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군 (일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군(朝鮮軍)은 러일 전쟁 이후 대한제국 주재 일본 대사관과 일본 민간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한성에 주둔했던 한국주차군을 기원으로 한다. 1916년 일본 제국 육군은 조선주차군을 조선군으로 개편하고, 1918년에는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사령부를 설치했다. 조선군은 소련의 한반도 침략을 방어하고, 한국의 독립운동을 진압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19년 3·1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으며, 중일 전쟁 발발 이후에는 전쟁 동원과 관련된 활동을 강화했다. 1945년 2월 조선군은 조선군관구로 개칭되었고, 일본의 항복 이후에는 38선 이남에서 공공 질서를 유지하다가 연합군에 통제권을 넘겨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4년 설립된 단체 - 국제 자동차 연맹
국제자동차연맹(FIA)은 전 세계 모터스포츠를 관장하고 자동차 관련 활동을 펼치는 국제 기구로서,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을 비롯한 챔피언십을 주관하며 규정 및 안전 기준을 제정하고 자동차 모빌리티, 도로 안전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격렬한 논란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 1904년 설립된 단체 - 국제 축구 연맹
국제축구연맹(FIFA)은 1904년 설립된 국제 축구 행정 기구로서, 월드컵 등 국제 대회를 주관하며 축구 발전에 기여하지만, 동시에 여러 논란 속에서 윤리 및 투명성 강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 주한 일본군 - 제150사단 (일본군)
제150사단은 1945년 일본 본토 결전 계획에 따라 창설되어 전라도 해안 방어를 맡았으나, 소련의 만주 침공 후 군산에서 항복한 일본군 해안배비사단이다. - 주한 일본군 - 제17방면군
제17방면군은 일본이 결호작전에 대비하여 한반도에 상륙하는 연합군을 저지하기 위해 창설한 군대로, 경성에 본부를 두고 조선군관구의 주요 직위 겸임, 관동군의 통제 하에 있었으나 실제 전투 없이 종전을 맞이했으며, 조선인 강제 동원의 대상이 되었다. - 서울 용산구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용산구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조선군 (일본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일본 조선군 정보 | |
![]() | |
개요 | |
명칭 | 일본 조선군 |
원어 명칭 | 일본어: 朝鮮軍 (Chōsen-gun, 조센군) 한국어: 조선군 (Joseon-gun) |
별칭 | 한국 주차군 |
군사 정보 | |
창설 | 1904년 3월 11일 (한국 주차군) |
해체 | 1945년 8월 15일 |
재편성 | 1910년 10월 1일 (조선 주차군) 1918년 6월 1일 (조선군) 1945년 2월 6일 |
국가 | 일본 제국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규모 | 군 |
병과 | 보병 |
역할 | 군대 |
주둔지 | 경성 |
통칭호 | 알 수 없음 |
담당 지역 | 한반도 |
최종 위치 | 경성 용산 |
주요 전투 | 만주사변 장고봉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
지휘부 | |
사령부 위치 | 경성 |
최종 상급 부대 | 일본 천황 직속 |
1945년 당시 소속 부대 | 제17방면군 |
1945년 당시 예하 부대 | 제19 보병 사단 제20 보병 사단 |
2. 역사
1915년 12월 24일, 한반도 경비를 위해 제19사단과 제20사단이 창설되었다. 이듬해인 1916년, 육군은 조선주차군을 조선군으로 개편하였다. 1931년에는 만주 침략에서 관동군을 지원하기도 했다. 1941년에는 총력 방위 사령부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1945년, 태평양 전쟁 상황이 일본에 불리하게 돌아가자, 조선군은 일본 제17방면군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관동군의 전반적인 행정 지휘를 받게 되었다. 예하의 두 보병 사단은 병력 부족으로 소련군의 만주 침공 당시 한반도에 대한 대규모 소련 붉은 군대의 기갑 및 상륙 공격을 막아낼 수 없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38선 이남의 군은 미국 육군의 작전 지휘 하에 무장 상태를 유지하며 공공 질서를 유지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상당한 병력이 도착하여 통제권을 넘겨받았다.
