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 축소 (물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원 축소는 D+n차원에서 정의된 장론을 콤팩트 리만 다양체 Σn을 통해 축소하여 D차원 장론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차원 축소는 주어진 이론을 M_D × Σ_n 꼴의 공간 위에 정의하고, Σ_n의 부피가 0이 되는 극한을 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차원 축소를 통해 양-밀스 장, 미분 형식, 중력장, 페르미온 등 다양한 장들이 변환되며, 특히 중력장은 스칼라장, 중력장, U(1) 게이지장으로 분해된다. 차원 축소의 한 예시로, 4차원 일반 상대성 이론을 3차원으로 축소하면, 3차원에서는 중력장이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고 게이지장이 스칼라장과 동치이므로, 2개의 스칼라장만 남게 되어 시그마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론물리학 - 시공간
시공간은 시간과 공간을 4차원 연속체로 통합한 개념으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라 상대적이며, 일반 상대성이론에서는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하고, 현대 물리학과 우주론 연구에 필수적이다. - 이론물리학 - 대응원리
대응 원리는 플랑크 상수가 0에 가까워지는 극한에서 양자역학이 고전역학으로 근사적으로 환원됨을 보이는 원리로서, 초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현대에는 유추적인 역할로 중요성이 감소하였지만,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수학적 대응 관계 연구를 통해 계승되고 있다. - 끈 이론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끈 이론 - 잡종 끈 이론
잡종 끈 이론은 닫힌 끈의 왼쪽 진동 모드는 보손 끈, 오른쪽 진동 모드는 초끈으로 전개하며, 10차원 시공간에서 E8×E8 또는 SO(32) 게이지 군을 갖는 끈 이론이다.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차원 축소 (물리학) |
---|
2. 정의
차원에서 어떤 장론이 주어졌을 때, 이를 축소화하여 차원 장론으로 만드는 과정을 '''차원 축소'''라고 한다.
여러 종류의 장들이 차원 축소 하에서 어떻게 변환되는지 자세히 기술한다.
우선, 주어진 이론을 꼴의 공간 위에 정의한다. 여기서 은 콤팩트 리만 다양체이며, 주로 차원 원환면을 사용한다.
이후, 의 부피가 0이 되는 극한을 취한다. 그러면 질량이 의 크기 역수에 비례하는 칼루차-클라인 장들은 무한대의 질량을 갖게 되어, 이론에서 적분하여 없앨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위에 정의되는 차원 장론을 얻게 되는데, 이것이 원래 이론의 차원 차원 축소이다.
3. 성질
;스칼라장
스칼라장은 차원 축소 아래 하나의 스칼라장으로 남는다.
;양-밀스 장
D+n 차원에서, 게이지 군 에 대한 양-밀스 장 는 차원에서 1개의 양-밀스 장 및 개의 딸림표현 스칼라장 들로 분해된다.
;미분 형식
차원에서 차 미분 형식 게이지 장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는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장들을 이룬다.
차 미분 형식 게이지장은 쌍대화에 따라서 차 미분 형식 게이지장과 동치이다.
;중력장
차원의 중력장 은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페르미온
페르미온은 차원 축소 아래에서도 페르미온으로 남는다. 만약 D가 홀수일 때, D+1차원에서의 바일 스피너는 D차원에서의 디랙 스피너가 된다.
3. 1. 스칼라장
스칼라장은 차원 축소 아래 하나의 스칼라장으로 남는다.
3. 2. 양-밀스 장
D+n 차원에서, 게이지 군 에 대한 양-밀스 장 는 차원에서 1개의 양-밀스 장 및 개의 딸림표현 스칼라장 들로 분해된다.
3. 3. 미분 형식
차원에서 차 미분 형식 게이지 장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는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장들을 이룬다.
차 미분 형식 게이지장은 쌍대화에 따라서 차 미분 형식 게이지장과 동치이다.
3. 4. 중력장
차원의 중력장 은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3. 5. 페르미온
페르미온은 차원 축소 아래에서도 페르미온으로 남는다. 만약 D가 홀수일 때, D+1차원에서의 바일 스피너는 D차원에서의 디랙 스피너가 된다.
4. 예
4차원 일반 상대성 이론을 3차원으로 차원 축소한다고 하자. 이 경우, 4차원 중력장은 3차원에서 하나의 중력장과 하나의 게이지장 및 하나의 딜라톤으로 분해된다. 그런데 3차원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성질을 갖는다.[5][6]
- 3차원에서 중력장은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는다.
