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7세기부터 9세기 사이에 서슬라브어군이 형성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어는 10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별개의 방언으로 발전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18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했으나,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각각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두 언어는 어휘, 문법, 음운론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상호 이해도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어 - Strč prst skrz krk
- 체코어 - Strč prst skrz krk
- 체코어 - 체코어 알파벳
체코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15개의 발음 구별 기호가 붙은 문자를 포함하며, 하첵과 아쿠트 등의 기호가 사용되고 'Ch'는 독립된 문자로 취급되며, 'Ř(ř)' 발음이 특징적이다. - 서슬라브어군 - 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는 폴란드 남서부와 체코 북동부의 상실레시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폴란드어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으며 약 46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서슬라브어군 - 카슈브어
카슈브어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고유의 문법과 어휘를 가지고 있으며, 폴란드 내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체코슬로바키아어 | |
|---|---|
| 언어 개요 | |
| 언어 이름 | 체코슬로바키아어 |
| 다른 이름 | 체코-슬로바키아어 |
| 사용 지역 | 구 체코슬로바키아 |
| 사용자 수 | 약 1,500만 명 |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
| 문자 | |
| 문자 체계 | 로마자 |
| 하위 언어 | |
| 언어 | 체코어 크나안어 슬로바키아어 판노니아 루신어 |
| 언어 코드 | |
| Glottolog | czec1260 |
| Glottolog 명칭 | Czech-Slovak |
2. 역사
16세기 합스부르크 왕가 아래에서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은 다시 통합되었고,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몰락한 후 1918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를 이루며 자체 국가를 공유했다. 현대에 보헤미아의 구어는 기록된 표준의 영향을 받아 공통 체코어로 발전하여 보헤미아 내의 방언적 변이를 대부분 사라지게 했다.
모라비아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사이의 일련의 중간 변종을 가지며 방언적으로 다양하게 유지되었으며, 체코어보다는 슬로바키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은 1880년대부터 시작된 치슬라이타니아의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에서 "보헤미아-모라비아-슬로바키아어"(Böhmisch-Mährisch-Slowakisch|뵈미슈-메리슈-슬로바키슈de)라는 용어로 요약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어는 단일 표준어를 만들려는 시도였으며, 1830년대의 체코 국민 부흥 동안 처음 제안되었고, 1920년부터 1938년까지 제1차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공식 언어였다. 텔레비전 및 라디오에서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가 동일한 비율로 사용되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표준은 각각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1990년대부터 모라비아 언어 분리주의라는 정치 운동이 발전했다.[4] 2011년 체코 공화국 인구 조사를 계기로, 여러 모라비아 단체(모라바네 및 모라비아 국민 공동체 등)가 모라비아 국적과 언어를 장려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모라비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62,908명으로 기록되었다.[5]
2. 1. 중세 시대
초기 슬라브족의 확장은 7세기에 중앙 유럽에 도달했고, 서슬라브어군 방언은 그 후 몇 세기 동안 공통 슬라브어에서 분화되었다. 서슬라브 부족은 카롤링거 제국의 동쪽 가장자리에 정착했으며, ''리메스 삭소니아''를 따라 정착했다. 890년대 마자르족의 판노니아 침략 이전, 서슬라브 정치체인 대 모라비아는 현재의 동부 독일과 서부 루마니아 사이의 중앙 유럽 대부분을 포괄했다. 중세 후기에는 서슬라브 부족이 초기의 독일 ''오스트지들룽''에 의해 다시 동쪽으로 밀려났고, 11세기의 벤드 십자군 이후 결정적으로 밀려났다.[2]따라서 서슬라브어군은 공통 슬라브어와 구별되는 그룹으로서 7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등장한다.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 내에서 10세기에서 12세기경에 별도의 방언 연속체로 발전했으며, 이는 13세기에서 14세기에 언어의 첫 번째 기록이 나오기 직전의 시기이다. 서슬라브어의 다양화는 방언 연속체의 특징을 보였다. 예를 들어, 슬라브어 /g/가 /h/로 변하는 현상은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이 우크라이나어 및 소르브어와 공유하는 지역적 특징이다(폴란드어와는 다르다). 이 혁신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때로는 스키토-사르마트와의 접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 슬로바키아어에서는 대략 12세기, 체코어에서는 12세기에서 13세기, 상 소르브어에서는 14세기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3]
보헤미아 국가는 13세기에 보헤미아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반면, 슬로바키아인은 중세 시대에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하지 않았고, 헝가리 왕국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밀접하게 관련된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의 역사는 중세 후기에 상당히 다른 과정을 거쳤으며, 체코인은 신성 로마 제국과 관련되었고 슬로바키아인은 동유럽의 역사(헝가리의 역사와 몽골의 침략)의 영향을 받았다.
2. 2. 근대 시대
서슬라브어군은 공통 슬라브어와 구별되는 그룹으로서 7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등장한다.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 내에서 10세기에서 12세기경에 별도의 방언 연속체로 발전했으며, 13세기에서 14세기에 언어의 첫 번째 기록이 나타났다. 서슬라브어의 다양화는 방언 연속체의 특징을 보였다. 예를 들어, 슬라브어 /g/가 /h/로 변하는 현상은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이 우크라이나어 및 소르브어와 공유하는 지역적 특징이다(폴란드어와는 다르다). 이 변화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때로는 스키토-사르마트와의 접촉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 슬로바키아어에서는 대략 12세기, 체코어에서는 12세기에서 13세기, 상 소르브어에서는 14세기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3]보헤미아 국가는 13세기에 보헤미아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반면, 슬로바키아인은 중세 시대에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하지 않았고, 헝가리 왕국에 편입되었다.
