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비그니에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즈비그니에프는 1070년경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12년 이상 독일 퀘들린부르크 수도원에서 지냈다. 그는 아버지의 상속자로 인정받았으나, 이복 동생 볼레스와프 3세가 태어나면서 상속 순위에서 밀려났다. 1093년 폴란드로 돌아와 권력 투쟁에 휘말렸고, 1102년부터 1106년(또는 1107년)까지 폴란드 대공을 지냈다. 이후 동생 볼레스와프 3세에 의해 추방, 독일의 지원을 받아 폴란드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1112년에는 눈이 멀게 되었고, 1113년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0년대 출생 - 알하피즈
알하피즈는 파티마 왕조의 칼리파로, 권력 투쟁과 분열 속에서 통치했으며, 섭정으로 권력을 잡았지만 암투가 지속되었다. - 12세기 폴란드 사람 - 볼레스와프 3세
볼레스와프 3세는 1086년경에 태어나 1138년에 사망한 폴란드의 공작으로, 포메라니아를 지배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군대를 격파하는 등 군사 활동을 펼쳤으나, 서거 전 국토를 분할 상속하여 폴란드 분열 시대를 초래했다. - 12세기 폴란드 사람 - 미에슈코 3세
미에슈코 3세는 폴란드 분열 시대에 비엘코폴스카 공작이었고, 형의 죽음으로 폴란드 대공이 되었지만, 아들 오돈의 반란과 잦은 폐위로 권력 유지가 불안정했으며, 여러 번의 복위 시도 끝에 사망했다.
| 즈비그니에프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즈비그니에프 |
| 로마자 표기 | Zbygniew |
| 통치 | |
| 작위 | 폴란드 대공 |
| 통치 기간 | 1102년–1107년 |
| 이전 통치자 |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
| 다음 통치자 | 볼레스와프 3세 크르지볼루스티 |
| 가문 | |
| 왕가 | 피아스트 |
| 아버지 |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
| 어머니 | 프쳬스와바 |
| 출생과 사망 | |
| 출생 | 1070년? |
| 사망 | 1112년 |
2. 초기 생애 (1070년경 ~ 1093년)
1070년경,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은 애첩이었다. 즈비그니에프는 어린 시절 독일의 퀘들린부르크 수도원에서 12년 이상을 보냈다.[1] 1093년,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1세와 적대 관계에 있던 보이보드 시에체크에 의해 폴란드로 돌아왔다.
2. 1. 출생과 유년 시절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의 장남으로 1070년경에 태어났다.[9] 그의 어머니는 폴란드인 프라프치 가문 출신으로, 블라디슬라프 1세 헤르만과는 1070년경 교회 의식 없이 슬라브 의례에 따라 결혼했다.[5][6] 일부 학자들은 이 결혼이 비록 이교 의례로 이루어졌지만 합법적이라고 주장한다.[7][8]즈비그니에프의 정통성은 말년에 의문시되었는데, 블라디슬라프 1세의 첩의 아들이라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이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즈비그니에프는 블라디슬라프 1세의 궁정에서 성장했고, 다른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아버지의 상속자로 인정받았다.[11]
1079년 그의 형 볼레스와프 2세가 폐위된 후,[12] 블라디슬라프 1세가 폴란드의 통치자가 되었다. 1080년, 블라디슬라프 1세는 보헤미아의 유디트와 결혼했고, 그의 첫 번째 아내였던 즈비그니에프의 어머니는 (교회에 따르면 인정받지 못했지만[15]) 그 당시 궁정에서 추방되었다.[5] 이로 인해 어린 즈비그니에프는 상속 서열 1순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1]
2. 2. 상속권 박탈
1086년, 보헤미아의 유디트가 아들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를 낳으면서,[23] 즈비그니에프의 상황은 급격히 변했다. 그 해, 그는 사제 서품을 받기에는 어린 나이였음에도 크라쿠프의 참사회원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즈비그니에프를 상속에서 배제하기 위해 보헤미아의 유디트가 마련한 자리로 보인다.[5] 즈비그니에프의 아버지 쪽 할머니인 과부 공작부인 마리아 도브로니에가가 그의 성직자 수업을 지도했다.[24][25] 즈비그니에프의 첫 스승은 오토였으며, 그는 종교 교육 외에도 변증법, 문법,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작품을 가르쳤다.[26] 즈비그니에프는 어려서 관례적인 사제 여행은 하지 못했다.[27]유디트는 아들을 낳은 지 몇 달 후 사망했다. 1089년, 브와디스와프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의 여동생이자 전 헝가리 왕 헝가리의 솔로몬의 과부인 유디트 마리아와 재혼했다.[28][29] 그녀는 브와디스와프 1세의 첫 부인과 구별하기 위해 '소피아'로 개명했다. 즈비그니에프와 그녀의 관계는 냉랭했다.