2. 1. 설립 배경과 초기 활동
조선군의 기원은 러일 전쟁 때 대한제국 주재 일본 대사관과 조선에 체류하던 일본 민간인들의 보호를 구실로 한성부에 주둔시켰던 한국주차군(韓國駐箚軍)으로, 1904년 3월 경성에 설치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당시 조약을 강제로 체결하도록 압박하였고, 의병 운동을 탄압하였다.1910년 조선이 일본에 병합되자, 10월 1일에 부대 이름을 조선주차군(朝鮮駐箚軍일본어)으로 바꾸었다. 1918년에는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사령부가 설치되었다. 조선군은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한반도를 일본의 영역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어 임무와 조선인들의 독립운동을 진압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는 데 참여하였다. 중일 전쟁이 발발한 1937년부터는 전쟁 동원과 관련된 활동을 강화하고 〈조선인 특별지원병 조례〉에 따라 경성부와 평양에 지원병 훈련소를 설치하고 조선인 병사를 조선군사령부에 입대시키기 시작했다.
2. 2. 조선주차군과 조선군으로의 개편
러일 전쟁 때 대한제국 주재 일본 대사관과 조선에 체류하던 일본 민간인들의 보호를 구실로 한성부에 주둔시켰던 한국주차군(韓國駐箚軍)이 조선군의 기원이며, 1904년 3월에 경성에 설치되었다.[4] 1905년 을사조약 체결 당시 조약 체결을 강요하였고, 의병 운동을 탄압하였다.1910년 조선이 일본에 병합되자, 10월 1일에 부대 이름을 조선주차군(朝鮮駐箚軍일본어)으로 바꾸었다. 1918년 6월 1일에는 일본 조선군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1915년 12월 24일에는 한반도 경비를 위해 제19, 제20사단을 창설하였고, 이듬해 1916년에 육군은 조선주차군을 조선군으로 개편하였다. 1918년에는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사령부가 설치되었다. 조선군은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한반도를 일본의 영역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어 임무와 조선인들의 독립운동을 진압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를 무력 진압하는 데 참여하였다. 중일 전쟁이 발발한 1937년부터는 전쟁 동원과 관련된 활동을 강화하고 〈조선인 특별지원병 조례〉에 따라 경성부와 평양에 지원병 훈련소를 설치하고 조선인 병사를 조선군사령부에 입대시키기 시작했다.
2. 3. 3·1 운동 진압과 강제 동원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조선군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는 데 참여하였다. 중일 전쟁이 발발한 1937년부터는 전쟁 동원과 관련된 활동을 강화하고 〈조선인 특별지원병 조례〉에 따라 경성부와 평양에 지원병 훈련소를 설치하고 조선인 병사를 조선군사령부에 입대시키기 시작했다.[1]2. 4. 태평양 전쟁과 패망
1945년 태평양 전쟁 상황이 일본에 불리하게 돌아가자, 조선군은 일본 제17방면군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관동군의 전반적인 행정 지휘를 받게 되었다. 예하의 두 보병 사단은 병력 부족으로 소련군의 만주 침공 당시 한반도에 대한 대규모 소련 붉은 군대의 기갑 및 상륙 공격을 막아낼 수 없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38선 이남의 군은 미국 육군의 작전 지휘 하에 무장 상태를 유지하며 공공 질서를 유지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상당한 병력이 도착하여 통제권을 넘겨받았다.[1]1945년 2월 6일 조선군은 조선군관구로 개칭되고, 제17방면군에 예속되었다. 1945년 8월 8일 소련의 만주 침공 당시 이들은 병력 부족으로 웅기군, 나진시, 청진시에서 격파되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패망한 이후에도 같은 해 9월 9일 경성에 미군이 진주하기 전까지 조직은 유지되었다.
