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워브제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워브제크는 발트해 연안의 파르센타 강 하구에 위치한 폴란드의 도시이다. 10세기에 건설되어 1255년 도시로 승인되었으며, 한자 동맹에 가입하고 프로이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의 80%가 파괴되었고, 1945년 폴란드에 귀속된 후 독일계 주민들이 추방되었다. 현재는 해변 휴양지이자 관광 도시로, 다양한 문화 행사와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항구 도시 - 폴리체
    폴리체는 폴란드 서포모제주에 위치한 도시로,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아 포메라니아 공국, 스웨덴령 포메라니아, 프로이센령 포메라니아 등의 지배를 거쳤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합성 연료 공장 건설로 폭격 목표가 되기도 했지만 종전 후 폴란드의 회복 영토가 되었고, 현재는 화학 공장과 항구를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며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폴란드의 항구 도시 - 그단스크
    그단스크는 폴란드 북부 발트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역사적으로 폴란드와 독일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자 동맹의 중심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지였고, 현재는 조선, 석유화학, IT 산업 및 관광 산업의 중심지이다.
  • 서포모제주의 도시 - 코샬린
    코샬린은 폴란드 서포메라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1266년 뤼벡 법을 부여받아 자치권을 획득하고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발트 해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서포메라니아 주의 일부이다.
  • 서포모제주의 도시 - 카미엔포모르스키
    카미엔포모르스키는 폴란드 서포메라니아 주, 디브나 해협의 카미엔 만에 위치한 도시로, 볼리니안 부족에 의해 건설, 포메라니아 공국의 최초 수도였으며, 스웨덴 지배 후 프로이센에 합병, 이후 폴란드 영토가 되었고, 역사적 건축물과 자연 경관으로 유명한 폴란드 역사 기념물이다.
  • 폴란드의 온천 마을 - 카미엔포모르스키
    카미엔포모르스키는 폴란드 서포메라니아 주, 디브나 해협의 카미엔 만에 위치한 도시로, 볼리니안 부족에 의해 건설, 포메라니아 공국의 최초 수도였으며, 스웨덴 지배 후 프로이센에 합병, 이후 폴란드 영토가 되었고, 역사적 건축물과 자연 경관으로 유명한 폴란드 역사 기념물이다.
  • 폴란드의 온천 마을 - 우스트카
    우스트카는 폴란드 북부 포모제주 스łupsk 군에 위치한 발트해 연안의 항구 도시이자 휴양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얀타르 우스트카 축구팀, 권투 선수 카지미에시 아다흐, 창던지기 선수 바바라 마데예치크 등의 인물을 배출했다.
코워브제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코워브제크 문장
문장
코워브제크 기
코워브제크 브랜드마크
브랜드마크
현지 이름Kołobrzeg (폴란드어), Kòlbrzég (카슈브어)
옛 독일 이름Kolberg (콜베르크)
행정 구역
국가폴란드
서포모제주
코워브제크군
자치체코워브제크 (도시 자치체)
정치
시장안나 미에치코프스카 (KO)
역사
설립10세기
도시 권한 획득1255년
지리
면적25.67km²
인구
인구 (2014년 기준)46,83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일반 정보
시간대CET (+1)
서머타임CEST (+2)
우편 번호78–100 ~ 78–106
지역 번호+48 94
자동차 번호판ZKL
웹사이트코워브제크 공식 웹사이트
음성 정보

2. 역사

1945년 코워브제크


코워브제크는 10세기에 건설되어 1255년 뤼베크 법에 따라 도시로 승인되었다. 1361년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중세 시대 동안 발트해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1701년 프로이센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7년 전쟁 중이던 1761년에는 러시아 제국에 점령되기도 했지만 전쟁 이후 프로이센에 반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나치 독일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며, 붉은 군대폴란드 인민군과의 격렬한 전투 (콜베르크 포위전) 끝에 1945년 폴란드에 귀속되었다. 전쟁으로 도시의 80%가 파괴되었고, 독일계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폴란드 왕국 (10세기 ~ 13세기)

7세기경 슬라브족과 레흐족이 현재 코워브제크 인근에 정착하기 시작했다.[3][4] 코워브제크 인근의 최초 슬라브 정착지는 소금 매장량을 중심으로 6세기와 7세기에 시작되었다.[5][6] 9세기 말, 포메라니아인 부족은 현대 코워브제크 군의 일부인 부지스토보에 요새화된 정착지를 건설했다.[7] 이 정착지는 현대 코워브제크와 가까웠고,[8] 인근의 바르디-시비에루비에를 대체하여 이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9] 포메라니아인은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고,[13][14] 어업에 종사했으며, 소금을 사용하여 청어와 같은 식품을 보존하여 무역에 사용했다.[14][15]