이 때문에, 밀접하게 관련된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의 역사는 중세 후기에 상당히 다른 과정을 거쳤다. 체코인은 신성 로마 제국과 관련되었고 슬로바키아인은 동유럽의 역사(헝가리의 역사와 몽골의 침략)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16세기에는 합스부르크 왕가 아래에서 다시 통합되었고,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몰락한 후 1918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를 이루며 자체 국가를 공유했다.
현대에 보헤미아의 구어는 기록된 표준의 영향을 받아 공통 체코어로 발전하여 보헤미아 내의 방언적 변이를 대부분 사라지게 했다.
반대로, 모라비아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사이의 일련의 중간 변종을 가지며 방언적으로 다양하게 유지되었으며, 체코어보다는 슬로바키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은 1880년대부터 시작된 치슬라이타니아의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에서 "보헤미아-모라비아-슬로바키아어"(Böhmisch-Mährisch-Slowakischde)라는 용어로 요약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어는 단일 표준어를 만들려는 시도였으며, 1830년대의 체코 국민 부흥 동안 처음 제안되었고, 1920년부터 1938년까지 제1차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공식 언어였다.
텔레비전 및 라디오에서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가 동일한 비율로 사용되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표준은 각각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1990년대부터 모라비아 언어 분리주의라는 정치 운동이 발전했다.[4] 2011년 체코 공화국 인구 조사를 계기로, 여러 모라비아 단체(모라바네 및 모라비아 국민 공동체 등)가 모라비아 국적과 언어를 장려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모라비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62,908명으로 기록되었다.[5]
2. 3. 현대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체코-슬로바키아어는 10세기에서 12세기경에 별도의 방언 연속체로 발전했으며, 13세기에서 14세기에 언어의 첫 번째 기록이 나타났다. 슬라브어 /g/가 /h/로 변하는 현상은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이 우크라이나어 및 소르브어와 공유하는 특징이다.[2] 슬로바키아어에서는 대략 12세기, 체코어에서는 12세기에서 13세기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3]보헤미아 왕국과 헝가리 왕국으로 분리되었던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은 합스부르크 군주국 아래에서 다시 통합되었고, 1918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라는 국가를 이루었다.
현대 시대에 보헤미아의 구어는 공통 체코어로 발전하여 방언적 변이가 대부분 사라졌다. 반면, 모라비아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사이의 중간 변종을 가지며 방언적으로 다양하게 유지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은 1880년대부터 시작된 치슬라이타니아의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에서 "보헤미아-모라비아-슬로바키아어"(Böhmisch-Mährisch-Slowakisch|뵈미슈-메리슈-슬로바키슈de)라는 용어로 요약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어는 단일 표준어를 만들려는 시도였으며, 1830년대의 체코 국민 부흥 동안 처음 제안되었고, 1920년부터 1938년까지 제1차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공식 언어였다. 텔레비전 및 라디오에서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가 동일한 비율로 사용되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표준은 각각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1990년대부터 모라비아 언어 분리주의라는 정치 운동이 발전했다.[4] 2011년 체코 공화국 인구 조사를 계기로, 여러 모라비아 단체(모라바네 및 모라비아 국민 공동체 등)가 모라비아 국적과 언어를 장려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모라비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62,908명으로 기록되었다.[5]
3. 하위 분류
체코-슬로바키아어 방언 연속체는 역사적으로 서쪽의 실레지아어와 동쪽의 루신어(사무 슬라브어라고도 함)와 섞였다. 19세기에 문어 표준이 발전하면서 다양성이 줄었지만, 모라바에는 여전히 뚜렷한 방언 구분이 남아 있다.
하위 방언은 크게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나눌 수 있다.
3. 1. 체코어
20세기 후반부터는 주로 표준화되었으며, 방언 사용은 현재 주로 노년층 화자로 제한된다.[7] 공통 체코어(obecná češtinacs)는 프라하 지역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 주요 구어체이다.[8]- Nářečí středočeskács (중앙 보헤미아 방언)
- Nářečí jihozápadočeskács (남서 보헤미아 방언)
- * Podskupina chodskács (초드 하위 그룹)
- * Podskupina doudlebskács (두들레비 하위 그룹)
- Nářečí severovýchodočeskács (북동 보헤미아 방언)
- * Podskupina podkrknošskács (크르코노셰 하위 그룹)
- * 테탁cs (리토미슐) †
- 모라비아 방언 (moravštinacs)
- * 보헤미아-모라비아어 (Nářečí českomoravskács, 보헤미아 체코어로의 과도기)
- * 중앙 모라비아어 (하나키안, Nářečí středomoravskács)
- ** Podskupina tišnovskács (티슈노프 하위 그룹)
- * 라흐/실레지아어 (Nářečí slezskács, 과도기 실레지아어)
- ** 동부 모라비아어 (모라비아-슬로바키아어, Nářečí východomoravskács, 슬로바키아어로의 과도기)
Podskupina slováckásk (모라비아 슬로바키아 하위 그룹)
Podskupina valašskásk (모라비아 발라키아 하위 그룹)
- 크나안어 (유대-체코어) †
1964년 체코 방언학 교과서에서 B르제티슬라프 코우델라는 방언 간의 음성적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밀에서 나온 밀가루를 마차에 넣어라"라는 문장을 사용했다.[9]
| 표준 체코어: | Dej mouku ze mlýna na vozík.cs |
3. 2. 슬로바키아어
남동 모라비아 방언은 때때로 체코어보다는 슬로바키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명사 및 대명사의 동일한 활용 패턴과 슬로바키아어와 동일한 동사 활용을 사용한다.[6]- 슬로바키아어
- *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 (키수체, 트렌친, 트르나바, 니트라, 자호리에)
- * 중앙 슬로바키아 방언 (립토프, 오라바, 투리에츠, 테코프, 혼트, 노보흐라드, 게메르 및 역사적인 즈볼렌 군)
- * 저지대 (dolnozemskésk) 슬로바키아 방언 (슬로바키아 외부,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판노니아 평원, 남동 헝가리, 서부 루마니아, 크로아티아령 시르미아)
- *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 (스피시, 샤리시, 젬플린 및 아보프, 루신어로의 과도기)
1964년 체코 방언학 교과서에서 B르제티슬라프 코우델라는 방언 간의 음성적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밀에서 나온 밀가루를 마차에 넣어라"라는 문장을 사용했다.[9]
| 표준 슬로바키아어 | Daj múku z mlyna na vozík.sk |
4. 문자 및 표기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철자법, 음운론, 문법,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철자법슬로바키아어에는 체코어에 없는 ä, ľ, ĺ, ŕ, ô 와 같은 문자가 있다. 반면, 체코어에는 슬로바키아어에 없는 ě, ř, ů 와 같은 문자가 있다.
