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덕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덕왕은 백제의 제27대 왕으로, 성왕의 맏아들이다. 그는 즉위 전 신라와의 갈등, 관산성 전투에서의 아버지 성왕의 사망, 고구려의 침공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위덕왕은 신라와 고구려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 남조와 외교 관계를 강화했으며, 일본에 불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말년에는 수나라에 고구려 공격을 제안했으나 실패했고, 동생 혜왕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사망 -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는 6세기 수도승이자 학자로, 성서학과 교회법에 능통했으며, 서기 연대표를 고안하고 부활절 계산법을 통해 교회 간의 논쟁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여 서방 교회의 법 체계와 달력 체계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 6세기 사망 - 단양이
6세기 초 백제인이었던 단양이는 임나 사현 할양 및 기문·대사 하사와 관련된 백제의 외교적 교대 제도의 일환으로 일본에 건너갔다는 기록이 있으나, 일본서기 기록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백제의 불교도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 백제의 불교도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6세기 한국의 군주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 6세기 한국의 군주 - 동성왕
동성왕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왕권 강화, 활발한 외교, 탐라 정벌 등 국력 신장에 기여했으나 말년의 폭정으로 암살당했으며, 무령왕과의 관계는 기록이 엇갈려 논쟁거리가 된다.
위덕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위덕왕 |
휘 | 창(昌) |
생년 | 525년? |
몰년 | 598년 12월 |
재위 기간 | 554년 - 598년 |
묘호 | 미상 |
시호 | 위덕(威德) |
부왕 | 성왕 |
자녀 | 아좌태자, 임성태자 |
백제 군주 | |
대수 | 27대 |
칭호 | 국왕 |
성・휘 | 부여 창 |
자 | 미상 |
소자 | 미상 |
호 | 미상 |
묘호 | 미상 |
별호 | 미상 |
정치 | |
어라하 | 어라하 |
연호 | 건흥(建興)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성왕 |
어머니 | 미상 |
왕후/왕배 | 미상 |
비빈 | 미상 |
자녀 | 미상 |
불교 | |
관련 사찰 | 왕흥사 |
일본과의 관계 | |
주요 인물 | 일라 달솔 일라(達率日羅) 아리시등자 달솔일라(阿利斯登子達率日羅) |
기술자 파견 | 율사(律師) 선사(禪師) 비구니 주금사(呪噤師) 조불공(造佛工) 조사공(造寺工) 노반박사(露盤博士) 장덕(將德) 백미순(白味淳) 와박사(瓦博士) 마나문노(麻奈文奴), 양귀문(陽貴文), 석마제미(昔麻帝彌) 화공(畵工) 백가(白加) |
기타 | |
관련 기록 | 삼국사기 일본서기 |
2. 생애
성왕의 맏아들로, 태자 시절부터 국정에 참여했다.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하자, 적극적으로 정벌론을 주장하며 신라와의 전쟁에 앞장섰다.[26] 554년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전사하자,[2] 위덕왕은 큰 충격을 받고 한때 승려가 되려고 했으나, 신하들의 만류로 왕위에 올랐다.[26]
즉위 초부터 성왕의 전사[26], 한강 유역 상실, 가야 연맹 붕괴 등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신라와의 관계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고구려와도 적대적인 관계였다.
중국 남북조 시대의 여러 국가(진, 북제, 수)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여 신라와 고구려의 압박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26] 598년 수나라와 고구려가 요동을 놓고 전쟁을 벌이자, 고구려를 비난하며 수나라에 군사적 지원을 제의했으나 거절당했다.[28]
2. 1. 즉위 전
성왕의 맏아들로, 태자 시절부터 국정에 참여했다.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하자, 적극적으로 정벌론을 주장하며 신라와의 전쟁에 앞장섰다.[26] 554년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전사하자,[2] 위덕왕은 큰 충격을 받고 한때 승려가 되려고 했으나, 신하들의 만류로 뜻을 접고 왕위에 올랐다.[26]성왕 재위 기간 동안 백제는 신라와 가야 연맹과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1년 고구려로부터 현재의 서울 지역을 되찾았다. 그러나 신라는 동맹을 배신하고 고구려와 비밀 협약을 맺어 해당 영토를 차지했다.
