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질지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질지왕은 452년에 왕후사를 건립하고 밭을 기증하여 수로왕과 허왕옥의 명복을 빌었다. 463년 왜구의 침략을 방어하고, 481년 신라를 지원하여 고구려, 말갈 연합군을 격퇴했다. 남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보국장군 등의 관작을 받았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미사흔의 딸 통리를 왕비로 맞았으나 아들이 없어, 조카 하희를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선통을 태자로 삼았으나 선통과 통리가 죽자 김상의 딸 방원을 왕후로 삼았다. 질지왕의 아들로는 겸지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관가야 국왕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금관가야 국왕 - 구형왕
    구형왕은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으로, 신라에 항복 후 신라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으며, 그의 후손 김유신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공헌하였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해 김씨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김해 김씨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질지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질지왕 또는 금질왕
한자銍知王 또는 金銍王
로마자 표기Jilji wang 또는 Geumjil wang
영어Jilji wang or Geumjil wang
왕조
왕조금관가야
생애
즉위451년
퇴위492년
사망일492년 10월 4일
부왕취희왕
모후인덕
배우자방원
이름
김 질지
존호 및 시호
시호장왕
묘호미상
기타
능묘미상
자녀겸지왕(鉗知王)

2. 생애

질지왕은 452년부터 491년까지 재위한 금관가야의 제7대 왕이다. 수로왕과 허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후사를 창건하고, 왜구의 침략을 막아내는 등 불교 진흥과 국방 강화에 힘썼다. 남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치고 관작을 받기도 하였다.[4]

2. 1. 불교 진흥과 국방 강화

452년 시조 수로왕과 허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로왕과 허황후가 처음 만난 자리에 왕후사(王后寺)란 절을 짓고 밭 10결을 바쳤다.[4] 왕후사는 김해시 보배산에 있었던 절로 임강사 또는 태장사라고도 했는데 터만 남아 있다.

463년 왜구가 황산하(黃山河)를 건너 침략해오자 병사를 보내 방어했다. 481년 고구려말갈신라를 공격하여 미질부성(彌秩夫城)까지 이르자, 신라왕이 원병을 요청해와 백제와 같이 3국이 연합하여 추격하여 니하(泥河)까지 진격해 천여 명을 죽였다. 487년 흰 꿩을 사로잡아 신라에 보냈다.

남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치고는 보국장군(輔國將軍), 본국왕(本國王)의 관작을 하사받은 하지왕(荷知王)과 같은 인물로 추정되기도 한다.

2. 2. 남제와의 외교 관계

452년 시조 수로왕과 허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로왕과 허황후가 처음 만난 자리에 왕후사(王后寺)란 절을 짓고 밭 10결을 바쳤다.[4] 남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치고 보국장군(輔國將軍), 본국왕(本國王)의 관작을 하사받은 하지왕(荷知王)과 같은 인물로 추정되기도 한다.

2. 3. 《화랑세기》에 기록된 왕위 계승 관련 내용

화랑세기》에 의하면 질지왕은 미사흔의 딸 '''통리(通里)'''를 왕후로 삼았으나 아들이 없었다. 이에 통리의 조카인 백흔(白欣)의 딸 '''하희(河喜)'''를 후궁으로 삼았으나, 하희 역시 아들을 낳지 못했다. 얼마 후 통리가 아들 '''선통(善通)'''을 낳자, 질지왕은 크게 기뻐하며 선통을 태자로 삼았다.

선통은 말 타기와 활쏘기를 좋아하여 들에서 사냥을 하던 중 비를 만나 사간(沙干) 김상(金相)의 집에 들어갔다. 김상은 좌지왕의 외손이었다. 김상의 딸 방원은 교태에 능하고 아름다웠는데, 선통을 유혹하여 관계를 맺었고, 1년 남짓하여 딸을 낳았다. 통리는 이 소식을 듣고 딸을 거두어 태자비로 삼았다. 얼마 후 통리와 선통이 모두 죽자, 질지왕은 방원을 왕후로 삼았다. 방원은 질지왕과 আগে 밀통을 하고 있었으며, 왕후가 된 후 아들 겸지(鉗知)를 낳았다.[1]

3. 가계


  • 부왕: 취희왕
  • 모후: 인덕부인 - 각간 진사(進思)의 딸
  • 왕비: 방원부인 - 사간 김상(金相)의 딸[5]
  • 아들: 겸지왕
  • 며느리: 숙부인

참조

[1] 문서 Ilyeon also provides the alternate dates 435–477.
[2] 서적 Ilyeon (1972), p. 168.
[3] 서적 Confucian Statecraft & Korean Institutions: 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6
[4] 문서 권2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질지왕(銍知王)
[5] 문서 좌지왕(坐知王)의 외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