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슬라브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슬라브어군은 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고대 노브고로드어와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분화되었다. 현대에는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가 포함되며, 루신어는 때때로 이 그룹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독립적인 언어로서의 지위는 논쟁의 대상이다. 동슬라브어군은 언어 연속체를 이루며, 어휘, 문자, 음운 등에서 각 언어의 특징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폴란드어 등의 주변 언어와의 접촉을 통해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슬라브어군 - 루신어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슬라브어로,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ISO 639-3 코드 'rue'를 부여받아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보호받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 동슬라브어군 - 루테니아어
    루테니아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로, 학자들은 '루테니아어'라는 외부 명칭을 포함한 다양한 명칭으로 이 언어와 변종을 지칭하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행정 언어로 발전했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동슬라브어군
언어 정보
이름동슬라브어군
로마자 표기Dong seullabeueo-gun
지역유라시아 (동유럽, 북아시아, 캅카스)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슬라브어파
어군슬라브어파
조상 언어원시 인도유럽어
조상 언어 2원시 발트슬라브어
조상 언어 3원시 슬라브어
조상 언어 4고대 동슬라브어
파생 언어 1벨라루스어
파생 언어 2러시아어
파생 언어 3루신어
파생 언어 4우크라이나어
ISO 639-5zle
Glottologeast1426
Glottolog 명칭East Slavic

2. 분류

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현대 동슬라브어군에는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가 포함된다.[4] 루신어는 때때로 이 그룹의 네 번째 생존 언어로 간주되며, 독립적인 언어로서의 지위는 과학적 논쟁의 대상이다.[4]

3. 분포

우크라이나어유럽 내 분포


벨라루스어유럽 내 분포


러시아어의 유라시아 내 분포


동슬라브어군은 다음 언어들을 포함한다.

4. 특징

동슬라브어군은 여러 과도기적 방언을 가진 언어 연속체를 보인다. 벨라루스어우크라이나어 사이에는 두 언어의 특징을 공유하는 폴레시아 방언이 존재한다. 동폴레시아는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남러시아어 사이의 과도기적 변이이다. 벨라루스어와 남러시아어는 연속 지역을 형성하여 두 언어의 경계를 긋기 어렵게 만든다. 중부 러시아어(모스크바 하위 방언 포함)는 북부와 남부 러시아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러시아 문학 표준어의 기초가 되었다. 북러시아어는 고 노브고로드 방언의 영향으로 독창적이고 고풍스러운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6]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향으로,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레히틱 서슬라브어 언어인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다. 오랜 폴란드-리투아니아 통치로 인해 이 언어들은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덜 받아 현대 러시아어보다 교회 슬라브어적 특징이 적다.

"달콤한" 단어 비교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солодкий|솔로트키ukсалодкі|살롯키beсладкий|슬랏키ru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원래 동슬라브어 음성 형태가 많은 단어에 유지되었다.

"단위" 단어 비교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одиниця|오디니차ukадзінка|아진카beeдиница|예디니차ru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독일어 등 서유럽 언어(특히 폴란드어를 통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반면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남슬라브어)뿐만 아니라 튀르크우랄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

"수색하다" 단어 비교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шукати|슈카티ukшукаць|슈카츠beискать|이스카티ru
폴란드어 "szukać"와 고 하부 독일어 "sōkian" (독일어 "suchen") 비교불가리아어 "искам" (iskam) (의미 변화: "원하다") 및 세르보-크로아티아어 "искати" (iskati) 비교



동슬라브어군 언어들은 때때로 잘못된 친구를 가지고 있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7]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 орати|오라티uk("경작하다")와 러시아어 орать|오라티ru("소리 지르다"), 우크라이나어 помітити|포미티티uk("알아차리다")와 러시아어 пометить|포메티티ru("표시하다") 등이 있다.