위덕왕은 귀족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신라에 대한 보복 공격을 조직했다. 관산성 전투에 참여했는데, 이 전투에서 아버지 성왕과 약 3만 명의 병사가 신라군에 사망했다. 『일본서기』 흠명기에는 신라를 치려고 한 것은 위덕왕이며, 성왕이 아니라고 기록되어있다.[2] 『삼국사기』 백제본기에서는 성왕의 죽음 직후에 즉위하여 왕으로서 고구려전에 임했다고 하지만, 『일본서기』에서는 흠명천황 16년(555년) 2월조에 위덕왕이 동생인 혜왕을 보내 성왕의 죽음을 알렸다는 것, 같은 해 8월조에는 왕위에 오르지 않고 승려가 되려 했다는 것, 흠명천황 18년(557년) 3월에 위덕왕이 즉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3]
2. 2. 신라와의 갈등
위덕왕은 즉위 초부터 아버지 성왕의 전사[26], 한강 유역 상실, 가야 연맹 붕괴 등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신라와의 관계가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 직면했다.561년 음력 7월, 위덕왕은 가야와 왜에 밀사를 파견하여 신라에게 빼앗긴 가야 땅을 되찾을 방법을 모색하였고, 결국 신라를 공격했다.[27] 그러나 백제군은 신라의 반격에 밀려 1천 명의 사망자를 내고 크게 패배하였다.[27] 이 전투의 결과, 이사부가 이끈 신라 정예군은 화랑 사다함을 앞세워 단기간에 가야 전역을 휩쓸어버렸고, 신라는 가야 연맹 전체를 정복하였다.
위덕왕 치세 동안 백제는 신라 및 고구려와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경쟁 국가들을 상대로 다양한 전투와 국경 침략을 감행했다.
2. 3. 대외 관계 및 고구려와의 충돌
위덕왕은 신라와 고구려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 남북조 시대의 여러 국가(진, 북제, 수)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데 힘썼다.[26]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킬 당시 수나라의 전함 한 대가 탐라에 표류해 왔는데, 위덕왕은 그들의 배를 수리해주고 조공을 가득 채워서 함께 돌려보냈다. 양견은 이 일로 위덕왕을 가벼이 여기고, 굳이 사신을 보내고 조공을 바치는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서를 내리기까지 하였다.598년 수나라와 고구려가 요동을 놓고 전쟁을 벌이자, 위덕왕은 사신을 파견하여 고구려는 예의가 없고 오만한 나라라고 비난하며, 수나라가 다시 고구려를 친다면 백제가 도와주겠다는 제의를 했다. 그러나 양견은 아직 고구려를 재침할 여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위덕왕의 제의를 거절하였다.[28] 한편, 백제가 수나라에게 고구려를 치도록 선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해들은 고구려는 즉시 병력을 동원하여 보복을 감행하고 돌아갔다.[28]
위덕왕은 567년, 577년, 584년, 그리고 586년에 진 왕조에 사절단을 파견했고, 567년에는 북제에 백제 최초의 사절단을 보냈다. 570년, 북제는 그에게 "대방군 공(Duke of Daifang commandery)" 등의 칭호를 하사했고, 572년에 다시 조공 사절단을 보냈다. 577년 북제가 북주에 의해 정복된 후, 백제는 악사들을 포함한 축하 사절단을 북주 조정에 보냈다. 이듬해, 두 번째이자 마지막 사절단이 북주에 파견되었고, 581년 북주는 수로 대체되었다.
위덕왕은 581년에 수 조정에 즉각적인 축하 사절단을 보냈고, 582년에도 또 다른 사절단을 보냈다. 589년 수는 진을 정복하고 중국을 통일했다. 같은 해, 수의 군함이 우연히 탐라의 백제 속령인 제주도에 좌초되었다. 위덕왕은 승무원들에게 (조공과 축하를 담아) 중국 조정으로 향하는 공식 호송을 제공했다. 598년 그는 그해 고구려에 대한 수의 원정에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하는 사절단을 파견했다. 그러나 그 원정은 이미 완료된 상태였다. 고구려 영양왕은 이 소식을 듣고 백제의 북쪽 국경에 대한 징벌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3. 가계
위덕왕은 성왕의 맏아들이다. 동생은 혜왕, 조카는 법왕이다. 왕비는 소씨(召氏)이다. 아들로는 아좌태자[29], 임성태자, 무왕 등이 있다. 차남은 일찍 죽어, 위덕왕이 아들을 위해 탑을 세우고 사리함을 남겼다.
