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채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채진목은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장군의 지휘봉 끝에 달린 수술을 닮은 나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한반도와 일본에 분포하며, 낙엽 활엽수 작은 키 나무로, 흰 꽃을 피우고 가을에 흑자색 열매를 맺는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이용되며, 북아메리카 원산의 근연종은 열매를 식용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과나무족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사과나무족 -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가을에 향기로운 열매를 맺는 높이 10~18m의 낙엽 활엽수로, 관상수, 과수, 분재용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채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채진목
학명Amelanchier asiatica
명명자Endl.
이명Amelanchier canadensis Medikus var. asiatica (Siebold & Zuccarini) Koidzumi
Pyrus taquetii H. Léveillé
Pyrus vaniotii H. Léveillé
영어 이름Asian serviceberry (아시안 서비스베리)
일본어 이름ザイフリボク (자이후리보쿠)
한국어 이름 (문화어)독요나무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강장미아강
장미목
장미과
아과나시아과
채진목속
특징
높이12m

2. 명칭

일본에서 장군의 지휘봉 끝에 달린 수술을 ‘채배’라고 하는데, 이 나무를 채배 같은 나무란 뜻을 가진 '''ザイフリボク(采振木)'''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 이 한자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 한자 발음대로 불러 채진목이 되었다.[6] 북한에서는 ‘독요나무’라 부른다.[7]

2. 1. 어원

일본에서 장군의 지휘봉 끝에 달린 수술을 '채배'라고 하는데, 이 나무를 채배 같은 나무란 뜻을 가진 '''ザイフリボク(采振木)'''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 이 한자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 한자 발음대로 불러 채진목이 되었다.[6] 북한에서는 '독요나무'라 부른다.[7]

국명 "자이후리보쿠"는 하얗고 가느다란 꽃잎을 가진 꽃차례 모양이 무사가 전장에서 지휘할 때 흔드는 지휘봉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采振|채진일본어木|목일본어"이라고도 한다. 별칭인 "시데자쿠라"는 가늘고 흰 꽃잎을 금줄에 매다는 가늘고 긴 종이 조각인 사수에 비유한 것이다. 중국어 이름은 "동아당체"[4]이다.

2. 2. 다른 이름

일본에서 장군의 지휘봉 끝에 달린 수술을 '채배'라고 하는데, 이 나무를 채배 같은 나무란 뜻을 가진 '''ザイフリボク|채진목일본어'''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 이 한자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 한자 발음대로 불러 채진목이 되었다.[6] 북한에서는 '독요나무'라 부른다.[7]

국명 "자이후리보쿠"의 유래는 하얗고 가느다란 꽃잎을 가진 꽃차례의 모양이, 무사가 전장에서 지휘할 때 흔드는 지휘봉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별칭인 "시데자쿠라"는 가늘고 흰 꽃잎을 금줄에 매다는 가늘고 긴 종이 조각인 사수에 비유한 것이다. 중국어 이름은 "동아당체"이다.[4]

3. 분포 및 생육 환경

채진목은 일본한반도에 분포하며[1], 일본에서는 혼슈 중남부(이와테현 이남),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1][2] 산지에 자라며[1][2] 추위에 강하고 맹아(싹트는 힘)도 있다. 토양을 크게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잘 자라며, 약간 습한 곳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다.[3]

4. 형태

채진목은 낙엽 활엽수의 작은키나무로, 높이는 약 10m이다. 어린 나무는 관목 모양이다. 나무 껍질은 옅은 회갈색이며 세로 줄무늬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가지는 털이 없고 짧은 가지가 잘 생긴다. 1년생 가지는 가늘고 홍자색이며 피목이 많다.

4. 1. 특징

일본한반도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혼슈 중남부(이와테현 이남),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산지에 자라며, 추위에 강하고 맹아(萌芽)도 있다. 토양을 크게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잘 자라며, 약간 습한 곳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다.

낙엽 활엽수의 작은키나무로, 높이는 약 10m이다. 어린 나무는 관목 모양이다. 나무 껍질은 옅은 회갈색이며 세로 줄무늬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가지는 털이 없고, 짧은 가지가 잘 생긴다. 1년생 가지는 가늘고, 홍자색이며, 피목이 많다. 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4cm - 9cm의 장타원형에서 타원형이고 잎 끝은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어린 잎은 뒷면에 흰 솜털이 빽빽하게 난다.

꽃 피는 시기는 4 - 5월이다. 가지 끝에 흰 꽃을 빽빽하게 피운다. 꽃의 꽃잎은 5장이며 길이는 10mm - 15mm의 선형, 수술은 20개 있다. 암술의 암술대는 5개이며 중앙부까지 합착한다.

열매는 직경 6mm 정도의 구형이며, 가을에 익으면 흑자색이 되고 분백색을 띤다.

겨울눈은 가지에 어긋나기하며, 장타원형, 홍자색이며 윤기가 있고, 아린 5 - 9장에 싸여 있으며, 아린의 가장자리가 흰 털로 둘러싸여 있다. 잎자국은 초승달 모양이며, 관다발 흔적이 3개 보인다.

4. 2. 잎

은 어긋나기하며, 길이는 4cm에서 9cm 사이의 장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 끝은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1][2]。 어린 잎 뒷면에는 흰 솜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2]

4. 3. 꽃

꽃 피는 시기는 4 - 5월이다. 가지 끝에 흰 꽃을 빽빽하게 피운다. 꽃의 꽃잎은 5장이며 길이는 10mm~15mm의 선형이고, 수술은 20개 있다. 암술의 암술대는 5개이며 중앙부까지 합착한다.

4. 4. 열매

열매는 지름이 6 mm 정도인 구형이며, 가을에 익으면 검붉은색을 띠고 흰 가루로 덮인다.[1][2]

4. 5. 겨울눈

겨울눈은 가지에 어긋나기하며, 장타원형이고 홍자색이며 윤기가 있다. 아린(어린 가지) 5 - 9장에 싸여 있으며, 아린의 가장자리는 흰 털로 둘러싸여 있다.[4] 잎자국은 초승달 모양이며, 관다발 흔적이 3개 보인다.[4]

5. 이용

채진목은 정원수, 공원수로 식재된다.[1] 이 외에도 정원수로 사용되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의 근연종인 아메리카 자이후리보쿠(''A. canadensis'')는 주운베리라고 불리며, 붉게 익은 열매를 식용으로 한다.[2]

6. 사진

참조

[1] 간행물 Plants for a Future http://www.pfaf.org/[...] 2016-07-05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01-25
[3] 간행물 Flora of China
[4] 문서 2022-12-31
[5] 웹인용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http://www.ars-grin.[...]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2014-04-16
[6] 웹인용 장군의 지휘봉에 달린 수술 닮았네 [이유미의 우리풀 우리나무] 채진목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14-04-16
[7] 뉴스 분단이 갈라놓은 남북한 나무이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