2. 5. 핵무기 개발 관여 의혹
이타가키 세이시로가 1939년 7월 7일부터 1945년 4월 7일까지 조선군 사령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일본은 맨해튼 계획의 오크리지 클린턴 공학 연구소에 해당하는 조선 저수지 인근의 산업 시설을 이용하여 핵무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 이타가키 세이시로와 쓰지 마사노부는 나치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 동안 일본과 미국의 평화 유지와 소련 공격 모두를 지지하지 않았다.[2] 이는 세계 역사를 바꿀 수도 있었다. 쓰지 마사노부는 바르바로사 작전 동안 고노에 후미마로가 소련을 공격하고 미국과 평화를 유지하려 할 경우, 그를 암살할 계획을 세웠다.[3]3. 편성
- 사령부
- 제19사단 - 함경북도 라남, 1915년 12월 24일 ~ 1931년 12월
- 제20사단 - 경성 용산, 1915년 12월 24일 ~ 1931년
- 조선 헌병대
- 요새사령부
- * 영흥항 임시요새 - 원산
- * 진해항 요새 - 진해, 1905년 10월 13일 ~ 1942년 6월
- * 부산 요새 - 부산, 1942년 6월 ~ 종전
1921년 (다이쇼 10년) 당시
1941년 (쇼와 16년) 당시
4. 역대 사령관
조선군 사령관은 1904년 3월 11일에 임명된 하라구치 겐사이 중장부터 1945년 9월 9일에 항복한 고즈키 요시오 중장까지 총 22명이 역임했다.[1] 역대 사령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하라구치 겐사이 중장 | 1904년 3월 11일 | 1904년 9월 8일 |
2 | 하세가와 요시미치 대장 | 1904년 9월 8일 | 1908년 12월 21일 |
3 | 오쿠보 하루노 대장 | 1908년 12월 21일 | 1911년 8월 11일 |
4 | 우에다 아리사와 중장 | 1911년 8월 11일 | 1912년 1월 14일 |
5 | 안도 사다요시 중장 | 1912년 1월 14일 | 1915년 1월 25일 |
6 | 이노구치 세이고 중장 | 1915년 1월 25일 | 1916년 8월 18일 |
7 | 아키야마 요시후루 중장 | 1916년 8월 16일 | 1917년 8월 6일 |
8 | 마쓰가와 도시타네 중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7월 24일 |
9 | 우쓰노미야 다로 중장 | 1918년 7월 24일 | 1920년 8월 16일 |
10 | 오바 지로 중장 | 1920년 8월 16일 | 1922년 11월 24일 |
11 | 기구치 신노스케 중장 | 1922년 11월 24일 | 1924년 8월 20일 |
12 | 스즈키 소로쿠 중장 | 1924년 8월 20일 | 1926년 3월 2일 |
13 | 모리오카 슈세이 대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3월 5일 |
14 | 가나야 한조 중장 | 1927년 3월 5일 | 1929년 8월 1일 |
15 | 미나미 지로 중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11월 22일 |
16 | 하야시 센주로 중장 | 1930년 11월 22일 | 1932년 5월 26일 |
17 | 가와시마 요시유키 중장 | 1932년 5월 26일 | 1934년 8월 1일 |
18 | 우에다 겐키치 중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19 | 고이소 구니아키 중장 | 1935년 12월 2일 | 1938년 7월 15일 |
20 | 나카무라 고타로 대장 | 1938년 7월 15일 | 1941년 7월 7일 |
21 | 이타가키 세이시로 대장 | 1941년 7월 7일 | 1945년 4월 7일 |
22 | 고즈키 요시오 중장 | 1945년 4월 7일 | 1945년 9월 9일[1] |
4. 1. 한국주차군 사령관
이름 | 취임 | 퇴임 | |
---|---|---|---|
1 | 하라구치 겐사이(原口兼済) 중장 | 1904년 3월 11일 | 1904년 9월 8일 |
2 |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대장 | 1904년 9월 8일 | 1908년 12월 21일 |
3 | 오쿠보 하루노(大久保春野) 대장 | 1908년 12월 21일 | 1911년 8월 11일 |
4 | 우에다 아리사와(上田有沢) 중장 | 1911년 8월 11일 | 1912년 1월 14일 |
5 | 안도 사다요시(安東貞美) 중장 | 1912년 1월 14일 | 1915년 1월 25일 |
6 | 이노구치 세이고(井口省吾) 중장 | 1915년 1월 25일 | 1916년 8월 18일 |
7 |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好古) 중장 | 1916년 8월 16일 | 1917년 8월 6일 |