동슬라브어군은 모두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마다 고유한 문자와 발음이 있다.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는 33개, 벨라루스어는 32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경음 부호 (')를 사용하여 러시아어의 Ъ와 같은 기능을 한다.

키릴 문자 비교표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벨라루스어АБВГДЕЁЖЗІЙКЛМНОПРСТУЎФХЦЧШ'ЫЬЭЮЯ
우크라이나어АБВГҐДЕЄЖЗИІЇ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ЬЮЯ



어떤 언어의 알파벳에 없는 문자는 이중자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 없는 Ё는 ЙО(자음 앞뒤에서 ЬО)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Щ는 벨라루스어에서 ШЧ로 표기할 수 있다(벨라루스어 плошча와 우크라이나어 площа ("면적") 비교).

연음 부호(Ь)는 러시아어에서 Ц 뒤에 표기할 수 없는데, 이는 러시아어에 자음 /tsʲ/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상대적으로 흔하게 사용된다. 표준 러시아어의 Щ는 항상 부드럽게 발음된다(구개음화).

표준 우크라이나어는 다른 슬라브어군(세르보크로아트어 제외)과 달리 종말 장애음 무성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구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명확하지 않다.[8]

동슬라브어군은 알파벳과 일부 문자의 발음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문자 "И"는 주로 로 발음되지만(우크라이나어 "І"와 동일),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로 발음된다(러시아어 "Ы"와 유사).

오해의 소지가 있는 단어
문자발음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Е"우크라이나어 Є|예uk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Э"우크라이나어 Е|에uk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Ы"우크라이나어 И|이uk(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및 우크라이나어 "І"러시아어 И|이ru
벨라루스어 및 우크라이나어 "Г"러시아어에는 소리가 없음
러시아어 Г|게ru우크라이나어 Ґ|게uk



동슬라브어군 내에서도 방언에 따라 발음 차이가 있다.

등어선북러시아표준 러시아어
(모스크바 방언)
남러시아표준 벨라루스어표준 우크라이나어예시
무강세 의 감소 (아카니에)아니요[9]아니요[10]러. голова́|갈라바ru ,
벨. галава́|할라바be ,
우. голова́|홀로바uk
"머리"
전강세 (야카니에)colspan="2" |[11]러. земля́|젬랴ru ,
벨. зямля́|쟘랴be ,
우. земля́|제믈랴uk
"땅"
원시 슬라브어 *icolspan="4" |[12]러. лист|리스트ru ,
벨. ліст|리스트be ,
우. лист|리스트uk
"잎"
원시 슬라브어 *ycolspan="4" |ты|띄ru (러시아어), ты|띄be (벨라루스어),
ти|띄uk (우크라이나어)
"너, 당신"
강세 CoCcolspan="4" |[13][14]ночь|노치ru (러시아어),
ноч|노치be (벨라루스어),
ніч|니치uk (우크라이나어)
"밤"
원시 슬라브어 *ěcolspan="3" |се́мя|셰먀ru (러시아어),
се́мя|셰먀be (벨라루스어),
сі́м'я|심야uk (우크라이나어)
"씨앗"
비구개음화 자음 앞의 /e/>/o/ 변화[15]항상강세/j/, /nʲ/, /lʲ/, /ʒ/, /ʃ/, /t͡ʃ/ 뒤러. зелёный|젤료늬ru ,
벨. зялёны|쟐료늬be ,
우. зеле́ний|젤레늬uk
"녹색"
원시 슬라브어 *c[16][17]волчица|발치차ru (러시아어),
ваўчыца|바우치차be (벨라루스어),
вовчиця|보우치차uk (우크라이나어)
"암컷 늑대"
원시 슬라브어 *č[18][17]час|차스ru (러시아어),
час|차스be (벨라루스어),
час|차스uk (우크라이나어)
"시간"
원시 슬라브어 *skj, zgj,[19],,ещё|예쇼ru (러시아어),
яшчэ|야슈체be (벨라루스어),
ще|슈체uk (우크라이나어)
"아직"
부드러운 치경 파열음, [20],,де́сять|뎨샤티ru (러시아어),
дзе́сяць|졔샤쯔be (벨라루스어),
де́сять|데샤티uk (우크라이나어)
"10"
원시 슬라브어 *v[21]

