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이발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이발상은 몽골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무역 중심지였으며 1940년 시베리아 횡단철도 지선 부설로 교통 요지가 되었다. 헤를렌 강이 도시 중심부를 흐르며, 춥고 건조한 반건조 기후를 보인다. 2008년 기준 인구는 38,150명으로 몽골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할흐 몽골족이 주로 거주한다. 초이발상 공항을 통해 울란바토르 및 하이라얼, 만저우리로 가는 항공편이 운항하며, 러시아 보르자로 향하는 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할힌골 전투 박물관과 수력발전소, 석탄 광산 등 도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 치타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몽골의 정치인 호를러깅 처이발상과 윰자깅 체뎅발의 출생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처이발상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헤를렌 구 |
몽골어 명칭 | Хэрлэн сум |
기타 명칭 | 초이발산 |
지리 | |
면적 | 281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747 미터 |
좌표 | 북위 48° 04′ 42″, 동경 114° 32′ 06″ |
인구 | |
2017년 | 44,835명 |
행정 | |
국가 | 몽골 |
아이마그 (도) | 도르노드 아이마그 |
기타 정보 | |
시간대 | UTC+8 |
우편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지역 번호 | +976 (0)158 |
웹사이트 | 도르노드 아이마그 공식 웹사이트 |
차량 번호판 | 해당사항 없음 |
이미지 | |
![]() |
2. 역사
초이발산은 헤를렌 강 강변, 해발 747m 지점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281km2이다.
이 지역은 고대부터 교역의 요충지로 알려졌으며, 수세기 동안 무역로의 거점 역할을 해왔다.[14] 청나라 시대에는 '''중전기'''(中前旗) 또는 '''커룬'''(克魯倫)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19세기에 들어 도시로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20세기에는 몽골 동부 지역 경제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40년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지선이 이곳까지 부설되면서 몽골 동부 교통의 중요한 요지가 되었다.[16] 1941년에는 혁명가 호르로깅 초이발상을 기리기 위해 도시의 이름이 이전의 '''Баян Түмэн|바얀 투멘mn'''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중화민국의 둥베이(東北) 지방에 대한 소련의 군사 기지로서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기도 했다.[15] 또한, 도시 근처에서 할힌골 전투(노몬한 사건)가 벌어졌기 때문에, 이 전투의 영웅인 소련의 게오르기 주코프 장군을 기념하는 박물관이 세워져 있다.
그러나 1992년 공산 정권이 붕괴하고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상황이 변했다. 많은 러시아인 기술자와 노동자들이 떠나면서 지역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고, 심각한 경제 침체를 겪게 되었다. 그 결과 초이발상은 몽골에서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하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14]
3. 지리
3. 1. 지형
시의 중심부에는 헤를렌 강이 흐른다.
3. 1. 1. 하천
처이발상의 주요 하천으로는 헤를렌 강이 있다.
3. 2. 기후
초이발산은 춥고 건조한 반건조 기후 (쾨펜 ''BSk'')를 보인다. 겨울은 매우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따뜻하고 습하다. 기온 면에서는 냉대 기후 (''Dwb'')와 유사하지만, 겨울철 강수량이 매우 적어 해당 분류 기준에는 미치지 못한다.[5] 기록된 극값 기온은 최저 -41.1°C (1월)[5]부터 최고 41.9°C (8월)[5]까지이다.
4. 인구
처이발산의 인구는 1994년 45,490명, 2000년 41,714명, 2003년 36,142명, 2006년[2][11]과 2007년[3][12]에는 39,500명, 2008년에는 38,150명[4][13]으로 변화했다. 2008년 기준으로 몽골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4] 2007년과 2008년 인구는 각각 도르노드 아이막 전체 인구의 53.2%[3][12]와 51.2%[4][13]를 차지했다.
주요 거주 민족은 할흐 몽골족이며, 소수의 부랴트족, 바르가 몽골족, 외젬친도 함께 거주한다. 또한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온 이민자들이 소수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울란바토르를 제외하고 몽골에서 유일하게 차이나타운을 형성하고 있다.
