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슬라브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슬라브어군은 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고대 노브고로드어와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분화되었다. 현대에는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가 포함되며, 루신어는 때때로 이 그룹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독립적인 언어로서의 지위는 논쟁의 대상이다. 동슬라브어군은 언어 연속체를 이루며, 어휘, 문자, 음운 등에서 각 언어의 특징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폴란드어 등의 주변 언어와의 접촉을 통해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슬라브어군 - 루신어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슬라브어로,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ISO 639-3 코드 'rue'를 부여받아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보호받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 동슬라브어군 - 루테니아어
루테니아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로, 학자들은 '루테니아어'라는 외부 명칭을 포함한 다양한 명칭으로 이 언어와 변종을 지칭하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행정 언어로 발전했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동슬라브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동슬라브어군 |
로마자 표기 | Dong seullabeueo-gun |
지역 | 유라시아 (동유럽, 북아시아, 캅카스)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슬라브어파 |
조상 언어 | 원시 인도유럽어 |
조상 언어 2 | 원시 발트슬라브어 |
조상 언어 3 | 원시 슬라브어 |
조상 언어 4 | 고대 동슬라브어 |
파생 언어 1 | 벨라루스어 |
파생 언어 2 | 러시아어 |
파생 언어 3 | 루신어 |
파생 언어 4 | 우크라이나어 |
ISO 639-5 | zle |
Glottolog | east1426 |
Glottolog 명칭 | East Slavic |
2. 분류
- 고대 동슬라브어[4]
-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4]
- 고대 루스어 (소멸; 고대 루테니아어, 고대 우크라이나어, 고대 벨라루스어, 고대 러시아어라고도 불림)[4]
- 루스어 (소멸; 루테니아어, 고대 우크라이나어, 고대 벨라루스어, 서러시아어라고도 불림)[4]
- 루테니아어[4]
- 우크라이나어[4]
- 루신어 ( 슬로바키아 동부 판노니아 루신어, 폴란드 동남부, 헝가리 동부, 우크라이나 남서부에 분포. 우크라이나어의 방언 중 하나로 분류되기도 함)[4]
- 벨라루스어[4]
- 러시아어[4]
현대 동슬라브어군에는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가 포함된다.[4] 루신어는 때때로 이 그룹의 네 번째 생존 언어로 간주되며, 독립적인 언어로서의 지위는 과학적 논쟁의 대상이다.[4]
3. 분포
동슬라브어군은 다음 언어들을 포함한다.
4. 특징
동슬라브어군은 여러 과도기적 방언을 가진 언어 연속체를 보인다.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에는 두 언어의 특징을 공유하는 폴레시아 방언이 존재한다. 동폴레시아는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남러시아어 사이의 과도기적 변이이다. 벨라루스어와 남러시아어는 연속 지역을 형성하여 두 언어의 경계를 긋기 어렵게 만든다. 중부 러시아어(모스크바 하위 방언 포함)는 북부와 남부 러시아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러시아 문학 표준어의 기초가 되었다. 북러시아어는 고 노브고로드 방언의 영향으로 독창적이고 고풍스러운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6]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향으로,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레히틱 서슬라브어 언어인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다. 오랜 폴란드-리투아니아 통치로 인해 이 언어들은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덜 받아 현대 러시아어보다 교회 슬라브어적 특징이 적다.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солодкий|솔로트키uk | салодкі|살롯키be | сладкий|슬랏키ru |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원래 동슬라브어 음성 형태가 많은 단어에 유지되었다.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одиниця|오디니차uk | адзінка|아진카be | eдиница|예디니차ru |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독일어 등 서유럽 언어(특히 폴란드어를 통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반면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남슬라브어)뿐만 아니라 튀르크와 우랄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шукати|슈카티uk | шукаць|슈카츠be | искать|이스카티ru |
폴란드어 "szukać"와 고 하부 독일어 "sōkian" (독일어 "suchen") 비교 | 불가리아어 "искам" (iskam) (의미 변화: "원하다") 및 세르보-크로아티아어 "искати" (iskati) 비교 |
동슬라브어군 언어들은 때때로 잘못된 친구를 가지고 있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7]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 орати|오라티uk("경작하다")와 러시아어 орать|오라티ru("소리 지르다"), 우크라이나어 помітити|포미티티uk("알아차리다")와 러시아어 пометить|포메티티ru("표시하다") 등이 있다.