8 | 마쓰가와 도시타네(松川敏胤) 중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7월 24일 |
9 |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郎) 중장 | 1918년 7월 24일 | 1920년 8월 16일 |
10 | 오바 지로(大庭二郎) 중장 | 1920년 8월 16일 | 1922년 11월 24일 |
11 | 기구치 신노스케(菊池慎之助) 중장 | 1922년 11월 24일 | 1924년 8월 20일 |
12 | 스즈키 소로쿠(鈴木荘六) 중장 | 1924년 8월 20일 | 1926년 3월 2일 |
13 | 모리오카 슈세이(森岡守成) 대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3월 5일 |
14 | 가나야 한조(金谷範三) 중장 | 1927년 3월 5일 | 1929년 8월 1일 |
15 | 미나미 지로(南次郎) 중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11월 22일 |
16 | 하야시 센주로(林銑十郎) 중장 | 1930년 11월 22일 | 1932년 5월 26일 |
17 | 가와시마 요시유키(川島義之) 중장 | 1932년 5월 26일 | 1934년 8월 1일 |
18 | 우에다 겐키치(植田謙吉) 중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19 | 고이소 구니아키(小磯国昭) 중장 | 1935년 12월 2일 | 1938년 7월 15일 |
20 | 나카무라 고타로(中村孝太郎) 대장 | 1938년 7월 15일 | 1941년 7월 7일 |
21 | 이타가키 세이시로(板垣征四郎) 대장 | 1941년 7월 7일 | 1945년 4월 7일 |
22 | 고즈키 요시오(上月良夫) 중장 | 1945년 4월 7일 | 1945년 9월 9일 |
4. 2. 조선주차군 사령관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하라구치 겐사이 중장 | 1904년 3월 11일 | 1904년 9월 8일 |
2 | 하세가와 요시미치 대장 | 1904년 9월 8일 | 1908년 12월 21일 |
3 | 오쿠보 하루노 대장 | 1908년 12월 21일 | 1911년 8월 11일 |
4 | 우에다 아리사와 중장 | 1911년 8월 11일 | 1912년 1월 14일 |
5 | 안도 사다요시 중장 | 1912년 1월 14일 | 1915년 1월 25일 |
6 | 이노구치 세이고 중장 | 1915년 1월 25일 | 1916년 8월 18일 |
7 | 아키야마 요시후루 중장 | 1916년 8월 16일 | 1917년 8월 6일 |
8 | 마쓰가와 도시타네 중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7월 24일 |
9 | 우쓰노미야 다로 중장 | 1918년 7월 24일 | 1920년 8월 16일 |
10 | 오바 지로 중장 | 1920년 8월 16일 | 1922년 11월 24일 |
11 | 기구치 신노스케 중장 | 1922년 11월 24일 | 1924년 8월 20일 |
12 | 스즈키 소로쿠 중장 | 1924년 8월 20일 | 1926년 3월 2일 |
13 | 모리오카 슈세이 대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3월 5일 |
14 | 가나야 한조 중장 | 1927년 3월 5일 | 1929년 8월 1일 |
15 | 미나미 지로 중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11월 22일 |
16 | 하야시 센주로 중장 | 1930년 11월 22일 | 1932년 5월 26일 |
17 | 가와시마 요시유키 중장 | 1932년 5월 26일 | 1934년 8월 1일 |
18 | 우에다 겐키치 중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19 | 고이소 구니아키 중장 | 1935년 12월 2일 | 1938년 7월 15일 |
20 | 나카무라 고타로 대장 | 1938년 7월 15일 | 1941년 7월 7일 |
21 | 이타가키 세이시로 대장 | 1941년 7월 7일 | 1945년 4월 7일 |
22 | 고즈키 요시오 중장 | 1945년 4월 7일 | 1945년 9월 9일 |
4. 3. 조선군 사령관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하라구치 겐사이 중장 | 1904년 3월 11일 | 1904년 9월 8일 |
2 | 하세가와 요시미치 대장 | 1904년 9월 8일 | 1908년 12월 21일 |
3 | 오쿠보 하루노 대장 | 1908년 12월 21일 | 1911년 8월 11일 |
4 | 우에다 아리사와 중장 | 1911년 8월 11일 | 1912년 1월 14일 |
5 | 안도 사다요시 중장 | 1912년 1월 14일 | 1915년 1월 25일 |