음운론슬로바키아어에는 /ʎ/, /rː/, /lː/ 및 이중 모음 /ɪɐ/, /ɪe/, /ɪʊ/, /ʊo/ (일부 방언에서는 /ɛɐ/)와 같은 체코어에 없는 음소가 있다. 반대로 체코어에는 /r̝/ 음소가 있다.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보다 구개 자음을 더 자주 사용하지만, 예외도 있다. 슬로바키아어의 'de', 'te', 'ne'는 체코어의 'dě', 'tě', 'ně'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슬로바키아어에는 인접한 두 개의 긴 음절을 금지하는 "리듬 법칙"이 있다.[10][11]
문법슬로바키아어 문법은 19세기에 정형화되었기 때문에 문어체 체코어 문법보다 다소 규칙적이다. 두 언어는 격 변화와 활용 어미에 차이가 있다. (예: 슬로바키아어 ''-cia'', ''-ej'', ''-dlo'', ''-ť'', ''-ov'', ''-om'', ''-mi'' – 체코어 -c(i)ecs, ''-é'', -tkocs, ''-t'', ''-ů'', ''-em'', ''y''). 슬로바키아어는 호격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체코어 호격은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된다.[12]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보다 영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수동태를 덜 사용하고, 재귀 대명사 'sa'를 사용한 수동태를 선호한다.
어휘어휘적 차이는 대부분 역사적 기원에서 비롯된다. 전문 용어의 경우, 생물학(특히 동물 및 식물 이름)을 제외하고는 체코어 용어가 슬로바키아어 형태로 채택되었다. 1989년 프라하에서 출판된 체코-슬로바키아 사전에는 전문 용어를 제외하고 약 11,000개의 항목이 있다.
| 영어 | 슬로바키아어 | 체코어 |
|---|---|---|
| 응 | hej | jo |
| 만약 | ak | jestli, jestliže, -li |
| 정말, 실제로 | naozaj | opravdu |
| 단지, 오직 | iba, len | pouze, jenom, jen |
| 좋아하다 | páčiť sa | líbit se |
| 또한 | tiež | také, taky, (less commonly) též |
| 그러나 | veď | vždyť |
| 뜨거운 | horúci | horký |
| 할 수 있다, ~하게 하다 | nech | ať, nechť |
| 바라다 | želať | přát |
| 보다 | zbadať | spatřit |
| ~ 옆에 | pri, popri, vedľa | vedle |
| 묘지 | cintorín | hřbitov |
| 특히 | najmä | především, obzvlášť, zejména |
| 용서하다, 변명하다 | prepáčiť | prominout |
| ~을 제외하고 | okrem | kromě, mimo, vyjma |
| (기계) 작동 | prevádzka | provoz, chod |
| 교통 | premávka | provoz |
| 전쟁 | vojna | válka, (less commonly) vojna |
| 현재의 | terajší | stávající |
| 나쁜 | zlý | špatný |
| 더 나쁜 (부사) | horšie | hůř |
| 가다 | ísť | jet, jít |
| ~하자마자 | len čo | jakmile |
| 잊다 | zabudnúť | zapomenout |
| 한 번 | raz | jednou |
| 다음의 | budúci | příští |
| 공 | lopta | míč |
| 단추 | gombík | knoflík |
| 펍 | krčma | hospoda |
| 우표 | pečiatka | razítko |
| 방 | izba | pokoj |
| 획득하다 | nadobudnúť | nabýt |
| 행동 | správanie | chování |
| 듣다 | počuť | slyšet |
| (TV) 시청하다 | pozerať (televíziu) | dívat se na (televizi) |
| 보다 | pozerať | koukat |
| ~처럼 보이다 | vyzerať | vypadat |
| 말하다, 이야기하다 | povedať, vravieť | říct, mluvit |
| 주머니 | vrecko | kapsa |
| 청소하다 | upratovať | uklízet |
| 왜냐하면 | keďže | jelikož |
| 성 | priezvisko | příjmení |
| 지하실 | pivnica | sklep |
| 포함하여 | vrátane | včetně |
| 가을 | jeseň | podzim |
| ~라고 불리다(이름과 같이) | volať sa | jmenovat se |
| 소년 | chalan | kluk |
| 소녀 | dievča | holka, děvče |
| 아침 식사 | raňajky | snídaně |
| 세다 | rátať, počítať | počítat |
| 간식 | olovrant | svačina |
| 밀어넣다, 채우다 | pchať | cpát |
| 세탁물 | bielizeň | prádlo |
| 언론, 신문 | tlač | tisk |
| 비록 ~일지라도 | hoci | ačkoliv |
| 베개 | vankúš | polštář |
| 즉, 다시 말해 | čiže | čili |
| 갈증 | smäd | žízeň |
| (직원) 파업 | štrajk | stávka |
| 내기, 도박 | stávka | sázka |
| 경주 | preteky | závod |
| 안녕 | dovidenia | na shledanou |
| 고양이 | mačka | kočka |