5. 교통
처이발상 공항이 있어 처이발상과 울란바토르 간의 항공편을 정기적으로 운행하고 있다.[14] 또한 러시아 보르자로 가는 화물철도가 놓여 있으며, 이 노선은 만주횡단철도와 연결된다.
5. 1. 항공
초이발산 공항(COQ/ZMCD)은 처이발상 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포장된 활주로 하나를 갖추고 있다. 정기 항공편이 운항 중이며, 노선은 다음과 같다.
5. 2. 철도
러시아 보르자에 위치한 시베리아 횡단 철도 본선에서 분기된 철도 노선이 처이발상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노선은 몽골 철도의 동부 화물선으로 분류되지만, 몽골의 다른 국내 철도망과는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9] 주로 화물 운송에 사용되며, 국경을 넘어 러시아로 가는 정기 여객 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다만, 몽골 국내 구간에서는 처이발상에서 출룬호로트(에렌차브)까지 주 2회 여객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2018년 9월 기준).[9]이 철도는 노몬한 사건 직후인 1939년에 완공되었다. 당시 소련은 처이발상을 중요한 군사 기지 도시(산베이스 기지)로 삼고 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철도를 건설하였다. 이후 탐스크 기지까지 연결되는 협궤 군용 철도도 건설된 바 있다.
5. 3. 도로
2015년에 수도 울란바토르까지 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6. 도시의 특징
수세기 동안 무역로의 거점이었으며, 19세기에 도시로 성장하여 20세기에는 동몽골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14] 현재도 동몽골의 활발한 경제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나, 1992년 민주화 이후 러시아인 노동자 유출로 경제가 크게 쇠퇴하여 높은 실업률을 겪고 있다.[15]
도시 근교에는 수력발전소와 석탄 광산이 있어 석탄 채굴이 이루어지며, 식품 가공업과 농산물 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15] 또한, 농업대학이 있다.[16]
할힌골 전투 지역과 가까워, 이 전투의 영웅인 게오르기 주코프(Гео́рг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Жу́ков|게오르기 콘스탄티노비치 주코프rus)를 기리는 박물관이 주목할 만한 시설이다.[14]
7. 대외 관계
(내용 없음)
7. 1.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Өнөөдөр Маршал Х.Чойбалсангийн мэндэлсэн өдөр тохиож байна
https://www.montsame[...]
2021-06-12
[2]
웹사이트
"Статистикийн мэдээлэл 2006"
http://www.dornod.mn[...]
2007-01-16
[3]
웹사이트
Dornod Aimag Statistics Office
http://www.dornod.mn[...]
2008-04-01
[4]
문서
Dornod Aimag Statistics Office.Dec. 2008 Report
http://www.statis.mn[...]
[5]
웹사이트
КЛИМАТ ЧОЙБАЛСАНА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2015-01-04
[6]
웹사이트
Choibalsan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01-13
[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08-02
[8]
웹사이트
Klimatafel von Choibalsan (Tschoibalsan) / Mongolei
http://www.dwd.de/DW[...]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09-17
[9]
웹사이트
Lonely Planet Mongolia: Choibalsan transport (archived version 18 Jan 2012)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Choibalsan
http://www.hko.gov.h[...]
Hong Kong SAR Government
2011-01-05
[11]
웹사이트
"Статистикийн мэдээлэл 2006"
http://www.dornod.mn[...]
2007-01-16
[12]
웹사이트
Dornod Aimag Statistics Office
http://www.dornod.mn[...]
[13]
문서
Dornod Aimag Statistics Office.Dec. 2008 Report
http://www.statis.mn[...]
[14]
문서
영어 위키백과의 Choibalsan (city) 문서에의 일부를 번역함.
https://en.wikipedia[...]
[15]
웹사이트
두산백과에서 인용
http://www.encyber.c[...]
[16]
웹인용
"초이발산"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010. 6. 13자 기사]
http://preview.brita[...]
2010-06-13
[17]
웹인용
Choibalsan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