6 | 이노구치 세이고 중장 | 1915년 1월 25일 | 1916년 8월 18일 |
7 | 아키야마 요시후루 중장 | 1916년 8월 16일 | 1917년 8월 6일 |
8 | 마쓰가와 도시타네 중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7월 24일 |
9 | 우쓰노미야 다로 중장 | 1918년 7월 24일 | 1920년 8월 16일 |
10 | 오바 지로 중장 | 1920년 8월 16일 | 1922년 11월 24일 |
11 | 기구치 신노스케 중장 | 1922년 11월 24일 | 1924년 8월 20일 |
12 | 스즈키 소로쿠 중장 | 1924년 8월 20일 | 1926년 3월 2일 |
13 | 모리오카 슈세이 대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3월 5일 |
14 | 가나야 한조 중장 | 1927년 3월 5일 | 1929년 8월 1일 |
15 | 미나미 지로 중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11월 22일 |
16 | 하야시 센주로 중장 | 1930년 11월 22일 | 1932년 5월 26일 |
17 | 가와시마 요시유키 중장 | 1932년 5월 26일 | 1934년 8월 1일 |
18 | 우에다 겐키치 중장 | 1934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19 | 고이소 구니아키 중장 | 1935년 12월 2일 | 1938년 7월 15일 |
20 | 나카무라 고타로 대장 | 1938년 7월 15일 | 1941년 7월 7일 |
21 | 이타가키 세이시로 대장 | 1941년 7월 7일 | 1945년 4월 7일 |
22 | 고즈키 요시오 중장 | 1945년 4월 7일 | 1945년 9월 9일[1] |
5. 역대 참모장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사이토 리키사부로 중좌 | 1904년 3월 19일 | 1904년 9월 12일 |
2 | 오치아이 도요사부로 소장 | 1904년 9월 12일 | 1905년 4월 7일 |
3 | 오타니 기쿠조 소장 | 1905년 4월 7일 | 1905년 6월 1일 |
4 | 무타 게이쿠치로 소장 | 1906년 6월 1일 | 1908년 12월 21일 |
5 | 아카시 모토지로 소장 | 1908년 12월 21일 | 1910년 6월 15일 |
6 | 사카키바라 쇼조 소장 | 1910년 6월 15일 | 1910년 11월 30일 |
7 | 시바 가쓰사부로 소장 | 1910년 11월 30일 | 1912년 9월 28일 |
8 | 다치바나 고이치로 소장 | 1912년 9월 28일 | 1914년 4월 17일 |
9 | 후루미 이즈시오 소장 | 1914년 4월 17일 | 1916년 4월 1일 |
10 | 시로주 아와시 소장 | 1916년 4월 1일 | 1917년 8월 6일 |
11 | 이치카와 겐타로 소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11월 1일 |
12 | 오노 도요시 소장 | 1918년 11월 1일 | 1921년 7월 20일 |
13 | 야스미쓰 긴이치 소장 | 1921년 7월 20일 | 1923년 8월 6일 |
14 | 아카이 하루미 소장 | 1923년 8월 6일 | 1926년 3월 2일 |
15 | 하야시 센유키 소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8월 26일 |
16 | 데라우치 히사이치 소장 | 1927년 8월 26일 | 1929년 8월 1일 |
17 | 나카무라 고타로 소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9월 22일 |
18 | 고다마 도모오 소장 | 1930년 9월 22일 | 1933년 8월 1일 |
19 | 오구시 게이키치 소장 | 1933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20 | 사에다 요시시게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12월 1일 |
21 | 구노 세이이치 소장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3월 1일 |
22 | 기타노 겐조 소장 | 1938년 3월 1일 | 1939년 9월 7일 |
23 | 가토 가기헤이 소장 | 1939년 9월 7일 | 1941년 3월 1일 |
24 | 다카하시 단 소장 | 1941년 3월 1일 | 1942년 7월 9일 |
25 | 이하라 준지로 소장 | 1942년 7월 9일 | 1945년 9월 9일 |
5. 1. 한국주차군 참모장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사이토 리키사부로 중좌 | 1904년 3월 19일 | 1904년 9월 12일 |
2 | 오치아이 도요사부로 소장 | 1904년 9월 12일 | 1905년 4월 7일 |