| 검은새 | drozd | kos |
| 키스하다 | bozkať | líbat |
| 지금 | teraz | teď, nyní |
| 상품 | tovar | zboží |
| 감자 | zemiaky | brambory |
| 덫 | klepec, pasca | past, léčka |
| 똑같은, 동일한 | rovnaký | stejný |
| 식기 | riad | nádobí |
| 티슈, 손수건 | vreckovka | kapesník |
| 놀라다, 궁금해하다 | čudovať sa | divit se |
| 연필 | ceruzka | tužka |
| 아마도 | azda, vari, snáď | snad |
| 쉬운 | ľahký | snadný, lehký |
| 문제 | ťažkosť | potíž, nesnáz |
| 수하물 | batožina | zavazadlo |
| 가지 | konár | větev |
| 만나다 | stretnúť sa | setkat se, potkat |
| 척추 | chrbtica | páteř |
| 그는/그녀는/그것은 아니다 | nie je | není |
| 하다, 만들다 | robiť, spraviť | dělat, udělat |
| 사과하다, 변명하다 | ospravedlniť sa | omluvit se |
| 담배를 피우다 | fajčiť | kouřit |
| 무엇이든 | hocičo, voľačo | leccos, cokoliv |
| 블루베리 | čučoriedka | borůvka |
| 살구 | marhuľa | meruňka |
| 양배추 | kapusta | zelí |
| 사보이 양배추 | kel | kapusta |
| 콩류, 펄스 | strukoviny | luštěniny |
| 병아리콩 | cícer | cizrna |
| 렌즈콩 | šošovica | čočka |
| 호밀 | raž | žito |
| 수요 | dopyt | poptávka |
| 제안; 공급 | ponuka | nabídka |
| 일찍, 곧 | skoro, čoskoro | brzy |
| 더 일찍, 더 빨리 | skôr | dřív |
| 늦은 | neskorý, neskoro | pozdní, opožděný, pozdě |
| 나중에 | neskôr | později |
| 갑자기 | zrazu | najednou |
| 동화 | rozprávka | pohádka |
| 전차 | električka | tramvaj |
| 돼지고기 | bravčové | vepřové |
| 양고기 | baranina | skopové |
| 젖을 먹이다 | dojčiť | kojit |
| 유아 | dojča | kojenec |
| 아기 | bábätko | miminko |
| (그룹의) 나머지 | zvyšok | zbytek |
| 입술 | pery | rty |
| 립스틱 | rúž | rtěnka |
| 무리 | kŕdeľ | hejno |
| 기차역 | (železničná) stanica | nádraží |
| ~에도 불구하고 | napriek | navzdory |
| 언제 | keď | když |
| (물) 잔 | pohár | sklenice, sklenička |
| 후추 | čierne korenie | pepř |
| 아픈 | chorý | nemocný |
| 질병 | choroba | nemoc, (less commonly) choroba |
| 점 | bodka | tečka |
| 벽 | múr | zeď |
| 벽돌공 | murár | zedník |
| 어깨 | plece | rameno |
| 데우다 | kúriť | topit |
| 거북 | korytnačka | želva |
| 낙타 | ťava | velbloud |
| 짝수 | párny | sudý |
| 홀수 | nepárny | lichý |
| 마침내 | napokon, nakoniec | nakonec |
| 정육점 주인 | mäsiar | řezník |
| 날씬한, 마른 | chudý | hubený |
| 가난한 | chudobný | chudý |
일부 단어는 다른 의미를 갖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어 'topiť'는 '녹이다' 또는 '익사시키다'라는 뜻이지만, 체코어 'topiť'는 '데우다' 또는 '익사시키다'라는 뜻이다.
체코 달은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반면(예: ''říjen''), 슬로바키아 달은 라틴어에서 유래했다(예: ''október'').
대부분의 단어는 다르지만 유사한 동족어이므로 두 언어는 상당 부분 서로 이해할 수 있다.
5. 음운론적 특징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와 달리 구개 자음을 더 자주 사용한다(즉, 음성적으로 "부드럽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가 있는데, 슬로바키아어의 ''de'', ''te'', ''ne''는 일반적으로 체코어의 ''dě'', ''tě'', ''ně''로 발음된다.[10][11]
슬로바키아어의 "리듬 법칙"은 인접한 두 개의 긴 음절을 금지한다.[10][11]
6. 문법적 특징
슬로바키아어 문법은 문어체 체코어 문법보다 다소 규칙적인데, 이는 현재의 표준 슬로바키아어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정형화되었기 때문이다.
두 언어는 격 변화와 활용 어미 및 패러다임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슬로바키아어 ''-cia'', ''-ej'', ''-dlo'', ''-ť'', ''-ov'', ''-om'', ''-mi''는 체코어 ''-c(i)e'', ''-é'', ''-tko'', ''-t'', ''-ů'', ''-em'', ''y''에 대응된다.