о́стров|오스트라프ru (러시아어),
во́страў|보스트라우be (벨라루스어),
о́стрів|오스트리우uk (우크라이나어)
"섬"
(차용어에서)colspan="2" |colspan="2" |
보조아니요[22]о́стров|오스트라프ru (러시아어),
во́страў|보스트라우be (벨라루스어),
о́стрів|오스트리우uk (우크라이나어)
"섬"
원시 슬라브어 *gcolspan="2" |colspan="2" |러. голова́|갈라바ru ,
벨. галава́|할라바be ,
우. голова́|홀로바uk
"머리"
마지막 부드러운 순음 자음의 경화아니요러. степь|스쪠피ru /sʲtʲepʲ/ (러시아어),
벨. стэп|스쩹be /stɛp/ (벨라루스어),
우. степ|스떼프uk /stɛp/ (우크라이나어)
"스텝"
부드러운 의 경화아니요닫힌 음절 끝에서 경화되고 그 외에는 경화되지 않음러. матерь (máter’),
벨. Вікторыя (Viktoryja),
우. кобзар (kobzár (주격),
кобзаря (kobzar’á (생격)
원시 슬라브어 *CrьC, ClьC,
CrъC, CrъC
, ,
,
, /ro/, ,, ,
,
원시 슬라브어. ‘*kry (단수 대격. krьvь);
러. кровь (krov’), кровавый (krovávyj),
벨. кроў (kroŭ), крывавы (kryvávy),
우. кров (krov), кривавий (kryvávyj)
"피, 피투성이"
원시 슬라브어 *-ъj-, -ьj-,,
원시 슬라브어 형용사 어미. *-ьjь,[23][24],
원시 슬라브어 형용사 어미. *-ъjь,[23][25]
호격의 상실아니요[26]아니요
3인칭 단수 및 복수 현재 직설법colspan="2" |ду́мают|두마윳ru (러시아어),
ду́маюць|두마윳쯔be (벨라루스어),
ду́мають|두마유찌uk (우크라이나어)
"(그들은) 생각한다"
(e-어간에서)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어미 탈락아니요러. скажет (skážet),
벨. скажа (skáža),
우. скаже (skáže)
"(그/그녀)는 말할 것이다"
3인칭 단수 남성 과거 직설법[27]colspan="2" |colspan="2" |러. ду́мал|두말ru ,
벨. ду́маў|두마우be ,
우. ду́мав|두마우uk
"(그는) 생각했다"
2차 구개음화 사격아니요러. рука|루까ru-руке́|루꼐ru ,
벨. рука|루까be-руцэ́|루쩨be ,
우. рука|루까uk-руці́|루찌uk
"손" (위치격 또는 전치격)


4. 1. 어휘

동슬라브어군은 많은 과도기적 방언을 가진 언어 연속체를 보여준다. 벨라루스어우크라이나어 사이에는 두 언어의 특징을 공유하는 폴레시아 방언이 있다. 동폴레시아는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 남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의 과도기적인 변이이다. 벨라루스어와 남러시아어는 연속 지역을 형성하여 두 언어 사이에 선을 긋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든다. 중부 또는 중러시아어(모스크바 하위 방언 포함)는 북부와 남부의 과도기적 단계로, 러시아 문학 표준의 기초가 되었다. 북러시아어는 그 전신인 고 노브고로드 방언과 함께 많은 독창적이고 고풍스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향으로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레히틱 서슬라브어 언어인 폴란드어의 영향을 여러 면에서 받았다. 오랜 폴란드-리투아니아 통치의 결과로, 이 언어들은 교회 슬라브어에 덜 노출되어 현대 러시아어보다 적은 교회 슬라브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달콤한" 단어 비교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солодкий|솔로트키ukсалодкі|살롯키beсладкий|슬랏키ru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원래의 동슬라브어 음성 형태가 많은 단어에 유지되었다.