3 | 오타니 기쿠조 소장 | 1905년 4월 7일 | 1905년 6월 1일 |
4 | 무타 게이쿠치로 소장 | 1906년 6월 1일 | 1908년 12월 21일 |
5 | 아카시 모토지로 소장 | 1908년 12월 21일 | 1910년 6월 15일 |
6 | 사카키바라 쇼조 소장 | 1910년 6월 15일 | 1910년 11월 30일 |
7 | 시바 가쓰사부로 소장 | 1910년 11월 30일 | 1912년 9월 28일 |
8 | 다치바나 고이치로 소장 | 1912년 9월 28일 | 1914년 4월 17일 |
9 | 후루미 이즈시오 소장 | 1914년 4월 17일 | 1916년 4월 1일 |
10 | 시로주 아와시 소장 | 1916년 4월 1일 | 1917년 8월 6일 |
11 | 이치카와 겐타로 소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11월 1일 |
12 | 오노 도요시 소장 | 1918년 11월 1일 | 1921년 7월 20일 |
13 | 야스미쓰 긴이치 소장 | 1921년 7월 20일 | 1923년 8월 6일 |
14 | 아카이 하루미 소장 | 1923년 8월 6일 | 1926년 3월 2일 |
15 | 하야시 센유키 소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8월 26일 |
16 | 데라우치 히사이치 소장 | 1927년 8월 26일 | 1929년 8월 1일 |
17 | 나카무라 고타로 소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9월 22일 |
18 | 고다마 도모오 소장 | 1930년 9월 22일 | 1933년 8월 1일 |
19 | 오구시 게이키치 소장 | 1933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20 | 사에다 요시시게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12월 1일 |
21 | 구노 세이이치 소장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3월 1일 |
22 | 기타노 겐조 소장 | 1938년 3월 1일 | 1939년 9월 7일 |
23 | 가토 가기헤이 소장 | 1939년 9월 7일 | 1941년 3월 1일 |
24 | 다카하시 단 소장 | 1941년 3월 1일 | 1942년 7월 9일 |
25 | 이하라 준지로 소장 | 1942년 7월 9일 | 1945년 9월 9일 |
5. 2. 조선주차군 참모장
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사이토 리키사부로(斎藤力三郎) 중좌 | 1904년 3월 19일 | 1904년 9월 12일 |
2 | 오치아이 도요사부로(落合豊三郎) 소장 | 1904년 9월 12일 | 1905년 4월 7일 |
3 | 오타니 기쿠조(大谷喜久蔵) 소장 | 1905년 4월 7일 | 1905년 6월 1일 |
4 | 무타 게이쿠치로(牟田敬九郎) 소장 | 1906년 6월 1일 | 1908년 12월 21일 |
5 |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ニ郎) 소장 | 1908년 12월 21일 | 1910년 6월 15일 |
6 | 사카키바라 쇼조(榊原昇造) 소장 | 1910년 6월 15일 | 1910년 11월 30일 |
7 | 시바 가쓰사부로(柴勝三郎) 소장 | 1910년 11월 30일 | 1912년 9월 28일 |
8 | 다치바나 고이치로(立花小一郎) 소장 | 1912년 9월 28일 | 1914년 4월 17일 |
9 | 후루미 이즈시오(古海厳潮) 소장 | 1914년 4월 17일 | 1916년 4월 1일 |
10 | 시로주 아와시(白水淡) 소장 | 1916년 4월 1일 | 1917년 8월 6일 |
11 | 이치카와 겐타로(市川堅太郎) 소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11월 1일 |
12 | 오노 도요시(大野豊四) 소장 | 1918년 11월 1일 | 1921년 7월 20일 |
13 | 야스미쓰 긴이치(安満欽一) 소장 | 1921년 7월 20일 | 1923년 8월 6일 |
14 | 아카이 하루미(赤井春海) 소장 | 1923년 8월 6일 | 1926년 3월 2일 |
15 | 하야시 센유키(林仙之) 소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8월 26일 |
16 | 데라우치 히사이치(寺内寿一) 소장 | 1927년 8월 26일 | 1929년 8월 1일 |
17 | 나카무라 고타로(中村孝太郎) 소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9월 22일 |
18 | 고다마 도모오(児玉友雄) 소장 | 1930년 9월 22일 | 1933년 8월 1일 |
