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슈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슈브어는 비스와강과 오데르강 사이 발트해 남부 해안의 포메라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카슈브인들의 언어에서 유래한 서슬라브어군 언어이다. 19세기에 플로리안 체이노바에 의해 카슈브인의 자아 정체성을 일깨우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며, 20세기 초 알렉산데르 마이코프스키에 의해 카슈브 문학이 발전했다. 카슈브어는 폴란드어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고유의 문법과 어휘를 가지며, 슬로빈체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21년 폴란드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87,600명이 카슈브어를 사용하며, 폴란드 내 학교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카슈브어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고유의 문자를 가지며, 북부, 중부,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슬라브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분리되었다.
  • 서슬라브어군 - 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는 폴란드 남서부와 체코 북동부의 상실레시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폴란드어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으며 약 46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폴란드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폴란드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카슈브어
개요
다른 이름
언어 유형지역어
사용 민족카슈브인
사용 국가폴란드, 독일, 캐나다
사용 지역카슈비아, 포메라니아,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온타리오주
추정 화자 수87,600명 (2021년 폴란드 인구 조사)
언어 소멸 위기 등급심각한 위기 (UNESCO)
언어 코드
ISO 639-1해당 없음
ISO 639-2csb
ISO 639-3csb
링구아스피어53-AAA-cb
Glottologkash1274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슬라브어파
어군슬라브어군
분파서슬라브어군
하위 분파레흐어군
언어포메라니아어
문자
문자 체계라틴 문자 (카슈브어 알파벳)
지리적 분포
공식 지위
공용어 지정 국가공식적으로 2005년에 지역어로 인정 (폴란드 포모르스키에주의 일부 코뮌)
소수 언어 인정 국가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폴란드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

2. 역사

카슈브어는 비스와강오데르강 사이 발트해 남부 해안의 포메라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포메라니아인으로 불리는 카슈브인 부족이 사용하던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는 13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폴란드-포메라니아 언어권이 서부 지역(카슈브어)을 중심으로 중요한 언어학적 발달을 보이면서 분화되기 시작했다.[9]

19세기 플로리안 체이노바는 카슈브어 최초의 활동가로, 카슈브어, 관습, 전통을 확립하여 카슈브인의 자아 정체성을 일깨우기 위해 노력했다.[10] 그는 폴란드인들을 형제로, 카슈비아를 별개의 국가로 여겼다.[11]

1912년에는 알렉산데르 마이코프스키가 이끄는 젊은 카슈브 운동이 일어났으며, Zrzëszincë 그룹의 일원으로서 Zrzësz Kaszëbskô 신문에 글을 썼다. 이 그룹은 카슈브 문학 언어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카슈브어 요소가 포함된 폴란드어로 된 가장 초기의 인쇄 문서는 16세기 말부터 나타난다. 현대 표기법은 1879년에 처음 제안되었다. 카슈브어가 폴란드어 방언인지 별개의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은 학자들 사이에서 계속되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레흐어군 서슬라브어에 속하지만, 현대에는 폴란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12] 슬로빈체어와 함께 포메라니아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폴란드 등지의 많은 언어학자들은 카슈브어를 폴란드어의 방언으로 간주한다. 카슈브어 내 방언 간 차이가 커서 남부 방언 사용자와 북부 방언 사용자 간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카슈브어로 쓰인 폴란드어 단어의 철자와 문법은 폴란드어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13]

카슈브어에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약 5% 정도 있으며(예: kùńszt|쿤슈트csb "예술"), 대부분 저지 독일어에서 왔다.[14] 발트어파에서도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2. 1. 기원

카슈브어는 비스와강오데르강 사이 발트해 남부 해안의 포메라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포메라니아인으로 불리는 카슈브인 부족이 사용하던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는 13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폴란드-포메라니아 언어권이 서부 지역(카슈브어)을 중심으로 중요한 언어학적 발달을 보이면서 분화되기 시작했다.[9]

19세기에 플로리안 체이노바는 카슈브어 최초의 활동가가 되었다. 그는 카슈브어, 관습, 전통을 확립하여 카슈브인의 자아 정체성을 일깨우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10] 그는 폴란드인들이 형제처럼 태어났고, 카슈비아는 별개의 국가라고 강하게 믿었다.[11]