슬로바키아어는 호격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체코어 호격은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된다.[12]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보다 영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수동태를 덜 사용하며, 대신 동슬라브어군에서와 같이 재귀 대명사 ''sa''를 사용하여 형성된 수동태를 선호한다.
어휘적 차이는 대부분 단순한 역사적 기원에서 비롯된다. 전문 용어의 경우, 생물학(특히 모든 동물 및 식물 이름)을 제외하고, 실용적인 이유로 체코어 용어가 (슬로바키아화된 형태로) 대부분 채택되었다. 다른 용어의 체코-슬로바키아 사전(1989, 프라하)에는 전문 용어를 제외하고 약 11,000개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 영어 | 슬로바키아어 | 체코어 |
|---|---|---|
| 응 | hej | jo |
| 만약 | ak | jestli, jestliže, -li |
| 정말, 실제로 | naozaj | opravdu |
| 단지, 오직 | iba, len | pouze, jenom, jen |
| 좋아하다 | páčiť sa | líbit se |
| 또한 | tiež | také, taky, (less commonly) též |
| 그러나 | veď | vždyť |
| 뜨거운 | horúci | horký |
| 할 수 있다, ~하게 하다 | nech | ať, nechť |
| 바라다 | želať | přát |
| 보다 | zbadať | spatřit |
| ~ 옆에 | pri, popri, vedľa | vedle |
| 묘지 | cintorín | hřbitov |
| 특히 | najmä | především, obzvlášť, zejména |
| 용서하다, 변명하다 | prepáčiť | prominout |
| ~을 제외하고 | okrem | kromě, mimo, vyjma |
| (기계) 작동 | prevádzka | provoz, chod |
| 교통 | premávka | provoz |
| 전쟁 | vojna | válka, (less commonly) vojna |
| 현재의 | terajší | stávající |
| 나쁜 | zlý | špatný |
| 더 나쁜 (부사) | horšie | hůř |
| 가다 | ísť | jet, jít |
| ~하자마자 | len čo | jakmile |
| 잊다 | zabudnúť | zapomenout |
| 한 번 | raz | jednou |
| 다음의 | budúci | příští |
| 공 | lopta | míč |
| 단추 | gombík | knoflík |
| 펍 | krčma | hospoda |
| 우표 | pečiatka | razítko |
| 방 | izba | pokoj |
| 획득하다 | nadobudnúť | nabýt |
| 행동 | správanie | chování |
| 듣다 | počuť | slyšet |
| (TV) 시청하다 | pozerať (televíziu) | dívat se na (televizi) |
| 보다 | pozerať | koukat |
| ~처럼 보이다 | vyzerať | vypadat |
| 말하다, 이야기하다 | povedať, vravieť | říct, mluvit |
| 주머니 | vrecko | kapsa |
| 청소하다 | upratovať | uklízet |
| 왜냐하면 | keďže | jelikož |
| 성 | priezvisko | příjmení |
| 지하실 | pivnica | sklep |
| 포함하여 | vrátane | včetně |
| 가을 | jeseň | podzim |
| ~라고 불리다(이름과 같이) | volať sa | jmenovat se |
| 소년 | chalan | kluk |
| 소녀 | dievča | holka, děvče |
| 아침 식사 | raňajky | snídaně |
| 세다 | rátať, počítať | počítat |
| 간식 | olovrant | svačina |
| 밀어넣다, 채우다 | pchať | cpát |
| 세탁물 | bielizeň | prádlo |
| 언론, 신문 | tlač | tisk |
| 비록 ~일지라도 | hoci | ačkoliv |
| 베개 | vankúš | polštář |
| 즉, 다시 말해 | čiže | čili |
| 갈증 | smäd | žízeň |
| (직원) 파업 | štrajk | stávka |
| 내기, 도박 | stávka | sázka |
| 경주 | preteky | závod |
| 안녕 | dovidenia | na shledanou |
| 고양이 | mačka | kočka |
| 검은새 | drozd | kos |
| 키스하다 | bozkať | líbat |
| 지금 | teraz | teď, nyní |
| 상품 | tovar | zboží |
| 감자 | zemiaky | brambory |
| 덫 | klepec, pasca | past, léčka |
| 똑같은, 동일한 | rovnaký | stejný |
| 식기 | riad | nádobí |
| 티슈, 손수건 | vreckovka | kapesník |
| 놀라다, 궁금해하다 | čudovať sa | divit se |
| 연필 | ceruzka | tužka |
| 아마도 | azda, vari, snáď | snad |
| 쉬운 | ľahký | snadný, lehký |
| 문제 | ťažkosť | potíž, nesnáz |
| 수하물 | batožina | zavazadlo |
| 가지 | konár | větev |
| 만나다 | stretnúť sa | setkat se, potkat |
| 척추 | chrbtica | páteř |
| 그는/그녀는/그것은 아니다 | nie je | není |
| 하다, 만들다 | robiť, spraviť | dělat, udělat |
| 사과하다, 변명하다 | ospravedlniť sa | omluvit se |
| 담배를 피우다 | fajčiť | kouřit |
| 무엇이든 | hocičo, voľačo | leccos, cokoliv |
| 블루베리 | čučoriedka | borůvka |
| 살구 | marhuľa | meruňka |
| 양배추 | kapusta | zelí |
| 사보이 양배추 | kel | kapusta |
| 콩류, 펄스 | strukoviny | luštěniny |
| 병아리콩 | cícer | cizrna |