볼레스와프가 적법한 상속자였지만, 폴란드 귀족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미에슈코 볼레스와보비치가 그의 지위를 위협했다. 미에슈코는 1089년 독살되었는데, 지에시에흐와 유디트 마리아가 지시했다는 혐의를 받았다.[30] 같은 해, 즈비그니에프는 새 계모의 음모로 작센으로 보내져,[24] 유디트 마리아의 여동생 아델라이데가 원장으로 있던 케들린부르크 수도원에 배치되었다.[1] 아마도 그곳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31] 사제 서품은 즈비그니에프의 상속 자격을 박탈하는 것이었다.[32][33] 브와디스와프 1세는 왕위 계승 경쟁자 두 명을 제거하고 적법한 아들 볼레스와프의 상속을 보장하며, 커져가는 반대를 약화시키려 했다.[34]
3. 권력 투쟁 (1093년 ~ 1107년)
1090년, 시에치는 자신의 민병대를 이끌고 그단스크 포메라니아를 장악했다. 볼레스와프 1세는 주요 도시를 요새화하고 다른 도시를 불태워 추가적인 행동을 막았다. 몇 달 후, 그단스크 엘리트들의 반란으로 독립이 회복되었다.[37] 1091년 가을, 폴란드와 보헤미아 민병대가 포메라니아를 추가 침략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브다 강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다.[38]
이 시기 폴란드의 정책은 키예프 루스에 집중되었다. 당시 러시아에서 권력을 잡고 있던 로스티슬라비치 가문의 류리크 공들은 폴란드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특히 킵차크와 동맹을 맺은 테레보블랴의 바실코 공은 폴란드를 반복적으로 침략했다.[39] 시에치는 폴란드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자신의 동전을 주조하고 지지자들을 사법부에 임명하여 지위를 공고히 했다.[35][38] 
1098년, 즈비그니에프와 이복 동생 볼레스와프 3세는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1세보다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시에치를 유배시킨 후 아버지로부터 각각 영토를 분할 받아 소유하게 되었다.
볼레슬라프 3세와 즈비그니에프 간의 국가 분할은 두 공작에게 각자의 지역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부여했다.[59] 즈비그니에프는 마조비아를, 볼레슬라프 3세는 상도미에시를 받았다.[60] 그러나 두 통치자 사이에는 수위권 문제를 놓고 분쟁이 시작되었다.[61][62][63] 즈비그니에프는 자신이 수위 통치자라고 생각했다.[64]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슬라프 3세의 영토는 자체적인 국내 및 외교 정책을 가진 별개의 국가처럼 운영되어 두 통치자 사이에 불화를 초래했다. 형제들은 각자 자신의 지역에서 지역 귀족들과 동맹을 맺었고,[65] 각자 외국의 동맹을 구했다. 포메라니아는 볼레슬라프 3세가 그곳을 확장하기 위해 군사적 침략을 가했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논쟁거리가 되었다. 반면에 즈비그니에프는 포메라니아와 좋은 경제적, 정치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다. 볼레슬라프가 포메라니아에 대한 첫 번째 원정을 조직했을 때 즈비그니에프는 기사단을 설득하여 참여하지 못하게 했는데, 이는 젊은 통치자를 격분시켰다.[1] 그러나 몇 달 후 기사들은 다시 볼레슬라프의 원정을 지지하며 그와 함께 여러 번 서쪽(프로이센)으로 갔다. 1102년 가을, 브와디스와프 1세는 원정을 조직했는데, 이 원정에서 그의 군대는 비알로그라드를 점령했다.[66]
