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 주둔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나 주둔군은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파견된 청나라 임시파견대가 모체로, 이후 청나라 주둔군으로 창설되었다. 1912년 청나라 멸망 후 지나 주둔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36년에는 지나 주둔보병여단이 창설되었다.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을 계기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지나 주둔군은 제1군으로 개편되어 북지나 방면군에 예속되었다. 지나 주둔군은 일본군의 중국 침략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37년 8월 26일에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해체된 단체 - 도쿄 경비사령부
도쿄 경비사령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는 아직 내용이 부족하며, 방호단과의 협력 관계 외 역사, 설립 배경, 주요 활동 등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 - 톈진시 - 톈진 방송국
톈진 방송국은 톈진 지역의 주요 방송국으로 톈진인민방송과 톈진 텔레비전으로 구성되어 중국어와 한국어 라디오 방송 및 뉴스, 문화, 오락, 스포츠 등 다양한 텔레비전 채널을 제공한다. - 톈진시 - 톈진 경제기술개발구
톈진 경제기술개발구는 1984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에 따라 설립된 톈진시 빈하이신구의 경제 개발구로, IT, 전자, 화학 등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며 톈진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루거우차오 사건 - 차하르 작전
차하르 작전은 1937년 노구교 사건 이후 일본군이 중국 차하르성을 점령하고 친일 몽골족을 내세워 몽골 연맹 자치 정부를 수립하려 한 군사 작전으로, 양고 사건과 같은 학살이 발생하고 중국 국민당 정권이 항일 지구전 체제를 구축할 시간을 벌게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 루거우차오 사건 - 화북분리공작
화북분리공작은 1930년대 일본 제국이 화북 지역을 중국 국민정부로부터 분리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중일 전쟁의 원인이 된 정치적, 외교적 공작이다.
지나 주둔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지나 주둔군 (支那駐屯軍) |
다른 명칭 | 청국 주둔군 (清国駐屯軍) 덴신군 (天津軍) |
군사 정보 | |
국가 | 일본 제국 |
군 종류 | 대일본제국 육군 |
병과 | 보병 |
역할 | 야전군 |
주둔지 | 톈진, 중국 |
별칭 | 해당 없음 |
복무 기간 | 1901년 6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지휘 구조 (1937년 7월) | |
상위 부대 | 천황 직할 |
하위 부대 | 지나 주둔 보병 여단 (가와베 여단) – 마사카즈 가와베 소장 제1 지나 주둔 보병 연대 제2 지나 주둔 보병 연대 지나 주둔 기병 부대 지나 주둔 포병 연대 지나 주둔 공병 부대 지나 주둔 전차 부대 (17대) 지나 주둔 통신 부대 육군 병원 |
역사 | |
창설 | 1901년 5월 31일 (청국 주둔군) |
재편성 | 1912년 4월 26일 (지나 주둔군) |
해체 | 1937년 8월 31일 |
주요 전투 | |
전투 목록 | 의화단 운동 중일 전쟁 루거우차오 사건 |
2. 역사
1900년 의화단 운동이 심화되자, 일본 제국은 제5사단을 중심으로 증파대를 파견하여 열강 연합군의 일원으로 진압 작전에 참여하고 베이징을 점령했다. 이후 1901년 신축조약 체결에 따라 5월 31일 청나라 주둔군이 창설되었다.[8]
1912년 청나라 멸망 이후, 4월 26일 '지나 주둔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8]
1936년 4월 18일, 일본과 중국 간의 관계 악화에 따라 주둔군 전력을 강화하여 지나 주둔보병여단을 창설했고, 5월 1일부터 사령관직은 친보직(親補職|친보쇼쿠일본어)이 되었다.[8]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을 계기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지나 주둔군은 조선군의 제20사단과 관동군의 독립혼성 제1, 11여단, 그리고 일본 본토의 제5, 제6, 제10사단을 전속받아 대규모 병력으로 증강되었다. 이후 8월 31일 제1군으로 개편되면서 지나 주둔군은 폐지되었고, 직할 부대는 지나 주둔혼성여단으로 개편되었다.[3]
2. 1. 청나라 주둔군 시기 (1901년 ~ 1912년)
1900년 의화단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톈진시에 파견된 '청나라 임시파견대'가 1901년 5월 31일 신축조약에 따라 청나라 주둔군으로 창설되었다.[8] 이 부대는 제5사단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일본의 공사관, 영사관 및 재류 일본인의 보호를 담당하였다.1912년 청나라가 멸망함에 따라 4월 26일에 지나 주둔군으로 개칭되었다.[8]
2. 2. 지나 주둔군 시기 (1912년 ~ 1937년)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톈진에 파견된 '청나라 임시파견대'는 베이징 의정서 체결 후 1901년 5월 31일 청나라 주둔군으로 재창설되었다.[8] 1912년 청나라 멸망에 따라 지나 주둔군으로 개칭되었다.1936년 4월 18일, 일본과 중국 간의 관계 악화로 주둔군 전체 보병 10개 중대가 강화되어 지나 주둔보병여단이 창설되었다. 5월 1일, 사령관직은 친보직(親補職|친보쇼쿠일본어)이 되었다.[8]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켜 중일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사건 직후, 조선군 제20사단과 관동군 독립혼성 제1, 11여단이 지나 주둔군에 배속되었고, 7월 27일에는 일본 본토의 제5, 제6, 제10사단이 추가로 전속되었다.
