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사흔은 신라의 왕족으로, 내물 마립간의 아들이며, 402년 왜에 볼모로 보내졌다가 박제상의 도움으로 418년에 귀환했다. 귀환 후 서불한 벼슬을 지냈으며, 박제상의 딸과 결혼하여 자비 마립간의 왕비인 딸을 두었다. 《일본서기》에는 미사흔으로 추정되는 미질기지파진간기에 대한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33년 사망 - 사영운
사영운은 동진 시대의 명문가 출신 시인으로, 중국 산수시를 창시하고 불교에 심취하여 《금강반야경주》를 저술했으나, 유송 건국 후 작위 강등과 유배를 겪었다. - 433년 사망 - 저거몽손
저거몽손은 후량 장수 출신으로 반란을 통해 북량을 건국하고 주변국과의 외교 및 서량 정복으로 세력을 확장한 북량의 초대 군주이다. - 인질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인질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는 조선 인조의 며느리이자 소현세자의 부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소현세자의 의문사, 인조의 사사, 숙종 때 복권 등의 사건을 겪었다. - 신라의 문신 - 최승우
최승우는 신라 말기 육두품 출신으로 당나라 유학 후 후백제 관료로 활동하며 뛰어난 문장력을 인정받아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로 불린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다. - 신라의 문신 - 소벌도리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설화 속 돌산고허촌 촌장으로, 박혁거세를 발견하고 양육하여 신라 건국에 기여, 사량부 대인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은 경주 최씨와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되었다.
미사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미사흔 |
한자 | 未斯欣 |
히라가나 | 미시키ㄴ |
가타카나 | 미사훈 |
로마자 표기 | Misahun |
왕족 정보 | |
이름 | 미사흔 |
원어 이름 | 未斯欣 |
목록 | 신라의 왕자 |
부왕 | 내물 이사금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433년 |
사망지 | 미상 |
성별 | 남성 |
왕조 | 신라 |
형제자매 | 눌지, 복호 |
서훈 | 서불한 증직 |
2. 생애
402년 음력 3월 실성 이사금은 왜와 우호 관계를 맺으면서 미사흔을 볼모로 보냈다. 실성 이사금이 죽고 눌지 마립간이 즉위한 뒤인 418년에 박제상의 도움으로 신라로 돌아왔다.[2] 귀환 후 서불한(舒弗邯) 벼슬을 지냈다.
박제상의 미사흔 구출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권 45 〈박제상전〉과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나 두 기록의 연대가 다르다. 이 문서에서는 《삼국사기》 기록을 따른다.
박제상의 딸과 결혼했으며, 자비 마립간의 왕비는 그의 딸이다.[1]
일본서기에 기록된 미질기지파진간기(微叱己知波珍干岐)는 미사흔으로 추정된다.[1]
2. 1. 왜로의 인질
402년 음력 3월 실성 이사금은 왜와 우호 관계를 맺으면서 미사흔을 볼모로 보냈다. 실성 이사금은 백제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동맹 관계에 있는 일본과 화친하여 백제와 일본 사이에 틈을 만들고자 했다. 당시 신라는 일본의 잦은 침략을 받았기 때문에 일본과 화친하는 것을 선택했다.[2]신라가 일본에 화친을 요청하자, 일본은 인질을 보낼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에 신라는 미사흔을 일본에 인질로 보냈으며, 이때 부사로 내신 박사란이 동행했다.[2] 412년에는 미사흔의 형 복호도 고구려에 인질로 보내졌다. 실성 이사금은 내물 마립간에 의해 고구려에 인질로 보내진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내물 마립간의 아들인 미사흔을 인질로 보내는 것에 대한 저항이 적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2]
2. 2. 귀환
418년(눌지 마립간 2년) 박제상의 도움으로 신라로 돌아왔다. 눌지 마립간은 즉위 후 기존의 인질 외교 정책을 전환하려 했고, 이에 따라 미사흔을 귀환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박제상은 왜의 장군 갈성습진언을 속이는 기지를 발휘하여 미사흔의 귀환을 성공시켰다.[2] 귀환 후 미사흔은 서불한(舒弗邯) 벼슬을 지냈다.2. 3. 기타
박제상의 딸과 결혼했으며, 자비 마립간의 왕비는 그의 딸이다.[1]일본서기에 기록된 미질기지파진간기(微叱己知波珍干岐)는 미사흔으로 추정된다.[1]
3. 가계
미사흔의 가계는 신라 왕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거칠부의 아버지는 물력이고 할아버지는 잉숙이며 내물 이사금의 5세손이라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미사흔과 거칠부의 혈연관계를 언급한 대목이 없다. 미사흔이 거칠부의 증조할아버지인지 여부는 다소 불명확하다.
3. 1. 부계
3. 2. 처가
구 분 | 내용 |
---|---|
왕비 | 청아부인(靑我夫人) - 박제상의 딸 |
아들 | 김백흔(金白欣) |
손자 | 섬신공(剡臣公) |
손녀 | 하희(河喜) |
딸 | 희도부인(希道夫人) |
사위 | 자비 마립간(慈悲麻立干) |
외손자 | 소지 마립간(炤知麻立干) |
딸 | 통리부인(通里夫人) |
사위 | 질지왕(銍知王) |
외손자 | 선통(善通) |
딸 | 벽아부인(碧我夫人) |
계비 | 보미궁주(寶美宮主) |
아들 | 김보신(金寶信) |
자부 | 황아공주(皇我公主) - 눌지 마립간의 딸 |
손자 | 김보기(金宝器) |
3. 3. 본가
3. 3. 1. 자녀
부인 | 이름 | 비고 |
---|---|---|
왕비 | 청아부인(靑我夫人) | 박제상의 딸 |
계비 | 보미궁주(寶美宮主) |
구 분 | 이름 | 비고 |
---|---|---|
아들 | 김백흔(金白欣) | |
손자 | 섬신공(剡臣公) | |
손녀 | 하희(河喜) | |
딸 | 희도부인(希道夫人) | |
사위 | 자비 마립간(慈悲麻立干) | |
외손자 | 소지 마립간(炤知麻立干) | |
딸 | 통리부인(通里夫人) | |
사위 | 질지왕(銍知王) | |
외손자 | 선통(善通) | |
딸 | 벽아부인(碧我夫人) | |
아들 | 김보신(金寶信) | 눌지 마립간의 딸 황아공주(皇我公主)와 혼인 |
손자 | 김보기(金宝器)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거칠부의 아버지는 물력이고 할아버지는 잉숙이며 내물 이사금의 5세손이라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미사흔과 거칠부의 혈연관계를 언급한 대목이 없다. 미사흔이 거칠부의 증조할아버지인지 여부는 다소 불명확하다.
4. 논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거칠부의 아버지는 물력, 할아버지는 잉숙이며 내물 이사금의 5세손이라고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미사흔과 거칠부의 혈연관계를 언급한 대목이 없다. 따라서 미사흔이 거칠부의 증조할아버지인지 여부는 불명확하다.
참조
[1]
서적
日本書紀』神功皇后5年3月7日条
[2]
서적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