현대 부지스토보의 초기 중세 정착지 유적인 성 요한 교회


10세기 말 초기 중세 시대의 포메라니아에서 이 지역이 폴란드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메르제부르크의 티트마르는 1000년 그니에즈노 회의에서 콜로브제크 주교구가 설립되었으며, 그니에즈노 대교구 산하에 있었다고 기록했다.[8] 이 회의는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와 신성 로마 황제 오토 3세가 조직했으며, 크라쿠프 주교구와 브로츠와프 주교구의 설립으로 이어져 폴란드 국가의 영토를 연결했다.[17]

레인베른 주교의 선교는 성공하지 못했고, 포메라니아인들은 1005년에 반란을 일으켜 독립을 되찾았다.[18][19][20][21] 1013년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와의 전쟁에 직면하여 포메라니아에서 군대를 철수시켰다.[6] 폴란드-독일 전쟁은 폴란드의 승리로 끝났으며, 1018년 바우첸 평화 조약으로 확인되었다.

12세기 초,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는 포메라니아를 폴란드에 재정복하고 현지 그리핀 왕조를 봉신으로 삼았다. 요새는 1107/08년 겨울 폴란드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주민들은 저항 없이 항복했다.[22] 12세기 폴란드 연대기 ''폴란드 공작의 행적''에서 콜로브제크는 중요하고 ''유명한 도시''로 언급되었다.

밤베르크의 오토에 의한 포메라니아의 기독교화 기간 동안 성모 마리아 교회가 세워졌다.[7] 이것은 이 지역에서 독일의 영향력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냈다.[17] 볼레스와프 3세의 죽음 이후, 폴란드의 분열로 인해 포메라니아 공국은 독립되었고,[25] 1185년 덴마크, 1227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봉신이 되었다. 성모 마리아 교회 외에도 성 요한 교회와 성 페트리 예배당이 세워졌다.[26] 13세기 콜로브제크 도시의 그림은 이 도시의 폴란드 무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7]

2. 2. 중세 시대와 한자 동맹 (13세기 ~ 17세기)

중세 요새의 마지막 잔재인 퓨즈 타워


1255년, 포메라니아 공국의 공작 바르치스와프 3세는 이 도시를 뤼베크 법에 따라 도시로 승인했다.[30][31] 카민 로마 가톨릭 교구의 독일 주교 헤르만 폰 글라이헨도 이 지역의 독일 식민지화를 지지했다.[17] 정착민들은 여러 특권을 받아 토착 포메라니아 주민들이 경쟁하기 어려웠다.[17]

1276년, 카민 주교들이 도시의 통치자가 되면서 그곳으로 거처를 옮겼고, 교구의 행정은 근처의 코샬린(쾨슬린)에서 이루어졌다.[35] 1345년, 주교는 세속 통치에서 제국 직속 공작이 되었다.[35]

1361년, 이 도시는 한자 동맹에 가입했다. 1446년에는 인근 경쟁 도시인 코샬린과 전투를 벌였다.[36]

15세기에 이 도시는 스코틀랜드, 암스테르담 및 스칸디나비아와 무역을 했다.[17] 맥주, 소금, 꿀, 양모 및 밀가루를 수출했고, 상인들은 잉글랜드산 섬유, 남부 과일 및 대구 간유를 수입했다. 16세기에 이 도시는 5,000명의 인구에 도달했다.[17] 도시에 거주하는 토착 슬라브족은 차별을 받았다.[17] 예를 들어 1564년에는 토착 슬라브족이 대장장이 길드에 가입하는 것이 금지되었다.[37]

1534년 개신교 종교 개혁 동안 카민 주교구의 재산이 세속화되었을 때, 콜베르크 지역을 포함한 그들의 세속 통치는 루터교 명목 주교가 일시적으로 통치했고, 이후 포메라니아 가문의 ''세쿤도게니투르''로 바뀌었다.[35]

30년 전쟁 동안, 콜베르크는 1627년부터 1630년까지 제국군에 점령되었고,[38] 이후 스웨덴군에 점령되었다.[39]

2. 3.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 시대 (17세기 ~ 20세기 초)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에 의해 코워브제크는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에 양도되었고, 1701년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761년 7년 전쟁 중에는 러시아 제국의 표트르 루먄체프에게 점령되었으나, 전쟁 이후 프로이센에 반환되었다.[6]