동슬라브어군은 모두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마다 고유한 문자와 발음이 있다.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는 33개, 벨라루스어는 32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경음 부호 (')를 사용하여 러시아어의 Ъ와 같은 기능을 한다.
동슬라브어군 | ||||||||||||||||||||||||||||||||||||||
---|---|---|---|---|---|---|---|---|---|---|---|---|---|---|---|---|---|---|---|---|---|---|---|---|---|---|---|---|---|---|---|---|---|---|---|---|---|---|
러시아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벨라루스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І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Ў | Ф | Х | Ц | Ч | Ш | ' | Ы | Ь | Э | Ю | Я | |||||
우크라이나어 | А | Б | В | Г | Ґ | Д | Е | Є | Ж | З | И | І | Ї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 | Ь | Ю | Я |
어떤 언어의 알파벳에 없는 문자는 이중자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 없는 Ё는 ЙО(자음 앞뒤에서 ЬО)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Щ는 벨라루스어에서 ШЧ로 표기할 수 있다(벨라루스어 плошча와 우크라이나어 площа ("면적") 비교).
연음 부호(Ь)는 러시아어에서 Ц 뒤에 표기할 수 없는데, 이는 러시아어에 자음 /tsʲ/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상대적으로 흔하게 사용된다. 표준 러시아어의 Щ는 항상 부드럽게 발음된다(구개음화).
표준 우크라이나어는 다른 슬라브어군(세르보크로아트어 제외)과 달리 종말 장애음 무성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구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명확하지 않다.[8]
동슬라브어군은 알파벳과 일부 문자의 발음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문자 "И"는 주로 로 발음되지만(우크라이나어 "І"와 동일),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로 발음된다(러시아어 "Ы"와 유사).
문자 | 발음 | |
---|---|---|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Е" | 우크라이나어 Є|예uk | |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Э" | 우크라이나어 Е|에uk | |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Ы" | 우크라이나어 И|이uk |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및 우크라이나어 "І" | 러시아어 И|이ru | |
벨라루스어 및 우크라이나어 "Г" | 러시아어에는 소리가 없음 | |
러시아어 Г|게ru | 우크라이나어 Ґ|게uk |
동슬라브어군 내에서도 방언에 따라 발음 차이가 있다.
4. 1. 어휘
동슬라브어군은 많은 과도기적 방언을 가진 언어 연속체를 보여준다.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에는 두 언어의 특징을 공유하는 폴레시아 방언이 있다. 동폴레시아는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 남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사이의 과도기적인 변이이다. 벨라루스어와 남러시아어는 연속 지역을 형성하여 두 언어 사이에 선을 긋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든다. 중부 또는 중러시아어(모스크바 하위 방언 포함)는 북부와 남부의 과도기적 단계로, 러시아 문학 표준의 기초가 되었다. 북러시아어는 그 전신인 고 노브고로드 방언과 함께 많은 독창적이고 고풍스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향으로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레히틱 서슬라브어 언어인 폴란드어의 영향을 여러 면에서 받았다. 오랜 폴란드-리투아니아 통치의 결과로, 이 언어들은 교회 슬라브어에 덜 노출되어 현대 러시아어보다 적은 교회 슬라브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солодкий|솔로트키uk | салодкі|살롯키be | сладкий|슬랏키ru |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원래의 동슬라브어 음성 형태가 많은 단어에 유지되었다.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одиниця|오디니차uk | адзінка|아진카be | eдиница|예디니차ru |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다른 서유럽 언어, 특히 독일어 (폴란드어를 통해)와도 더 가깝다. 동시에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남슬라브어)뿐만 아니라 튀르크와 우랄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
우크라이나어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шукати|슈카티uk | шукаць|슈카츠be | искать|이스카티ru |
폴란드어 "szukać"와 고 하부 독일어 "sōkian" (독일어 "suchen") 비교 | 불가리아어 "искам" (iskam) (의미 변화: "원하다") 및 세르보-크로아티아어 "искати" (iskati) 비교 |
세 언어 모두 때때로 (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잘못된 친구를 가지고 있다.[7]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 орати|오라티uk — "경작하다"와 러시아어 орать|오라티ru — "소리 지르다", 또는 우크라이나어 помітити|포미티티uk — "알아차리다"와 러시아어 пометить|포메티티ru — "표시하다"와 같이 잘못된 친구를 가지고 있다.
