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장은 질량을 가진 물체에 의해 생성되어 다른 질량에 힘을 미치는 물리 현상이다. 고전역학에서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통해 정의되며, 질량을 향하는 벡터장으로 표현된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되며,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통해 중력장을 결정한다. 중력의 속력은 빛의 속력과 같으며, 중력 퍼텐셜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임베딩 다이어그램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력 이론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중력 이론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힘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힘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중력 - 중력 가속도 중력 가속도는 물체가 중력에 의해 가속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와 같으며, 지구의 경우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적도에서 가장 작고 극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중력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중력장
중력장
정의
설명
질량을 가진 물체 주위의 공간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벡터장이다.
개념
중력은 질량을 가진 물체 사이의 기본적인 상호작용이며, 중력장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중력장의 크기는 가속도와 동일한 물리학적 차원을 갖는다. 실제로 여러 경우 뉴턴적 모델에서 어떤 물체의 중력 가속도와 그 물체가 영향을 받는 중력장은 같은 형태를 가진다. 하지만 개념적으로 이 둘은 구분되는 것으로, 중력 가속도의 경우 물체가 중력의 영향으로 가속 운동을 할 때 주어지는 것이나, 중력장의 경우 영향을 받는 물체가 없어도 공간 상의 점마다 주어져 있는 것이다.[5]
고전역학에서 중력장은 물리량이다.[5] 중력장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질량 M을 가진 단일 입자 주변의 중력장 '''g'''는 모든 지점에서 입자를 향하는 벡터로 구성된 벡터장이다. 모든 지점에서 장의 크기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되며, 공간의 그 지점에 있는 임의의 물체에 작용하는 단위 질량당 힘을 나타낸다. 힘장은 보존적이므로, 힘장과 관련된 공간의 각 지점에 단위 질량당 스칼라 위치 에너지 Φ가 존재하는데, 이를 중력퍼텐셜이라고 한다.[6] 중력장 방정식은[7] 다음과 같다.
여기서 '''F'''는 중력, ''m''은 시험 입자의 질량, '''R'''은 질량에 대한 시험 입자의 방향 벡터(또는 뉴턴의 운동 제2법칙에 따른 시간 의존 함수, 시험 시작 시 공간의 특정 지점을 각각 차지하는 시험 입자들의 위치 집합), ''t''는 시간, ''G''는 중력 상수, ∇는 델 연산자이다.
여기에는 만유인력의 법칙과 중력퍼텐셜과 장 가속도 사이의 관계가 포함된다. d2'''R'''/dt2와 '''F'''/''m''는 모두 중력 가속도 '''g'''와 같다(관성 가속도와 동등하므로 수학적 형태는 같지만, 단위 질량당 중력으로도 정의됨[8]). 힘이 변위와 반평행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의 부호가 삽입된다. 인력 질량의 질량 밀도 ρ에 대한 등가 장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nabla\cdot\mathbf{g}=-\nabla^2\Phi=-4\pi G\rho
여기에는 가우스의 중력 법칙과 뉴턴 중력에 대한 푸아송 방정식이 포함된다. 뉴턴의 법칙은 가우스의 법칙을 의미하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 ''가우스 법칙과 뉴턴 법칙의 관계'' 참조.
이러한 고전 방정식은 중력장이 존재하는 경우 시험 입자에 대한 미분 운동 방정식이다. 즉, 이러한 방정식을 설정하고 풀면 시험 질량의 운동을 결정하고 설명할 수 있다.
여러 입자 주변의 장은 각각의 입자 주변의 장의 벡터 합이다. 이러한 장에 있는 시험 입자는 이러한 개별 장에서 경험할 힘의 벡터 합과 같은 힘을 경험할 것이다.[9]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중력장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로 결정되며, 시공간의 곡률을 나타낸다.[1] 이는 공간상의 물질과 에너지 분포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물질 분포에만 의존하는 고전역학적 중력장 모델과 구별된다.
시공간의 왜곡은 계량 ''gμν''로 표현되며, 이는 세계 간격 ''ds''2를 정의하는 2계 대칭 텐서장이다. 4차원 시공간에서 10개의 독립적인 성분을 가진다.
