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이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이왕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기록이 없으나, 조선 정종 때 일본의 오우치 요시히로가 보낸 족보를 통해 존재가 알려진 백제 왕족이다.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진이왕은 백제 왕족으로 도요타 씨와 오우치 씨의 15대 선조이며, 법왕과 무왕 사이에 즉위한 국왕으로 나타난다. 일본 기록에서는 위덕왕 또는 법왕을 부왕으로, 무왕을 아들로, 귀실복신을 조카로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왕족 - 소서노
소서노는 졸본 부여 또는 연타발의 딸로, 북부여 우태와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으며, 고구려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고구려 건국을 돕고 두 아들과 함께 백제를 건국한 인물이다. - 백제의 왕족 - 곤지
곤지는 백제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으로, 일본에 파견되어 가와치 지역 개척에 기여했으며 귀국 후 내신좌평에 임명되었고 무령왕 탄생 설화와 관련되어 일본에서 숭배받는 인물이다. - 한국계 일본인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한국계 일본인 - 오선화
오선화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평론가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호스티스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 데뷔 후 한일 관계와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진이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이왕 |
본명 | 왕진이 |
개인 정보 | |
출생일 | 알 수 없음 |
출생지 | 알 수 없음 |
사망일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알 수 없음 |
매장지 | 알 수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
성별 | 알 수 없음 |
가족 관계 | |
부왕 | 위덕왕 |
모후 | 알 수 없음 |
자녀 | 복신 |
왕비 | 알 수 없음 |
왕위 계승 | |
재위 | 알 수 없음 |
전임자 | 법왕 |
후임자 | 무왕 |
기타 정보 | |
묘호 | 알 수 없음 |
시호 | 알 수 없음 |
가문 | 알 수 없음 |
국적 | 백제 |
왕조 | 알 수 없음 |
연호 | 알 수 없음 |
목록 | 백제의 추존 국왕 |
2. 생애
진이왕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의 존재는 조선 정종 때 일본의 번주 오우치 요시히로(大內義弘)가 보낸 족보를 통해 알려졌다.[1]
2. 1. 조선 조정에 알려진 경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의 존재는 조선 정종 때 일본의 번주 오우치 요시히로가 보낸 족보를 통해 알려졌다. 오우치 요시히로는 자신이 백제 성왕의 셋째 아들 임성태자의 후손이라는 것을 확인, 입증해 달라는 공문을 정종 1년(1398년) 7월에 조선으로 정식으로 보냈는데, 거기에 진이왕에 관한 기록이 나타난다.[1]3. 일본 측 기록
백제 왕족으로, 왜국 도요타 씨와 오우치 씨 가문의 제15세대 선조라고 한다.[3] 일본 신찬성씨록과 도요다 씨 및 오우치 씨의 족보에 따르면 그는 법왕과 무왕 사이에 즉위한 국왕이다. 법왕과 아좌태자의 왕위 다툼을 중재하기 위해 일본 측에서 임시로 즉위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으나 확실하지 못하다.
3. 1. 일본 측 기록에 나타난 진이왕
백제 왕족으로, 왜국 도요타 씨와 오우치 씨 가문의 제15세대 선조라고 한다.[3] 일본 신찬성씨록 및 도요타 씨와 오우치 씨의 족보에 따르면, 진이왕은 법왕과 무왕 사이에 즉위한 국왕으로 나타난다.일본 도요타 씨 가문의 가계도에서는 14대조 법왕과 16대조 무왕 사이에 존재한다. 법왕과 아좌태자의 왕위 다툼을 중재하기 위해 일본 측에서 임시로 즉위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으나 확실하지 못하다.
3. 2. 재위 기간에 대한 추측
일본 도요타 씨 가문의 가계도에서는 14대조 법왕과 16대조 무왕 사이에 진이왕이 존재한다.[3] 법왕과 아좌태자의 왕위 다툼을 중재하기 위해 일본 측에서 진이왕을 임시로 즉위시켰다는 추측이 있으나, 확실한 근거는 부족하다.4. 가계
참조
[1]
문서
Shinsen Shōjiroku
[2]
문서
Shinsen Shōjiroku
[3]
웹인용
豊 田 家 系 譜
http://www.nichiren.[...]
2008-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