나폴레옹 1세가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프로이센을 침공했을 때, 1807년 3월부터 7월까지 코워브제크는 프랑스군과 폴란드 반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당시 중령이었던 아우구스트 폰 그나이제나우가 이끈 도시 방어는 틸지트 조약으로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17]

19세기에는 폴란드의 로마 가톨릭 수석 사제 마르친 두닌이 반역죄로 프로이센 당국에 의해 투옥되기도 했으나,[40] 석방된 후 폴란드 군인들을 위한 군목 제도를 조직하려 했다.[41]

19세기 코워브제크에는 소규모였지만 활발한 폴란드인 인구가 존재했으며, 가톨릭 학교와 성 마르친 교회가 설립되었다.[6][42][43][44] 19세기 말, 유대인 인구가 증가했으나, 20세기 초 많은 유대인들이 베를린으로 이주했다.[45]

1924년부터 1935년 사이에 미국계 독일인 화가 라이오넬 파이닝거가 코워브제크를 여러 번 방문하여 도시의 모습을 그렸다.

2. 4.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33년 ~ 1945년)

1933년 5월, 나치당은 콜베르크(현 코워브제크)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19,607표 중 9,842표를 획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46] 나치 집권 이후, 200명 규모의 콜베르크 유대인 공동체는 차별과 탄압에 직면했다. 나치 신문 ''콜베르거 베오바흐터''는 유대인 상점과 사업체를 보이콧 대상으로 지정했고, 유대인 변호사, 의사, 장인에 대한 증오 선동이 자행되었다.[47] 1935년 말, 유대인들은 도시의 건강 스파에서 일하는 것이 금지되었다.[47] 수정의 밤 당시에는 유대교 회당과 가옥이 파괴되었고, 1938년에는 유대인 묘지가 훼손되고 묘지 신사는 독일 군인들의 마구간으로 사용되었다.[48] 1939년 초, 유대인들은 독일 학교에 다니는 것이 금지되었고, 성인들은 운전 면허를 취소당했다.[47] 1940년, 독일 당국은 남아있던 유대인들을 강제 수용소로 추방했다.[4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은 수많은 강제 노동자들을 코워브제크로 끌고 왔으며, 그중 다수는 폴란드인들이었다.[17] 도시 경제는 군수 생산 중심으로 전환되었다.[17] 강제 노동자들은 일상적인 괴롭힘과 억압에 시달렸으며, 전화 사용, 문화 및 스포츠 행사 참여, 식당 및 수영장 출입, 독일인과의 접촉이 금지되었다.[17] 폴란드인들은 한 달에 한 번 독일어로만 진행되는 교회 미사에 참석할 수 있었고, 식량 배급도 적게 받았으며, 옷에는 P 표식을 부착해야 했다.[17] 의료 지원도 제한되었고, "느린 작업 속도" 등의 이유로 체포와 투옥이 빈번하게 발생했다.[49] 연합국 전쟁 포로를 위한 Stalag II-D 전쟁 포로 수용소의 노동 분소도 운영되었다.[50]

1944년, 코워브제크는 요새로 지정되었다. 요제프 괴벨스나폴레옹 전쟁 중 콜베르크 포위전을 소재로 한 선전 영화 ''콜베르크''를 제작하여 독일인들의 항전 의지를 고취하려 했다.

1945년 2월 10일, 독일 어뢰정 T-196은 소비에트 잠수함 S-13에 의해 격침된 호의 생존자 약 300명을 코워브제크로 이송했다. 붉은 군대가 접근하면서, 대부분의 주민과 난민, 독일 군인들은 한니발 작전을 통해 도시를 탈출했다.

1945년 3월 4일부터 18일까지 소련군, 폴란드군, 나치 독일군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독일 구축함은 대포를 사용하여 수비대를 지원했다. 전투 중 폴란드 군인 1,013명이 사망하고, 142명이 실종, 2,652명이 부상당했다.[17] 3월 18일, 폴란드 인민군은 유제프 할레르 장군이 1920년에 처음 거행했던 ''폴란드의 바다 결혼'' 의식을 재연했다.