4. 2. 문자
동슬라브어군은 모두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마다 고유한 문자와 발음이 있다.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는 33개의 문자를, 벨라루스어는 32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는 경음 부호 (')를 사용하여 러시아어의 Ъ와 같은 기능을 한다.동슬라브어군 | ||||||||||||||||||||||||||||||||||||||
---|---|---|---|---|---|---|---|---|---|---|---|---|---|---|---|---|---|---|---|---|---|---|---|---|---|---|---|---|---|---|---|---|---|---|---|---|---|---|
러시아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벨라루스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І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Ў | Ф | Х | Ц | Ч | Ш | ' | Ы | Ь | Э | Ю | Я | |||||
우크라이나어 | А | Б | В | Г | Ґ | Д | Е | Є | Ж | З | И | І | Ї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 | Ь | Ю | Я |
어떤 언어의 알파벳에 포함되지 않은 문자는 이중자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 없는 Ё는 ЙО(자음 앞뒤에서 ЬО)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Щ는 벨라루스어에서 ШЧ로 표기할 수 있다(벨라루스어 плошча와 우크라이나어 площа ("면적") 비교).
연음 부호(Ь)는 러시아어에서 Ц 뒤에 표기할 수 없는데, 이는 러시아어에 자음 /tsʲ/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상대적으로 흔하게 사용된다(우크라이나어 ць는 어원적으로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 ц에 해당하며, 벨라루스어 ць는 어원적으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ть에 해당한다). 표준 러시아어의 Щ는 항상 부드럽게 발음된다(구개음화).
표준 우크라이나어는 다른 슬라브어군(세르보크로아트어 제외)과 달리 종말 장애음 무성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구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명확하지 않다. 이는 우크라이나 구어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예외 중 하나이다.[8]
4. 3. 음운
(모스크바 방언)벨. галава́|할라바be ,
우. голова́|홀로바uk
"머리"
벨. зямля́|쟘랴be ,
우. земля́|제믈랴uk
"땅"
벨. ліст|리스트be ,
우. лист|리스트uk
"잎"
ти|띄uk (우크라이나어)
"너, 당신"
ноч|노치be (벨라루스어),
ніч|니치uk (우크라이나어)
"밤"
се́мя|셰먀be (벨라루스어),
сі́м'я|심야uk (우크라이나어)
"씨앗"
벨. зялёны|쟐료늬be ,
우. зеле́ний|젤레늬uk
"녹색"
ваўчыца|바우치차be (벨라루스어),
вовчиця|보우치차uk (우크라이나어)
"암컷 늑대"
час|차스be (벨라루스어),
час|차스uk (우크라이나어)
"시간"
яшчэ|야슈체be (벨라루스어),
ще|슈체uk (우크라이나어)
"아직"
дзе́сяць|졔샤쯔be (벨라루스어),
де́сять|데샤티uk (우크라이나어)
"10"
во́страў|보스트라우be (벨라루스어),
о́стрів|오스트리우uk (우크라이나어)
"섬"
во́страў|보스트라우be (벨라루스어),
о́стрів|오스트리우uk (우크라이나어)
"섬"
벨. галава́|할라바be ,
우. голова́|홀로바uk
"머리"
벨. стэп|스쩹be /stɛp/ (벨라루스어),
우. степ|스떼프uk /stɛp/ (우크라이나어)
"스텝"
벨. Вікторыя (Viktoryja),
우. кобзар (kobzár (주격),
кобзаря (kobzar’á (생격)
CrъC, CrъC
,
,
러. кровь (krov’), кровавый (krovávyj),
벨. кроў (kroŭ), крывавы (kryvávy),
우. кров (krov), кривавий (kryvávyj)
"피, 피투성이"
ду́маюць|두마윳쯔be (벨라루스어),
ду́мають|두마유찌uk (우크라이나어)
"(그들은) 생각한다"
벨. скажа (skáža),
우. скаже (skáže)
"(그/그녀)는 말할 것이다"
벨. ду́маў|두마우be ,
우. ду́мав|두마우uk
"(그는) 생각했다"
벨. рука|루까be-руцэ́|루쩨be ,
우. рука|루까uk-руці́|루찌uk
"손" (위치격 또는 전치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