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쪽발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쪽발이'는 일본인을 비하하는 한국어 멸칭으로, '쪼개진 발'을 의미한다. 어원은 일본 전통 신발인 '게다'가 발가락을 분리하는 형태에서 유래되었으며, 1880년대 문헌에서도 확인된다. '반쪽바리'는 일본화된 한국인, 한국계 일본인, 재일 한국인 등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쪽발이'와 관련된 표현으로는 게다짝, 짜개발, 딸깍발이 등이 있으며, 문예 작품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종주의 - 일베저장소
    일베저장소는 디시인사이드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혐오 표현과 극우 성향의 정치적 입장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점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인종주의 - 네이트 판
    네이트 판은 2006년 네이트닷컴 게시판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의 온라인 커뮤니티 형태를 갖추었으며, 사용자들은 다양한 주제 토론과 경험 공유를 통해 소통하고 특히 톡톡 섹션은 활발한 참여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니거
    '니거'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인종차별적 욕설로, 흑인을 지칭하는 중립적 단어에서 모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는 금기시되며, 흑인 사회 내부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흑인이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인종차별 행위로 간주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샤오르번
    샤오르번은 중일전쟁 이후 중국에서 일본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용어로, "작은 일본"을 의미하며 일본의 침략에 대한 적개심과 반일 감정의 표현으로 사용된다.
  • 한국의 반일 감정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한국의 반일 감정 - 여명의 눈동자
    김성종의 소설을 원작으로 송지나가 극본을 쓰고 김종학 PD가 연출한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쪽발이
일반 정보
용어일본인을 비하하는 한국어 속어
언어한국어
의미'갈라진 발'을 의미하며, 일본인이 전통적으로 게다를 신는 데서 유래
다른 표현
어원
유래일본인이 전통적으로 신던 게다의 갈라진 발 모양에서 유래
변형'짜개발'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음
일본어
표기チョッパリ
로마자 표기Choppari
한국어
표기쪽발이 / 쪽바리
로마자 표기Jjokbari
기타
참고'왜놈', '일본놈'과 함께 사용되는 일본인 비하 속어

2. 어원

"쪽발이"는 "쪼개진 발"이라는 뜻이다.[5] 한국어 ''쪽''은 "조각"을, ''발''은 "발"을 의미하며, 합쳐서 "쪼개진 발" 또는 "갈라진 발굽"으로 번역된다. 이는 일본 전통 신발인 게다가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분리하는 형태에서 유래했다.[6]

일본 전통 신발 게다. 한국 짚신과 달리 게다는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네 발가락을 분리한다.


한국 짚신은 발 전체를 덮지만, 일본 짚신과 게다는 밑창과 끈으로만 되어 있어 발가락 사이가 벌어진다. 한국인들은 이를 불완전하다고 여겼고, 갈라진 발 모양이 민족 비하 표현을 유발할 만큼 독특하다고 생각했다.[7]

1880년 파리 외방전교회요코하마에서 출판한 프랑스어-한국어 사전에는 "ᄶᅩᆨ발. Pied à corne divisée en deux."라고, 캐나다선교사 James Scarth Gale|제임스 스카스 게일영어의 한국어-영어 사전(1897년)에는 "ᄶᅩᆨ발이 A cloven foot."라고 기록되어 있어, 한일 병합 조약 이전부터 이 단어가 쓰였음을 알 수 있다.

340px


340px


"쪽발"은 원래 "쌍굽" 등을 의미하는 한국어에서 유래했으며[15], "족발"에서 왔다는 설은 잘못되었다.[16]

2. 1. 어원과 유래

'쪽발이'는 "쪼개진 발"을 뜻하는 한국어 '쪽'과 '발'이 합쳐진 말이다.[5] '쪽'은 "조각"을, '발'은 "발"을 의미하며, 이 둘을 합치면 "쪼개진 발" 또는 "갈라진 발굽"으로 번역된다. 이러한 어원은 일본 전통 나무 샌들인 ''게다''가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분리하는 형태에서 비롯되었다.[6]

한국의 전통 신발인 짚신은 발을 완전히 덮지만, 일본의 짚신과 나무 ''게다''는 밑창과 발바닥을 묶는 끈으로만 되어 있어 발가락 사이가 벌어져 노출된다. 한국인들은 이러한 일본 신발의 형태를 불완전하다고 여겼으며, 발가락 사이가 갈라진 모습이 민족 비하적 표현을 유발할 만큼 독특한 특징이라고 생각했다.[7]