분류:제2차 세계 대전

2. 5. 전후 폴란드 (1945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츠담 회담 결과에 따라 코워브제크는 다시 폴란드 영토가 되었다. 전후 독일인 추방에 따라 도시에 남아있던 독일인들은 추방되었다.[17] 코워브제크에는 소련에 합병된 동부 폴란드에서 추방된 폴란드인을 포함한 폴란드인들이 정착했다.[17]

전후 몇 주 동안 코워브제크는 소련군이 관리하면서 도시를 약탈했고, 이 과정에서 독일인 추방이 이루어졌다.[17] 이후, 풀려난 폴란드 강제 노동자들과 바르샤바에서 온 독일군에 의해 파괴된 바르샤바 출신 폴란드 철도원들이 도시에 합류했다.[17]

2000년, 코워브제크 시의회는 포메라니아 기독교 전래 1000주년과 1000년 그니에즈노 회의에서 폴란드 국왕 볼레스와프 1세와 독일오토 3세의 만남을 기념하여 폴란드-독일 화해를 상징하는 밀레니엄 기념비를 건립했다. 빅토르 쇼스탈로가 설계하고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한 이 기념비는 5미터 높이의 십자가 기단 위에 두 인물이 앉아 있고, 십자가는 둘로 갈라져 올리브 가지를 든 비둘기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형태이다. 기념비는 시내 중심부 대성당 밖에 설치되어 있다.

코워브제크 항구의 항공 사진

3. 지리

코워브제크는 내포메라니아의 발트해 연안, 파르센타 강 하구에 위치하며, 코샤린에서 서쪽으로 41km, 쉬비노우이시체에서 북동쪽으로 약 90km, 슈체친에서 북동쪽으로 약 150km 떨어진 곳에 있다.

이 부근의 발트해 연안은 균형 해안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부근에서 127km의 강줄기를 거쳐 파르센타 강이 흘러 들어온다. 동쪽에는 우스트로니에 모르스키에가 있으며, 서쪽과 남쪽에는 농촌의 코워브제크가 있지만, 도시 지역에는 속하지 않는다.

시역은 약 1800ha로, 전형적인 시가지 외에 하천, 운하, 항만 지역, 해안 지역, 도시 공원, 자연 공원, 휴경지, 목초지 등이 다양하게 모자이크처럼 펼쳐져 있으며, 그중에는 습지로서의 특징을 가진 지역(예: 솔른너바니오)도 있다.

4. 기후

코워브제크는 해양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b'')를 보인다.[51][52]

코워브제크 (1991–2020년 평년값, 1951–현재 극한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3.6°C17.8°C23.2°C28.9°C31.7°C35.9°C35.7°C38°C32.3°C26.1°C19.5°C14.3°C38°C
평균 최고 기온 (°C)9.1°C10.3°C15.9°C22.3°C26.7°C28.9°C30°C30.2°C24.8°C19.1°C13.2°C9.9°C32.4°C
평균 일 최고 기온 (°C)2.9°C3.8°C6.8°C11.7°C15.9°C19.3°C21.7°C22°C18.1°C12.9°C7.5°C4.1°C12.2°C
평균 일 평균 기온 (°C)0.7°C1.2°C3.4°C7.6°C11.8°C15.6°C17.9°C17.9°C14.1°C9.5°C5.1°C2°C8.9°C
평균 일 최저 기온 (°C)-1.5°C-1.1°C0.7°C4.2°C8.1°C11.8°C14.2°C14.1°C10.8°C6.7°C3°C-0.2°C5.9°C
평균 최저 기온 (°C)-10.4°C-8.5°C-5.3°C-1.2°C2.4°C7°C10.1°C9.2°C5.2°C0.3°C-3.4°C-7.5°C-13.2°C
최저 기온 기록 (°C)-23.9°C-25.5°C-17.7°C-5.5°C-2.6°C0°C4.4°C2.4°C-0.7°C-5.5°C-13.1°C-18.3°C-25.5°C
평균 강수량 (mm)48.2mm40.5mm42.9mm34mm50.6mm70.4mm77mm89.9mm73.2mm64.9mm51mm55mm697.7mm
평균 강우일수 (0.1 mm 이상)10.69.38.86.98.89.410.210.69.511.010.512.3176.69
평균 적설량 (cm)64.7cm80cm32.9cm0.2cm0cm0cm0cm0cm0cm0.3cm6.4cm41.8cm
평균 상대 습도 (%)85.183.781.477.077.677.279.379.581.884.387.186.981.7
평균 강설일수 (0 cm 이상)9.38.63.80.1000000.11.65.729.8
평균 월간 일조시간42.766.8127.8198.9255.6253.0255.1236.5163.3104.947.930.61783.1