포메라니아인들은 즈비그니에프를 공격함으로써 보복했는데, 그 당시 즈비그니에프는 볼레슬라프 3세에게 평화를 유지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해 보헤미아와 동맹을 맺었다. 대신 젊은 공작은 헝가리 및 키예프 루스와 동맹을 맺었고, 후자와의 동맹은 1103년 즈비슬라바와의 결혼으로 확정되었다. 즈비그니에프는 이 결혼을 자신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보고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즈비그니에프는 보헤미아의 보르지보이 2세에게 뇌물을 주어[67] 볼레슬라프 3세의 영토를 침략하도록 했다.[68] 볼레슬라프 3세는 포메라니아 국경 지역과 모라비아를 황폐화시키고 약탈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그 후 막대한 지불금과 교환하여 보르지보이 2세는 즈비그니에프와의 동맹을 끝냈다.[1] 1103년의 침략(코워브제크를 위한 실패한 전투)과 1104-1105년의 침략은 즈비그니에프와 포메라니아의 평화로운 관계를 효과적으로 파괴했다.[69]
1105년,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슬라프 3세는 외교 정책 문제에 대해 타협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포메라니아와 관련하여 이 합의(티니에츠 협정)는 실패했다.[70] 이듬해 즈비그니에프는 포메라니아인과의 싸움에서 그의 형을 돕기를 거부했다.[71] 이에 대한 보복으로, 키예프 및 헝가리 동맹국의 도움을 받아 볼레슬라프 3세는 즈비그니에프의 영토를 공격하여 종주권을 놓고 내전을 촉발했다.[72] 연합군은 칼리시, 그니에즈노, 스피치미에르 및 레치차를 어렵지 않게 점령했다.[73] 볼레슬라프 3세는 또한 즈비그니에프의 주요 동맹국인 그니에즈노의 마틴 1세 대주교를 사로잡았다.[74] 워치차에서 크라쿠프 주교 볼드윈의 중재를 통해 즈비그니에프는 항복했다.[75] 볼레슬라프 3세는 '폴란드 전체의 최고 공작'이 되었고, 즈비그니에프로부터 대폴란드, 쿠야비아, 워치차 및 시에라즈 지역을 얻었다. 즈비그니에프는 마조비아를 봉토로 유지했다.[76]
3. 1. 귀환과 정통성 회복
1093년, 강력한 실레시아의 영주들이 즈비그니에프를 납치하여 폴란드로 데려갔다.[40][41] 처음에는 즈비그니에프는 브로츠와프의 성주 마그누스에게 보호받았다.[42] 브와디스와프 1세는 이를 명백한 반란으로 여겼다. 즈비그니에프를 지지하는 기사들은 일부 헝가리 기사들이 시에치와 볼레슬라프를 납치했다는 소식을 듣고 시에치 및 브와디스와프 1세와의 모든 협상을 중단했다. 이로 인해 브와디스와프 1세는 즈비그니에프를 아들이자 피아스트 왕조의 일원이며 정당한 후계자로 인정하는 정통성 부여 조치를 내려야 했다.[40]1096년, 시에치와 볼레슬라프는 헝가리에서 탈출하여 정통성 부여 조치를 뒤집기 위해 실레시아와 쿠야비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다. 즈비그니에프는 브와디스와프 1세와 시에치 군대의 진격을 완강히 거부했다.[43] 그러나 포메라니아 군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즈비그니에프는 고플로 전투에서 패배했다. 그는 체포되어 1097년 5월 1일 재건된 그니에즈노 대성당 봉헌식에서 교회의 중재로 석방될 때까지 투옥되었다.[44][45][46] 동시에 정통성 부여 조치가 복원되었다.[46]