"단위" 단어 비교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одиниця|오디니차ukадзінка|아진카beeдиница|예디니차ru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다른 서유럽 언어, 특히 독일어 (폴란드어를 통해)와도 더 가깝다. 동시에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남슬라브어)뿐만 아니라 튀르크우랄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

"수색하다" 단어 비교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러시아어
шукати|슈카티ukшукаць|슈카츠beискать|이스카티ru
폴란드어 "szukać"와 고 하부 독일어 "sōkian" (독일어 "suchen") 비교불가리아어 "искам" (iskam) (의미 변화: "원하다") 및 세르보-크로아티아어 "искати" (iskati) 비교



세 언어 모두 때때로 (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잘못된 친구를 가지고 있다.[7]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 орати|오라티uk — "경작하다"와 러시아어 орать|오라티ru — "소리 지르다", 또는 우크라이나어 помітити|포미티티uk — "알아차리다"와 러시아어 пометить|포메티티ru — "표시하다"와 같이 잘못된 친구를 가지고 있다.

4. 2. 문자

동슬라브어군은 모두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마다 고유한 문자와 발음이 있다.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는 33개의 문자를, 벨라루스어는 32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경음 부호 (')를 사용하여 러시아어의 Ъ와 같은 기능을 한다.

키릴 문자 비교표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벨라루스어АБВГДЕЁЖЗІЙКЛМНОПРСТУЎФХЦЧШ'ЫЬЭЮЯ
우크라이나어АБВГҐДЕЄЖЗИІЇ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ЬЮЯ



어떤 언어의 알파벳에 포함되지 않은 문자는 이중자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 없는 Ё는 ЙО(자음 앞뒤에서 ЬО)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Щ는 벨라루스어에서 ШЧ로 표기할 수 있다(벨라루스어 плошча와 우크라이나어 площа ("면적") 비교).

연음 부호(Ь)는 러시아어에서 Ц 뒤에 표기할 수 없는데, 이는 러시아어에 자음 /tsʲ/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상대적으로 흔하게 사용된다(우크라이나어 ць는 어원적으로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 ц에 해당하며, 벨라루스어 ць는 어원적으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ть에 해당한다). 표준 러시아어의 Щ는 항상 부드럽게 발음된다(구개음화).

표준 우크라이나어는 다른 슬라브어군(세르보크로아트어 제외)과 달리 종말 장애음 무성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구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명확하지 않다. 이는 우크라이나 구어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예외 중 하나이다.[8]

4. 3. 음운

(모스크바 방언)남러시아표준 벨라루스어표준 우크라이나어예시무강세 의 감소 (아카니에)아니요예[9]아니요[10]러. голова́|갈라바ru ,
벨. галава́|할라바be ,
우. голова́|홀로바uk
"머리"전강세 (야카니에)colspan="2" |[11]러. земля́|젬랴ru ,
벨. зямля́|쟘랴be ,
우. земля́|제믈랴uk
"땅"원시 슬라브어 *icolspan="4" |[12]러. лист|리스트ru ,
벨. ліст|리스트be ,
우. лист|리스트uk
"잎"원시 슬라브어 *ycolspan="4" |ты|띄ru (러시아어), ты|띄be (벨라루스어),
ти|띄uk (우크라이나어)
"너, 당신"강세 CoCcolspan="4" |[13][14]ночь|노치ru (러시아어),
ноч|노치be (벨라루스어),
ніч|니치uk (우크라이나어)
"밤"원시 슬라브어 *ěcolspan="3" |се́мя|셰먀ru (러시아어),
се́мя|셰먀be (벨라루스어),
сі́м'я|심야uk (우크라이나어)
"씨앗"비구개음화 자음 앞의 /e/>/o/ 변화[15]항상강세/j/, /nʲ/, /lʲ/, /ʒ/, /ʃ/, /t͡ʃ/ 뒤러. зелёный|젤료늬ru ,
벨. зялёны|쟐료늬be ,
우. зеле́ний|젤레늬uk
"녹색"원시 슬라브어 *c[16][17]волчица|발치차ru (러시아어),
ваўчыца|바우치차be (벨라루스어),
вовчиця|보우치차uk (우크라이나어)
"암컷 늑대"원시 슬라브어 *č[18][17]час|차스ru (러시아어),
час|차스be (벨라루스어),
час|차스uk (우크라이나어)
"시간"원시 슬라브어 *skj, zgj,[19],,ещё|예쇼ru (러시아어),
яшчэ|야슈체be (벨라루스어),
ще|슈체uk (우크라이나어)
"아직"부드러운 치경 파열음, [20],,де́сять|뎨샤티ru (러시아어),
дзе́сяць|졔샤쯔be (벨라루스어),
де́сять|데샤티uk (우크라이나어)
"10"원시 슬라브어 *v[21]