지나 주둔군은 1937년 8월 31일 제1군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고, 직할부대는 지나 주둔혼성여단으로 개편되었다.[3]
2. 3. 중일 전쟁 발발과 해체 (1937년)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을 계기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지나 주둔군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지나 주둔군은 이 사건을 일으켜 중일 전쟁으로 확대시켰다.[8]사건 발발 이후, 일본은 지나 주둔군을 증강하기 위해 조선군 예하 제20사단과 관동군 예하 독립혼성 제1, 11여단을 지나 주둔군에 배속시켰다. 또한 7월 27일에는 일본 본토(혼슈)에 있던 제5, 제6, 제10사단도 지나 주둔군에 추가로 배속되었다.[8]
8월 31일, 지나 주둔군은 제1군으로 개편되었고, 지나 주둔군 직할 부대는 지나 주둔혼성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8] 제1군은 제2군과 함께 북지나 방면군에 예속되었다.
2. 3. 1. 루거우차오 사건과 중일 전쟁
1937년 7월 7일, 지나 주둔군이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켜 중일 전쟁으로 확대되었다.[8] 사건 직후, 조선군의 제20사단과 관동군의 독립혼성 제1, 11여단을 전속받았고, 7월 27일에는 혼슈의 제5, 제6, 제10사단을 전속받았다.[8] 8월 31일 제1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직할부대는 지나 주둔혼성여단으로 개편되었다.[8]루거우차오 사건에서 지나 주둔군은 전선 확대를 주장하는 관동군의 강경한 대중 정책과는 반대로, 중국 측과 적극적으로 정전과 평화를 맺는 등 온건한 대중 정책을 보였다.
3. 지휘부
지나 주둔군(중국 주둔군)의 지휘부는 사령관과 참모장 등으로 구성되었다. 역대 사령관과 참모장에 대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 있다.
초기 참모장으로는 아키야마 요시코 대좌(1901년 5월 30일 ~ 1901년 7월), 아오키 사다즈미 중좌(1901년 7월 ~ 1901년 10월?), 츠네요시 타다미치 소좌[4][5](1901년 10월 ~ 1902년 5월), 하라다 테루타로[6] 중좌(1902년 ~ 1903년 4월?), 유하라 칸조 소좌(1905년 9월 ~) 등이 있었다.
3. 1. 역대 사령관

지나 주둔군(중국 주둔군)의 역대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3. 1. 1. 청나라 주둔군 사령관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
(겸임) | 야마구치 모토오미 중장 | 1900년 10월 2일 | 1901년 6월 1일 |
1 | 오시마 히사나오 중장 | 1901년 6월 1일 | 1901년 7월 4일 |
2 | 야마네 다케스케 중장 | 1901년 7월 4일 | 1901년 10월 25일 |
3 | 아키야마 요시후루 대장 | 1901년 10월 25일 | 1903년 4월 2일 |
4 | 센바 타로 중장 | 1903년 4월 2일 | 1905년 6월 25일 |
5 | 가미오 미쓰모이 대장 | 1905년 6월 25일 | 1906년 11월 27일 |
6 | 나카무라 아이조 중장 | 1906년 11월 27일 | 1908년 11월 21일 |
7 | 아베 데이지로 중장 | 1908년 11월 21일 | 1912년 4월 24일 |
8 | 사토 고지로 중장 | 1912년 4월 24일 | 1914년 8월 8일 |
9 | 나라 다케시 대장 | 1914년 8월 8일 | 1915년 7월 5일 |
10 | 사이토 스에하루 중장 | 1915년 7월 5일 | 1916년 5월 2일 |
11 | 이시미츠 마사오미 중장 | 1916년 5월 2일 | 1918년 6월 10일 |
12 | 가나야 한조 대장 | 1918년 6월 10일 | 1919년 7월 25일 |
13 | 미나미 지로 소장 | 1919년 7월 25일 | 1921년 1월 20일 |
14 | 스즈키 이치바 중장 | 1921년 1월 20일 | 1923년 8월 6일 |
15 | 요시오카 겐사쿠 중장 | 1923년 8월 6일 | 1925년 5월 1일 |
16 | 고이즈미 로쿠이치 중장 | 1925년 5월 1일 | 1926년 3월 2일 |
17 | 다카다 도요키 중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7월 26일 |
