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기하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기하함수는 초기하 미분 방정식의 해로 나타나는 함수이며, 초기하급수의 수렴 시 초기하함수로 정의된다. 초기하함수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며, 0F0는 지수 함수, 1F0는 기하급수, 0F1은 베셀 함수, 2F1은 가우스 초기하함수와 같이 특수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초기하함수는 여러 가지 성질을 가지며, 미분, 모노드로미 등과 관련하여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기하함수 - 오일러 변환
    오일러 변환은 수열에 이항 변환을 적용하여 교대급수의 수렴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되며, 이항 컨볼루션, 생성 함수, 적분 표현 등과 관련된다.
  • 보형 형식 - 랭글랜즈 쌍대군
    랭글랜즈 쌍대군은 근 데이터로부터 정의되는 쌍대 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랭글랜즈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갈루아 군의 표현과 리 군의 표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오토모픽 형식과 갈루아 표현 사이의 대응 관계 연구 및 4차원 양-밀스 이론의 전기-자기 이중성과 관련되어 활용된다.
  • 보형 형식 - 럭스 쌍
    럭스 쌍은 적분가능계 연구에 사용되는 두 연산자 L(t)와 P(t)로, 럭스 방정식을 만족시키며 L(t)의 고유값이 시간에 무관한 아이소스펙트럴 성질을 갖는 개념이다.
  • 상미분 방정식 - 조화 진동자
    조화 진동자는 복원력이 변위에 비례하는 진동계로, 단순 조화 진동, 감쇠 진동, 강제 진동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며, 용수철-질량계나 단진자 등이 그 예시이다.
  • 상미분 방정식 -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변분법으로 범함수의 정류점을 찾는 편미분 방정식으로, 라그랑주 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뉴턴 역학을 일반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하함수

2. 정의

'''초기하 미분 방정식'''(hypergeometric differential equation영어)은 미지 함수에 대한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의 해는 급수로 전개할 수 있는데, 이 급수를 '''초기하급수'''(hypergeometric series영어)라고 한다. 만약 이 급수가 수렴하면 '''초기하함수'''라고 부른다.

2. 1. 초기하 미분 방정식

'''초기하 미분 방정식'''(hypergeometric differential equation영어)은 미지 함수 w(z)에 대한, 다음과 같은 꼴의 \max\{p,q+1\}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다.

:z\prod_{n=1}^p\left(z\frac d{dz}+a_n\right)w(z)=z\frac d{dz}\prod_{n=1}^{q}\left(z\frac d{dz}+ b_n-1\right)w(z)

여기서

:\mathbf a=(a_1,\dots,a_p)\in\mathbb R^p

:\mathbf b=(b_1,\dots,b_q)\in\mathbb R^q

는 임의의 상수들이다. 이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은 급수로 전개시킬 수 있다.

:{}_pF_q(\mathbf a;\mathbf b;z) = \sum_{n=0}^\infty \frac{(\mathbf a)_n}{(\mathbf b)_n}\frac {z^n} {n!}

여기서

:(x)_n=x(x+1)\cdots(x+n-1)

은 상승 포흐하머 기호이며,

:(\mathbf a)_n=(a_1)_n(a_2)_n\cdots(a_p)_n

:(\mathbf b)_n=(b_1)_n(b_2)_n\cdots(b_q)_n

이다. 이 급수 {}_pF_q를 '''초기하급수'''(hypergeometric series영어)라고 하며, 만약 이 급수가 수렴하는 경우 '''초기하함수'''라고 한다.

2. 2. 초기하급수와 초기하함수

초기하급수(hypergeometric series영어) {}_pF_q는 다음과 같은 급수이다.

:{}_pF_q(\mathbf a;\mathbf b;z) = \sum_{n=0}^\infty \frac{(\mathbf a)_n}{(\mathbf b)_n}\frac {z^n} {n!}

여기서 (x)_n=x(x+1)\cdots(x+n-1)은 상승 포흐하머 기호이며, (\mathbf a)_n=(a_1)_n(a_2)_n\cdots(a_p)_n, (\mathbf b)_n=(b_1)_n(b_2)_n\cdots(b_q)_n이다. 만약 이 급수가 수렴하는 경우 초기하함수라고 한다.

3. 성질

초기하함수는 정의에 따라, 매개변수 \{a_1,\dots,a_p\}\{b_1,\dots,b_q\}의 순서에 관계없이 값이 일정하며, \{a_1,\dots,a_p\}\{b_1,\dots,b_q\}교집합이 있으면 이들을 서로 약분할 수 있다.

3. 1. 기본 성질

정의에 따라, 초기하함수 {}_pF_q(\mathbf a;\mathbf b;z)\{a_1,\dots,a_p\}\{b_1,\dots,b_q\}의 순서에 관계없다. 또한, 만약 \{a_1,\dots,a_p\}\{b_1,\dots,b_q\}교집합이 있으면, 이들을 서로 약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_p=b_q라면 다음과 같다.