시에치와 유디트 마리아의 권력 찬탈 음모가 발각된 후,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슬라프는 동맹을 맺었다. 1098년, 두 왕자는 브와디스와프 1세에게 별도의 지방을 할당하도록 강요했다. 브와디스와프 1세는 이를 수용하고 자신의 영토를 공식적으로 분할했다.[47]
3. 2. 폴란드 분할 통치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스와프는 동맹을 맺고 전쟁을 준비했다. 이들은 마그나트 스카르비미르에 의해 브로츠와프의 ''비에츠''에서 동맹을 공식화했다.[53] 이후 귀족 보이슬라프 포와와를 볼레스와프의 후견인에서 제거하고 팔라틴에 대한 원정을 조직하기로 결정했다.[53] 1099년, 반대 세력은 자르노비에츠 근처 필리차 강에서 전투를 벌였다.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스와프가 승리했고, 패배한 브와디스와프 1세는 시에체흐를 영구적으로 그의 지위에서 제거하는 데 동의했다.[53]몇 달 후,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스와프는 팔라틴이 숨어 있던 시에체후프를 공격했다.[55] 브와디스와프 1세는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시에체흐를 도우러 왔고, 왕자들은 아버지를 폐위하기로 결정했다. 즈비그니에프는 마조비아를 향해 진격하여 플로츠크를 점령했고, 볼레스와프는 소 폴란드를 정복할 수 있는 남쪽으로 향했다.[56] 그러나 브와디스와프 1세는 아들들의 기동을 예측하고 그의 군대를 마조비아로 이끌었다. 양 군대 간의 결정적인 전투는 플로츠크 근처에서 벌어졌고, 브와디스와프 1세는 패배하여 시에체흐를 국외로 추방해야 했다.[57] 마르틴 1세, 그니에즈노 대주교도 브와디스와프 1세와 그의 아들들 사이의 불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53] 팔라틴은 1100~1101년경 폴란드를 떠나 독일로 갔다. 브와디스와프 1세는 1102년 6월 4일에 사망했다.[58]
3. 3. 시에체흐 추방
1090년, 시에치는 자신의 민병대를 이끌고 그단스크 포메라니아를 장악했다. 볼레스와프 1세는 주요 도시를 요새화하고 다른 도시를 불태워 추가적인 행동을 막았다. 몇 달 후, 그단스크 엘리트들의 반란으로 독립이 회복되었다.[37] 1091년 가을, 폴란드와 보헤미아 민병대가 포메라니아를 추가 침략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브다 강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다.[38]이 시기 폴란드의 정책은 키예프 루스에 집중되었다. 당시 러시아에서 권력을 잡고 있던 로스티슬라비치 가문의 류리크 공들은 폴란드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고, 특히 킵차크와 동맹을 맺은 테레보블랴의 바실코 공은 폴란드를 반복적으로 침략했다.[39] 시에치는 폴란드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자신의 동전을 주조하고 지지자들을 사법부에 임명하여 지위를 공고히 했다.[35][38] 시에치의 주요 동기는 권력과 부에 대한 욕망이었고, 이를 위해 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했다.[36] 시에치의 탄압 (노예 매매, 공직 해임, 추방 선고[40])은 폴란드에서 보헤미아로 대규모 정치적 이민을 야기했다.[38]
1098년, 즈비그니에프와 이복 동생 볼레스와프는 시에치크를 유배시킨 아버지보다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아버지로부터 각각 영토를 분할 받아 소유하게 되었다.