1912년에는 작가이자 의사인 알렉산데르 마이코프스키가 이끄는 젊은 카슈브 운동이 일어났으며, 그는 Zrzëszincë 그룹의 일원으로서 Zrzësz Kaszëbskô 신문에 글을 썼다. 이 그룹은 카슈브 문학 언어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카슈브어 요소가 포함된 폴란드어로 된 가장 초기의 인쇄 문서는 16세기 말부터 시작된다. 현대 표기법은 1879년에 처음 제안되었다. 많은 학자들과 언어학자들은 카슈브어가 폴란드어 방언으로 인정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로 인정되어야 하는지를 놓고 논쟁을 벌인다. 역사적 발달 측면에서는 레흐어군 서슬라브어이지만, 현대적 영향력 측면에서는 폴란드어가 권위있는 언어이다.[12] 카슈브어는 슬로빈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둘 다 포메라니아어의 방언이다. 폴란드 및 기타 지역의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폴란드어의 분기된 방언으로 간주한다. 카슈브어 내의 방언적 다양성은 매우 커서, 남부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는 북부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를 이해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어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카슈브어로 쓰인 폴란드어 단어의 철자와 문법은 매우 특이하여, 폴란드어 사용자가 카슈브어로 쓰인 텍스트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13]

폴란드어와 마찬가지로, 카슈브어에는 약 5%의 차용어가 독일어에서 유래되었다 (예: kùńszt|쿤슈트csb "예술"). 폴란드어와 달리, 이 단어들은 대부분 저지 독일어에서 왔으며, 드물게 고지 독일어에서 온 경우도 있다.[14] 차용어의 다른 출처로는 발트어파가 있다.

3. 사용 현황

폴란드에서 2021년 인구 조사 결과, 약 87,600명이 가정에서 카슈브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1년의 108,000명보다 감소한 수치이다.[15][16][9] 그러나 인구 조사 방법의 변화와 사회 정치적 환경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점에 전문가들은 주목한다.[7]

1855년부터 1900년까지 카슈브인 디아스포라 기간 동안 115,700명의 카슈브인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으며, 약 15,000명이 브라질로 이주했다.[21]

3. 1. 폴란드

2021년 인구 조사에서 폴란드 내 약 87,600명[15]이 집에서 카슈브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2011년의 108,000명[16][9] 이상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이 중, 집에서 카슈브어만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1,700명으로, 2011년의 3,800명에서 줄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구 조사 방법의 변화와 사회 정치적 환경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주의를 준다.[7] 어느 정도 카슈브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는 더 많아서 약 366,000명에 이른다.[17][18][19] 모든 카슈브어 사용자는 폴란드어도 유창하게 구사한다. 폴란드 내 다수의 학교에서 카슈브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포메라니아주의 시에라코비체 시, 리니아 시, 파르호보 시, 루지노 시, 주코보 시에서 지방 행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식 대체 언어이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카슈브어가 가족 구성원 및 친구들 사이의 비공식적인 대화에서 사용된다고 말한다.[20] 이는 폴란드어가 공식 언어이며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카슈브어의 가장 초기에 기록된 유물은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카슈브어를 루터교회에 소개하는 데 사용된 영적 찬송가 책이 포함된다.

  • 1586년 ''Duchowne piesnie (영적 찬송가) D. Marcina Luthera y ynßich naboznich męzow. Zniemieckiego w Slawięsky ięzik wilozone Przes Szymana Krofea... w Gdainsku: przes Jacuba Rhode'', Tetzner 1896: 목사들로부터 번역됨. S. 크로페야, 슬로윈차(?) 출신으로 돔비아 출신.
  • 1643년 ''Mały Catechism (작은 교리 문답) D. Marciná Lutherá Niemiecko-Wándalski ábo Slowięski to jestá z Niemieckiego języká w Słowięski wystáwiony na jáwnosc wydan..., w Gdaińsku przes Jerzego Rhetá'', 그단스크 1643. 스몰진의 목사, 슬루프스크 출신인 크스. 모스트니크.
  • ''Perykopy smołdzinskie (스몰진스키 본문)''는 프리트헬름 힌제에 의해 출판, 베를린(동), 1967년
  • ''Śpiewnik starokaszubski (오래된 카슈브어 노래책)''는 프리트헬름 힌제에 의해 출판, 베를린(동), 1967년