1880년 파리 외방전교회요코하마에서 출판한 『프랑스어-한국어 사전』에는 "ᄶᅩᆨ발. Pied à corne divisée en deux."라고 기재되어 있다.[14] 캐나다선교사 James Scarth Gale|제임스 스카스 게일영어이 저술하고 요코하마에서 출판한 『한국어-영어 사전』(1897년)에도 "ᄶᅩᆨ발이 A cloven foot."라고 기록되어 있어, 한일 병합 조약 이전부터 쪽발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일본인이 발의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을 나누는 나막신을 신는 데서 유래된 말"이라고 등재되어 있다. 한편, 경상북도 방언으로는 구개열[17], 강원특별자치도 방언으로는 불가사리를 의미하기도 한다.[18]

2. 2. 한국어의 다른 의미

'쪽발이'는 경상북도 방언으로 구개열[17], 강원특별자치도 방언으로는 불가사리를 의미하기도 한다[18]

3. '반쪽바리'

"반쪽바리"는 "반쪽 쪽발이"라는 뜻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화된 한국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한국계 일본인[8]과 북한 및 남한으로 귀국한 재일 한국·조선인[9][6]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유사한 멸칭으로 "'''반쪽발이'''"가 있다.[21]

3. 1. 의미와 사용

"반쪽바리"는 문자 그대로 "반쪽 쪽발이"라는 뜻으로, 일제강점기에 일본화된 한국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시작되었다. 이후에는 한국계 일본인[8]과 북한 및 남한으로 귀국한 재일 한국인[9][6]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표현의 일본식 발음인 "반좃파리" 역시 재일 한국인들 사이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널리 사용된다.[3][10] 한글 표기는 "쪽발이"가 정식 표기이지만, 실제 발음에 가까운 "쪽바리"나 "쪽빠리"로 표기되는 경우도 많다.[19][20] 유사한 멸칭으로 "'''반쪽발이'''"가 있는데, 반(半) 일본인을 의미하는 말로, 친일적이거나 일본인과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도 사용되지만, 재일 한국·조선인이나 일본인과 결혼한 동포 및 그 자녀, 자손을 조롱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21] 차별 용어는 아니지만 유사어에 "교포"가 있다.

3. 2. 일본어 발음

"반쪽바리"의 일본식 발음인 "반좃파리" 역시 재일 한국·조선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된다.[3][10]

4. 쪽바리 관련 표현

'쪽바리' 외에도 일본인을 가리키는 다른 표현들이 있다. 신발에서 유래된 표현으로는 게다짝, 짜개발, 딸깍발이가 있고, 섬에서 유래된 표현으로는 도이, 섬오랑캐가 있다. "왜"에서 유래된 표현으로는 왜노, 왜놈, 왜녀, 왜인, 왜적, 왜치, 왜광대, 왜구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일본놈, 재플스 같은 표현이 있다.

4. 1. 신발에서 유래된 표현

게다짝(下駄(げた)), 짜개발, 딸깍발이는 일본 신발과 관련된 멸칭이다.[22][23][24][25][26][27]

4. 2. 섬에서 유래된 표현

도이(島夷)는 문록·경장의 역의 다른 이름인 도이지란(島夷之亂)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일본인을 가리킨다.[28] "섬에 사는 외부의 이민족, 섬의 야만인"이라는 뜻이다.[22]

섬오랑캐는 섬나라 오랑캐라는 뜻으로 일본인을 낮춰 부르는 말이다.[22][29]

4. 3. "왜"에서 유래된 표현

왜노(倭奴 왜노), 왜놈(倭놈 왜놈)[22])은 "왜의 노예"라는 뜻으로, 특히 일본인 남성을 멸시하는 표현이다. 왜녀(倭女 왜녀)는 일본인 여성을 가리키는 모욕적인 말이다. 왜인(倭人 왜인)은 "왜소한 사람" 즉, "키가 극단적으로 작은 사람, 소인"과 발음이 같지만 "왜놈"에 비하면 멸시적인 의미가 옅다. 왜적(倭敵·倭賊 왜적)은 적대적인 일본인 또는 왜구처럼 도둑질을 하는 일본인을 가리킨다. 왜치(倭치 왜치)[30], 왜광대(倭광대 왜광대)[31], 왜구(倭寇 왜구)와 같은 표현도 있다.

