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도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도살인은 적을 공격하기 위해 동맹국이나 제3자를 이용하는 전술을 의미한다.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적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적의 의도가 명확하고 아군은 아직 결정하지 않았을 때, 동맹국을 활용하여 적을 공격하게 하고, 스스로는 힘을 쓰지 않고 상황을 전개한다"는 핵심 전략을 가진다. 역사적으로는 정나라 장공의 사례, 삼국 시대 관우와 손권의 관계, 세키가하라 전투 등에서 차도살인의 전술이 나타났다.

2. 정의 및 해설

'''적이명, 우미정, 인우살적, 부자출력, 이손추연.'''

'''敵已明、友未定、引友殺敵、不自出力、以損推演。'''

적이 우리에 대한 공격 의도를 밝혔는데 동맹국은 아직 대응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동맹국이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여 우리 측의 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적이 우리를 공격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했을 때, 동맹국이 아직 대응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이 동맹국을 끌어들여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우리 측의 노력을 들이는 것이 아니라, 산택손(山澤損)을 통해 상황을 전개해야 한다. 즉 (동맹국이) 기꺼이 자신의 것을 내놓도록 유도해야 한다.

산택손(山澤損)은 위는 산, 아래는 못이다. 아래 괘인 못의 양을 덜어내 위 괘인 산의 음을 더하고, 못의 깊이를 줄여 산의 높이를 더한다. (역경)

2. 1. 기본 개념

'''적이명, 우미정, 인우살적, 부자출력, 이손추연.'''

'''敵已明、友未定、引友殺敵、不自出力、以損推演。'''

적이 우리에 대한 공격 의도를 밝혔는데 동맹국은 아직 대응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동맹국이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여 우리 측의 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적이 우리를 공격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했을 때, 동맹국이 아직 대응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이 동맹국을 끌어들여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우리 측의 노력을 들이는 것이 아니라, 산택손(山澤損)을 통해 상황을 전개해야 한다. 즉 (동맹국이) 기꺼이 자신의 것을 내놓도록 유도해야 한다.

산택손(山澤損)은 위는 산, 아래는 못이다. 아래 괘인 못의 양을 덜어내 위 괘인 산의 음을 더하고, 못의 깊이를 줄여 산의 높이를 더한다. (역경)

2. 2. 핵심 전략

적이 우리에 대한 공격 의도를 밝혔는데 동맹국은 아직 대응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동맹국이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여 우리 측의 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적이 이미 드러났고, 아군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 아군을 끌어들여 적을 공격하게 하고, 스스로는 힘을 쓰지 않아 손실을 통해 상황을 전개한다.'''

적이 우리를 공격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했을 때, 동맹국이 아직 대응을 결정하지 않았다면, 이 동맹국을 끌어들여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우리 측의 노력을 들이는 것이 아니라, 산택손(山澤損)을 통해 상황을 전개해야 한다. 즉, 동맹국이 기꺼이 자신의 것을 내놓도록 유도해야 한다. 산택손(山澤損)은 위는 산, 아래는 못이다. 아래 괘인 못의 양을 덜어내 위 괘인 산의 음을 더하고, 못의 깊이를 줄여 산의 높이를 더한다.

3. 역사적 사례

동맹자나 제삼자가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전술이다. 적을 처단해도 아군의 피해는 입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컨대 적성세력 중 한 국가와 몰래 강화하고 그 조건으로 지금까지 그 나라가 동맹을 맺고 있던 다른 적국을 배후 기습하게 하는 것도 차도살인에 해당한다.

정의 장공이 괴를 빼앗으려 했을 때, 먼저 괴의 신하 중 용맹하고 뛰어난 자들의 이름을 적고, 정이 그들에게 관위와 토지를 주겠다는 서약서를 위조했다. 그것을 괴의 도성 성문 밖에 세운 제단 아래에 묻고, 거기에 닭의 피까지 뿌려 마치 서약 의식이 실제로 행해진 것처럼 꾸몄다. 괴의 군주는 이것을 발견하고 서약서에 이름이 오른 자들을 모두 죽였다. 장공은 곧바로 괴를 멸망시켰다.

219년, 관우는 위의 번성을 공격했다. 정군산 전투에서의 대패에서 벗어나지 못한 위나라의 원군은 격퇴되었고, 조조는 천도를 검토할 정도의 궁지에 몰렸다. 여기서 사마의장제는 관우의 영토를 나누는 조건을 걸고, 오의 손권과 동맹할 것을 조조에게 건의했다. 위와 동맹한 손권은 관우에게 원한을 품은 미방과 사인지를 내응시켜, 관우의 본거지인 강릉을 점령했다. 관우는 어쩔 수 없이 번성에서 철수했지만, 여몽의 회유 작전으로 관우군에서는 이탈자가 속출했다. 관우는 아들과 함께 손권의 군대에 붙잡혀 결국 죽임을 당했다.

1600년 10월 21일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한 동군에 회유된 서군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전투 중에 서군을 이탈한 것이 승패를 결정지었다 (최근 학설에서는 개전 전부터 이탈하고 있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3. 1. 고대 및 중세

동맹자나 제3자가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전술이다. 적을 처단해도 아군의 피해는 입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컨대 적성세력 중 한 국가와 몰래 강화하고 그 조건으로 지금까지 그 나라가 동맹을 맺고 있던 다른 적국을 배후 기습하게 하는 것도 차도살인에 해당한다.