| 렌즈콩 | šošovica | čočka |
| 호밀 | raž | žito |
| 수요 | dopyt | poptávka |
| 제안; 공급 | ponuka | nabídka |
| 일찍, 곧 | skoro, čoskoro | brzy |
| 더 일찍, 더 빨리 | skôr | dřív |
| 늦은 | neskorý, neskoro | pozdní, opožděný, pozdě |
| 나중에 | neskôr | později |
| 갑자기 | zrazu | najednou |
| 동화 | rozprávka | pohádka |
| 전차 | električka | tramvaj |
| 돼지고기 | bravčové | vepřové |
| 양고기 | baranina | skopové |
| 젖을 먹이다 | dojčiť | kojit |
| 유아 | dojča | kojenec |
| 아기 | bábätko | miminko |
| (그룹의) 나머지 | zvyšok | zbytek |
| 입술 | pery | rty |
| 립스틱 | rúž | rtěnka |
| 무리 | kŕdeľ | hejno |
| 기차역 | (železničná) stanica | nádraží |
| ~에도 불구하고 | napriek | navzdory |
| 언제 | keď | když |
| (물) 잔 | pohár | sklenice, sklenička |
| 후추 | čierne korenie | pepř |
| 아픈 | chorý | nemocný |
| 질병 | choroba | nemoc, (less commonly) choroba |
| 점 | bodka | tečka |
| 벽 | múr | zeď |
| 벽돌공 | murár | zedník |
| 어깨 | plece | rameno |
| 데우다 | kúriť | topit |
| 거북 | korytnačka | želva |
| 낙타 | ťava | velbloud |
| 짝수 | párny | sudý |
| 홀수 | nepárny | lichý |
| 마침내 | napokon, nakoniec | nakonec |
| 정육점 주인 | mäsiar | řezník |
| 날씬한, 마른 | chudý | hubený |
| 가난한 | chudobný | chudý |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의 예: 슬로바키아어 ''topiť'' (녹이다/익사시키다) (지역에 따라 동일한 의미일 수 있음) – 체코어 ''topit'' (데우다/익사시키다), 슬로바키아어 ''kúriť'' (데우다) – 체코어 ''kouřit'' (담배를 피우다), 슬로바키아어 ''horký'' (쓴) – 체코어 ''horký'' (뜨거운) 그러나 ''hořký'' (쓴), 슬로바키아어 ''stávka'' (말뚝, 내기) – 체코어 ''stávka'' (파업), 슬로바키아어 ''chudý'' (날씬한, 마른) – 체코어 ''chudý'' (가난한; 은유적으로도 날씬한), 슬로바키아어 ''kapusta'' (양배추) – 체코어 ''kapusta'' (사보이 양배추), 슬로바키아어 ''pivnica'' (지하실) – 체코어 ''pivnice'' (펍), 슬로바키아어 ''syrový'' (치즈 같은, 치즈의) – 체코어 ''syrový'' (날 것의, 익히지 않은) 그러나 ''sýrový'' (치즈의), 슬로바키아어 ''spraviť'' (만들다, 창조하다) – 체코어 ''spravit'' (수리하다, 고정하다).
체코 달은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지만(예: ''říjen''), 슬로바키아 달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예: ''október'').
대부분의 단어는 사실 다르지만, 대체로 유사하며, 동족어이므로 두 언어는 상당한 정도로 서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의(슬로바키아어 ''cudzí'' – 체코어 ''cizí''), 이유(슬로바키아어 ''dôvod'' – 체코어 ''důvod''), 원하다(슬로바키아어 ''chcieť'' – 체코어 ''chtít''), 약속하다(슬로바키아어 ''sľubovať '' – 체코어 ''slibovat''), 만약(슬로바키아어 ''keby'' – 체코어 ''kdyby''), 강(슬로바키아어 ''rieka'' – 체코어 ''řeka''), 교회(슬로바키아어 ''kostol'' – 체코어 ''kostel''), 결혼(슬로바키아어 ''svadobný'' – 체코어 ''svatební''), 누구(슬로바키아어 ''kto'' – 체코어 ''kdo''), 묻다(슬로바키아어 ''spýtať sa'' – 체코어 ''zeptat se''), 실패하다(슬로바키아어 ''zlyhať'' – 체코어 ''selhat''), 거의(슬로바키아어 ''takmer'' – 체코어 ''téměř''), 감사(슬로바키아어 ''ďakujem, vďaka'' – 체코어 ''děkuju, díky'').
7. 어휘 비교
현대 문어 표준어를 기준으로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철자법: 체코어에는 없고 슬로바키아어에만 있는 음소는 ä, ľ, ĺ, ŕ, ô이다. 반대로 슬로바키아어에는 없고 체코어에만 있는 음소는 ě, ř, ů이다. (체코어 발음 및 슬로바키아어 발음 참고)
- 음운론: 슬로바키아어에는 체코어에 없는 , , 및 이중 모음 , , , (상위 스타일 표준 슬로바키아어 또는 일부 방언에서는 ) 음소가 있다. 반면 체코어에는 음소가 있다. 슬로바키아어는 구개 자음을 더 자주 사용하지만, 예외적으로 ''de'', ''te'', ''ne''는 체코어의 ''dě'', ''tě'', ''ně''로 발음된다. 슬로바키아어의 "리듬 법칙"은 인접한 두 개의 긴 음절을 허용하지 않는다.[10][11]
- 문법: 슬로바키아어 문법은 19세기에 정형화되었기 때문에 문어체 체코어 문법보다 다소 규칙적이다. 두 언어는 격 변화와 활용 어미 및 패러다임에 차이가 있다. (예: 슬로바키아어 ''-cia'', ''-ej'', ''-dlo'', ''-ť'', ''-ov'', ''-om'', ''-mi'' – 체코어 ''-c(i)e'', ''-é'', ''-tko'', ''-t'', ''-ů'', ''-em'', ''y''). 슬로바키아어는 호격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체코어 호격은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된다.[12] 슬로바키아어는 수동태를 덜 사용하고, 동슬라브어군처럼 재귀 대명사 ''sa''를 사용한다.