3. 2. 아메리카

1855년부터 1900년까지 카슈브인 디아스포라 동안 115,700명의 카슈브인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으며, 약 15,000명이 브라질로 이주했다.[21] 온타리오주 렌프루 카운티의 폴란드계 공동체에서는 교구 사제가 더 격식 있는 폴란드어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카슈브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22] 미네소타주 위노나는 라무트가 "아메리카의 카슈브 수도"라고 칭했는데,[23] 이곳에서 카슈브어는 교구 사제와 수녀들이 사용하는 "좋은 폴란드어"와 반대되는 "가난한 폴란드어"로 여겨졌다. 결과적으로 카슈브어는 폴란드화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20세기 중반 직후에 사멸했다.[24]

4. 음운

카슈브어의 음운 체계는 슬라브어의 다른 언어들과 여러 면에서 유사하며, 특히 카슈브어화(Kaszëbienié)로 알려진 특징을 보인다. 9개의 구두 모음과 2개의 비음을 포함하는 풍부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카슈브어 모음 음소[3][4]
rowspan="2" |전설중설후설
평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
중고모음rowspan="2" |~
중저모음
개모음



카슈브어 자음 음소[1][2]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
파열음무성
유성
파찰음무성()
유성()
마찰음무성()
유성()
전동음화 된 마찰음()
접근음
전동음



프리드리히 로렌츠는 북부 방언에서 대립적인 모음 길이를 가진다고 주장했지만, 이후의 연구는 1900년까지 음소 길이 구분이 사라졌음을 보여주었다.[1] 다른 모음 길이는 표현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음절 강세의 결과로 나타난다.[2]

카슈브어는 강세 배치가 자유로우며, 경우에 따라 이동 강세가 나타난다. 북부 방언에서는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 모음 축약이 발생할 수 있다.[33]

남부와 북부 방언의 차이는 14~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원시 슬라브어 모음 길이 체계 변화의 결과이다.


  • -ar- 앞에서의 부드러움 유지: 카슈브어 czwiôrtk|츠비오르트크csb vs 폴란드어 czwartek|츠바르테크pl[33]
  • 원시 슬라브어 ''*-ъl-''/''*-ьl-'' -> ''-ôł-'': 카슈브어 kôłbasa|코우바사csb vs 폴란드어 kiełbasa|키에우바사pl[33]
  • TelT -> TłoT: 카슈브어 młoc|므워츠csb vs 폴란드어 mleć|믈레치pl[33]
  • TarT 유지 (특히 북부): 카슈브어 bardówka|바르두프카csb vs 폴란드어 brodawka|브로다프카pl[33]
  • 초기 ''o-''의 순음화: 카슈브어 òwca|오프차csb vs 폴란드어 owca|오프차pl[33]
  • 카슈브어화(Kaszëbienié): 원시 슬라브어의 부드러운 ''t''/''d''/''s''/''z''가 변화하는 현상. (예: 카슈브어 cëchò|치호csb vs 폴란드어 cicho|치호pl)[33]
  • 초기 ''ra-'' -> ''re-'' 및 ''ja-'' -> ''je-'' (현대 형태는 일반적 ''-a-'' 유지): 카슈브어 redło|레드워csb vs 폴란드어 radło|라드워pl[33]
  • ''-ar-'' -> ''-er-''의 불규칙 변화 (예: 카슈브어 żerlë|제를리csb vs 폴란드어 żarła|자를라pl)[33]
  • sétmë|세트미csb ("일곱")에서 중간 ''-t-''의 지역적 유지[33]
  • 굴절 형태 분석을 통한 이동 ''e''의 손실 (예: 카슈브어 dómk|돔크csb vs 폴란드어 domek|도메크pl)[33]
  • 부드러운 자음 뒤, 경구개 치음 앞 ''e''의 모음 변화 (예: 카슈브어 wiezc|비에스츠csb vs 폴란드어 wieźć|비에시치pl)[33]
  • 원시 슬라브어 ''ř'' -> rz (예: 카슈브어 mòrze|모제csb vs 폴란드어 morze|모제pl)[33]
  • ''-dz-'' -> ''-z-'' (주로 북부): 카슈브어 cëzy|치지csb vs 폴란드어 cudzy|추지pl[33]
  • 유성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종결 폐음절 모음 연장: 카슈브어 bóg|부크csb vs 폴란드어 bóg|부크pl[33]
  • 원시 슬라브어 ''*ę'' -> 초기 카슈브어 ''į'' -> ''i'': 카슈브어 wzyc|브지츠csb vs 폴란드어 wziąć|브지옹치pl[33]
  • 짧은 ''i'' -> ''ë'' (''s, z, c, dz'' 뒤): 카슈브어 cëchò|치호csb vs 폴란드어 cicho|치호pl[33]
  • 경자음 뒤 짧은 ''y''/''i'' -> ''ë'': 카슈브어 bëc|비치csb vs 폴란드어 być|비치pl[33]
  • 부드러운 ''k''/''g'' -> ''cz''/''dż'' (때로는 ''ć''/''dź''): 카슈브어 czedë|체디csb vs 폴란드어 kiedy|키에디pl[33]
  • 북부 방언의 Bëlaczenié(브와체니에) (''ł'' -> ''l''): 카슈브어 jaskùlëczka|야스쿠리치카csb vs 폴란드어 jaskółeczka|야스쿠에치카pl[33]
  • ''ń'' -> ''n'' 경화 (남부 카슈브어): 카슈브어 kónsczi|콘스치csb vs 폴란드어 koński|콘스키pl[33]
  • 일부 자음군 이화: 카슈브어 chto|흐토csb vs 폴란드어 kto|크토pl[33]
  • 일부 자음군 축약: 카슈브어 pierszi, baro|피에르시, 바로csb vs 폴란드어 pierwszy, bardzo|피에르프시, 바르조pl[33]
  • 보철(프로테제) (''i-'' 앞 ''j-'' 삽입): 카슈브어 jistniec|이스트니에츠csb vs 폴란드어 istnieć|이스트니에치pl[33]