4. 4. 기타 표현

5. 문예 작품

'쪽발이' 또는 '반쪽발이'를 소재로 한 문예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고바야시 마사루의 단편 소설 『굽이 갈라진 것』(1969년) [1]
  • 이회성의 단편 소설 『반쪽발이』(1971년) [2]
  • 세이부 스스무의 자전적 장편 평론 『우정-어떤 반쪽발이와의 45년』(2005년) [3]


이 중 고바야시 마사루의 작품은 조선에서 태어나 자란 일본인이 패전 후 "쪽발이"라는 정신적 형벌을 받는 내용이며, 이회성의 작품은 재일 청년의 귀화 갈등을 다룬다. 세이부 스스무의 평론은 재일 야쿠자와의 교우를 다룬다.

5. 1. 소설


  • 고바야시 마사루의 단편 소설 굽이 갈라진 것(1969년)은 조선에서 태어나 자란 일본인이 패전을 계기로 "부외자"임을 강하게 인식하고 "쪽발이"라는 정신적 형벌을 스스로에게 부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소설은 쪽발이-고바야시 마사루 소설집(1970년)에 수록되었다.
  • 이회성의 단편 소설 반쪽발이(1971년)는 귀화 문제로 갈등하는 재일 청년을 주인공으로 한다. 이 소설은 다듬잇돌을 치는 여자(1972년)에 수록되었다.
  • 세이부 스스무의 우정-어떤 반쪽발이와의 45년(2005년)은 저자와 재일 야쿠자 우미노 하루오의 교우를 되돌아본 자전적 장편 평론이다.

5. 2. 평론

고바야시 마사루의 단편 소설 『굽이 갈라진 것』(1969년)은 조선에서 태어나 자란 일본인이 패전을 계기로 "부외자"임을 강하게 인식하고 "쪽발이"라는 정신적 형벌을 스스로에게 부여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소설은 『쪽발이-고바야시 마사루 소설집』(1970년)에 수록되었다.[1]

이회성의 단편 소설 『반쪽발이』(1971년)는 귀화 문제로 갈등하는 재일 청년을 주인공으로 한다. 이 소설은 『다듬잇돌을 치는 여자』(1972년)에 수록되었다.[2]

세이부 스스무의 『우정-어떤 반쪽발이와의 45년』(2005년)은 저자와 재일 야쿠자 우미노 하루오의 교우를 되돌아본 자전적 장편 평론이다.[3]

참조

[1] 서적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https://web.archiv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7-05-10
[2] 웹사이트 チョッパリからイルボンヘ 文化交流の効果 (From Choppari to Ilbon: the effects of cultural exchange) http://www.law.keio.[...] Seikei University 2007-05-10
[3] 서적 Japanese Street Slang https://archive.org/[...] Weatherhill
[4] 뉴스 From Tokyo, a Film of Us vs. Them https://web.archive.[...] 2007-05-10
[5] 문서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1880
[6] 웹사이트 "[방종태 칼럼] 한국의 20, 30세대를 위한 '반쪽발이'의 충고" http://www.woorinews[...] 2023-09-18
[7] 서적 Things Korean Tuttle Publishing
[8] 서적 The Emerging Monoculture: Assimilation and the Model Minority Praeger/Greenwood
[9] 뉴스 They Were Promised a Socialist Paradise, and Ended Up in 'Hell' https://www.nytimes.[...] 2023-09-16
[10] 서적 Die koreanische Minderheit in Japan als Fall einer"politisch-ethnischen" Minderheitengruppe (The Korean minority in Japan as a case of a "political-ethnic" minority group) Harrassowitz
[11] 웹사이트 チョッパリ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19-12-07
[12] 문서
[13] 뉴스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 미국은 천만군민의 보복일념 알아야 한다 http://www.kcna.co.j[...] 朝鮮通信 2017-09-13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daum国語辞典
[18] 문서
[19] 문서 우리말샘
[20] 문서
[21] 웹사이트 「在日3世」の私が、韓国で「差別」されて直面した“祖国・韓国”への「強烈すぎる違和感」 https://gendai.media[...] 2022-10-07
[22] 웹사이트 国立国語院標準国語大辞典 http://stdweb2.korea[...]
[23] 문서
[24] 뉴스 北朝鮮の漫画「ケダジャクが泣く」(1987年)の紹介記事 http://www.dprktoday[...] 朝鮮の今日 2017-06-01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웹사이트 https://ko.dict.nave[...]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뉴스 [불란서일기17]한국에서는 작은 일본, 유럽에서는 컸다 http://news.khan.co.[...] 2012-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