정나라 장공이 회나라를 빼앗으려 할 때, 먼저 회나라 신하들 가운데 용맹하고 우수한 자들에게 벼슬과 토지를 제공하겠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날조했다. 그것을 회나라 수도의 성문 밖에 세운 제단 밑에 매장하고 닭의 피를 뿌려 마치 맹세의 의식이 정말 이루어진 것처럼 공작했다. 회나라 군주는 이를 발견하고 서약서에 이름이 올라있는 사람들을 모조리 죽여 버렸다. 장공은 재빨리 회나라를 들이쳐 멸망시켰다.

219년, 촉나라의 관우위나라의 번성을 공격했다(번성 전투). 방덕우금이 이끄는 위나라 지원군이 관우에게 격퇴되고, 조조는 천도를 검토할 정도로 궁지에 빠졌다. 이때 사마의장제가 관우가 다스리는 형주 땅을 분할하는 것을 조건으로 오나라 손권과 동맹하는 것을 제안했다. 위와 동맹한 손권은 관우에게 원한을 가진 미방과 부사인을 포섭하여 관우의 본거지인 강릉을 점령했다. 관우는 부득이 번성에서 철수했지만, 여몽에 의해 관우군 탈영자가 속출, 관우는 형주 공방전 결과 아들 관평과 함께 살해되었다.

1600년 10월 21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한 동군에 회유된 서군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전투 중에 서군을 배반한 것이 전투의 승패를 결정짓기도 했다.

3. 2. 삼국시대

동맹자나 제삼자가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전술은 적을 처단해도 아군의 피해는 입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컨대 적성세력 중 한 국가와 몰래 강화하고 그 조건으로 지금까지 그 나라가 동맹을 맺고 있던 다른 적국을 배후 기습하게 하는 것도 차도살인에 해당한다.

정나라 장공이 회나라를 빼앗으려 할 때, 먼저 회나라 신하들 가운데 용맹하고 우수한 자들에게 벼슬과 토지를 제공하겠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날조했다. 그것을 회나라 수도의 성문 밖에 세운 제단 밑에 매장하고 닭의 피를 뿌려 마치 맹세의 의식이 정말 이루어진 것처럼 공작했다. 회나라 군주는 이를 발견하고 서약서에 이름이 올라있는 사람들을 모조리 죽여 버렸다. 장공은 재빨리 회나라를 들이쳐 멸망시켰다.

219년, 촉나라의 관우위나라의 번성을 공격했다(번성 전투). 방덕우금이 이끄는 위나라 지원군이 관우에게 격퇴되고, 조조는 천도를 검토할 정도로 궁지에 빠졌다. 이때 사마의장제가 관우가 다스리는 형주 땅을 분할하는 것을 조건으로 오나라 손권과 동맹하는 것을 제안했다. 위와 동맹한 손권은 관우에게 원한을 가진 미방과 부사인을 포섭하여 관우의 본거지인 강릉을 점령했다. 관우는 부득이 번성에서 철수했지만, 여몽에 의해 관우군 탈영자가 속출, 관우는 형주 공방전 결과 아들 관평과 함께 살해되었다.

1600년 10월 21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한 동군에 회유된 서군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전투 중에 서군을 배반한 것이 전투의 승패를 결정짓기도 했다.

3. 3. 근현대

동맹자나 제삼자가 적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전술이다. 적을 처단해도 아군의 피해는 입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컨대 적성세력 중 한 국가와 몰래 강화하고 그 조건으로 지금까지 그 나라가 동맹을 맺고 있던 다른 적국을 배후 기습하게 하는 것도 차도살인에 해당한다.

정나라 장공이 회나라를 빼앗으려 할 때, 먼저 회나라 신하들 가운데 용맹하고 우수한 자들에게 벼슬과 토지를 제공하겠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날조했다. 그것을 회나라 수도의 성문 밖에 세운 제단 밑에 매장하고 닭의 피를 뿌려 마치 맹세의 의식이 정말 이루어진 것처럼 공작했다. 회나라 군주는 이를 발견하고 서약서에 이름이 올라있는 사람들을 모조리 죽여 버렸다. 장공은 재빨리 회나라를 들이쳐 멸망시켰다.

219년, 촉나라의 관우가 위나라의 번성을 공격했다(번성 전투). 방덕우금이 이끄는 위나라 지원군이 관우에게 격퇴되고, 조조는 천도를 검토할 정도로 궁지에 빠졌다. 이때 사마의장제가 관우가 다스리는 형주 땅을 분할하는 것을 조건으로 오나라 손권과 동맹하는 것을 제안했다. 위와 동맹한 손권은 관우에게 원한을 가진 미방과 부사인을 포섭하여 관우의 본거지인 강릉을 점령했다. 관우는 부득이 번성에서 철수했지만, 여몽에 의해 관우군 탈영자가 속출, 관우는 형주 공방전 결과 아들 관평과 함께 살해되었다.

1600년 10월 21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한 동군에 회유된 서군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전투 중에 서군을 배반한 것이 전투의 승패를 결정짓기도 했다.

4. 현대적 적용

4. 1. 정치 및 외교

4. 2. 기업 경영

4. 3. 주의점

5. 결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