5. 인구

연도인구
1740년5,027명
1782년4,006명
1794년4,319명
1812년5,597명
1816년5,210명
1831년6,221명
1843년7,528명
1852년8,658명
1861년10,082명
1880년16,027명
1890년16,999명
1900년20,200명
1910년24,786명
1925년30,115명
1939년36,617명
1950년6,756명
1960년16,732명
1975년31,800명
1990년45,400명
2002년47,500명
2004년45,500명
2014년46,830명

[64]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전 코워브제크는 주로 독일 개신교 신자들이 거주했으며, 폴란드인과 유대인 소수도 있었다. 전쟁 전 독일인들은 거의 모두 도망치거나 추방되었고, 1945년 이후 폴란드 가톨릭 신자들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가톨릭 신자의 수가 증가했는데, 이는 군인들이 서프로이센에서 이 도시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6. 문화

코워브제크는 지역 문화 중심지이다. 여름에는 인기 가수, 음악가, 카바레의 콘서트가 많이 열린다. 시립 문화 센터는 '테아트랄니 공원'(Park teatralny)에 있으며, 미술, 연극, 무용을 지원한다. 청소년 팀과 보컬 합창단의 후원자이기도 하다. 인터폴크(Interfolk)는 매년 민속 축제인 국제 민속 만남과 기타 문화 행사를 조직한다. 영화관은 피아스트 토론 영화 클럽(Piast Discussion Film Club)의 만남의 장소이다.

코워브제크 시청에는 현대 미술 갤러리가 있는데, 코워브제크 출신 예술가뿐만 아니라 지역 예술계 외부의 예술가들의 작품도 전시된다. 또한 갤러리에서는 학교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미술 수업을 포함한 교육 활동을 진행한다.

테아트르 누이 공원에 있는 시립 지역 문화 센터(폴란드어: Regionalne Centrum Kultury w Kołobrzegu)에서는 다양한 문화 분야의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전시회는 카페와 인터넷 카페를 병설한 센터 건물에서 열린다. 음악 콘서트와 소극장, 코미디 공연은 인접한 지붕이 있는 무대 구역이 사용된다.

2003년 이후, 7월 말에는 전자 음악을 기반으로 한 레이브 행사인 선라이즈 페스티벌이 개최되었으며, 산책로와 해변에 바로 접한 원형 극장에서 열렸다. 행사 장소의 공간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2018년부터 중심부에서 서쪽에 위치한 포도첼레(구 콜베르크 슈타트발트)의 폐공항에서 페스티벌이 개최되고 있다.[1]

7. 스포츠

SKK 코트비차 코워브제크는 2000년대와 2010년대에 폴란드 최고 리그인 폴란드 농구 리그에서 경쟁했던 농구 클럽이다. 코트비차 코워브제크는 2005년부터 폴란드 최고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1]

매년 6월에는 폴란드 에너지 회사 에네아(Enea)가 주최하는 트라이애슬론(또는 듀애슬론)이 개최되는데, "에네아 트리 투어"로 판매되고 있다. 출발점과 골인 지점은 시내 등대이며, 2015년에는 약 400명이 참가했다.[1]

이 항구 도시는 파르셍타 강에서의 카누 투어의 종착점이며, 발트해에서의 해안 패들링을 위한 기착지이기도 하다.[1]

1921년부터 1945년까지, 콜베르크에는 스포츠 클럽 "빅토리아 콜베르크"가 존재했다. 1926년부터 1929년까지는 당시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오토바이 경주 중 하나였던 "콜베르크 스파 레이스"가 콜베르크 주변에서 4번 개최되었다.[1]

8. 관광

코워브제크는 폴란드인, 독일인, 그리고 보른홀름으로 가는 페리 노선 덕분에 덴마크인들에게도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이곳은 해변 휴양지, 건강 휴양지, 역사적인 기념물로 가득한 구시가지, 그리고 다양한 관광 시설 (예: "비어 가든")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이 도시는 유럽 고딕 건축의 길 네트워크의 일부이다.[65] 2004년 7월 14일에는 해안을 따라 포드첼레까지 이어지는 자전거길이 개통되었다. 이 길은 유럽 연합의 자금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앞으로 전체 발트 해를 순환하는 자전거길의 일부가 될 예정이다.[66][67] 2010년 3월 24일, 인접한 에코 공원 습지 지역의 배수와 관련된 해안 침식으로 인해 길이 파손되기도 했지만, 폴란드 정부가 90000PLN을 투입하여 복구하였고, 1년 안에 다시 개통되었다. 2011년에는 동쪽으로 8km 떨어진 우스트로니에 모르스키에까지 연장되었다.