3. 4. 형제간의 갈등 심화
볼레슬라프 3세와 즈비그니에프 간의 국가 분할은 두 공작에게 각자의 지역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부여했다.[59] 즈비그니에프는 마조비아를, 볼레슬라프 3세는 상도미에시를 받았다.[60] 그러나 두 통치자 사이에는 수위권 문제를 놓고 분쟁이 시작되었다.[61][62][63] 즈비그니에프는 자신이 수위 통치자라고 생각했다.[64]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슬라프 3세의 영토는 자체적인 국내 및 외교 정책을 가진 별개의 국가처럼 운영되어 두 통치자 사이에 불화를 초래했다. 형제들은 각자 자신의 지역에서 지역 귀족들과 동맹을 맺었고,[65] 각자 외국의 동맹을 구했다. 포메라니아는 볼레슬라프 3세가 그곳을 확장하기 위해 군사적 침략을 가했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논쟁거리가 되었다. 반면에 즈비그니에프는 포메라니아와 좋은 경제적, 정치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다. 볼레슬라프가 포메라니아에 대한 첫 번째 원정을 조직했을 때 즈비그니에프는 기사단을 설득하여 참여하지 못하게 했는데, 이는 젊은 통치자를 격분시켰다.[1] 그러나 몇 달 후 기사들은 다시 볼레슬라프의 원정을 지지하며 그와 함께 여러 번 서쪽(프로이센)으로 갔다. 1102년 가을, 브와디스와프 3세는 원정을 조직했는데, 이 원정에서 그의 군대는 비알로그라드를 점령했다.[66]
포메라니아인들은 즈비그니에프를 공격함으로써 보복했는데, 그 당시 즈비그니에프는 볼레슬라프 3세에게 평화를 유지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해 보헤미아와 동맹을 맺었다. 대신 젊은 공작은 헝가리 및 키예프 루스와 동맹을 맺었고, 후자와의 동맹은 1103년 즈비슬라바와의 결혼으로 확정되었다. 즈비그니에프는 이 결혼을 자신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보고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즈비그니에프는 보헤미아의 보르지보이 2세에게 뇌물을 주어[67] 볼레슬라프 3세의 영토를 침략하도록 했다.[68] 볼레슬라프 3세는 포메라니아 국경 지역과 모라비아를 황폐화시키고 약탈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그 후 막대한 지불금과 교환하여 보르지보이 2세는 즈비그니에프와의 동맹을 끝냈다.[1] 1103년의 침략(코워브제크를 위한 실패한 전투)과 1104-1105년의 침략은 즈비그니에프와 포메라니아의 평화로운 관계를 효과적으로 파괴했다.[69]
1105년, 즈비그니에프와 볼레슬라프 3세는 외교 정책 문제에 대해 타협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포메라니아와 관련하여 이 합의(티니에츠 협정)는 실패했다.[70] 이듬해 즈비그니에프는 포메라니아인과의 싸움에서 그의 형을 돕기를 거부했다.[71] 이에 대한 보복으로, 키예프 및 헝가리 동맹국의 도움을 받아 볼레슬라프 3세는 즈비그니에프의 영토를 공격하여 종주권을 놓고 내전을 촉발했다.[72] 연합군은 칼리시, 그니에즈노, 스피치미에르 및 레치차를 어렵지 않게 점령했다.[73] 볼레슬라프 3세는 또한 즈비그니에프의 주요 동맹국인 그니에즈노의 마틴 1세 대주교를 사로잡았다.[74] 워치차에서 크라쿠프 주교 볼드윈의 중재를 통해 즈비그니에프는 항복했다.[75] 볼레슬라프 3세는 '폴란드 전체의 최고 공작'이 되었고, 즈비그니에프로부터 대폴란드, 쿠야비아, 워치차 및 시에라즈 지역을 얻었다. 즈비그니에프는 마조비아를 봉토로 유지했다.[76]
4. 몰락과 최후 (1107년 ~ 1113년경)
1107년, 즈비그니에프는 푸와비의 쿠루프 요새를 불태우는 것을 거부한 후 반란을 일으켰다.[77] 볼레스와프 3세는 이 반란과 즈비그니에프가 포메라니아를 상대로 한 작전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지 않은 것을 구실로 삼아 그를 공격했다.[78] 1107년에서 1108년 겨울, 볼레스와프 3세와 그의 키예프-헝가리 동맹군은 마조비아를 공격했고, 즈비그니에프는 항복하고 국외로 추방되었다.[79]
즈비그니에프는 독일로 도망쳐 하인리히 5세의 지원을 구했다. 1109년 황제의 폴란드 원정에 참여했지만, 훈토슈베르트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3세에게 패배했다. 1112년, 폴란드로 유인된 즈비그니에프는 사로잡혀 두 눈이 멀게 되었고, 이후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4. 1. 추방과 독일 개입
1107년, 즈비그니에프는 푸와비의 쿠루프 요새를 불태우는 것을 거부한 후 반란을 조직했다.[77] 볼레스와프 3세는 이 반란과 그가 포메라니아를 상대로 한 작전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지 못한 것을 즈비그니에프를 공격하는 구실로 삼았다.[78]1107년에서 1108년 겨울, 볼레스와프 3세와 그의 키예프-헝가리 동맹군은 마조비아를 공격했다. 즈비그니에프는 항복해야 했고 국외로 추방되었다. 그 이후 볼레스와프 3세는 폴란드 전체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79] 실제 권력 이양은 즈비그니에프가 여전히 마조비아에 머물던 1107년에 일어났는데, 그는 자신의 땅에 대해 형제에게 완전한 경의를 표했다. 처음에 즈비그니에프는 프라하에 피신했고, 그곳에서 현지 통치자 스바토플루크의 지원을 얻었다.[1]

이후 즈비그니에프는 독일로 도망쳐 하인리히 5세의 지원을 구했다. 1109년에 황제의 폴란드 원정에 즈비그니에프도 참여했지만, 훈토슈베르트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3세에게 패배했다.