7. 1. 어휘 비교 예시
어휘적 차이는 대부분 단순한 역사적 기원에서 비롯된다. 전문 용어의 경우, 생물학(특히 모든 동물 및 식물 이름)을 제외하고, 실용적인 이유로 체코어 용어가 (슬로바키아화된 형태로) 대부분 채택되었다. 다른 용어의 체코-슬로바키아 사전(1989, 프라하)에는 전문 용어를 제외하고 약 11,000개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10]| 영어 | 슬로바키아어 | 체코어 |
|---|---|---|
| 응 | hej | jo |
| 만약 | ak | jestli, jestliže, -li |
| 정말, 실제로 | naozaj | opravdu |
| 단지, 오직 | iba, len | pouze, jenom, jen |
| 좋아하다 | páčiť sa | líbit se |
| 또한 | tiež | také, taky, (less commonly) též |
| 그러나 | veď | vždyť |
| 뜨거운 | horúci | horký |
| 할 수 있다, ~하게 하다 | nech | ať, nechť |
| 바라다 | želať | přát |
| 보다 | zbadať | spatřit |
| ~ 옆에 | pri, popri, vedľa | vedle |
| 묘지 | cintorín | hřbitov |
| 특히 | najmä | především, obzvlášť, zejména |
| 용서하다, 변명하다 | prepáčiť | prominout |
| ~을 제외하고 | okrem | kromě, mimo, vyjma |
| (기계) 작동 | prevádzka | provoz, chod |
| 교통 | premávka | provoz |
| 전쟁 | vojna | válka, (less commonly) vojna |
| 현재의 | terajší | stávající |
| 나쁜 | zlý | špatný |
| 더 나쁜 (부사) | horšie | hůř |
| 가다 | ísť | jet, jít |
| ~하자마자 | len čo | jakmile |
| 잊다 | zabudnúť | zapomenout |
| 한 번 | raz | jednou |
| 다음의 | budúci | příští |
| 공 | lopta | míč |
| 단추 | gombík | knoflík |
| 펍 | krčma | hospoda |
| 우표 | pečiatka | razítko |
| 방 | izba | pokoj |
| 획득하다 | nadobudnúť | nabýt |
| 행동 | správanie | chování |
| 듣다 | počuť | slyšet |
| (TV) 시청하다 | pozerať (televíziu) | dívat se na (televizi) |
| 보다 | pozerať | koukat |
| ~처럼 보이다 | vyzerať | vypadat |
| 말하다, 이야기하다 | povedať, vravieť | říct, mluvit |
| 주머니 | vrecko | kapsa |
| 청소하다 | upratovať | uklízet |
| 왜냐하면 | keďže | jelikož |
| 성 | priezvisko | příjmení |
| 지하실 | pivnica | sklep |
| 포함하여 | vrátane | včetně |
| 가을 | jeseň | podzim |
| ~라고 불리다(이름과 같이) | volať sa | jmenovat se |
| 소년 | chalan | kluk |
| 소녀 | dievča | holka, děvče |
| 아침 식사 | raňajky | snídaně |
| 세다 | rátať, počítať | počítat |
| 간식 | olovrant | svačina |
| 밀어넣다, 채우다 | pchať | cpát |
| 세탁물 | bielizeň | prádlo |
| 언론, 신문 | tlač | tisk |
| 비록 ~일지라도 | hoci | ačkoliv |
| 베개 | vankúš | polštář |
| 즉, 다시 말해 | čiže | čili |
| 갈증 | smäd | žízeň |
| (직원) 파업 | štrajk | stávka |
| 내기, 도박 | stávka | sázka |
| 경주 | preteky | závod |
| 안녕 | dovidenia | na shledanou |
| 고양이 | mačka | kočka |
| 검은새 | drozd | kos |
| 키스하다 | bozkať | líbat |
| 지금 | teraz | teď, nyní |
| 상품 | tovar | zboží |
| 감자 | zemiaky | brambory |
| 덫 | klepec, pasca | past, léčka |
| 똑같은, 동일한 | rovnaký | stejný |
| 식기 | riad | nádobí |
| 티슈, 손수건 | vreckovka | kapesník |
| 놀라다, 궁금해하다 | čudovať sa | divit se |
| 연필 | ceruzka | tužka |
| 아마도 | azda, vari, snáď | snad |
| 쉬운 | ľahký | snadný, lehký |
| 문제 | ťažkosť | potíž, nesnáz |
| 수하물 | batožina | zavazadlo |
| 가지 | konár | větev |
| 만나다 | stretnúť sa | setkat se, potkat |
| 척추 | chrbtica | páteř |
| 그는/그녀는/그것은 아니다 | nie je | není |
| 하다, 만들다 | robiť, spraviť | dělat, udělat |
| 사과하다, 변명하다 | ospravedlniť sa | omluvit se |
| 담배를 피우다 | fajčiť | kouřit |
| 무엇이든 | hocičo, voľačo | leccos, cokoliv |
| 블루베리 | čučoriedka | borůvka |
| 살구 | marhuľa | meruňka |
| 양배추 | kapusta | zelí |
| 사보이 양배추 | kel | kapusta |
| 콩류, 펄스 | strukoviny | luštěniny |
| 병아리콩 | cícer | cizrna |
| 렌즈콩 | šošovica | čočka |
| 호밀 | raž | žito |
| 수요 | dopyt | poptávka |
| 제안; 공급 | ponuka | nabídka |
| 일찍, 곧 | skoro, čoskoro | brzy |
| 더 일찍, 더 빨리 | skôr | dřív |
| 늦은 | neskorý, neskoro | pozdní, opožděný, pozdě |
| 나중에 | neskôr | později |
| 갑자기 | zrazu | najednou |