3. 1. 가계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성왕 | |
어머니 | 미상 | |
형제 | 부여계 | |
자매 | 소비부인 | 진흥왕의 비 |
형제 | 목도왕 | 일본에 정착, 귀실씨, 오카노무라지 씨의 조상 |
왕비 | 미상, 소씨(召氏) | |
장남 | 아좌태자 | 597년 일본으로 건너가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를 그림[29] |
차남 | 조졸 | 사리함을 남김 |
3남 | 임성태자 | 611년 일본으로 건너가 오우치 씨의 조상이 됨 |
후궁 | 연가모 | 연씨(延氏) |
4남 | 부여장 (부여서동) | 백제 제30대 국왕 |
동생 | 혜왕 | |
조카 | 법왕 |
4. 대중문화 속 위덕왕
위덕왕은 여러 드라마에서 다루어졌다. 2005년~2006년 SBS 드라마 《서동요》에서는 정욱이, 2016년~2017년 KBS2 드라마 《화랑》에서는 김민준이, 2017년 KBS 드라마 《한국사기》에서는 박병욱이 위덕왕을 연기했다.
4. 1. 드라마
참조
[1]
문서
日本書紀 巻十九 欽明天皇紀 十四年 冬十月庚寅朔己酉
[2]
웹사이트
日本書紀 巻第十九 欽明天皇紀
https://www.seisaku.[...]
2024-12-06
[3]
문서
『日本書紀』舒明天皇15年条
[4]
문서
熊津(忠清南道公州市)と見るのが有力だが、京畿道安城市 (京畿道)|安城市の安城川付近と見る説もある。
[5]
문서
この百済と新羅との抗争について、『三国史記』百済本紀は威徳王8年(561年)とするが、新羅本紀は真興王23年(562年)、『日本書紀』は欽明天皇23年(562年)とする。
[6]
문서
『三国史記』新羅本紀では、562年8月に伽耶諸国が反乱を起こしたことと、新羅の将軍の異斯夫・斯多含の前にすべて降伏したことを伝えている。
[7]
문서
昌王(威徳王)の丁亥年は567年に当たる。『三国史記』百済本紀や年表では丁亥年を王の14年としているが、先代の聖王の薨去は554年7月であり、立年称元であれば威徳王14年、踰年称元であれば威徳王13年となる。立年・踰年については改元を参照。
[8]
문서
「系図纂要」、内閣文庫号外七
[9]
서적
日鮮史話 第2編
https://dl.ndl.go.jp[...]
朝鮮総督府
1926
[10]
서적
山口県史 上巻
https://dl.ndl.go.jp[...]
山口県史編纂所
1934
[11]
서적
国史概説
https://dl.ndl.go.jp[...]
日本歴史地理学会
1910
[12]
서적
日本外史補 新訳
https://dl.ndl.go.jp[...]
新潮社
1912
[13]
서적
日本史蹟文庫 群雄の争乱
https://dl.ndl.go.jp[...]
岡田文祥堂
1913
[14]
서적
삼국사기
1145
[15]
서적
삼국사기
1145
[16]
서적
일본서기
0720
[17]
서적
야사로 보는 삼국의 역사1
가람기획
2006
[18]
서적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페이퍼로드
2008
[19]
서적
일본서기
0720
[20]
서적
한국인의 윤리사상사
학문사
2000
[21]
서적
일본서기
0720
[22]
서적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3
김영사
2004
[23]
서적
일본서기
0720
[24]
서적
구수한 큰맛
다할미디어
2005
[25]
서적
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004
[26]
서적
삼국사기
1145
[27]
서적
삼국사기
1145
[28]
문서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웅진닷컴, 서울 2004. 277-279쪽
[29]
서적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증보판)
웅진닷컴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