4. 1. 모음

카슈브어의 음운론 체계는 다른 슬라브어의 그것과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 이는 카슈비에니에(Kaszëbienié, 카슈브어화)로 유명하며, 9개의 구두 모음과 2개의 비음 모음을 포함하는 풍부한 모음 목록을 가지고 있다.

프리드리히 로렌츠는 북부 방언이 대립적인 모음 길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연구에서 1900년까지 음소 길이 구분이 사라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른 모음 길이는 표현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음절 강세의 결과이다.[1] 모음 길이의 모든 흔적은 이제 모음 변동에서 볼 수 있다.[2]

카슈브어 모음 음소[3][4]
rowspan="2" |전설중설후설
평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
중고모음rowspan="2" |~
중저모음
개모음


  • 중고 모음 의 정확한 음성 실현은 방언에 따라 다르다.[5]
  • 이 외에도 비모음 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음성 실현은 방언에 따라 다르다.[6]
  • 는 ''p'', ''b'', ''k'', ''g'', ''ch'' 뒤에서 로 이중 모음화된다.[7]

4. 2. 자음

카슈브어는 부차적 조음이 있는 단순 자음과 부차적 조음이 있는 복잡한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는 경구개 치경음이다.
  • 는 치경 구개음이다. 마지막 4개는 일부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마찰 전동음 는 현재 일부 북부 및 북동부 화자만 사용하며, 다른 화자는 이를 평평한 후치경음 으로 실현한다.
  • 순음화된 연구개 중설 접근음 는 동남부 방언의 노년층 화자에 의해 연구개화된 치치경 측면 접근음 으로 실현된다.