리만 곡률 텐서는 시공간의 곡률을 나타내는 2계 미분으로, 20개의 성분으로 구성된다.[12] 리만 텐서가 0이 아니면 진정한 중력장이 존재하며, 이는 물리적으로 조석력의 존재와 관련된다.[13] 예를 들어 민코프스키 시공간에서는 리만 텐서의 성분이 모두 0이지만, 리만 텐서가 0이 아닐 때는 시공간 왜곡이 존재한다.[14]
3. 1. 아인슈타인 방정식과 중력장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중력장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로 결정된다.[10] 이 방정식은 공간상의 물질과 에너지의 분포에 따라 중력장이 결정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고전역학적 중력장 모델에서는 중력장이 물질의 분포에 따라서만 결정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1]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중력장은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을 풀어서 결정되며,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bf{G} = \kappa \mathbf{T}
여기서 \mathbf{T}는 응력-에너지 텐서, \mathbf{G}는 아인슈타인 텐서, \kappa는 아인슈타인 중력 상수이다. \kappa는 1 = \kappa = 8\pi G / c^4로 정의되며, G는 뉴턴 중력 상수, c는 광속이다.
이 방정식들은 뉴턴 중력과 달리 공간 영역의 물질, 응력 및 운동량 분포에 의존한다. 뉴턴 중력은 오직 물질의 분포에만 의존한다.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장 자체는 시공간의 곡률을 나타낸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곡선 공간 영역에 있는 것이 아인슈타인 등가 원리에 따라 장의 기울기를 따라 가속하는 것과 동등하다고 말한다. 뉴턴의 제2법칙에 의해, 만약 장에 대해 정지해 있다면 물체는 관성력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이 지구 표면에 정지해 있을 때 사람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는 것을 느끼는 이유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상대성이론이 예측하는 중력장은 고전역학이 예측하는 것과 그 효과가 약간만 다르지만, 쉽게 검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으며,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하나는 그러한 장에서의 빛의 굴절이다.
일반 상대성이론에서는 중력을 시공간의 왜곡으로 간주한다. 시공간의 왜곡은 시공간의 계량 ''gμν''로 표현된다.
여기서 Γ는 크리스토펠 기호이며, 계량의 미분으로 표현된다. 이는 중력장 내에서 물체의 궤적을 나타낸다.[16]
4. 중력의 속력
중력의 속력은 중력장의 변화가 전파되는 속력을 의미하며, 이는 가상적인 중력파의 속력과 같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 속력은 진공에서 빛의 속력과 같다.[21]
5. 임베딩 다이어그램
임베딩 다이어그램은 중력 퍼텐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3차원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중력 퍼텐셜 필드를 지형처럼 그려서 '중력 우물'이나 권역과 같은 형태로 중력장의 분포를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https://feynmanlectu[...]
Addison Wesley Longman
[2]
서적
General Relativity from A to B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3]
서적
Einstein's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with Modern Applications in Cosm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Japan
2007
[4]
서적
A Short Course in General Relativ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2006
[5]
서적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https://feynmanlectu[...]
Addison Wesley Longman
[6]
서적
Dynamics and Relativity
Wiley
2009
[7]
서적
Encyclopaedia of Physics
https://archive.org/[...]
Wiley-VCH
1991
[8]
서적
Essential Principles of Physics
John Murray
1978
[9]
서적
Classical Mechanics
McGraw Hill
1973
[10]
서적
Gravitation
W. H. Freeman & Co
1973
[11]
문서
藤原
[12]
문서
田中
[13]
문서
Hawking & Ellis
[14]
문서
ランダウ
[15]
문서
田中
[16]
문서
ランダウ and Hawking & Ellis
[17]
서적
General relativity from A to B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18]
서적
Einstein's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with modern applications in cosmology
http://books.google.[...]
Springer Japan
2007
[19]
서적
A short course in general relativity
http://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2006
[20]
서적
Classical Dynamics of Particles and Systems
Brooks/Cole
[21]
서적
Gravity: An Introduction to Einstein's General Relativity
Addison-Wes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