| 동화 | rozprávka | pohádka |
| 전차 | električka | tramvaj |
| 돼지고기 | bravčové | vepřové |
| 양고기 | baranina | skopové |
| 젖을 먹이다 | dojčiť | kojit |
| 유아 | dojča | kojenec |
| 아기 | bábätko | miminko |
| (그룹의) 나머지 | zvyšok | zbytek |
| 입술 | pery | rty |
| 립스틱 | rúž | rtěnka |
| 무리 | kŕdeľ | hejno |
| 기차역 | (železničná) stanica | nádraží |
| ~에도 불구하고 | napriek | navzdory |
| 언제 | keď | když |
| (물) 잔 | pohár | sklenice, sklenička |
| 후추 | čierne korenie | pepř |
| 아픈 | chorý | nemocný |
| 질병 | choroba | nemoc, (less commonly) choroba |
| 점 | bodka | tečka |
| 벽 | múr | zeď |
| 벽돌공 | murár | zedník |
| 어깨 | plece | rameno |
| 데우다 | kúriť | topit |
| 거북 | korytnačka | želva |
| 낙타 | ťava | velbloud |
| 짝수 | párny | sudý |
| 홀수 | nepárny | lichý |
| 마침내 | napokon, nakoniec | nakonec |
| 정육점 주인 | mäsiar | řezník |
| 날씬한, 마른 | chudý | hubený |
| 가난한 | chudobný | chudý |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의 예: 슬로바키아어 ''topiť'' (녹이다/익사시키다) (지역에 따라 동일한 의미일 수 있음) – 체코어 ''topit'' (데우다/익사시키다), 슬로바키아어 ''kúriť'' (데우다) – 체코어 ''kouřit'' (담배를 피우다), 슬로바키아어 ''horký'' (쓴) – 체코어 ''horký'' (뜨거운) 그러나 ''hořký'' (쓴), 슬로바키아어 ''stávka'' (말뚝, 내기) – 체코어 ''stávka'' (파업), 슬로바키아어 ''chudý'' (날씬한, 마른) – 체코어 ''chudý'' (가난한; 은유적으로도 날씬한), 슬로바키아어 ''kapusta'' (양배추) – 체코어 ''kapusta'' (사보이 양배추), 슬로바키아어 ''pivnica'' (지하실) – 체코어 ''pivnice'' (펍), 슬로바키아어 ''syrový'' (치즈 같은, 치즈의) – 체코어 ''syrový'' (날 것의, 익히지 않은) 그러나 ''sýrový'' (치즈의), 슬로바키아어 ''spraviť'' (만들다, 창조하다) – 체코어 ''spravit'' (수리하다, 고정하다).[10]
체코 달은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지만(예: ''říjen''), 슬로바키아 달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예: ''október'').[10]
대부분의 단어는 사실 다르지만, 대체로 유사하며, 동족어이므로 두 언어는 상당한 정도로 서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의(슬로바키아어 ''cudzí'' – 체코어 ''cizí''), 이유(슬로바키아어 ''dôvod'' – 체코어 ''důvod''), 원하다(슬로바키아어 ''chcieť'' – 체코어 ''chtít''), 약속하다(슬로바키아어 ''sľubovať '' – 체코어 ''slibovat''), 만약(슬로바키아어 ''keby'' – 체코어 ''kdyby''), 강(슬로바키아어 ''rieka'' – 체코어 ''řeka''), 교회(슬로바키아어 ''kostol'' – 체코어 ''kostel''), 결혼(슬로바키아어 ''svadobný'' – 체코어 ''svatební''), 누구(슬로바키아어 ''kto'' – 체코어 ''kdo''), 묻다(슬로바키아어 ''spýtať sa'' – 체코어 ''zeptat se''), 실패하다(슬로바키아어 ''zlyhať'' – 체코어 ''selhat''), 거의(슬로바키아어 ''takmer'' – 체코어 ''téměř''), 감사(슬로바키아어 ''ďakujem, vďaka'' – 체코어 ''děkuju, díky'').[10]
참조
[1]
서적
Brill Encyclopedia of Slavic Languages and Linguistics
https://referencewor[...]
Brill Publishers
2024-04-01
[2]
문서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фонемы ''g (h)'' в славянском языке
М.
[3]
서적
The Germanic loanwords in Proto-Slavic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Moravský jazykový separatismus: zdroje, cíle, slovanský kontext
UP v Olomouci
[5]
웹사이트
Tab. 153 Obyvatelstvo podle národnosti, mateřského jazyka a podle pohlaví
https://vdb.czso.cz/[...]
[6]
웹사이트
Otázka kodifikace spisovného moravského jazyka (The question of codifying a written Moravian language)
http://www.britskeli[...]
University of Tartu
2014-07-21
[7]
참고자료
[8]
문서
[9]
서적
Vývoj českého jazyka a dialektologie
Československé státní pedagogické nakladatelství
[10]
서적
Slavic Prosody: Language Change and Phonological Theory
https://books.google[...]
[11]
학술지
The Rhythmic Law in Czech: Vowel-final Prefixes
http://tscheer.free.[...]
2019-08-18
[12]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Language Survey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