:{}_pF_q(a_1,\dots,a_p;b_1,\dots,b_q;z)={}_{p-1}F_{q-1}(a_1,\dots,a_{p-1};b_1,\dots,b_{q-1};z)

3. 2. 미분

급수 전개에 따라, 초기하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d^n/dz^n|dn/dzn영어 pFq|pFq영어(a;b;z) = pFq|pFq영어(a+n;b+n;z)

여기서 a+n=(a1+n,a2+n,...,ap+n)이며, b+n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3. 3. 모노드로미

복소 상미분 방정식은 푹스 방정식(해가 정칙 특이점만을 갖는 방정식)이며, 리만 구 위의 (정칙) 특이점은 \{0,1,\widehat\infty\}\in\hat{\mathbb C}이다. 이들은 특이점 근처에서 모노드로미를 가진다.

  • 1 근처에서, 초기하 방정식은 n-1개의 선형 독립 해들을 갖는다. 나머지 하나의 해는 1 근처에서 모노드로미를 가지므로 포함되지 않는다.
  • 0 또는 \widehat\infty 근처에서, 초기하 방정식의 해들은 항상 모노드로미를 가지므로, 이 근처에서는 일반적으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 z\ne0,1,\widehat\infty 근처에서는 n개의 선형 독립 해가 존재한다.


어떤 밑점 z_0\in\hat{\mathbb C}\setminus\{0,1,\widehat\infty\} 근처에서의 위 방정식의 해의 벡터 공간V_{z_0}(\alpha_1,\dots,\alpha_n;\beta_1,\dots,\beta_n)라고 하자. 이는 n-1차원의 복소 벡터 공간이다. 그렇다면, 모노드로미에 따라서 기본군의 다음과 같은 군 표현이 존재한다.

:\phi\colon\pi_0(\hat{\mathbb C}\setminus\{0,1,\widehat\};z_0)\to\operatorname{GL}(V_{z_0})

기본군 \pi_0(\hat{\mathbb C}\setminus\{0,1,\widehat\};z_0)=\langle g_0,g_1,g_\infty|g_0g_1g_\infty=1\rangle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 \phi(g_0)의 고윳값은 \exp(-2\pi i\beta_i)이다 (i=1,\dots,n).
  • \phi(g_\infty)의 고윳값은 \exp(2\pi i\alpha_i)이다 (i=1,\dots,n).
  • \phi(g_1)은 중복수가 n-1인 고윳값 1을 갖는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군 표현은 유일하며, 이를 '''초기하군''' H(\alpha_i,\beta_i)라고 한다.

4. 예


  • F은 기하급수에서 유래하였다.

  • F은 합류 초기하 극한 함수라고 하며, 베셀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 F은 제1종 합류 초기하함수라고 한다.

  • F은 가우스 초기하함수라고 하며, 초기하함수 가운데 가장 자주 등장한다. 보통 첨자의 언급 없이 "초기하함수"라고 하면 가우스 초기하함수를 가리킨다. 가우스 초기하함수의 특수한 경우로 제1종 타원적분 등이 있다.

  • F는 클라우젠-토메 초기하함수라고 하며, 기하급수 및 가우스 초기하함수의 일반화이다.

4. 1. 0F0

exp영어 ''z''는 지수 함수이다.

4. 2. 1F0

Hypergeometric series영어라는 이름은 기하급수에서 유래하였다. {}_1F_0(a;;z)=(1-z)^{-a}는 기하급수이다.

4. 3. 0F1

confluent hypergeometric limit function영어는 '''합류 초기하 극한 함수'''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베셀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J_\alpha(x)=\frac{(\tfrac{x}{2})^\alpha}{\Gamma(\alpha+1)} {}_0F_1\left (;\alpha+1; -\tfrac{1}{4}x^2 \right )

4. 4. 1F1

confluent hypergeometric function of the first kind|컨플루언트 하이퍼지오메트릭 펑션 오브 더 퍼스트 카인드영어는 제1종 합류 초기하함수라고 한다.

4. 5. 2F1

Gaussian hypergeometric function영어라고 하며, 초기하함수 가운데 가장 자주 등장한다. 보통 첨자의 언급 없이 "초기하함수"라고 하면 가우스 초기하함수를 가리킨다.

가우스 초기하함수의 특수한 경우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 2z{}_2F_1(1/2,1;3;z^2)=\arcsin z
  • \frac\pi 2{}_2F_1(1/2,1/2;1;z^2)=K(z)=\int_0^1\frac{dx}{\sqrt{(1-x^2)(1-z^2x^2)}}

여기서 K(z)는 제1종 타원적분이다.

4. 6. nFn-1

Clausen–Thomae hypergeometric function영어({}_nF_{n-1})는 기하급수 ({}_1F_0) 및 가우스 초기하함수 ({}_2F_1)의 일반화이며, 가우스 초기하함수와 마찬가지로 흥미로운 모노드로미 이론을 갖는다. 이는 토마스 클라우센(Thomas Clausenda)과 카를 요하네스 토메(Carl Johannes Thomaede)의 이름을 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