카슈브어는 표준 폴란드어와 동일한 유성음 동화 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4. 3. 강세

프리드리히 로렌츠는 북부 방언이 대립적인 모음 길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연구에서 1900년까지 음소 길이 구분이 사라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3] 다른 모음 길이는 표현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음절 강세의 결과이다.[33] 모음 길이의 모든 흔적은 이제 모음 변동에서 볼 수 있다.[33]

카슈브어는 강세의 자유로운 배치, 경우에 따라 이동 강세를 특징으로 하며, 북부 방언에서는 무강세 음절이 모음 축약을 유발할 수 있다.[33] 고어적인 단어 종결 강세는 일부 2음절 형용사, 부사, 부사의 비교급에서 규칙적으로 보존되며, 일부 부정사 및 현재 및 과거 시제 형태, ''-ô''로 끝나는 일부 명사, ''-ik''/''-yk''로 끝나는 애칭, ''-c'' 및 ''-k''로 형성된 명사, 대명사가 포함된 일부 전치사구에서 보존된다.[33]

강세 이동성은 명사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단수형에서는 강세가 첫 음절에 오지만, 복수형에서는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온다. 즉, k'òlano|콜라노csb이지만 kòl'anami|콜라나미csb와 같이, 그리고 일부 동사 형태, 즉 k'ùpi|쿠피csb 대 kùp'ita|쿠피타csb에서 볼 수 있다. 일부 방언에서는 ''ë''를 ''e''와 병합하여 구별을 대조적으로 만든다. 이러한 이동성의 대부분은 형태론에 국한되며, 강세는 카슈브어에서 대체로 안정되었다.[33]

북부 및 중부 방언은 훨씬 더 제한적인 이동성을 보이며, 북부 방언은 첫 음절의 강세를 안정시키는 반면, 중부 방언은 강세 음절과 단어의 첫 음절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보여준다.[33] 전치사, 대명사 및 nié|니에csb와 같은 문법적 입자와 같은 전철어는 첫 음절 강세를 가질 수 있다.[33]

동부 그룹은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를 둔다.[33]

남부와 북부 방언의 차이는 14~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원시 슬라브어 모음 길이 체계의 변화의 결과이다.

5. 문자

카슈브어는 34개의 문자를 사용하며, 폴란드어 알파벳에 기반한 문자를 사용한다.

대문자소문자글자 이름발음 (IPA)
Aaa
Ąąą
Ããã, (푸스크군, 베이헤로보군)
Bb
Cc
Dd
Eee
Ééé, (일부 방언), (단어 끝), (푸크에서 카르투지까지)
Ëëszwa
Fféf
Gg
Hhha
IIi
Jjjot
Kkka
Llél
Łłéł, [l]
Mmém
Nnén
Ńńéń,
Ooo
Òòò
Óóó, (남부 방언)
Ôôô, (서부 방언), (베이헤로보군), (남부 방언), [œ], [ø] (북부 방언)
Pp
Rrér
Ssés
Tt
Uuu
Ùùù
Ww
Yyigrek
Zzzet
Żżżet,



다음의 이중자와 삼중자가 사용된다.

이중자음소 값
ch
cz,
dz()
, (, )
rz~ ()
sz,


6. 문법

카슈브어 문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카슈브어 문법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어휘

많은 학자와 언어학자들은 카슈브어가 폴란드어 방언으로 인정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로 인정되어야 하는지를 놓고 논쟁을 벌인다. 역사적 발달 측면에서는 레흐어군 서슬라브어이지만, 현대적 영향력 측면에서는 폴란드어가 권위있는 언어이다.[12] 카슈브어는 슬로빈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둘 다 포메라니아어의 방언이다. 폴란드 및 기타 지역의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폴란드어의 분기된 방언으로 간주한다. 카슈브어 내의 방언적 다양성은 매우 커서, 남부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는 북부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를 이해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어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카슈브어로 쓰인 폴란드어 단어의 철자와 문법은 매우 특이하여, 폴란드어 사용자가 카슈브어로 쓰인 텍스트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13]

폴란드어와 마찬가지로, 카슈브어에는 약 5%의 차용어가 독일어에서 유래되었다 (예: ''kùńsztcsb'' "예술"). 폴란드어와 달리, 이 단어들은 대부분 저지 독일어에서 왔으며, 드물게 고지 독일어에서 온 경우도 있다.[14] 차용어의 다른 출처로는 발트어파가 있다.