о́стров|오스트라프ru (러시아어),
во́страў|보스트라우be (벨라루스어),
о́стрів|오스트리우uk (우크라이나어)
"섬"(차용어에서)colspan="2" |colspan="2" |보조아니요[22]예о́стров|오스트라프ru (러시아어),
во́страў|보스트라우be (벨라루스어),
о́стрів|오스트리우uk (우크라이나어)
"섬"원시 슬라브어 *gcolspan="2" |colspan="2" |러. голова́|갈라바ru ,
벨. галава́|할라바be ,
우. голова́|홀로바uk
"머리"마지막 부드러운 순음 자음의 경화아니요예러. степь|스쪠피ru /sʲtʲepʲ/ (러시아어),
벨. стэп|스쩹be /stɛp/ (벨라루스어),
우. степ|스떼프uk /stɛp/ (우크라이나어)
"스텝"부드러운 의 경화아니요예닫힌 음절 끝에서 경화되고 그 외에는 경화되지 않음러. матерь (máter’),
벨. Вікторыя (Viktoryja),
우. кобзар (kobzár (주격),
кобзаря (kobzar’á (생격)원시 슬라브어 *CrьC, ClьC,
CrъC, CrъC
, ,
,, /ro/, ,, ,
,원시 슬라브어. ‘*kry (단수 대격. krьvь);
러. кровь (krov’), кровавый (krovávyj),
벨. кроў (kroŭ), крывавы (kryvávy),
우. кров (krov), кривавий (kryvávyj)
"피, 피투성이"원시 슬라브어 *-ъj-, -ьj-,,원시 슬라브어 형용사 어미. *-ьjь,[23][24],원시 슬라브어 형용사 어미. *-ъjь,[23][25]호격의 상실아니요예[26]아니요3인칭 단수 및 복수 현재 직설법colspan="2" |ду́мают|두마윳ru (러시아어),
ду́маюць|두마윳쯔be (벨라루스어),
ду́мають|두마유찌uk (우크라이나어)
"(그들은) 생각한다"(e-어간에서)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어미 탈락아니요예러. скажет (skážet),
벨. скажа (skáža),
우. скаже (skáže)
"(그/그녀)는 말할 것이다"3인칭 단수 남성 과거 직설법[27]colspan="2" |colspan="2" |러. ду́мал|두말ru ,
벨. ду́маў|두마우be ,
우. ду́мав|두마우uk
"(그는) 생각했다"2차 구개음화 사격아니요예러. рука|루까ru-руке́|루꼐ru ,
벨. рука|루까be-руцэ́|루쩨be ,
우. рука|루까uk-руці́|루찌uk
"손" (위치격 또는 전치격)