바기치 남쪽, 코워브제크에서 4km 떨어진 곳에는 806년 된 참나무가 있다 (2008년 기준). 2000년에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참나무로 지정되었으며, 볼레스와프 1세 국왕을 기리기 위해 볼레스와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밤의 코워브제크 부두


코워브제크 부두는 현재 서포모제주에서 미엥지즈드로예 부두 다음으로 두 번째로 긴 부두이다. 부두 끝에는 방파제가 있어 소형 선박을 이용한 관광 유람이 가능하다.[68]

ORP ''Fala'', 코워브제크의 박물관선


코워브제크에는 폴란드 무기 박물관(무제움 오레자 폴스키에고, Muzeum Oręża Polskiego)이 있다. 이곳에서는 중세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군사 장비를 전시하고 있다. 브라운슈바이크 궁전에는 도시의 역사를 다룬 박물관의 일부가 있다. 이 박물관 분관은 희귀하고 일반적인 측정 도구, 그리고 작업장의 특정 측정 장비 컬렉션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1964년에 건조되어 퇴역 후 박물관으로 개조된 순찰함 ORP ''Fala''가 현지 박물관 항구에 정박해 있다.

9. 교통

코워브제크 기차역


코워브제크는 슈체친, 슈체친-골레뉴프 "연대" 공항, 그단스크, 포즈난, 바르샤바, 크라쿠프, 루블린 등 폴란드 주요 도시와 연결되는 철도가 있다. 덴마크 보른홀름섬의 넥세로 가는 페리 서비스는 계절에 따라 운행되며, 쌍동선 ''얀타르''가 이 서비스를 제공한다.[69] 이 여정은 4시간 30분이 소요되며[70], 승객만 수송하고 차량은 수송하지 않는다.

10. 자매 도시

폴란드의 자매 도시 목록

코워브제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국가도시
Deutschland|독일de바트 올데슬로
Deutschland|독일de바르트
Deutschland|독일de판코우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페오도시아
Italia|이탈리아it폴로니카
België|벨기에nl쿠켈베르크
Sverige|스웨덴sv란스크로나
Danmark|덴마크da넥쇠
Danmark|덴마크da뉘보르
Suomi|핀란드fi포리
Sverige|스웨덴sv심리스함


11. 저명한 인물

19세기 폴란드의 프리마스인 마르친 두닌의 기념비, 코워브제크


리샤르트 쿠클린스키, 냉전 시대에 나토를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한 폴란드 육군 대령

  • 페트루스 파키우스 (1579–1641/42), 독일의 개신교 목사이자 교사이자 시인
  • 카를 빌헬름 람러 (1725–1798), 시인이자 번역가, 베를린 극장의 감독
  • 마르친 두닌 (1774–1842), 포즈난과 그니에즈노의 대주교이자 폴란드의 수석 사제. 코워브제크 요새에 수감됨.[41]
  •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얀 (1778–1852), '체조의 아버지'. 1820년대에 코워브제크 요새에 수감됨.[72][73]
  • 아돌프 폰 뤼초 (1782–1834), 프로이센 장교. 1807년 코워브제크 공방전에서 두각을 나타냄.[74]
  • 헤르만 플뤼데만 (1809–1868), 독일의 역사 화가
  • 에른스트 마스 (1856–1929), 독일의 고전 언어학자
  • 마그누스 히르슈펠트 (1868–1935), 의사이자 사회학자. 20세기 초 동성애자 권리 운동가
  • 파울 외스트라이히 (1878–1959), 교육자, 개혁가
  • 아르놀트 자디코프 (1884–1943), 독일계 유대인 조각가
  • 한스-위르겐 슈umpf (1889–1968), 루프트바페의 독일군 장군. 1945년 5월 8일 베를린에서 무조건 항복 조약 공동 서명자
  • 귄터 안게른 (1893–1943), 베르마흐트 장군
  • 베르너 크뤼거 (1910–2003), 독일 엔지니어, 1943년 크뤼거 플랩 발명
  • 에리카 폰 브로크도르프 (1911–1943), 독일 레지스탕스 운동가
  • 카를-하인츠 마르바흐 (1917–1995), 독일 잠수함 지휘관
  • 에곤 크렌츠 (1937년 출생), 동독의 마지막 공산주의 지도자
  • 크리스틴 루시가 (1944년 출생), 정치인
  • 빅토르 쇼스탈로 (1952년 출생), 조각가, 전 연대 활동가.
  • 얀 포가니 (1960년 출생), 클래식 작곡가, 지휘자, 첼리스트.
  • 요안나 노비츠카 (1966년 출생), 폴란드 양궁 선수. 1988년부터 4번의 하계 올림픽 출전
  • 세바스티안 카르피니우크 (1972–2010), 폴란드 정치인. 코워브제크 시장 보좌관. 비행기 사고로 사망
  • 다리우스 트라파스 (1972년 출생), 육상 선수, 창던지기 국가 기록 보유자
  • 다리아 코르친스카 (1981년 출생), 은퇴한 육상 단거리 선수
  • 로베르트 슈파크 (1989년 출생), 육상 선수, 창던지기, 2008년 세계 주니어 챔피언
  • 마야 히지 (1989년 출생), 폴란드 가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8 참가
  • 리샤르트 쿠클린스키 (1930–2004), 냉전 시대 나토의 첩보원이었던 대령. 코워브제크의 고등학교를 다님.