8. 방언

많은 학자들과 언어학자들이 카슈브어가 폴란드어 방언으로 인정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로 인정되어야 하는지를 놓고 논쟁을 벌인다. 역사적 발달 측면에서는 레흐어군 서슬라브어이지만, 현대적 영향력 측면에서는 폴란드어가 권위있는 언어이다.[12] 카슈브어는 슬로빈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둘 다 포메라니아어의 방언이다. 폴란드 및 기타 지역의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폴란드어의 분기된 방언으로 간주한다. 카슈브어 내의 방언적 다양성은 매우 커서, 남부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는 북부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를 이해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어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카슈브어로 쓰인 폴란드어 단어의 철자와 문법은 매우 특이하여, 폴란드어 사용자가 카슈브어로 쓰인 텍스트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13]

폴란드어와 마찬가지로, 카슈브어에는 약 5%의 차용어가 독일어에서 유래되었다 (예: ''kùńszt|쿤슈트csb'' "예술"). 폴란드어와 달리, 이 단어들은 대부분 저지 독일어에서 왔으며, 드물게 고지 독일어에서 온 경우도 있다.[14] 차용어의 다른 출처로는 발트어파가 있다.

20세기 초 카슈브어 방언 지역


프리드리히 로렌츠는 20세기 초에 카슈브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고 기록했다.

  • 북부 카슈브어 방언
  • 중부 카슈브어 방언
  • 남부 카슈브어 방언


다른 연구자들은 폴란드의 방언과 속어(''Dialects and Slang of Poland'')에서처럼 카슈비의 각 작은 지역이 고유의 방언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 빌라키 방언
  • 스워윈스키 방언
  • 카바트코프 방언
  • 자보르스키 방언
  • 투홀스키 및 크라니악키 방언 (두 방언 모두 대폴란드 방언의 과도기적 형태로 간주되며 공식적인 대폴란드 방언으로 포함된다)

9. 문학

플로리안 체이노바(1817–1881)의 《카슈브인 책》은 카슈브 문학에서 중요한 작품이었다.[25] 히에로님 데르도프스키(1852–1902, 미네소타 주 위노나) 또한 카슈브어로 글을 쓴 중요한 작가였으며, 코시체지나 출신의 알렉산데르 마이코프스키(1876–1938)는 카슈브 민족 서사시 《레무스의 삶과 모험》을 썼다. 얀 트레프치크와 스타니스와프 페스트카는 카슈브어로 글을 쓴 시인이었다. 카슈브 문학은 체코어, 폴란드어, 영어, 독일어, 벨라루스어, 슬로베니아어, 핀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알렉산데르 마이코프스키와 알로이즈 나겔은 20세기에 가장 많이 번역된 카슈브 작가에 속한다. 아담 리샤르트 시코라(OFM)가 번역한 신약 성경을 포함하여 상당한 양의 기독교 문학이 카슈브어로 번역되었다.[26] 펠플린의 가톨릭 신학교를 졸업한 프란치셰크 그루차[27]는 카슈브어로 가톨릭 전례를 도입한 최초의 사제였다.

10. 교육

2021년 인구 조사에서 폴란드 내 약 87,600명[15]이 집에서 카슈브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2011년의 108,000명[16][9] 이상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이 중 집에서 카슈브어만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1,700명으로, 2011년의 3,800명에서 줄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구 조사 방법의 변화와 사회 정치적 환경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주의를 준다.[7] 어느 정도 카슈브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는 더 많아서 약 366,000명에 이른다.[17][18][19] 모든 카슈브어 사용자는 폴란드어도 유창하게 구사한다.

폴란드 내 다수의 학교에서 카슈브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포메라니아주의 시에라코비체 시, 리니아 시, 파르호보 시, 루지노 시, 주코보 시에서 지방 행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식 대체 언어이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카슈브어가 가족 구성원 및 친구들 사이의 비공식적인 대화에서 사용된다고 말한다.[20] 이는 폴란드어가 공식 언어이며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폴란드 공산주의 시대(1948-1989) 동안 카슈브어는 교육 및 사회적 지위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카슈브어는 민속학으로 취급되었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었다. 공산주의 붕괴 이후, 카슈브어의 지위에 대한 태도가 점차 변화하고 있다.[28] 카슈브어는 카슈비아 지역의 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되었지만, 모든 아이들에게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는 언어가 아니라, 부모의 명시적인 요청에 따라 주 3시간씩 가르치는 외국어였다. 1991년 이후, 400개 이상의 학교에서 약 17,000명의 학생들이 카슈브어를 배운 것으로 추정된다.[29]

