는 민주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시인 김남주(1946.10.16. ~ 1994.2.13.)가 있으며, 1975년 시인 박남수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15년간 12권의 시집을 남긴 실험적인 시인 고정희(1948~1991)와 시인이자 미술평론가인 황지우도 해남 출신이다. 배우 박진희와 가수 오기택도 해남 출신이며, Mnet의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X 101 참가자였던 이진우는 현재 7인조 보이그룹 고스트나인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11. 출신 인물

해남군 출신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화가인 윤선도가 있다. 시인으로는 1994년 작고한 김남주와 1991년 작고한 고정희가 있으며, 고정희는 1975년 시인 박남수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15년간 12권의 시집을 남겼다. 또한 시인이자 미술평론가인 황지우도 해남 출신이다. 연예계 인물로는 배우 박진희와 가수 오기택 그리고 그룹 고스트나인의 멤버 이진우가 있다.

11. 1. 주요 인물

해남군 출신으로 유명한 인물로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문인이자 화가인 윤선도가 있다. 현대 시인으로는 민주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김남주(1946.10.16. ~ 1994.2.13.)와 1975년 시인 박남수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15년간 12권의 시집을 남긴 실험적인 시인 고정희(1948~1991) 그리고 시인이자 미술평론가인 황지우가 있다. 배우 박진희와 가수 오기택도 해남 출신이다. 또한, Mnet의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X 101 참가자였던 이진우는 현재 7인조 보이그룹 고스트나인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12. 자매 도시

해남군은 다음과 같은 국내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자매결연을 통해 상호 우호 증진 및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에 위치한 안산시와는 활발한 교류를 통해 행정 및 문화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안산시의 발전된 도시계획 및 시민 참여 시스템을 해남군의 발전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 서울특별시 중랑구: 서울의 중랑구와는 지역 주민 간의 문화 교류를 중심으로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젊은 세대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의 서초구와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지역이지만, 행정 효율성 증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상호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북도 영덕군과는 농업 분야의 협력을 중심으로 교류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 특산품의 상호 판매 및 기술 교류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와의 자매결연을 통해 관광객 유치 및 지역 홍보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운대구의 관광 산업 발전 경험을 해남군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3. 사진첩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간행물 Haenam 해남군청 (implicitly from context)
[3] 뉴스 전국 출산율 1위, 해남군일 수밖에 없는 이유(The reason why it has to be Haenam, Korea's top fertility rate) http://www.ibabynews[...] 베이베뉴스(Baby News) 2015-10-23
[4] 웹사이트 Industry/Economy – Major Industry – Agriculture https://www.haenam.g[...]
[5] 웹사이트 Industry/Economy – Major Industry – Fisheries https://www.haenam.g[...]
[6] 웹사이트 주인도 손님도 3대째…전국 7번째 오래된 식당 http://www.hnwoori.c[...] 2023-07-03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10] 뉴스 해남군, 친환경 겨울배추단지화 재배 성공 YeonHap news 2008-01-22
[11] 뉴스 전남 한라봉, 제주 아성에 도전 kukinews 2008-01-24
[12] 뉴스 전국 '5+2 광역경제권 전략' 뭘 담았나 한국경제 2008-01-24
[13] 뉴스 인수위 "전국을 '5대 광역경제권'으로 재편" (kor) (publisher needs clarification) 2008-01-24
[1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15]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해남(26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1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해남(26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17]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道の位置・管轄区域の変更および府・郡の名称・位置・管轄区域の変更に関する規定 1913-12-29
[18] 웹사이트 韓国南部・全南に2日間500ミリの大雨…住宅浸水・土砂崩れ2人死亡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1-07-07
[19] 웹사이트 http://japanese.visi[...] 한국관광공사
[2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3] 법률 법률 제35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55-06-29
[24]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25]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26] 웹사이트 해남군 지리적 특성 http://www.haenam.go[...]
[27] 웹사이트 해남군 지질과 지형 http://www.haenam.go[...]
[28] 웹사이트 해남군의 기후 http://www.haenam.go[...]
[29]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해남(261) https://data.kma.go.[...] 기상청
[30]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해남(261) https://data.kma.go.[...] 기상청
[31] 웹사이트 군정현황 - 면적 http://www.haenam.go[...]
[32]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33]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34] 뉴스 (전남) 끝은 또 다른 시작 ①, ②《Friday》(2006.12.19.) http://myfriday.join[...] 2006-12-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