참조

[1] 웹사이트 DICT – English Polish Dictionary http://www.dict.pl/d[...] Dict.pl 2009-07-08
[2] 웹사이트 DICT – English Polish Dictionary http://www.dict.pl/d[...] Dict.pl 2009-07-08
[3] 서적 Pommern im Wandel der Zeiten Zamek Ksiazat Pomorskich
[4] 서적 Zwischen Reric und Bornhöved: Die Beziehungen zwischen den Dänen und ihren slawischen Nachbarn vom 9. Bis ins 13. Jahrhundert: Beiträge einer internationalen Konferenz, Leipzig, 4.-6. Dezember 1997 Franz Steiner Verlag
[5] 서적 Kołobrzeg: zarys dziejów Wydaw. Poznańskie
[6] 웹사이트 Historic calendar of the city's Official webpage http://serwis.kolobr[...] 2009-09-27
[7] 서적 Wirtschaft und Kulturlandschaft: Gesammelte Beiträge 1977 bis 1999 zur Geschichte der Zisterzienser und der "[[Germania Slavica]]" BWV Verlag
[8]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die deutschen Territorien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H.Beck
[9] 서적 Zwischen Reric und Bornhöved: Die Beziehungen zwischen den Dänen und ihren slawischen Nachbarn vom 9. Bis ins 13. Jahrhundert: Beiträge einer internationalen Konferenz, Leipzig, 4.-6. Dezember 1997 Franz Steiner Verlag
[10]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11] 서적 Konzeptionelle Ansätze der Hanse-Historiographie Porta Alba
[12]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13]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14] 웹사이트 'Historical eras' Official webpage of the city: The local Slavic population engaged in fishery, salt trade and various crafts. http://miasto.kolobr[...] 2010-12-27
[15]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16]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17] 웹사이트 Epoki Historyczne http://miasto.kolobr[...] 2020-03-21
[18] 서적 Christianization and the Rise of Christian Monarchy: Scandinavia, Central Europe and Rus' C. 900–12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Ottonian Germany: The Chronicon of Thietmar of Mersebu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 서적 Polen und Deutschland vor 1000 Jahren: Die Berliner Tagung über den"akt von Gnesen" Akademie Verlag
[21] 서적 Rom und Byzanz im Norden: Mission und Glaubenswechsel im Ostseeraum während des 8.-14. Jahrhunderts: internationale Fachkonferenz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 in Verbindung mit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und der Literatur, Mainz: Kiel, 18.-25. 9. 1994
[22]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23]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24]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25] 서적 Die Slawen in Deutschland Akademie-Verlag Berlin
[26]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27] 웹사이트 Nazwa Kołobrzeg http://miasto.kolobr[...] 2012-02-06
[28] 서적 Pommern Siedler
[29] 서적 Zwischen Reric und Bornhöved: die Beziehungen zwischen den Dänen und ihren slawischen Nachbarn vom 9. bis ins 13. Jahrhundert : Beiträge einer internationalen Konferenz Franz Steiner Verlag
[30] 웹사이트 Copy of the charter (in Latin), printed in Heinrich Gottfried Philipp Gengler, Codex juris Municipalis Germaniae Medii Aevi: Regesten und Urkunden zur Verfassungs- und Rechtsgeschichte der deutschen Städte im Mittelalter https://books.google[...] F. Enke 2022-11-30
[31]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die deutschen Territorien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H.Beck
[32] 서적 Archäologie der westlichen Slawen: Siedlung, Wirtschaft und Gesellschaft im früh- und hochmittelalterlichen Ostmitteleuropa Walter de Gruyter
[33] 서적 Die Früh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dt im 11. Jahrhundert Köln-Weimar-Wien
[34] 서적 Polnische Kirchengeschichte Hildesheim