18 | 아라이 가메타로 중장 | 1927년 7월 26일 | 1929년 3월 16일 |
19 | 우에다 겐키치 대장 | 1929년 3월 16일 | 1930년 12월 22일 |
20 | 가시이 고헤이 중장 | 1930년 12월 22일 | 1932년 2월 29일 |
21 | 나카무라 고타로 대장 | 1932년 2월 29일 | 1934년 3월 5일 |
22 | 우메즈 요시지로 대장 | 1934년 3월 5일 | 1935년 8월 1일 |
23 | 타다 하야오 대장 | 1935년 8월 1일 | 1936년 5월 1일 |
24 | 타시로 간이치로 중장 | 1936년 5월 1일 | 1937년 7월 12일 |
25 | 가쓰키 기요시 중장 | 1937년 7월 12일 | 1937년 8월 26일 |
3. 1. 2. 지나 주둔군 사령관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
1 | 오시마 히사나오 중장 | 1901년 6월 1일 | 1901년 7월 4일 |
2 | 야마네 다케스케 중장 | 1901년 7월 4일 | 1901년 10월 25일 |
3 | 아키야마 요시후루 대장 | 1901년 10월 25일 | 1903년 4월 2일 |
4 | 센바 타로 중장 | 1903년 4월 2일 | 1905년 6월 25일 |
5 | 가미오 미쓰모이 대장 | 1905년 6월 25일 | 1906년 11월 27일 |
6 | 나카무라 아이조 중장 | 1906년 11월 27일 | 1908년 11월 21일 |
7 | 아베 데이지로 중장 | 1908년 11월 21일 | 1912년 4월 24일 |
8 | 사토 고지로 중장 | 1912년 4월 24일 | 1914년 8월 8일 |
9 | 나라 다케시 대장 | 1914년 8월 8일 | 1915년 7월 5일 |
10 | 사이토 스에하루 중장 | 1915년 7월 5일 | 1916년 5월 2일 |
11 | 이시미츠 마사오미 중장 | 1916년 5월 2일 | 1918년 6월 10일 |
12 | 가나야 한조 대장 | 1918년 6월 10일 | 1919년 7월 25일 |
13 | 미나미 지로 소장 | 1919년 7월 25일 | 1921년 1월 20일 |
14 | 스즈키 이치바 중장 | 1921년 1월 20일 | 1923년 8월 6일 |
15 | 요시오카 겐사쿠 중장 | 1923년 8월 6일 | 1925년 5월 1일 |
16 | 고이즈미 로쿠이치 중장 | 1925년 5월 1일 | 1926년 3월 2일 |
17 | 다카다 도요키 중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7월 26일 |
18 | 아라이 가메타로 중장 | 1927년 7월 26일 | 1929년 3월 16일 |
19 | 우에다 겐키치 대장 | 1929년 3월 16일 | 1930년 12월 22일 |
20 | 가시이 고헤이 중장 | 1930년 12월 22일 | 1932년 2월 29일 |
21 | 나카무라 고타로 대장 | 1932년 2월 29일 | 1934년 3월 5일 |
22 | 우메즈 요시지로 대장 | 1934년 3월 5일 | 1935년 8월 1일 |
23 | 다다 하야오 대장 | 1935년 8월 1일 | 1936년 5월 1일 |
24 | 타시로 간이치로 중장 | 1936년 5월 1일 | 1937년 7월 12일 |
25 | 가쓰키 기요시 중장 | 1937년 7월 12일 | 1937년 8월 26일 |
3. 2. 역대 참모장
역대 지나 주둔군 참모장은 다음과 같다.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마쓰모토 겐지 | 1928년 8월 10일 | 1931년 8월 1일 |
2 | 다케우치 도시지로 | 1931년 8월 1일 | 1932년 1월 9일 |
3 | 키쿠치 몬야 | 1932년 1월 9일 | 1934년 8월 1일 |
4 | 사카이 다카시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5 | 나가미 타케노리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8월 1일 |
6 | 하시모토 구무 | 1936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 | 야노 오토사부로 | 1937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초기 참모장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었다.
- 아키야마 요시코 대좌: 1901년 5월 30일 ~ 1901년 7월
- 아오키 사다즈미 중좌: 1901년 7월 ~ 1901년 10월?