19 | 오구시 게이키치(大串敬吉) 소장 | 1933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20 | 사에다 요시시게(佐枝義重)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12월 1일 |
21 | 구노 세이이치(久納誠一) 소장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3월 1일 |
22 | 기타노 겐조(北野憲造) 소장 | 1938년 3월 1일 | 1939년 9월 7일 |
23 | 가토 가기헤이(加藤鑰平) 소장 | 1939년 9월 7일 | 1941년 3월 1일 |
24 | 다카하시 단(高橋坦) 소장 | 1941년 3월 1일 | 1942년 7월 9일 |
25 | 이하라 준지로(井原潤次郎) 소장 | 1942년 7월 9일 | 1945년 9월 9일 |
5. 3. 조선군 참모장
대수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1 | 사이토 리키사부로(斎藤力三郎) 중좌 | 1904년 3월 19일 | 1904년 9월 12일 |
2 | 오치아이 도요사부로(落合豊三郎) 소장 | 1904년 9월 12일 | 1905년 4월 7일 |
3 | 오타니 기쿠조(大谷喜久蔵) 소장 | 1905년 4월 7일 | 1905년 6월 1일 |
4 | 무타 게이쿠치로(牟田敬九郎) 소장 | 1906년 6월 1일 | 1908년 12월 21일 |
5 |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ニ郎) 소장 | 1908년 12월 21일 | 1910년 6월 15일 |
6 | 사카키바라 쇼조(榊原昇造) 소장 | 1910년 6월 15일 | 1910년 11월 30일 |
7 | 시바 가쓰사부로(柴勝三郎) 소장 | 1910년 11월 30일 | 1912년 9월 28일 |
8 | 다치바나 고이치로(立花小一郎) 소장 | 1912년 9월 28일 | 1914년 4월 17일 |
9 | 후루미 이즈시오(古海厳潮) 소장 | 1914년 4월 17일 | 1916년 4월 1일 |
10 | 시로주 아와시(白水淡) 소장 | 1916년 4월 1일 | 1917년 8월 6일 |
11 | 이치카와 겐타로(市川堅太郎) 소장 | 1917년 8월 6일 | 1918년 11월 1일 |
12 | 오노 도요시(大野豊四) 소장 | 1918년 11월 1일 | 1921년 7월 20일 |
13 | 야스미쓰 긴이치(安満欽一) 소장 | 1921년 7월 20일 | 1923년 8월 6일 |
14 | 아카이 하루미(赤井春海) 소장 | 1923년 8월 6일 | 1926년 3월 2일 |
15 | 하야시 센유키(林仙之) 소장 | 1926년 3월 2일 | 1927년 8월 26일 |
16 | 데라우치 히사이치(寺内寿一) 소장 | 1927년 8월 26일 | 1929년 8월 1일 |
17 | 나카무라 고타로(中村孝太郎) 소장 | 1929년 8월 1일 | 1930년 12월 22일 |
18 | 고다마 도모오(児玉友雄) 소장 | 1930년 12월 22일 | 1933년 8월 1일 |
19 | 오구시 게이키치(大串敬吉) 소장 | 1933년 8월 1일 | 1935년 12월 2일 |
20 | 사에다 요시시게(佐枝義重) 소장 | 1935년 12월 2일 | 1936년 12월 1일 |
21 | 구노 세이이치(久納誠一) 소장 | 1936년 12월 1일 | 1938년 3월 1일 |
22 | 기타노 겐조(北野憲造) 소장 | 1938년 3월 1일 | 1939년 9월 7일 |
23 | 가토 가기헤이(加藤鑰平) 소장 | 1939년 9월 7일 | 1941년 3월 1일 |
24 | 다카하시 단(高橋坦) 소장 | 1941년 3월 1일 | 1942년 7월 9일 |
25 | 이하라 준지로(井原潤次郎) 소장 | 1942년 7월 9일 | 1945년 2월 1일 |
참조
[1]
서적
Japan's Secret War: How Japan's Race to Build its Own Atomic Bomb Provided the Groundwork for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Permuted Press (third edition)
2019-12-10
[2]
뉴스
The Forgotten Soviet-Japanese War of 1939: From May to September 1939, the USSR and Japan fought an undeclared war involving over 100,000 troops.
https://thediplomat.[...]
2012-08-28
[3]
웹사이트
Tsuji Masanobu (1901-1961?)
http://pwencycl.kgbu[...]
2020-12-11
[4]
간행물
『官報』第7586号、明治41年10月7日
[5]
웹사이트
●日米交渉当時の日本陸軍の部隊編成
https://www.jacar.go[...]
国立公文書館 アジア歴史センター
2023-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