[35]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die deutschen Territorien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H.Beck
[36] 웹사이트 Kalendarium 750 lat Koszalina, Muzeum w Koszalinie http://muzeum.koszal[...] 2020-03-21
[37] 서적 Kołobrzeg: zarys dziejów Wydaw. Poznańskie
[38] 서적 Gemeinsame Bekannte: Schweden und Deutschland in der Frühen Neuzeit LIT Verlag
[39] 서적 Gemeinsame Bekannte: Schweden und Deutschland in der Frühen Neuzeit LIT Verlag
[40] 서적 Papiestwo wobec sprawy polskiej w latach 1772–1865: wybór źródeł Zaklad Narodowy im. Ossolinskich
[41] 서적 Na stolicy prymasowskiej w Gnieźnie i w Poznaniu: szkice o prymasach Polski w okresie niewoli narodowej i w II Rzeczypospolitej: praca zbiorowa Feliks Lenort Księgarnia Św. Wojciecha
[42] 서적 Dawny Kołobrzeg Wydawnictwo Le Petit Café
[43] 문서 Związki Pomorza Zachodniego z Polską Wyższa Szkoła Inżynierska w Koszalinie
[44] 서적 Kolberg, Führer durch eine untergegangene Stadt
[45] 웹사이트 Jewish community before 1989 Kołobrzeg http://www.sztetl.or[...] Museum of the History of Polish Jews 2012-12-01
[46] 웹사이트 Deutsche Verwaltungsgeschichte Pommern, Kreis Kolberg http://www.verwaltun[...] Verwaltungsgeschichte.de 2011-09-16
[47] 문서 Kołobrzeg – Historia Wirtualny Sztetl
[48] Webarchive Kołobrzeg – Historia http://www.sztetl.or[...] Wirtualny Sztetl-Muzeum Historii Żydów Polskich 2011-07-23
[49] 서적 Kołobrzeg: zarys dziejówb
[50] 간행물 W obowiązku pamięci... Stalag II D i formy upamiętnienia jeńców wojennych w Stargardzie Szczecińskim
[51] 간행물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s://opus.bibliot[...] 2006
[52] 간행물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s://www.hydrol-e[...]
[53] 웹사이트 Średnia dobow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54] 웹사이트 Średnia mini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55] 웹사이트 Średnia maksy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56] 웹사이트 Miesięczna suma opadu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57] 웹사이트 Liczba dni z opadem >= 0,1 m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58] 웹사이트 Średnia grubość pokrywy śnieżnej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59] 웹사이트 Liczba dni z pokrywą śnieżna > 0 c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60] 웹사이트 Średnia suma usłonecznienia (h)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11
[61] 웹사이트 Kołobrzeg Absolutna temperatura maksy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11
[62] 웹사이트 Kołobrzeg Absolutna temperatura mini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11
[63] 웹사이트 Kołobrzeg Średnia wilgotność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11
[64] 서적 Dokumentacja Geograficzna Instytut Geografii Polskiej Akademii Nauk
[65] 웹사이트 Europäische Route der Backsteingotik | Homepage http://www.eurob.org[...] EuRoB 2009-05-05
[66] 웹사이트 Preparing an EU Strategy for the Baltic Sea Region http://www.msz.gov.p[...] 2017-12-25
[67] 웹사이트 European Route of Brick Gothic http://www.germany.t[...] 2017-12-25
[68] 웹사이트 Kolobrzeg Pier 2019, #2 top things to do in kolobrzeg, west pomeranian voivodeship, reviews, best time to visit, photo gallery {{!}} HelloTravel Poland https://www.hellotra[...] 2019-12-25
[69] 웹사이트 Promy na Bornholm / Rejsy na Bornholm / Prom Bornholm / Jak dojechać na Bornholm | bornholm.pl https://bornholm.pl/[...]
[70] 웹사이트 Bornpol https://www.bornpol.[...]
[71] EB1911
[72] EB1911
[73] 서적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74] EB1911
[75] 웹사이트 Promedios y totales mensuales https://meteomodel.p[...] 2021-10-31
[76] 웹인용 Promedios y totales mensuales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1-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