- 츠네요시 타다미치 소좌[4][5]: 1901년 10월 ~ 1902년 5월
- 하라다 테루타로[6] 중좌: 1902년? ~ 1903년 4월?
- 유하라 칸조 소좌: 1905년 9월 ~
3. 2. 1. 청나라 주둔군 참모장
이름 | 기간 | |
---|---|---|
1 | 마쓰모토 겐지(松本 健児) 소장 | 1928년 8월 10일 ~ 1931년 8월 1일 |
2 | 다케우치 도시지로(竹内 俊二郞) 소장 | 1931년 8월 1일 ~ 1932년 1월 9일 |
3 | 키쿠치 몬야(菊池 紋矢) 소장 | 1932년 1월 9일 ~ 1934년 8월 1일 |
4 | 사카이 다카시(酒井 隆) 대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5 | 나가미 타케노리(永見 武紀)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8월 1일 |
6 | 하시모토 구무(橋本 羣) 소장 | 1936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colspan="4" | |
3. 2. 2. 청나라 주둔군 참모
이름 | 기간 | |
---|---|---|
1 | 마쓰모토 겐지(松本 健児) 소장 | 1928년 8월 10일 ~ 1931년 8월 1일 |
2 | 다케우치 도시지로(竹内 俊二郞) 소장 | 1931년 8월 1일 ~ 1932년 1월 9일 |
3 | 키쿠치 몬야(菊池 紋矢) 소장 | 1932년 1월 9일 ~ 1934년 8월 1일 |
4 | 사카이 다카시(酒井 隆) 대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5 | 나가미 타케노리(永見 武紀)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8월 1일 |
6 | 하시모토 구무(橋本 羣) 소장 | 1936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유하라 칸조 소좌 | 1905년 9월 ~ |
3. 2. 3. 지나 주둔군 참모장
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마쓰모토 겐지 | 1928년 8월 10일 | 1931년 8월 1일 |
2 | 다케우치 도시지로 | 1931년 8월 1일 | 1932년 1월 9일 |
3 | 키쿠치 몬야 | 1932년 1월 9일 | 1934년 8월 1일 |
4 | 사카이 다카시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5 | 나가미 타케노리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8월 1일 |
6 | 하시모토 구무 | 1936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3. 2. 4. 지나 주둔군 참모 부장
이름 | 기간 | |
---|---|---|
1 | 마쓰모토 겐지 소장 | 1928년 8월 10일 ~ 1931년 8월 1일 |
2 | 다케우치 도시지로 소장 | 1931년 8월 1일 ~ 1932년 1월 9일 |
3 | 키쿠치 몬야 소장 | 1932년 1월 9일 ~ 1934년 8월 1일 |
4 | 사카이 다카시 대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5 | 나가미 타케노리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8월 1일 |
6 | 하시모토 구무 소장 | 1936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야노 오토사부로 대좌 | 1937년 8월 1일 ~ 1937년 8월 26일 |
4. 1937년 당시 부대 구성
wikitext
부대명 | 위치 | 지휘관 |
---|---|---|
지나 주둔 보병여단 | 베이핑 | 가와베 마사카즈 소장 |
지나 주둔 보병 제1연대 | 베이핑 | 무다구치 렌야 대좌 |
지나 주둔 보병 제2연대 | 톈진 | 가야시마 다카시 대좌 |
지나 주둔 포병연대 | 톈진 | |
지나 주둔 전차대 | 후쿠다 미네오 소좌 | |
지나 주둔 기병대 | 노구치 긴이치 소좌 | |
지나 주둔 공병대 | ||
지나 주둔 통신대 | ||
지나 주둔 헌병대 | 아카베 쇼지 중좌 | |
지나 주둔 창고 |
참조
[1]
서적
Education in Wartime Beijing 1937–1945
미시건 대학
[2]
웹사이트
支那駐屯軍司令官の親補に関する件 昭和11年4月25日 「支那駐屯軍司令官は之を親補す/附則 本令は昭和11年5月1日より之を施行す」- 官報. 1936年04月28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3]
문서
[4]
웹사이트
駐屯軍 西国公使へ写真送付の件
https://www.jacar.ar[...]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8010237000、清国事件書類編冊 明治34年12月 臨清(防衛省防衛研究所)
2018-01-16
[5]
서적
日本陸海軍総合事典
[6]
웹사이트
駐屯軍 在北清仏軍司令官来朝の件
https://www.jacar.ar[...]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8010267600、清国事件書類編冊 明治35年06月 臨清(防衛省防衛研究所)
2018-01-16
[7]
서적
Education in Wartime Beijing 1937–1945
미시건 대학
[8]
문서
昭和11年軍令陸第2号「支那駐屯軍司令官の親補に関する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