4. 2. 실명과 죽음
1111년, 블라디슬라프 1세와 볼레스와프 3세는 휴전을 협상했고, 이에 따라 소베슬라프 1세와 즈비그니에프 모두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폴란드에 도착한 즈비그니에프는 아마도 시에라츠일 것으로 추정되는 토지를 하사받았다.[85]볼레스와프 3세는 1108년 추방된 왕자의 많은 지지자들의 압력으로 이복형제의 귀환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익명의 갈루스에 따르면 이들은 나쁜 조언자들(아마도 그니에즈노 대주교 마틴 1세 포함[86])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폴란드에 돌아온 즈비그니에프는 이 집단의 사주를 받아 이전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는 통치자에게만 허용된 강림절 의식에 참석한 것이었다(1107년 웽치차에서 볼레스와프를 자신의 주군으로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지되었음[87]). 즈비그니에프는 수행원들에 둘러싸여 칼을 앞세우고 도착했다. 이는 볼레스와프 3세에게 반역 행위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높았고[88] 그들의 관계에 결정적인 균열을 일으켰다.[89] 이러한 요인들은 1112년 볼레스와프 3세가 즈비그니에프의 눈을 멀게 하도록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90]

볼레스와프 3세는 즈비그니에프의 강력한 지지자인 마틴 1세 대주교에 의해 파문되었다.[91] 즈비그니에프에게 저지른 범죄는 피아스트 왕조에서 정치적 위기를 촉발했고, 대중의 분노를 야기했다. 자료에는 볼레스와프 3세가 실제로 교회 공동체에서 추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92]
볼레스와프 3세는 즈비그니에프의 눈을 멀게 한 것에 대한 부정적인 대중의 반응의 결과로 공개적인 참회를 결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의 목표는 약화된 권위를 재건하고 형의 지지자들의 호감을 얻는 것이었다.[93] 익명의 갈루스에 따르면, 볼레스와프 3세는 참회 후 즈비그니에프에게 용서를 구하고 받았다.[94]
즈비그니에프의 죽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K. 야신스키는 그의 저서 『초기 피아스트 가문』에서 S. 켕트르진스키와 마찬가지로 눈을 멀게 한 직후의 즉사를 주장했지만, 반대되는 견해도 배제하지 않았다.[1] 그러나 J. 비에니아크는 즈비그니에프의 죽음이 1114년 이후에 왔다고 추정했다.[95] 루빈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부고에 실린 흥미로운 내용은 티니에츠 수도원의 수도승 "즈비그니에프 형제"의 1113년 7월 8일 사망을 기록했다. 이 부고는 역사학자들이 이 사람이 볼레스와프 3세의 형제라는 가설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매장지는 티니에츠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기록되어 있다.[1]
참조
[1]
서적
Genealogia Piastów
filologist, slavist, historian of literature and art culture
[2]
웹사이트
WIEM Encyklopedia
"#refWIEM"
[2]
서적
Gieysztor 1979
https://books.google[...]
[3]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3]
서적
Protoplasta książąt śląskich
Katowice
1985
[4]
서적
Genealogia Piastów
[4]
서적
Encyklopedia Historia
Kraków
2007
[5]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6]
서적
Genealogia Piastów
[6]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Poznań
2004
[7]
서적
Piastówny i żony Piastów
Warsaw
1975
[8]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9]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10]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11]
서적
Zbigniew
Warsaw
1978
[12]
인용
Bolesław II Szczodry
[12]
인물
Wincenty Kadłubek
[12]
인물
Stanislaus of Szczepanów
[13]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14]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15]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16]
웹사이트
Krystyna Przecława Prawdzic
http://www.wladcy.my[...]