5. 역사

동슬라브어군은 슬라브어파의 세 지역 그룹 중 하나로, 오늘날 동유럽에서 사용된다. 슬라브어족은 인도유럽어족발트슬라브어파에 속한다. 동슬라브어군은 원래 키예프 루스 시대에 사용된 공통 언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루테니아어와 고대 러시아어로 분화되었다. 동슬라브 지역이 기독교로 개종한 후,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쓰여진 예배서를 사용하면서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5. 1.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

동슬라브 지역이 기독교로 개종한 후, 사람들은 불가리아에서 빌려온 예배서를 사용했는데, 이 책들은 남슬라브어군 언어인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쓰여졌다.[1] 교회 슬라브어는 텍스트에서만 엄격하게 사용되었고, 불가리아인들의 구어는 말하는 형태로 소통되었다.

중세 시대(그리고 어느 정도 현재까지) 내내 종교 텍스트에서(뿐만 아니라) '상위' 언어 형태, 그리고 세속 텍스트에서 '하위' 언어 형태로 사용되는 대중 언어 사이에 이중성이 존재했다. 이러한 상황을 ''언어 이중성''으로 묘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주어진 맥락에서 특정 저자가 대중적인 형태 또는 교회 슬라브어 형태를 사용한 이유를 결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혼합 텍스트도 존재한다. 교회 슬라브어는 현대 러시아어의 진화에 중요한 요소였으며, 이 언어에서 유입된 "상위 계층"의 단어가 여전히 존재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прав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https://web.archive.[...] 2018-11-04
[2] 웹사이트 Dulichenko, Aleksandr ''The language of Carpathian Rus': Genetic Aspects'' https://web.archive.[...] 2009-12-12
[3]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https://web.archive.[...] Taylor & Francis 2017-11-22
[4] 학술지 The Fate of the Ruthenian or Little Russian (Ukrainian) Language in Austrian Galicia (1772–1867) https://www.jstor.or[...] 2021-06-28
[5] 웹사이트 Указ об учреждении губерний и о росписании к ним городов https://constitution[...] 2024-01-15
[6] 웹사이트 Turkic words in Russian https://www.language[...] 2024-01-15
[7] 웹사이트 Database of False Friends in Slavic Languages https://oesteuropast[...] 2024-01-16
[8] 웹사이트 Фонетика й вимова - Олександр Пономарів http://ponomariv-kul[...] 2022-11-11
[9] 문서 Except for the Polesian dialect of Brest
[10] 문서 Except for the Eastern Polesian dialect
[11] 문서 Consonants are hard before /e/
[12] 문서 Except for some dialects
[13] 문서 In some Ukrainian dialects COC can be /y~y̯e~y̯i~u̯o/
[14] 문서 In some Ukrainian dialects PSl *ě can be /e̝~i̯ɛ/
[15] 문서 Also at the end of words (in Russian and Belarusian). In Belarusian (unlike Russian), the change is not present in stressed 2 and 3 sg. pres. ind. endings.
[16] 문서 Can be /s/ in South Russian
[17] 문서 In some Northern Russian dialects, Proto-Slavic *c and *č have merged into one sound, variously pronounced as /t͡s, t͡sʲ, t͡ʂ, t͡ɕ/ depending on a dialect.
[18] 문서 Can be /ɕ/ in Southern Russian
[19] 문서 Can be /ɕt͡ɕ/, /ʂː/
[20] 문서 In Russian light affrication can occur: [tˢʲ] , [dᶻʲ]
[21] 문서 In some Northern Russian sub-dialects /v/ is not devoiced to /f/
[22] 문서 Except for восемь "eight" and some others
[23] 문서 Only unstressed, Church Slavonic influence
[24] 문서 Stressed, unstressed is usually reduced to [ʲəj]
[25] 문서 Stressed, unstressed is usually reduced to [əj]
[26] 문서 In colloquial Russian, new vocative has appeared from a pure stem: мам, пап, Маш, Вань etc.
[27] 문서 In the dialect of Volog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