카슈브어는 공영 라디오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공영 텔레비전에서도 사용되었다. 2005년부터 카슈브어는 폴란드에서 공식적인 지역 언어로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 이는 폴란드에서 이러한 지위를 가진 유일한 언어이며, 폴란드 국회의 ''2005년 1월 6일 국가 및 민족 소수 민족 및 지역 언어에 관한 법률''에 의해 부여되었다.[30] 이 법은 화자가 인구의 최소 20% 이상인 10개의 코뮌에서 카슈브어의 공식 사용을 규정하고 있다.[31] 이러한 인정은 인구 밀도가 높은 카슈비아 지역에서 폴란드어와 카슈브어 번역이 함께 표시된 도로 표지판 및 기타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stępne wyniki Narodowego Spisu Powszechnego Ludności i Mieszkań 2021 w zakresie struktury narodowo-etnicznej oraz języka kontaktów domowych https://stat.gov.pl/[...] 2023
[2] 문서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3] 웹사이트 Ustawa z dnia 6 stycznia 2005 r. O mniejszościach narodowych i etnicznych oraz o języku regionalnym http://isap.sejm.gov[...]
[4] 웹사이트 Lekhitic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3-08-08
[5] 서적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sw.gov.p[...] Ministry of Interior of Poland 2015-01-19
[7] 웹사이트 Narodowy Spis Powszechny Ludności i Mieszkań 2021. Wstępne wyniki. Coraz mnie... https://www.zawszepo[...] 2023-04-12
[8]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Blackwell
[9] 서적 A historical phonology of the Kashubian dialects of Polish Mouton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12] 서적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3] 웹사이트 Biuletin Radzëznë Kaszëbsczégò Jazëka rok 2007, Gduńsk. http://Finstytutkasz[...]
[14] 간행물 Germanizmy leksykalne południowej kaszubszczyzny (Na materiale książki Bolesława Jażdżewskiego Wspomnienia kaszubskiego "gbura") Uniwersytet Jagielloński 2007
[15] 웹사이트 Statistics Poland / National Census /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1 / Final results of the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1 https://stat.gov.pl/[...]
[16] 웹사이트 Kaszubi w statystyce (cz. III), Tabela 3. (Table 3.) http://kaszebsko.com[...] 2016-01-03
[17] 논문 Polen-Analysen. Die Kaschuben http://www.laender-a[...] 2011-09
[18] 웹사이트 The Kashubs Today: Culture-Language-Identity http://instytutkaszu[...] 2007
[19] 웹사이트 Acta Cassubiana. Vol. XVII (map on p. 122) http://docplayer.pl/[...] 2015
[20] 웹사이트 The Use of the Kashubi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People Aged 16–19: Settings and Participants http://www.wilkuer.d[...] 2010
[21] 서적 Statystyka ludności kaszubskiej
[22] 서적 Creating Kashubia: History, Memory and Identity in Canada's First Polish Community https://www.mqup.c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6
[23] 웹사이트 Kashubian Capital of America http://bambenek.org/[...] 2023-08-08
[24] 웹사이트 A Congregational History of Saint Stan's http://bambenek.org/[...] 2005
[25] 웹사이트 Piotr Preis, Izmail Sreznevskii, and Kashubia https://src-h.slav.h[...]
[26] 웹사이트 o. prof. dr hab. Adam Sikora OFM - Franciszkanie http://www.franciszk[...] 2011-03-15
[27] 서적 Kirche im Osten: Studien zur osteuropäischen Kirchengeschichte und Kirchenkunde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00
[28] 웹사이트 The Institute for European Studies, Ethnological institute of UW http://www.ies.ee/ie[...] 2014-10-21
[29] 웹사이트 język kaszubski http://pl.languagesi[...] 2016-05-02
[30] 웹사이트 Internetowy System Aktów Prawnych http://isap.sejm.gov[...] 2013-12-17
[31] 서적 Slav outposts in Central European history : the Wends, Sorbs and Kashubs Bloomsbury Academic,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6
[32] 서적 Dialekty i gwary polskie Wiedza Powszechna
[33] 웹사이트 Kaszubienie http://www.dialektol[...]
[3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2023-03-01
[35] 간행물 Narodowy Spis Powszechny Ludności i Mieszkań 2011. Raport z wyników Central Statistical Office of Po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