[17]
서적
Genealogia Piastów
[17]
논문
Polska korona królów czeskich
http://www.mediewist[...]
2014-07-30
[18]
서적
Korona i infuła. Od monarchii do poliarchii
[18]
논문
Polska korona królów czeskich
http://www.mediewist[...]
2014-07-30
[18]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19]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20]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21]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22]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23]
서적
Genealogia Piastów
[23]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24]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25]
서적
Władysław I Herman
Warsaw
1978
[26]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27]
서적
Władysław I Herman
[27]
서적
Encyklopedia Historia
[28]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29]
서적
Genealogia Piastów
[30]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31]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32]
서적
Zbigniew
Kraków
1999
[33]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34]
서적
Historia Polski – średniowiecze
[35]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36]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37]
서적
Historia Polski – średniowiecze
[38]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39]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40]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41]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42]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43]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44]
간행물
Data konsekracji katedry gnieźnieńskiej (1 maja 1099) na tle sytuacji politycznej Polski, Rusi i krajów sąsiednich
1994
[45]
서적
Władysław I Herman [in]: Piastowie. Leksykon biograficzny
Kraków
1999
[46]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47]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48]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48]
서적
Korona i infuła. Od monarchii do poliarchii
Kraków
1996
[48]
서적
Historia Polski do roku 1505
Warsaw
1984
[49]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50]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51]
서적
Historia Polski – średniowiecze
[52]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53]
서적
Historia Polski – średniowiecze
[54]
서적
Bolesław Krzywousty
Cieszyn
1978
[55]
서적
Polska Piastów
Warsaw
2007
[56]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57]
서적
Bolesław Krzywousty
Cieszyn
1978
[58]
서적
Polska Piastów
Warsaw
2007
[59]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60]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61]
서적
Historia Polski – średniowiecze
[62]
서적
Polska wśród nowych państw Europy [in:] T. Manteuffel (ed.), Polska pierwszych Piastów. Państwo, społeczeństwo, kultura.
[63]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63]
서적
Korona i infuła. Od monarchii do poliarchii
Kraków
1996
[64]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65]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66]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67]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68]
웹사이트
Państwo Czeskie Przemyślidów (historia Czech, vol. III, cap. 1)
http://jaxa.blox.pl/[...]
2005-11-10
[69]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70]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71]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72]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73]
서적
Dzieje Polski średniowiecznej
[74]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75]
서적
Historia Polski – średniowiecze
[76]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77]
서적
Bolesław III Krzywousty
[78]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79]
서적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80]
서적
Cedynia, Niemcza, Głogów, Krzyszków
Kraków
1988
[81]
간행물
"S. Orgelbranda Encyklopedia Powszechna"
Warsaw
1902
[82]
간행물
"Bitwa na Psim Polu"
Wrocław
2000
[83]
서적
Dynastia Piastów w Polsce
[84]
서적
Bitwy polskie. Leksykon
Editorial Znak
1999
[85]
서적
Zbigniew
Kraków
1999
[86]
서적
Rytuał i polityka. Opowieść Galla Anonima o konflikcie Bolesława Krzywoustego ze Zbigniewem
[87]
서적
Rytuał i polityka. Opowieść Galla Anonima o konflikcie Bolesława Krzywoustego ze Zbigniewem
[88]
서적
Rytuał i polityka. Opowieść Galla Anonima o konflikcie Bolesława Krzywoustego ze Zbigniewem
[89]
서적
Rytuał i polityka. Opowieść Galla Anonima o konflikcie Bolesława Krzywoustego ze Zbigniewem
[90]
서적
[91]
서적
Zbigniew i Bolesław
Poznań
1927
[92]
서적
Rytuał i polityka. Opowieść Galla Anonima o konflikcie Bolesława Krzywoustego ze Zbigniewem
[93]
서적
Rytuał i polityka. Opowieść Galla Anonima o konflikcie Bolesława Krzywoustego ze Zbigniewem
[94]
서적
Kronika polska
Wrocław
2003
[95]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