- 3차원에서 게이지장은 스칼라장과 동치이다.
즉, 이 경우 2개의 스칼라장만이 남게 되어, 일종의 시그마 모형으로 적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4차원 필바인 ''EMA''를 다음과 같이 적자.
:
여기서
- ''eμα''는 3차원 필바인이다.
- ''Δ''는 딜라톤이다.
- ''Aμ''는 3차원의 게이지장이다.
이 경우, 작용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물론 지표의 올림과 내림은 3차원 계량 ''gμν=eμαeνβηαβ''에 의한 것이다.
이제, 게이지장을 다음과 같이 스칼라장으로 쌍대화할 수 있다. 게이지장의 가우스 법칙
:
은 다음과 같은 자기 퍼텐셜 스칼라장
:
으로 (국소적으로) 풀 수 있다.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는다.
:
이는 (''B'', ''Δ'')에 대한 시그마 모형이며, 이 시그마 모형의 과녁 공간인 리만 다양체는 2차원 쌍곡 평면이다.
물론, 3차원 중력장은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지만, 대역적 (위상수학적)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분석은 국소적 자유도만을 고려한 것이다.
4. 1. 3차원 중력의 특성
4차원 일반 상대성 이론을 3차원으로 차원 축소하면, 4차원 중력장은 3차원에서 하나의 중력장과 하나의 게이지장 및 하나의 딜라톤으로 분해된다. 그런데 3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별한 성질이 나타난다.[5][6]- 3차원에서 중력장은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는다.
- 3차원에서 게이지장은 스칼라장과 동치이다.
즉, 3차원에서는 2개의 스칼라장만이 남게 되어, 일종의 시그마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차원 필바인 ''EMA''를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
여기서
- ''eμα''는 3차원 필바인이다.
- ''Δ''는 딜라톤이다.
- ''Aμ''는 3차원의 게이지장이다.
이 경우, 작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지표의 올림과 내림은 3차원 계량 ''gμν=eμαeνβηαβ''에 의해 결정된다.
이제, 게이지장을 스칼라장으로 쌍대화할 수 있다. 게이지장의 가우스 법칙
:
은 자기 퍼텐셜 스칼라장
:
으로 (국소적으로) 풀 수 있다.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는다.
:
이는 (''B'', ''Δ'')에 대한 시그마 모형이며, 이 시그마 모형의 과녁 공간인 리만 다양체는 2차원 쌍곡 평면이다.
3차원 중력장은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지만, 대역적 (위상수학적)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위 분석은 국소적 자유도만을 고려한 것이다.
4. 2. 시그마 모형
4차원 일반 상대성 이론을 3차원으로 차원 축소하면, 4차원 중력장은 3차원에서 하나의 중력장과 하나의 게이지장 및 하나의 딜라톤으로 분해된다.[5][6] 3차원에서는 중력장이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고, 게이지장은 스칼라장과 동치이므로, 2개의 스칼라장만 남게되어 일종의 시그마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4차원 필바인 을 다음과 같이 분해한다.
:
여기서 는 3차원 필바인, 는 딜라톤, 는 3차원의 게이지장이다. 이 경우 작용은 다음과 같다.
:
지표의 올림과 내림은 3차원 계량 에 의해 결정된다. 게이지장의 가우스 법칙 은 자기 퍼텐셜 스칼라장 으로 풀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는다.
:
이는 에 대한 시그마 모형이며, 과녁 공간인 리만 다양체는 2차원 쌍곡 평면이다. 3차원 중력장은 국소 자유도를 갖지 않지만, 대역적 (위상수학적)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위 분석은 국소적 자유도만을 고려한 것이다.
4. 3. 대역적 자유도
참조
[1]
문서
[2]
논문
Lowering of dimensionality in phase transitions with random fields
[3]
논문
Supersymmetry and the Parisi-Sourlas dimensional reduction: a rigorous proof
http://projecteuclid[...]
[4]
논문
Random Magnetic Fields, Supersymmetry, and Negative Dimensions
1979
[5]
저널
Classification of gravitational instanton symmetries
https://projecteucli[...]
1979
[6]
서적
Superspace and Supergravity, Proceedings of the Workshop held in July 1980 i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